KR20150001194U -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194U
KR20150001194U KR2020130007655U KR20130007655U KR20150001194U KR 20150001194 U KR20150001194 U KR 20150001194U KR 2020130007655 U KR2020130007655 U KR 2020130007655U KR 20130007655 U KR20130007655 U KR 20130007655U KR 20150001194 U KR20150001194 U KR 20150001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breaker
lifter
guide plate
fix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946Y1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76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46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단기를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승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고정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 및 고정지지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상기 차단기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가 제공된다.
상기 리프터는 리프터 자체가 소형화되어 이동공간이 협소한 배전반에서도 용량이 큰 차단기 운반에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LIFTER FOR CARRYING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전반에 사용되는 차단기를 승, 하강시킬 수 있고, 차단기를 이동하여 상기 배전반에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은 수전과 배전 계통에서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개폐기와 차단기 및 보호계전기 등을 철재 외함에 수납하여 산업용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설비이다.
그런데, 상기 배전반에 사용되는 차단기는 운영시, 유지보수시 배전반으로부터 인입 및 인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물론, 상기 차단기 자체에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배전반에 인입되는 차단기는 사람이 직접 들어서 운반하기는 힘든 고중량의 장치이다. 따라서 상기 차단기를 인입 및 인출하는데에 상기 차단기를 싣고 이동한 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리프터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종래 리프터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하로 움직이는 포크(3), 리프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휠이 구비된 고정지지부재(6), 상기 포크와 고정지지부재가 구비된 중심축대(4), 상기 포크를 들어올리는 체인(9), 상기 체인이 걸려 있는 롤러(7), 상기 체인을 움직이는 유압발판(5)을 포함한다.
상기 포크(3)는 상기 중심축대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포크는 상기 유압발판이 작동하면 상기 체인이 이동하면서, 끌어 올려지거나 혹은 내려온다. 상기 포크가 제일 하단부에 위치할 때, 작업자는 차단기를 상기 포크위로 승차시킨다. 그 후, 상기 유압발판을 통해 상기 포크를 일정부분 올려서 상기 승차된 차단기를 상기 배전반의 인입 할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 후 차단기를 밀어 넣는다. 물론, 차단기를 들어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 후, 인입 할 위치에 맞추어 상기 포크를 상승시켜 인입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포크(3)에 차단기(2)를 싣고 상부로 올리는 경우 중심축대(4)와 상기 차단기(2)의 무게중심 사이의 거리로 인해 회전모멘트가 생긴다. 상기 회전모멘트에 의해 리프터(1)가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는, 상기 중심축대(4)의 크기가 커지거나 고정지지부재(6)의 길이가 리프터(1)의 이동방향으로 길어져야 한다. 따라서, 차단기(2)의 용량이 커질수록 회전모멘트의 크기가 커지므로, 그에 따라 리프터(1)의 크기가 커져야 했다.
그런데, 상기 배전반(10)이 설치되는 전기실은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도 있지만, 협소한 공간의 전기실에 배전반이 설치되는 경우 배전반(10) 사이에 통로의 너비가 커다란 리프터(1)의 이동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배전반(10)에 인입되는 차단기(2)가 여러 종류일 때, 상기 차단기를 상승시킬 수 있는 능력과 배전반 사이 통로의 너비를 고려하여 여러 종류의 리프터(1)를 구비하여야 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2) 운송용 리프터(1)가 차단기(2)를 배전반(10)에 인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프터(1)의 포크(3)를 배전반(10)의 차단기(2) 인입 위치까지 높이 조절 후, 차단기(2)를 밀어서 배전반(10)에 인입한다.
상기 과정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포크(3)를 바닥 상태에 놓고, 차단기(2) 자체에 구비된 휠을 이용하여 상기 차단기(2)를 상기 포크(3)위에 올려놓는다. 그 후 상기 리프터(1)를 배전반(10)의 차단기(2)를 인입하는 곳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배전반(10) 문을 열고, 유압잭을 이용하여 상기 체인(9)을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포크(3)를 차단기 인입할 곳의 바닥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사람이 밀어서 차단기(2)를 상기 배전반에 인입한다.
그런데 상기 과정에서 차단기(2)를 인입 할 때의 리프터(1)가 주 진행 방향이 위치하는 방향은, 차단기(2)를 인입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배전반(10) 입구에 리프터(1)를 정면으로 위치하고 차단기(2)를 인입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터(1)는 중심축대의 크기가 크고 이동방향으로의 길이가 길다. 따라서, 전기실의 배전반과 배전반 사이의 공간이 협소할 경우 차단기(2)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상기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1)를 향하도록 위치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배전반과 배전반 사이의 통로의 너비보다 차단기의 앞뒤의 폭이 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그 차단기(2) 용량을 들어올릴 수 있고 앞뒤 간격이 해당 전기실에 적당한 크기의 리프터(1)를 사용해야 한다. 즉, 될 수 있는 한 큰 리프터를 사용하기에는 전기실의 통로나 입구에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리프터는 전기실의 크기나 차단기의 용량에 따른 여러가지의 리프터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너비또는 중량을 가진 여러 차단기들을 운반할 수 있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의하면, 차단기를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승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고정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 및 고정지지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상기 차단기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차단기 양측에 배치되는 제 1가이드플레이트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체결되는 열에 따라 제 1가이드플레이트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제 1 가이드플레이트와 제 2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거리 조절은 한 대의 리프터로 다양한 정격의 차단기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차단기가 인입 및 인출시에 차단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체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휠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일측 단부쪽에 구비되고, 상기 휠을 멈추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강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차단기가 승강하거나 내릴 때 상기 차단기가 다른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레일부가 차단기 하부에 구비된 바퀴를 좀 더 안정적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차단기의 승강, 하강시 차단기가 리프터 밖으로 떨어지는 위험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단기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동시 돌출되는 차단기 고정을 위한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차단기를 지지하는 홀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상기 리프터에 가이드 된 차단기가 차단기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동시 돌출되는 차단기 고정을 위한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되는 부분은 힌지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링크부재가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힌지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승강지지부재가 최고점으로 상승했을 때,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단부에서 가까운 곳일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연결부분은 상기 링크부재의 반대측 연결부분이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이동수단; 및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이동수단 또는 제 2이동수단은, 상기 차단기의 인출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의 이동수단은 캐스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부재 일측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유압발판; 상기 유압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유압발판을 작동시키는 경우 유압이 높아지는 유압잭; 및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의하여, 상기 리프터가 차단기를 인입하여, 목적하는 배전반 앞으로 이동 후, 상기 유압발판을 이용, 승강지지부재를 상승시켜 목적하는 배전반에 차단기를 인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측면들에 의하면,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가 소형화되어 리프터 자체의 소비되는 자원낭비 및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터는 이동방향과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이 상이하여, 전기실의 공간이 협소하여 통로가 좁은 경우에도 차단기를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배전반으로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프터 자체가 소형화되어 이동공간이 협소한 배전반에서도 용량이 큰 차단기 운반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너비의 차단기를 하나의 리프터로 가이드 할 수 있으므로, 차단기 용량별로 여러 대의 리프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 하부에 구비되는 휠을 가이드 하는 레일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차단기를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시에 차단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차단기가 리프터 밖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기에 구비되는 손잡이 이동을 통해 돌출되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홀드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리프터를 이동시에 차단기가 안정적으로 상기 차단기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가 차단기를 배전반에 인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차단기를 운반하는 리프터를 개선한 차단기 운반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개선한 점을 살펴보면, 기존의 차단기 운반용 리프터는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이 리프터의 이동방향과 일치하므로 배전반 사이의 통로가 좁은 경우 그보다 길이방향 길이가 긴 리프터를 사용할 수 없지만, 본 고안의 차단기 운반용 리프터는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방향과 리프터의 이동방향이 수직이므로, 배전반 사이의 통로가 좁은 경우에도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긴 리프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리프터는 차단기 인입시 그 무게중심이 포크의 중심에 걸리므로, 리프터의 무게중심과의 차이로 회전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리프터는 차단기를 인입했을 때 그 무게중심이 리프터의 무게중심과 거의 일치하므로 회전모멘트의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효과로 인해, 회전모멘트를 견디기 위해 리프터 자체의 크기를 늘릴 필요성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효과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차단기 운반용 리프터는 차단기를 승강, 하강시키는 경우에, 기존의 체인을 이용하여 차단기의 무게중심과 힘점이 분리되는 대신, 차단기의 무게중심과 힘점을 일치시키는 링크부재를 이용한다.
본 고안의 승강수단은 유압잭, 유압발판, 링크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결합수단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 용접, 핀 등을 이용한 모든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이동수단은 상기 리프터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임의의 이동 수단이다. 예를 들어, 휠이나 캐스터 등 리프터를 움직일 수 있는 임의의 수단이다. 다만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기 이동수단을 캐스터로 정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리프터(20)는 캐스터(40) 및 링크부재(38)가 구비된 고정지지부재(42)과 상기 링크부재 상부에서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된 승강지지부재(24), 상기 리프터(20)가 이동가능하게 하는 캐스터(40), 상기 링크부재(38)를 상하로 움직여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 하강시키는 유압발판(50), 상기 승강지지부재(24) 위에서 차단기를 인입 및 인출시키는 가이드플레이트(19)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42)는 사각형 틀의 형태이다. 직사각형의 4개의 부재가 사각형 모양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사각형태의 틀 내부는 개구되어 있다. 개구되어 있는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사각형 틀 내부에는 링크부재, 유압잭(48) 등이 구비된다. 또한, 고정지지부재(42)의 각 모서리 하부에는 상기 리프터의 이동수단인 캐스터(40)가 1개씩, 총 4개 구비된다. 상기 고정지지부재(42)의 리프터 진행방향의 후면쪽 부재 가운데에는 유압연결관이 관통하여 지나간다.
상기 고정지지부재(42) 일측에는 U자형태를 뒤집어 놓은 모양의 제 1 손잡이(5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손잡이(52)는 보통 성인의 허리에서 가슴 사이의 높이만큼 올라온다. 이는, 상기 제 1 손잡이를 잡고, 성인이 리프터를 움직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고정지지부재(42)의 프레임 내측면에는 링크부재(3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후에 자세히 설명할 승강지지부재와 상기 고정지지부재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시킨다.
상기 승강지지부재(24)는 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고정지지부재과 달리 내부가 개구된 것이 아니다. 또한 두께가 있는, 예를 들어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재는 상기 고정지지부재(42)의 상부에 같은 길이방향으로 위치한다.
상기 승강지지부재 판상 위에는 가이드플레이트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공은 복수개의 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열에는 3개소의 볼트(44)가 체결되는 체결공(26)이 구비되어 있다. 물론, 상기 각 열에 2개소 또는 4개소 이상의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공의 각 열 사이의 간격은 일반적으로 규격이 정해져서 나오는 배전반에 인입되는 차단기를 수용할 수 있는 너비에 맞춰서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열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 너비, 중량을 갖는 차단기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일측면에는 제 2 손잡이(4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2 손잡이는 차단기를 배전반으로 인입하거나, 또는 배전반에서 리프터로 인출할 때에 사람이 상기 제 2 손잡이를 잡고, 상기 리프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지지부재(24) 길이방향의 양쪽 내측면에는 링크부재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고정지지부재(42)과 승강지지부재(24)를 연결하며, 유압잭 및 유압발판에 의해 상기 승강지지부재(24)를 상승,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38)는 사다리꼴 형태의 부재로 총 4개가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재(38)는 2개의 부재가 한 쌍을 이뤄 교차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재 두 쌍이 각각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고정지지부재의 길이방향측 변에 구비된다. 또한, 한 쌍에 있는 2개의 판재는 서로 엇갈려서 연결되며, 엇갈리는 부분에는 힌지(38a)가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재 두 개의 쌍이 서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38)의 일측은 상기 승강지지부재(24) 하부에, 다른 일측은 상기 고정지지부재(42)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방법은 볼트로 조이거나 용접을 통한 조립방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38)가 상기 승강지지부재(24) 또는 고정지지부재(42)의 모서리측에 연결되는 곳, 즉 단부에 가까운 곳은 힌지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긴 변과의 연결 부분은, 링크부재가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이는, 상기 유압잭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가 슬라이드 되어 밀려 올라가거나, 내려올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지지부재의 단부쪽을 중심으로 가이드플레이트가 연결되므로, 상기 단부쪽에 링크부재를 힌지 연결시킴으로써, 인입되는 차단기와의 무게중심과 힘점의 거리를 좁혀, 모멘트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가 엇갈리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기 힌지(38a)는 반대측 힌지와 일직선의 봉형 부재(미도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봉형 부재는 상기 유압잭이 압력을 받아 밀어 올리면, 상기 링크부재를 함께 밀어올린다. 또한, 상기 봉이 상기 유압잭에 유압이 낮아져서 밀려 내려오면, 상기 링크부재 역시 함께 내려온다.
상기 제 1 손잡이(52)는 상기 고정지지부재(42) 후면 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손잡이(52)는 상기 고정지지부재(42) 양 모서리에서 수직상부로 올라가며 상부에서 수평으로 만난다. 이때, 상기 제 1 손잡이(52)는 사람이 편하게 잡을 수 있는 높이로, 예를 들어, 일반 성인의 허리에서 가슴 사이의 높이(약, 지면에서 1미터에서 1.2미터 사이 높이)까지 올라온다. 상기 제 1 손잡이(52)는 수직상부로 약 60~80 센치미터 올라온 부분에서는 상기 리프터의 바깥쪽으로 경사져서 올라올 수 있다. 이는 상기 리프터의 운행자가 상기 제 1 손잡이를 잡고 밀 때에, 그 미는방향으로 향하는 외력이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제대로 전달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손잡이(52)를 밀면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상기 제 1 손잡이의 반대편을 정면으로 상기 리프터(20)는 움직이게 된다.
상기 캐스터(40)는 상기 고정지지부재(42) 하부의 각 모서리에 구비된, 총 4개로 구성된 이동수단이다. 상기 리프터(20)는 상기 제 1 손잡이(52)를 사람이 밀거나 당기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캐스터(40)가 움직임에 의해 움직인다. 상기 제 1 손잡이(52)가 구비된 부분의 2개의 캐스터(40)는 회전할 수 있다. 나머지 2개의 캐스터(40)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할 수 있는 2개의 캐스터는 상기 리프터를 밀거나 당기면서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전하는 캐스터(40)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하지 않는 캐스터의 이동방향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상기 차단기를 인입 및 인출하는 방향은 서로 교차한다. 이러한 교차에 의해, 승강지지부재의 길이가 긴 리프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지지부재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상부에 가이드 플레이트의 체결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을 갖는 차단기를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압발판(50)은 상기 고정지지부재(42) 후면측에 구비되어 있다. 유압연결관은 상기 유압발판과 유압잭을 연결하는 관이다. 상기 유압연결관의 단부가 갈고리 모양으로 꺾여 있으며, 그 끝에는 상기 유압발판(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압발판(50)은 사람이 발로 밟을 수 있도록 마찰이 있는 재질 및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발판(50)을 발로 밟으면 상기 유압발판 및 유압연결관이 회전하면서 유압잭에 유압이 높아진다. 이때, 상기 유압잭에 유압이 높아지면 상기 유압잭에 구비된, 상기 링크부재(38)의 힌지(38a)사이 봉과 연결되어 있는 실린더가 밀려나오면서, 상기 힌지(38a)가 회동하며 상기 링크부재(38)가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지지부재가 상승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압발판을 밟으면, 상기 유압잭에 유압이 높아지며, 유압을 낮추는 것은 별도의 벨브(미도시)를 통해 유압을 낮춘다.
상기 유압잭(48)은 상기 유압연결관의 타단에 구비된다. 상기 유압잭은 내부에 외부로 돌출가능한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는 상기 힌지(38a)사이에 구비된 상기 봉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는 유압이 높아지면 상기 유압잭 밖으로 밀려나와 상기 링크부재(38)를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를 밀어올리는데 있어서, 유압이 아닌 전기 등의 다른 동력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는 제 1가이드플레이트(21)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22), 총 2개의 플레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 위에 볼트에 의해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의 역할은 차단기가 상기 리프터(20)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때 상기 차단기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승강지지부재(24)와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승강지지부재(24)와 수직을 이루며 차단기가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체결부와 가이드부는 ㄱ자 혹은 ㄴ자 모양으로 약 90도 꺾여있는 모양이다.
상기 체결부에는 3개소의 볼트홀이 구비된다. 상기 볼트홀은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체결공과 볼트로 고정 조립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에 구비된 볼트홀의 개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구비된 하나의 열에 체결공의 개수가 달라지면 그와 같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단부에 위치한 체결공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가이드플레이트(22)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에 구비된 복수개의 열을 이루는 체결공(26) 중 하나의 열에 장착된다.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22)는 각각의 체결부가 서로를 향하도록 마주보듯이 설치된다. 이는, 상기 체결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상기 차단기 자체에 구비된 휠을 가이드 하기 위해서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22)의 간격은 상기 리프터(20)에 승강시킬 차단기의 폭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체결부의 길이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축의 길이, 즉 상기 승강지지부재의 너비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체결하면, 상기 체결부의 일부가 상기 승강지지부재의 측면쪽으로 돌출된다. 이처럼, 상기 체결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된 이유는 배전반에 차단기를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경우, 상기 체결부와 배전반 사이의 거리를 좁혀 차단기를 더 안전하고 안정되게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함이다. 또한, 돌출방향은 상기 제 2 손잡이의 반대측이다. 이는, 제 2 손잡이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시, 차단기의 인입 과정에서 제 2 손잡이와 걸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제 2 손잡이를 잡고 미세한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상기 돌출된 부분과 반대편에 제 2 손잡이가 구비되는 것이 더 작업상 편리하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는 상기 리프터(20)의 이동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승강지지부재(24)에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승강지지부재의 너비쪽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손잡이(52)를 밀어 이동하는 리프터(20)의 이동방향과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에 의해 차단기가 인입 및 인출되는 방향이 서로 수직하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20)에 구비된 차단기를 배전반에 인입 및 인출시에도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길이방향이 통로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놓인다. 따라서, 전기실의 배전반 사이의 통로가 좁은 경우에도, 상기 리프터(20)가 상기 차단기를 싣고 이동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과 배전반 사이의 통로 공간이 협소하여도 상기 리프터(20)로 인해 차단기를 쉽게 인입 및 인출시킬 수 있다. 이는, 본 고안의 리프터가 길이방향으로 긴 형상에서도, 좁은 통로에서 차단기를 운반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22) 모두 상기 승강지지부재(24)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리프터(20)에 인입되는 차단기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폭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단기의 중량과 배전반 사이의 거리 등을 고려하여 여러 대의 리프터를 구비하여야 한 것에 반해, 본 고안은 여러 종류의 폭을 갖는 차단기를 한 대의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20)로 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22) 사이의 거리조절은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를 지그제그로 서로 맞물리 레그와 핀으로 된 레일을 장착하고, 이를 조정할 수 있는 휠을 돌림으로써 이동거리를 조정하여 상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에 또 다른 거리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거리조절수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한 레일에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에는 차단기 하부에 구비되는 휠을 가이드하는 레일부(32)와 상기 레일부(32)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차단기의 휠을 정지시키는 스토퍼(3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체결부와 약 90도의 각도를 가지고 일체로 연결된, 차단기가 인입 및 인출시에 상기 차단기를 가이드하는 역할이다. 상기 가이드부는 약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상기 두께는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과정에서 차단기의 휠이나 몸체가 부딪히는 경우에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을 정도이다.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는 상기 리프터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폭과 같은 길이이다. 이는, 상기 체결부처럼 차단기의 바퀴 등을 가이드 할 필요성보다는 상기 차단기의 바퀴가 어느정도 진입 후에 상기 가이드부에 의한 가이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스토퍼가 구비된 곳의 근처에 위치한, 상기 차단기의 하부에 구비된 차단기 고정을 위한 돌기와 결합하는, 사각형으로 개구된 홀드부(36)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기는 차단기 하부에 자체 구비된 것으로써, 돌기를 이동시키는 스위치를 움직이면 차단기 밖으로 돌출되거나 차단기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차단기를 이동하고 나서 상기 차단기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움직이면, 상기 돌기가 차단기 밖으로 나와 홀드부(36)에 인입된다. 상기 홀드부(36)는 상기 차단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레일부(32)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의 체결부와 가이드부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레일부는 차단기가 상기 리프터에 인입하거나 인출될 때, 차단기 자체에 구비된 휠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32)의 단부쪽은 경사가 있다. 이는,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시 상기 차단기의 휠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되기 위함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2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의 일측면(제 2 손잡이 반대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있다. 특히, 상기 체결부(28)의 돌출된 부분이 배전반에 차단기를 인입하는 쪽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 2 손잡이로 상기 리프터(20)의 위치를 배전반에 정확히 맞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공(26)은 상기 승강지지부재(24)에 복수개의 열을 이루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가이드플레이트(21) 또는 제 2가이드플레이트(22)를 상기 체결공(26) 중에서 하나의 열을 택하여 체결함으로써 양 플레이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1 손잡이(52)는 상기 리프터(20)의 짧은 변 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유압발판(50)은 제 1 손잡이(52)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손잡이(52)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유압발판(50)을 밟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리프터의 운행자가 제 1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유압발판(50)을 밟음으로,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올리고 내리는 등의 전체적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20)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지지부재(24)와 고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고정지지부재를 연결시키는 링크부재(38), 상기 링크부재(38)를 올리고 내리는 유압잭과, 이를 조절하는 유압발판(50)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부재(42)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캐스터(40), 상기 고정지지부재(42) 후면에서 수직 상부로 올라가는 제 1 손잡이(5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손잡이(52)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 이는 상기 승강지지부재(24)는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다면, 상기 승강지지부재의 상하 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레일부(32)와 스토퍼(34)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9)가 승강지지부재(24)에 체결될 때 사용되는 볼트(44)의 높이보다 더 높게 구비된다. 이는 상기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과정에서 상기 볼트(44)에 차단기가 걸리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9 : 가이드플레이트 20 : 리프터
21 : 제 1가이드플레이트 22 : 제 2가이드플레이트
24 : 승강지지부재 26 : 체결공
30 : 가이드부 32 : 레일부
34 : 스토퍼 36 : 홀드부
38 : 링크부재 38a : 힌지
40 : 캐스터 42 : 고정지지부재
44 : 볼트 50 : 유압발판
52 : 제 1 손잡이

Claims (10)

  1. 차단기를 지지하는 승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승강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정지지부재;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고정지지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 및 고정지지부재를 연결하는 링크부재;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 및
    상기 승강지지부재에 상기 차단기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단기의 인입 및 인출 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열을 이루어 배치되는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차단기 양측에 배치되는 제 1가이드플레이트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체결되는 열에 따라 제 1가이드플레이트와 제 2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거리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는
    상기 승강지지부재와 결합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차단기가 인입 및 인출시에 차단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와 체결부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차단기의 하부에 구비되는 휠을 가이드하는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 일측 단부쪽에 구비되고, 상기 휠을 멈추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차단기의 하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이동시 돌출되는 차단기 고정을 위한 돌기와 결합하여 상기 차단기를 지지하는 홀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되는 부분은 힌지연결되며,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타측과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링크부재가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와 힌지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승강지지부재 또는 고정지지부재의 단부에 가까운 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부재에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이동수단; 및
    상기 고정지지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 2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이동수단 또는 제 2이동수단은, 상기 차단기의 인출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고정지지부재 일측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유압발판;
    상기 유압발판과 연결되어, 상기 유압발판을 작동시키는 경우 유압이 높아지는 유압잭; 및
    상기 링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유압의 변화에 따라 상기 승강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KR2020130007655U 2013-09-11 2013-09-11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KR200485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55U KR200485946Y1 (ko) 2013-09-11 2013-09-11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55U KR200485946Y1 (ko) 2013-09-11 2013-09-11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94U true KR20150001194U (ko) 2015-03-19
KR200485946Y1 KR200485946Y1 (ko) 2018-03-16

Family

ID=5303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55U KR200485946Y1 (ko) 2013-09-11 2013-09-11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4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07U (ko) * 2019-08-12 2021-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CN114476286A (zh) * 2020-10-26 2022-05-13 力成科技股份有限公司 顶升组件
KR20230081310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신황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679U (ko) * 1993-12-29 1995-07-22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KR980008109U (ko) * 1996-07-27 1998-04-30 추호석 전동식 지게차의 배터리 인출장치
KR200407481Y1 (ko) * 2005-10-31 2006-01-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상 작업용 탑승형 테이블리프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8679U (ko) * 1993-12-29 1995-07-22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전동지게차의 밧데리 정비용 스텐드
KR980008109U (ko) * 1996-07-27 1998-04-30 추호석 전동식 지게차의 배터리 인출장치
KR200407481Y1 (ko) * 2005-10-31 2006-01-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고상 작업용 탑승형 테이블리프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07U (ko) * 2019-08-12 2021-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설치용 리프팅 장치
CN114476286A (zh) * 2020-10-26 2022-05-13 力成科技股份有限公司 顶升组件
KR20230081310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신황 원자력 발전소의 관통부 커버 인양 및 설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46Y1 (ko)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7123B1 (en) Safety interlock for circuit breaker housing assembly and extraction device
KR200485946Y1 (ko)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CN201774164U (zh) 一种断路器检修平台
CN203690761U (zh) 一种宽度、高度可调的真空断路器转运车
CN102377115B (zh) 一种断路器检修平台
US9362723B2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racking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KR101779670B1 (ko)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KR101016200B1 (ko) 고압차단기 인출용 레일 리프트
KR101593871B1 (ko) 금형 회전장치
US20080056867A1 (en) Computer server lift with slideable horizontal surface
CN207116958U (zh) 一种新型组合式开关柜
KR20130096571A (ko) 진공 차단기의 인입출 장치
EP1699725B1 (en) Car fall-prevention apparatus
US20040131452A1 (en) Vertical cellular power bridge roll-out service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203306560U (zh) 配电开关柜安装就位平台
CN214958152U (zh) 一种便携式移动交直流电源柜
CN113471866A (zh) 一种断路器小车检修平台
KR101035735B1 (ko)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CN212954226U (zh) 一种移动式升降工作台的锁定装置
CN211565701U (zh) 一种断路器搬运小车
CN111717252A (zh) 一种断路器的装卸小车
KR101193496B1 (ko) 테이블 폼 리프팅 장치
JP5490638B2 (ja) 遮断器用リフタの位置決めシステム
CN218525943U (zh) 一种方便搬运的控制柜
CN220484114U (zh) 盘库专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