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871B1 - 금형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871B1
KR101593871B1 KR1020150007808A KR20150007808A KR101593871B1 KR 101593871 B1 KR101593871 B1 KR 101593871B1 KR 1020150007808 A KR1020150007808 A KR 1020150007808A KR 20150007808 A KR20150007808 A KR 20150007808A KR 101593871 B1 KR101593871 B1 KR 101593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gnetic force
cylinder
ascen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Original Assignee
김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혁 filed Critical 김진혁
Priority to KR102015000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21D37/06Pivotally-arranged tools, e.g. disenga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부와;, 승,하강부와;, 금형회전부와;, 자력고정부;,로 금형회전장치를 구성하되, 베이스부는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면에 설치되는 캐스터와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면에 하나이상의 가이드로 구성하고, 승,하강부는 승,하강블럭과, 승,하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로 구성하며, 금형 회전부는 승,하강블록일측에 설치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승,하강블록의 또 다른 일측에 베이링으로 고정 설치하는 회전축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실린더는 끝단에 랙(rack)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피니언(Pinion)을 설치하여 랙 앤 피니언의 물림 구성되게 하고, 자력고정부는 상기 회전축 타측부로 자력으로 금형을 고정하는 자력장치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의 본 발명은 하금형으로부터 상금형을 용이하게 탈거시키면서 작업에 용이한 각도로 상금형을 회전시켜 캐비티홈의 용이한 상태 확인 및 그 청소와 보수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금형 회전장치{Mould rotating device}
본 발명은 금형의 유지보수관리를 신속, 편리하게 도모하면서 금형의 안전이 최대한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금형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형(Metallic mould)이라고 하는 것은 금속으로 제작된 거푸집을 말하는 것으로서, 각종 프레스 작업에 사용되는 프레스 금형과, 금속가공법의 일종으로서 단조 및 주조에 사용되는 단조 및 주조 금형과,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성형에 사용되는 사출 금형과, 다이캐스팅(Die-casting; 대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용융금속을 금형에 주입시키는 주조법)에 사용되는 금형과 같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금형은 통상 크기가 소형인 경우에도 수십 내지 수백 kg의 무게를 가지는 중량물이라 금형관리 작업시 많은 어려움이 대두됨은 물론 안전에 매우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금형은 장기간 사용시 금형 내부의 캐비티(cavity)홈이 훼손되거나 또는 그 캐비티홈으로 각종 이물질 등이 흡착되어 제품의 질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므로 통상 일정기간 또는 위 문제 발생시 금형의 유지보수 관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통상의 방법에 의한 금형 유지보수 관리는, 먼저 사출장치(금형장치)로부터 상,하한벌의 금형을 지게차로 탈거한 후 작업장 바닥에 안치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한 금형에 있어, 하금형으로부터 상금형을 지게차로 탈거하는 과정;, 상기 상,하 분리한 상금형과 하금형을 다시 지게차를 이용하여 샌딩장치로 이송 후 샌딩 작업 또는 훼손된 부분의 보수를 실시하는 관리작업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금형 유지보수과정은 하금형의 경우 유지보수의 관리가 필요한 캐비티홈이 상금형의 탈거로 인해 상부측에 노출되어 캐비티홈의 상태 확인이 매우 용이하면서 청소 및 보수작업이 편리한 이점이 있었다. 하지만, 상금형의 경우에는 하금형과 반대로 캐비티홈이 하부측에 위치하여 그 캐비티홈의 상태 확인 및 청소와 보수작업이 매우 난이하였던 문제가 있어왔다.
즉, 종래에 금형 유지보수작업시, 사출장치로부터 상,하한벌의 금형을 탈거하여 작업장 바닥에 안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작업장 바닥이 매우 지저분 하면서 각종 이물질과 공구 자재 등으로 인하여 금형의 훼손 우려가 있었고, 또 하금형으로부터 상금형을 탈거하여 상금형의 캐비티홈의 청소 및 보수작업시, 상금형을 호이스트케리인 또는 지게차로 일정높이 이상 상승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금형 하부에서 시선을 위로하여 상방향 작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어, 상금형의 캐이비홈 청소 및 보수작업의 어려움이 매우 컸음은 물론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었던 문제가 있었다.
또, 작업자가 상금형 하부위치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불안감이 있어, 상금형과의 충돌 및 이물질과 위험물의 낙하위험이 컸으며, 크게는 상금형의 고정 이탈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치명적인 우려가 있었던 실정이었다.
다시 말해 하금형은 사용조건상 하금형 상부측에 캐비티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금형의 탈거시 캐비티홈이 완전 노출되어 작업자가 하금형 상부에서 시선을 아래로 하여 그 캐비티홈의 상태 및 보수위치의 확인이 용이하고 또 보수 작업이 편리하였다. 하지만, 상금형의 경우 캐비티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있어 앞서 설명한 문제점이 많았고, 더욱이 하금형과 동일한 작업 조건을 만들기 위하여 상금형을 뒤집을 경우 대부분 지게차로 바닥에 위치한 상금형의 일측을 들어올려 뒤집는 방식을 이용함에 따라 금형에 많은 충격이 가해져 훼손 또는 파손을 야기하게 됨음 물론 심할 경우 금형을 폐기시켜야 하는 문제까지 일으킬 수 있었던 실정이었다.
참고로, 하금형과 상금형을 샌딩장치에 투입하여 유지보수(청소)작업할 경우 상부 분사방식의 샌딩장치가 하금형의 노출된 상부위치의 캐비티홈의 작업은 가능하였으나, 상금형의 하부위치의 캐비티홈 작업은 불가능하였던 단점이 있어, 종래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하거나 또는 상금형을 위 언급한 방법으로 뒤집어 샌딩장치에 투입 작업하여야 하였던 번거로움과 그에 따른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실정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180123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상금형의 캐비티홈 청소 및 그 훼손에 따른 보수 등의 유지관리작업이 필요 할 경우, 하금형으로부터 상금형을 용이하게 탈거시키면서 작업에 용이한 각도로 상금형을 회전시켜 캐비티홈의 용이한 상태 확인 및 그 청소와 보수가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모하여 줌에 그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발명되었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제시하는 본 발명의 금형 회전장치는 베이스부와;, 승,하강부와;, 금형회전부와;, 자력고정부;,로 구성하되,
베이스부는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캐스터와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이드로 구성하고,
승,하강부는 상기 가이드와 접속되어 승,하강 안내되는 승,하강블럭과, 상기 승,하강블럭 일측에 결합되어 승,하강블럭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로 구성하며,
금형 회전부는 상기 승,하강 블록일측에 설치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승,하강블록의 또 다른 일측에 베이링으로 고정 설치하는 회전축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실린더는 그 실린더로드 끝단에 랙(rack)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은 그 일측단에 피니언(Pinion)을 설치하여 랙 앤 피니언의 물림 구성되게 하고,
자력고정부는 상기 회전축 타측부로 자력으로 금형을 고정하는 자력장치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명의 수단을 제시하는 본 발명은 금형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금형 내부의 캐비티홈 청소 또는 그 훼손으로 인한 보수 등의 유지관리가 필요할 때, 상,하한벌의 금형 분리를 보다 신속/편리하게 도모하면서 그 분리 작업의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여 금형의 파손 우려를 방지하고, 특히 상금형을 그 유지관리에 용이한 각도로 회전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상금형의 캐비티홈 내부 상태를 보다 신속,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도와 주면서, 캐비티홈의 간단한 청소 및 보수 작업의 편의성과 작업의 안전성을 제공하고, 또 필요에 따라 실시하는 후공정인 생딩장치로의 이송을 보다 편리하게 도와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승,하강부와 금형회전부의 부분확대 분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력고정부 부분 확대 분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력고정부의 또 다른 실시상태도,
도 5,6은 본 발명을 이용한 금형의 승,강상태를 나타낸 작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력고정부를 이용한 금형 고정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력고정부의 일예인 자석블럭의 부분 단면확대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자력고정부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자력고정부에 의한 금형 회전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상태의 작용예시도.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을 뒷받침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과 그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단 아래 설명에 있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 에 대한 설명은 간략 또는 생략토록 하고 또 동일 명칭에 대하여 하나의 부호로 통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금형회전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첨부된 되면 도 1에서와 같이 베이스부(1)와;, 승,하강부(2)와;, 금형회전부(3)와;, 자력고정부(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1)는 베이스플레이트(11) 하부면에 다수개 설치되는 캐스터(12)와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이드(13)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플레이트는 일정넓이를 가지는 판형태이고, 케스트는 베이스플레이트 하부면 가장자리에 각각 설치되어 베이스플레이트의 바닥 이동을 도모한다.
또, 가이드는 베이스플레이트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면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적어도 하나이상 설치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승,하강부(2)는 베이스부(1)의 가이드(13)에 결합되는 승,하강블럭(21)과, 상기 승,하강블럭(21) 일측에 결합되어 승,하강블럭(21)을 가이드(13)를 따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22)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승,하강블록(21)은 도 2에서와 같이 그 내측의 관통공(21')으로 가이드(13)를 결합시켜 승,하강되게 한다.
또 승,하강실린더(22)는 그 상단의 실린더로드(22')를 승,하강블록(21) 전면에 설치하는 결합부재(a)와 연결하고, 승,하강실린더(22) 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부면에 연결구성하여 승,하강실린더(22)가 승,하강블록(21)을 가이드(13)를 따라 승,하강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a)는 승,하강블럭(21)에 연결되는 설치편(a1)과 일측 절곡되어 승,하강로드(22)와 연결되는 연결편(a2)으로 구성되게 한다.
단 상기 설명에 있어, 승,하강실린더는 필요에 따라서, 승,하강블록 하부면에 승,하강실린더의 실린더로드를 직접연결 또는 승,하강블록 후면에 결합부재를 설치하여 연결/사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승,하강블록의 방향(전면,후면,좌측면,우측면) 설명은 도1에 표기한 방향표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는 본 발명의 구성 배치에 이해를 돕고자 예시한 것이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금형회전부(3)는 상기 승,하강블록(21)의 또 다른 일측에 설치하는 회전실린더(31)와, 상기 승,하강블록(21)의 일측에 베이링(32)으로 고정설치하는 회전축(33)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실런더(31)의 실린더로드(31') 작동에 따라 회전축(33)의 회전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도 1의 방향표시를 기준으로 승,하강블록(21)의 좌측면에 결합부재(a)의 설치편(a1)을 설치한 다음 결합부재(a)의 상부 연결편(a2)으로 회전실린더(31)를 결합하여 회전실린더(31)의 실린더로드(31')가 하방향 작용되게 구성한다.(필요에 따라 승,하강블록으로 회전실린더를 직접 설치하여 무관하다.)
또 상기 회전축(33)은 승,하강블록(21)의 일측 즉, 도1의 방향표시를 기준으로 할 때, 승,하강블록(21) 전면으로 다수의 베어링(32)을 설치한 다음 그 베이링(32)중심에 축설시킨다.
참고로 베이링(32)은 앞서 설명한 승,하강실린더(22)의 결합부재(a)와 동일 위치에 구성됨에 따라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그 결합부재(a) 양측부로 베이링(32)을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실린더(31)의 실린더로드(31')와 회전축(33)은 그 일단에 각각 랙(r) 앤 피니언(p)을 구성하여 상호 물림 연결되게 구성한다.
이는 회전실린더의 실린더로드 일단에 일정길이의 랙을 설치하고, 회전축 일단으로는 상기 랙과 기어물림되는 피니언을 설치하여 회전실린더에 의한 랙의 승,하강 직선운동이 피니언을 통해 회전축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작용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자력고정부(4)는 상기 회전축(33) 타측부로 자력으로 금형(m)을 고정하는 자력장치(41)를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자력장치(41)는 전자석(4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력장치(41)는 회전축(33) 타측부로 전자석(42)을 설치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회전축(33) 타측부에 설치하는 지지판(43)과, 상기 지지판(43) 일측면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하는 자석블럭(44)과, 상기 자석블럭(44) 내부에 안치시키면서 상/하면 중 일면은 비자성체(45a)이고 일면은 자성체(45b)로 구성된 자석부재(45)와, 상기 지지판(43) 일측면에 설치하면서 자석블럭(44)의 일단에 위치시키는 자석실린더(46)로 구성하되,
상기 자석실린더(46)의 실린더로드(46') 일단에 랙(r)을 설치하고 자석블럭(44)의 자석부재(45) 일단에는 피니언(p)을 설치하여 상호 기어물림 되게 하면서 상기 자석실린더(46)에 의한 자석부재(45)의 회전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자석실린더(46)는 지지판(43) 일측면에 결합부재(a)를 이용한 설치 또는 직접설치함이 바람직하고 또 그 실런더로드(46')에 설치된 랙(r)은 지지판(43) 일측면에 레일(도면 부호 미표시)을 설치하여 안내 이송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구성을 살펴보았고 하기에서는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금형회전장치는 금형(m)내부의 상태확인 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캐비티홈(m3)의 청소 또는 훼손으로 인한 유지보수 등이 요구될 때, 하금형(m2)으로부터 상금형(m1)의 안전한 탈거 및 상금형(m1)을 작업에 용이한 각도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장치이다.
상세하게는 위 이유에 의한 금형(m)의 유지보수가 요구되면, 종래에는 통상 사출장치로부터 상,하한벌의 금형(m)을 이송장치(지게차 또는 호이스트크레인 등)로 탈거한 다음 작업장 바닥에서 하금형(m2)으로부터 상금형(m1)을 탈거시켜 그 내부 케비티홈(m3)의 청소 및 훼손에 대한 보수작업을 실시하였다.
하지만, 위 과정에서 본 발명의 금형회전장치를 이용할 경우 전기한 방법으로 사출장치에서 금형(m)을 탈거한 다음 그 탈거한 금형(m)을 본 발명의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안치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판 형태이므로 금형(m)의 안치고정이 용이하고 또 금형(m)을 지게차로 운반, 안치할 때 금형(m)을 견인하는 지게차의 견인대가 베이스플레이트(11)와 충돌하지 않고 금형(m)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에 견인대진입홈(14)을 형성하여 준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에 형성하는 견인대진입홈(14)은 지게차의 진입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형성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도 1과 같이 그 상부면에 금형(m)을 정위치 안내 하는 가이드핀(15)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돌출구성하여 베이스플레이트(11) 상으로 금형(m)이 안치될 때, 금형(m)이 상기 가이드핀(15)에 걸림/안내되면서 용이하게 정위치 될 수 있도록 도모한다.
참고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안치되는 금형의 정위치란, 자력고정부와 금형의 중심이 수직선상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자력고정부를 통한 상금형의 수직이동시 무게 밸런스와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상기 다수의 가이드핀으로 금형의 위치를 안내하고 또 금형의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 상기 가이드핀은 필요에 따라 판 형태이어도 무관하다.
또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는 그 상부면으로 여러개의 회전하는 돌출볼(16)을 구성하여 금형(m)의 정위치 설정이 작업자가 금형(m)을 밀거나 당기는 등의 미끌림 이동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돌출볼은 통상 볼 베이링을 말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 상부측으로 돌출볼을 일부 돌출구성하여 금형이 안치되게 하면서 그 회전으로 작업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쉽고 편리하게 무거운 금형을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과정을 통해 상,하한벌의 금형(m)이 베이스플레이트(11) 상에 정위치로 완료되었을 경우,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승,하강부(2)의 승,하강블럭(21)과 결합부재(a)로 연결된 승,하강실린더(22)를 작동시켜 상기 승,하강블럭(21)을 가이드(13)를 따라 하강작용시킨다.
이때, 상기 승,하강블럭(21)은 그 일측으로 회전축(33)이 설치되어 있고 또 회전축(33)은 그 일단에 자력고정부(4)가 연계 구성되어 있어, 승,하강블럭(21)의 하강과 동시에 회전축(33)과 자력고정부(4)가 동시 하강하게 된다.
또 승,하강실린더(22)를 이용한 승,하강블럭(21)의 하강작용은 회전축(33) 일단의 자력고정부(4)가 상금형(m1) 상부표면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하강작용시킨다.(승,하강실린더는 통상 유압장치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압장치에 대한 도면은 생략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에 의해 자력고정부(4)가 상금형(m1)과 접촉되면 자력고정부(4)의 여럿 구성에 따라 그 자력으로 상금형(m1)을 부착고정하게 되는데, 예로 자력고정부(4)가 전자석(42)일 경우, 전자석으로 전원을 인가하여 상금형(m1)을 부착고정하게 되고, 자력고정부(4)가 지지판(43)과, 자석블럭(44), 자석부재(45), 자석실린더(46) 등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자력고정부(4)가 상금형(m1) 상부면에 접촉되었을 때, 도 7에서와 같이 자석실린더(46)가 작동하여 실린더로드(46')의 랙(r)으로 자석블럭(44)의 자석부재(45)와 연결된 피니언(p)을 회전작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랙 앤 피니언의 작용에 따라 자석부재(45)가 소정의 각도 회전하면서 하부 비자성체(45a)와 상부의 자성체(45b) 위치가 상,하 위치변동되어 하부측으로 위치하게 되는 자성체(45b)의 자력이 상금형(m1)을 자석블럭(44)으로 부착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의 과정에 의해 자력고정부(4)에 상금형(m1)이 부착고정되면, 이번에는 승,하강실린더(22)가 재작동하여 승,하강블럭(21)과 회전축(33) 그리고 자력고정부(4) 및 그 자력고정부(4)에 부착고정된 상금형(m1)을 일정높이로 승강시킨다.
위 상금형(m1)의 승강 높이는 통상 하금형(m2)으로부터 상금형(m1)의 완전분리가 이루어지는 높이 및 상금형(m1)을 회전시킬 때, 하금형(m2)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승강시킴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의 과정에 의해 하금형(m2)으로부터 상금형(m1)이 소정의 높이로 분리 이송 완료되면, 승,하강블럭(21) 일측에 구성되어 있는 금형회전부(3)의 회전실린더(31)가 그 실린더로드(31')를 하강작용시켜 실린더로드(31') 일단의 랙(r)으로 회전축(33) 일단의 피니언(p)을 회전시키고, 동시에 상기 회전축(33)과 연계 구성된 자력고정부(4)가 상금형(m1)을 회전시켜 상금형(m1)의 하부와 상부위치를 변경한다.
상세하게는 상금형(m1)은 하부에 캐비티홈(m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작용을 통해 하부 캐비티홈(m3)을 상부로 회전위치시켜 작업자가 상금형(m1) 상부 위치에서 시선을 아래로하여 캐비티홈(m3)의 상태를 용이하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캐비티홈(m3)의 청소 또는 훼손에 따른 보수작업시 작업자가 상금형(m1) 상부 선상에서 하방향의 작업으로 작업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가질 수 있도록 도모한다.
한편, 상금형(m1)의 캐비티홈(m3) 청소 및 보수 또는 그 외 기타 작업이 요구되어 각종 보수기계 일예로, 캐비티홈(m3) 청소를 위한 샌딩기계로의 상금형(m1) 투입이 요구될 경우에는 샌딩기계에서 상금형(m1)의 캐비티홈(m3) 작업이 보다 신속 정확 및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앞선 방법으로 상금형(m1)을 상,하회전시켜 이송장치(지게차 또는 호이스트크레인 등)에 의한 투입을 유도한다.
이는 샌딩기계로의 상금형 투입작업시 종래에는 인력 또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금형을 작업장 바닥에서 뒤집어 하부 캐비티홈이 상부로 노출되게 한 다음 다시 이송장치로 상금형을 들어 샌딩기계에 투입하였던 과정을 가졌다.(샌딩작업시 금형의 캐비티홈이 상부노출이 이루어져야 함이 통상적임)
하지만, 본 발명은 위 설명에서도 알 수 있듯히 상금형을 소정의 높이로 승강시킨 상태에서 바로 상,하위치를 회전변경시켜 지게차에 의한 샌딩기계로의 편리한 이송 투입을 도모하고, 특히 상금형의 회전을 작업장 바닥이 아닌 일정높이의 승강상태에서 실시함에 따라 종래 대두되었던 상금형의 훼손과 이물질 흡착 등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상금형의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위 다수 과정을 역순으로 실시하여 상금형이 하금형으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결합시킨다.
종래에는 하금형으로 상금형의 결합시 작업자가 육안으로 그 결합위치를 확인하면서 결합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금형과 상금형이 상시 정위치에서 상호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그 안전성과 정확성이 매우 뛰어나다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자력고정부(4)의 지지판(43) 중심선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위치설정돌부(43')를 구성하여 상금형(m1)을 본 발명의 자력고정부(4)에서 이탈시켜 보수기계에 투입 작업한 다음 다시 본 발명의 자력고정부(4)에 재 위치시켰을 때,
상금형(m1)이 자력고정부(4)의 지지판(43) 상에 초기 배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배치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하게는 상금형(m1)은 통상 일측면(캐비티홈이 형성된 반대 면)으로 상금형(m1)의 중심을 나타내는 일정한 중심홈(m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중심홈(m1')에 대응되는 위치설정돌부(43')를 자력고정부(4)의 지지판(43) 중심선상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형성하여 상금형(m1)이 위 이유에 의해 지지판(43)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위치설정돌부(43')로 상금형(m1)의 중심홈(m1')을 일치시켜 차후 하금형(m2)으로 상금형(m1) 재 결합이 정위치에서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1과 같이 회전축(33)의 양측부로 승,하강부(2)(2')를 각각 대칭 구성한 다음 일측 승,하강부(2)의 승,하강블럭(21)에 금형회전부(3)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3) 중심부에는 자력고정부(4)를 구성하여 하금형(m2)으로부터 상금형(m1)을 승,하강 및 회전시킬 때, 작업안전성과 정확성이 보다 극대화 되도록 하였다.
즉, 베이스부의 베이스플레이트 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양측 승,하강부를 배치구성한 다음 각각의 승,하강부에 마련된 승,하강블록으로 회전축을 연결구성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중심부에는 자력장치를 가지는 자력고정부를 구성한다. 또 상기 양측 승,하강부 중 일측 승,하강부의 승,하강블럭에는 금형회전부를 구성한다.(위 예시한 승,하강부와 자력고정부 및 베이스부는 앞선 설명한 구성과 동일구성이고 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대칭구성하는 것으로, 상세구성과 작용은 이 동일하여 상세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이상 설명의 실시 예는 회전축 중심부의 자력고정부로 무거운 금형을 부착고정하여 승,하강 및 회전 작용시킬 때, 상기 회전축 양측단의 승,하강부가 회전축 양측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지지하여 주면서 양측 승,하강부의 승,하강실린더가 무거운 금형을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 : 베이스부 11 : 베이스플레이트
12 : 캐스터 13 : 가이드
14 : 견인대진입홈 15 : 가이드핀
16 : 돌출볼 2,2' : 승,하강부
21 : 승,하강블럭 21' : 관통공
22 : 승,하강실린더 22' : 실린더로드
3 : 금형회전부 31 : 회전실린더
31' : 실린더로드 32 : 베이렁
33 : 회전축 4 : 자력고정부
41 : 자력장치 42 : 전자석
43 : 지지판 44 : 자석블럭
45 : 자석부재 45a : 비자성체
45b : 자성체 46 : 자석실린더
46' : 실린더로드 a : 결합부재
a1 : 설치편 a2 : 연결편
r : 랙 p : 피니언
m : 금형 m1 : 상금형
m1' : 중심홈 m2 : 하금형
m3 : 캐비티홈

Claims (8)

  1. 베이스부(1)와;, 승,하강부(2)와;, 금형회전부(3)와;, 자력고정부(4);,로 금형회전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부(1)는 베이스플레이트(11) 하부면에 다수개 설치하는 캐스터(12)와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이드(13)로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부(2)는 상기 가이드(13)와 접속되어 승,하강 안내되는 승,하강블럭(21)과, 상기 승,하강블럭(21) 일측에 결합되어 승,하강블럭(21)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22)로 구성하며,
    상기 금형회전부(3)는 상기 승,하강블록(21) 일측에 설치하는 회전실린더(31)와, 상기 승,하강블록(21)의 또 다른 일측에 베이링(32)으로 고정 설치하는 회전축(33)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실린더(31)는 그 실린더로드(31') 끝단에 랙(r:rack)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3)은 그 일측단에 피니언(p:Pinion)을 설치하여 랙 앤 피니언의 물림 구성을 하고,
    상기 자력고정부(4)는 상기 회전축(33) 타측부로 자력으로 금형(m)을 고정하는 자력장치(41)를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자력장치(41)는 전자석(4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2. 베이스부(1)와;, 상기 베이스부(1)상부면 양측에 대칭 구성하는 승,하강부(2)(2')와;, 일측 승,하강부(2)에 구성하는 금형회전부(3)와;, 상기 금형회전부(3)의 회전축(33) 중심부에 구성하는 자력고정부(4)로 금형회전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베이스부(1)는 베이스플레이트(11) 하부면에 다수개 설치하는 캐스터(12)와,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 양측에 각각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일정 높이를 가지는 양측 가이드(13)로 구성하고,
    상기 승,하강부(2)(2')는 상기 양측 가이드(13)와 각각 접속되어 승,하강 안내되는 승,하강블럭(21)과, 상기 승,하강블럭(21) 일측에 결합되어 승,하강블럭(21)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실린더(22)로 구성하며,
    상기 금형회전부(3)는 양측 승,하강부(2)(2')의 승,하강블럭(21) 일측에 베이링(32)으로 연결설치하는 하나의 회전축(33)과 양측 승,하강부(2)(2') 중 일측 승,하강부(2)의 승,하강블록(21) 일측에 설치하는 회전실린더(31)로 구성하되, 상기 회전실린더(31)는 그 실린더로드(31') 끝단에 랙(r:rack)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축(33) 일측단에는 피니언(p:Pinion)을 설치하여 랙 앤 피니언의 물림 구성을 하고,
    상기 자력고정부(4)는 상기 회전축(33) 중심부로 자력으로 금형(m)을 고정하는 자력장치(41)를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자력장치(41)는 전자석(42)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자력장치(41)는 회전축(33) 설치하는 지지판(43)과, 상기 지지판(43) 일측면으로 적어도 두개 이상 설치하는 자석블럭(44)과, 상기 자석블럭(44) 내부에 안치시키면서 상/하면 중 일면은 비자성체(45a)이고 일면은 자성체(45b)로 구성된 자석부재(45)와, 상기 지지판(43) 일측면에 설치하면서 자석블럭(44)의 일단에 위치시키는 자석실린더(46)로 구성하되,
    상기 자석실린더(46)의 실린더로드(46') 일단에 랙(r)을 설치하고 자석블럭(44)의 자석부재(45) 일단에는 피니언(p)을 설치하여 상호 기어물림 되게 하면서 상기 자석실린더(46)에 의한 자석부재(45)의 회전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표면으로 금형(m)을 견인하는 지게차의 견인대가 충돌을 회피할 수 있도록 여러개의 견인대진입홈(1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에 여러개의 가이드핀(15)을 일정 간격을 두고 여러개 돌출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 상부면으로 여러개의 돌출볼(16)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자력고정부(4)의 지지판(43) 중심선상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위치설정돌부(4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회전장치.
KR1020150007808A 2015-01-16 2015-01-16 금형 회전장치 KR101593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08A KR101593871B1 (ko) 2015-01-16 2015-01-16 금형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808A KR101593871B1 (ko) 2015-01-16 2015-01-16 금형 회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871B1 true KR101593871B1 (ko) 2016-02-16

Family

ID=5544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808A KR101593871B1 (ko) 2015-01-16 2015-01-16 금형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87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28B1 (ko) * 2016-09-29 2017-09-12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KR102154636B1 (ko) * 2020-03-24 2020-09-10 주식회사 종금 이동식 금형 회전장치
CN114082834A (zh) * 2021-10-15 2022-02-25 范静 一种热轧制铝合金冲孔加工结构
IT202100030869A1 (it) * 2021-12-07 2023-06-07 Diesse Presse S R L Pressa di tranciatura e metodo di pulizia di un semistampo
CN116116983B (zh) * 2023-04-04 2023-06-20 无锡德申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阀体外壳冲切模具
CN116765197A (zh) * 2023-05-04 2023-09-19 东莞海雅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冲压模具及其冲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97A (ja) * 1993-09-08 1995-03-28 Kawasaki Heavy Ind Ltd 金型反転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金型
JPH10137889A (ja) * 1996-11-08 1998-05-26 Kawasaki Steel Corp 管端アップセッタ金型交換装置
KR0180123B1 (ko) 1996-05-06 1999-02-18 박병재 금형의 전도장치
KR20090055781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선화정밀 금형을 프레스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이플레이트
KR20110042643A (ko) * 2009-10-19 2011-04-27 권병수 트리밍 프레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697A (ja) * 1993-09-08 1995-03-28 Kawasaki Heavy Ind Ltd 金型反転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金型
KR0180123B1 (ko) 1996-05-06 1999-02-18 박병재 금형의 전도장치
JPH10137889A (ja) * 1996-11-08 1998-05-26 Kawasaki Steel Corp 管端アップセッタ金型交換装置
KR20090055781A (ko) * 2007-11-29 2009-06-03 주식회사 선화정밀 금형을 프레스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다이플레이트
KR20110042643A (ko) * 2009-10-19 2011-04-27 권병수 트리밍 프레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7728B1 (ko) * 2016-09-29 2017-09-12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WO2018062678A1 (ko) * 2016-09-29 2018-04-05 주식회사 유비콘스 곡물 과자 제조장치
CN109788775A (zh) * 2016-09-29 2019-05-21 株式会社有飞 谷物饼干制造装置
KR102154636B1 (ko) * 2020-03-24 2020-09-10 주식회사 종금 이동식 금형 회전장치
CN114082834A (zh) * 2021-10-15 2022-02-25 范静 一种热轧制铝合金冲孔加工结构
IT202100030869A1 (it) * 2021-12-07 2023-06-07 Diesse Presse S R L Pressa di tranciatura e metodo di pulizia di un semistampo
EP4194122A1 (en) * 2021-12-07 2023-06-14 Diesse Presse S.r.l. Blanking press and method of cleaning a half-mould
CN116116983B (zh) * 2023-04-04 2023-06-20 无锡德申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阀体外壳冲切模具
CN116765197A (zh) * 2023-05-04 2023-09-19 东莞海雅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冲压模具及其冲压方法
CN116765197B (zh) * 2023-05-04 2023-12-22 东莞海雅特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底盘冲压模具及其冲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871B1 (ko) 금형 회전장치
KR102147049B1 (ko) 프레스 성형기용 금형 교체장치
CN103481235B (zh) 一种卧式绕制的线圈装卸机构
US20180180118A1 (en) Trolley for supporting a heavy vehicle brake assembly
RU2716630C2 (ru) Проходческая маши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сегментов обделки тоннеля относительно друг друга, применяемое в проходческой машине,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JP3416251B2 (ja) 多段圧延機のロール組替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ロール組替装置並びに多段圧延機
KR20110002104U (ko) 금속 판재의 곡면 성형장치
CN210701804U (zh) 一种板材折弯机
KR20150001194U (ko)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US2878559A (en) Mounting and demounting press
KR101035735B1 (ko)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JP6991556B2 (ja) 金型分離方法および金型分離装置
KR101349038B1 (ko) 그린 타이어 성형기의 성형드럼 교체장치
KR101410142B1 (ko) 압출성형용 압축노즐 자동교체장치
JP4176036B2 (ja) 下部槽又は浸漬管の芯合わせ装置
CN111112589A (zh) 一种铸造轧辊底箱脱模设备
KR20160068038A (ko) 벤더 세그먼트 승강장치
EP0865848B1 (en) Pattern plate drawing device
JP6395945B2 (ja) エレベータのそらせ車交換方法及びそらせ車交換治具
JP2020082777A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CN214611303U (zh) 一种可移动搬运装置
KR200482712Y1 (ko) 다단펌프의 운반 및 분해조립용 이송대차
CN203726411U (zh) 一种卧式绕制的线圈装卸机构
CN212350132U (zh) 一种换模装置
CN211661065U (zh) 一种铸造轧辊底箱脱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