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670B1 -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670B1
KR101779670B1 KR1020150149880A KR20150149880A KR101779670B1 KR 101779670 B1 KR101779670 B1 KR 101779670B1 KR 1020150149880 A KR1020150149880 A KR 1020150149880A KR 20150149880 A KR20150149880 A KR 20150149880A KR 101779670 B1 KR101779670 B1 KR 10177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asket
pair
circuit break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9034A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6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9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8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vertical withdraw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로어 바디와, 로어 바디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바스켓과; 바스켓을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사이에 위치되게 바스켓에 장착되는 제 1 레일 및 제 1 레일과 이격되게 바스켓에 장착되고 바스켓에 차단기가 안착될 때 상기 제 1 레일과 함께 차단기를 안내하는 제 2 레일을 포함하고, 바스켓은 제1 레일과 제 2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가 이격된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하나의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단기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고, 차단기의 크기별로 각각 별도의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가 구비되는 경우 보다 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Lifter for circuit breaker of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배전반의 차단기를 승강시킬 수 있는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를 승강시키는 바스켓을 갖는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수전과 배전 계통에서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개폐기, 차단기, 보호계전기, 변압기 등의 기기를 철재 외함에 수납하여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설비이다.
차단기는 전기회로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계이다
차단기는 전력 수요처에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설비 점검시 감전을 예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부하측의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차단기는 전력계통에 고장 발생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사고가 확산되지 않게 막는 전력계통보호장치이다.
차단기는 유지보수시 배전반으로부터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차단기는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에 올려진 상태에서 배전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배전반 내부에서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로 옮겨지게 인출될 수 있다.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는 배전반의 크기 및 유형에 따라 그 크기 및 종류가 상이한 다양의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가 필요할 수 있고, 작업자는 작업시마다 다양한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양한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구비를 위한 비용이 증대되고 다양의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크기가 상이한 다양한 차단기들을 하나의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를 사용할 수 있고, 공용화가 가능한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을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는 제 1 레일과, 상기 제 1 레일과 이격되게 상기 바스켓에 장착된 제 2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레일과 제 2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제 2 레일 체결부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로어 바디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각각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되는 경사 레일부와, 상기 경사 레일부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높이가 일정한 수평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각각은 상기 수평 레일부 후단에 상기 수평 레일부 보다 높이가 높은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에는 한 쌍의 리어 브래킷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리어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구르는 제 1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리어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르는 제 2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차단기를 걸기 위한 와이어 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와이어 기구가 관통되는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 사이에 걸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 기구를 걸어두기 위한 와이어 걸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단기를 각각 승강시킬 수 있고, 차단기의 크기별로 각각 별도의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가 구비되는 경우 보다 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유지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레일과 제 2 레일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간단한 작업으로 크기가 상이한 차단기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바스켓으로의 차단기 인입 및 바스켓에서의 차단기 인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의 과삽입을 예방할 수 있어, 차단기의 과삽입으로 인한 바스켓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가 바스켓에 좌우 중 일측으로 편심되게 올려졌을 때에도 바스켓이 차단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차단기를 안정감 있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를 이용하여 종류가 상이한 차단기를 승강시킬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바스켓이 차단기 안착을 위해 대기할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에 바스켓에 차단기가 안착 완료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스켓이 차단기와 함께 상측으로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차단기가 도 2과 반대측으로 편심되게 안착될 경우에바스켓이 차단기 안착을 위해 대기할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바스켓이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바스켓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롤러가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차단기와 종류가 상이한 차단기가 매달려질 때의 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바스켓이 차단기 안착을 위해 대기할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에 바스켓에 차단기가 안착 완료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2에 도시된 바스켓이 차단기와 함께 상측으로 상승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차단기가 도 2과 반대측으로 편심되게 안착될 경우에 바스켓이 차단기 안착을 위해 대기할 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바스켓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의 바스켓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롤러가 도시된 단면도,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는 베이스(1)와, 베이스(1)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과; 바스켓(4)과; 바스켓(4)을 수직 프레임(2)(3)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7)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는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및 바스켓(4)에 올려지는 기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스켓(4)에 올려지는 기기는 배전반에 설치될 수 있는 기기로서, 차단기(CB)와 변압기 트럭(미도시) 등일 수 있다.
베이스(1)는 이격된 한 쌍의 프레임(11)(12)과, 한 쌍의 프레임(11)(1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프레임(11)(12)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는 좌측 프레임(11)의 후방부와 우측 프레임(12)의 후방부을 잇는 리어 플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3)은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일 수 있다.
베이스(1)에는 이동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의 전방부에는 프론트 롤러(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롤러(14)는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이동을 도울 수 있다. 프론트 롤러(14)는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의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서로 이격되게 베이스(1)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베이스(1)에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프레임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그 각각의 상부에 결합되는 어퍼 연결 프레임(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그 각각의 중앙부에 결합되는 미들 연결 프레임(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과 어퍼 연결 프레임(21)과 미들 연결 프레임(22)은 베이스(1)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프레임 어셈블리는 바스켓(4)의 하중을 받으면서 바스켓(4)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그 각각의 하단이 리어 프레임(13)에 올려질 수 있고, 리어 프레임(13)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의 각각에는 리어 롤러가 장착되기 위한 롤러 브래킷이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 리어 롤러(2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제 1 롤러 브래킷(24)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다른 하나에는 제 2 리어 롤러(25)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제 2 롤러 브래킷(26)이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각각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롤러(66)(67)가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는 롤러 승강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서로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둘 중 어느 하나(2)는 다른 하나(3)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어느 하나(2)는 롤러 승강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롤러 승강공간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다른 하나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은 둘 중 다른 하나(3)는 어느 하나(2)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다른 하나(3)는 롤러 승강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롤러 승강공간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어느 하나(2)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바스켓(4)은 로어 바디(41)와, 로어 바디(41)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41)는 바스켓(4)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바디(41)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41)는 바스켓(4)의 하판을 구성할 수 있고, 바스켓(4)이 운반하고자 하는 기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41)에 올려진 상태에서 승강되는 것이 가능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41)에 매달린 상태로 승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는 둘 중 어느 하나(42)가 로어 바디(41)의 좌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둘 중 다른 하나(43)가 로어 바디(41)의 우측에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는 로어 바디(41)의 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는 바스켓(4)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는 로어 바디(41)에 올려진 기기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바스켓(4)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는 후술하는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을 보호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바스켓(4)는 로어 바디(41)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된 리어 바디(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44)는 바스켓(4) 후방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리어 바디(44)는 로어 바디(41)의 후단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44)는 로어 바디(41)의 후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4)에는 승강기구(7)가 연결될 수 있다. 리어 바디(44)에는 승강기구(7)의 일부 구성이 연결될 수 있고, 승강기구(7)의 구동시 바스켓(4)은 승강기구(7)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바스켓(4)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고, 바스켓(4)에 올려지는 각종 기기는 바스켓(4)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바스켓(4)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고, 바스켓(4)에 올려진 각종 기기는 바스켓(4)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바스켓(4)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 사이에 위치되게 바스켓(4)에 장착되는 제 1 레일(5)과, 제 1 레일(5)과 이격되게 바스켓(4)에 장착되고 바스켓(4)에 차단기(CB)가 안착될 때 제 1 레일(5)과 함께 차단기(CB)를 안내하는 제 2 레일(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레일(6)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 중 어느 하나(42)와 제 1 레일(5) 사이에 위치되게 바스켓(4)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는 적어도 하나가 장착 위치 가변되게 바스켓(4)에 장착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는 둘 중 하나의 위치가 고정인 고정 레일이고, 둘 중 다른 하나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위치 가변 레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는 그 각각이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위치 가변 레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은 그 각각이 위치 가변 레일로 구성될 경우, 보다 다양한 크기의 차단기(CB)가 바스켓(4)에 올려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바스켓(4)에는 제1 레일(5)과 제 2 레일(6)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45)(46)(47)(48)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45)(46)(47)(48)는 제 1 레일(5)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제 1 레일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45)(46)(47)(48)는 제 2 레일(6)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제 2 레일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45)(46)(47)(48)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44)(45)(46)(47) 각각은 복수개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레일 체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체결공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가 이격된 방향(LR)과 직교한 방향(FR) 즉, 전후 방향으로 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에는 레일 체결부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레일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고,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은 레일 체결공과 레일 체결부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 로어 바디(41)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의 각각에 3개의 레일 체결공이 형성될 경우, 각 레일 체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체결공은 3개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CB)는 바스켓(4)에 전후 방향으로 진입/인출될 수 있고,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45)(46)(47)(48)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각 레일 체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체결공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로어 바디(41)에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 중 좌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디(42)에 가장 가까운 좌측 체결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바디(41)에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 중 우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디(43)에 가장 가까운 우측 체결부(48)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41)에는 좌측 체결부(45)와 우측 체결부(48)의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체결부(46)(47)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41)에는 좌측 체결부(45)와 우측 체결부(48) 중 좌측 체결부(45)에 더 근접한 중앙 좌측 체결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41)에는 좌측 체결부(45)와 우측 체결부(48) 중 우측 체결부(48)에 더 근접한 중앙 우측 체결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로어 바디(41)에 좌측 체결부(45), 우측 체결부(48), 중앙 좌측 체결부(46) 및 중앙 우측 체결부(47)가 모두 형성된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레일(5)이 좌측 체결부(45)에 장착될 수 있고, 제 2 레일(6)이 중앙 우측 체결부(47)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좌측 체결부(45)에 장착된 제 1 레일(5)와 중앙 우측 체결부(47)에 장착된 제 2 레일(6)의 사이는 차단기(CB)가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기(CB)는 바스켓(4)에 좌측으로 편심되게 올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1 레일(5)이 중앙 좌측 체결부(46)에 장착될 수 있고, 제 2 레일(6)이 우측 체결부(48)에 장착될 수 있으며, 중앙 좌측 체결부(46)와 장착된 제 1 레일(5)과 우측 체결부(48)에 장착된 제 2 레일(6)의 사이는 차단기(CB)가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단기(CB)는 바스켓(4)에 우측으로 편심되게 올려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1 레일(5)이 좌측 체결부(45)에 장착될 수 있고, 제 2 레일(6)이 우측 체결부(48)에 장착될 수 있으며, 좌측 체결부(45)에 장착된 제 1 레일(5)과 우측 체결부(48)에 장착된 제 2 레일(6)의 사이는 차단기(CB)가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의 사이에는 차단기(CB)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올려지는 경우보다 큰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차단기(CB)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올려지는 경우 보다 크기가 큰 차단기가 바스켓(4)에 올려질 수 있다.
즉,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의 장착 위치에 따라, 차단기(CB)가 바스켓(4)에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게 장착된 차단기(CB) 보다 크기가 큰 차단기도 바스켓(4)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배전반은 그 종류에 따라 좌측 도어 개방형 배전반으로 구성되거나 우측 도어 개방형 배전반으로 구성될 수 있고, 차단기(CB)는 좌측으로 편심되게 바스켓(4)에 올려지거나 우측으로 편심되게 바스켓(4)에 올려지는 것에 의해 배전반의 도어 개방 방향에 방해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설치,분리될 수 있다.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차단기(CB) 대신에 변압기 트럭(미도시)이 바스켓(4)에 올려질 수 있다. 변압기 트럭은 변압기(미도시)가 올려지는 일종의 캐리어로서, 변압기와 함께 배전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변압기 트럭에는 휠이 장착될 수 있고, 변압기 트럭은 밀고 당기는 동작으로 간편하게 이동될 수 있다. 변압기 트럭은 배전반에 장착되는 차단기(CB) 보다 클 수 있다.
작업자는 바스켓(4)에서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이 바스켓(4)에서 분리할 수 있고, 작업자는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이 분리된 바스켓(4)으로 변압기 트럭을 올릴 수 있다. 즉,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는 차단기(CB)의 승강시에만 이용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변압기 트럭의 승강시에도 이용될 수 있고, 그 활용도가 증대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 바디(41)의 상측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61)는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 1 레일(5)에 형성된 연장부(61)은 그 선단이 바스켓(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레일(5)에 형성된 연장부(61)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2)(3) 중 좌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디(42)의 전방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레일(6)에 형성된 연장부(61)은 그 선단이 바스켓(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레일(6)에 형성된 연장부(61)은 한 쌍의 사이드 바디(42)(43) 중 우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바디(43)의 전방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레일(5)에 형성된 연장부(61)와 제 2 레일(6)에 형성된 연장부(61)는 차단기(CB)가 바스켓(4)에 올려지기 이전에 차단기(CB)의 하단을 안내할 수 있고, 작업자는 차단기(CB)를 바스켓(4)에 용이하기 안착시킬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의 각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되는 경사 레일부(62)와, 경사 레일부(62)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높이가 일정한 수평 레일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일(5)과 제 2 레일(6)의 각각은 수평 레일부(63) 후단에 수평 레일부(63) 보다 높이가 높은 스토퍼(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사 레일부(62)는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방향으로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 레일부(62)는 그 경사 구조에 의해 차단기(CB)가 전방에서 진입될 때 차단기(CB)이 하단이 경사 레일부(62)를 타고 쉽게 올려지게 도울 수 있고, 경사 레일부(62)를 타고 진입된 차단기(CB)는 수평 레일부(63)를 따라 후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반대로, 수평 레일부(63)에 올려진 차단기(CB)는 바스켓(4)의 전방 방향으로 인출될 때, 경사 레일부(62)를 타고 내려올 수 있고, 차단기(CB)는 바스켓(4)에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바스켓(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리어 브래킷(49)(50)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 브래킷(49)(50)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구르는 제 1 롤러(66)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리어 브래킷(49)(50) 중 다른 하나에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르는 제 2 롤러(67)가 설치될 수 있다.
제 1 롤러(66)와 제 2 롤러(67)는 바스켓(4)의 승강시 수직 프레임(2)(3)을 따라 구르면서 바스켓(4)이 수평면을 유지하게 도울 수 있다.
제 1 롤러(66)와 제 2 롤러(67)는 리어 브래킷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될 수 있고, 제 1 롤러(66)와 제 2 롤러(67)는 수직 프레임(2)(3)을 따라 상하로 구르면서 바스켓(4)이 좌우 중 어느 일측으로 쳐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승강기구(7)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로드(71)을 갖는 유압 액츄에이터(72)와, 승강 로드(71)의 상단에 연결된 수평 봉(73)과, 일단이 바스켓(4)에 연결되고 타단이 미들 플레임(22)에 연결된 연결부재(74)를 포함한다.
유압 액츄에이터(72)는 작업자가 조작하는 조작레버(75)을 갖는 수동식 유압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유압 액츄에이터(72)는 베이스(1)의 리어 프레임(13)에 설치될 수 있다. 조작레버(75)는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게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유압 액츄에이터(72)의 조작레버(75)을 발로 밟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으며, 유압 액츄에이터(72)는 승강 로드(71)를 유압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다. 수평 봉(73)은 승강 로드(71)를 따라 상승된다.
연결부재(74)는 일부가 수평 봉(73)과 맞물리면서 수평 봉(73)을 따라 돌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74)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평 봉(73)에는 이러한 체인의 일부가 감기는 스프로킷이 설치될 수 있다. 수평 봉(73)의 회전시 연결부재(74)는 스프로킷을 따라 돌면서 그 일단과 타단의 상대적 높이가 바뀔 수 있다.
승강 로드(71) 및 수평보(73)의 상승시, 수평 봉(73)에 감긴 연결부재(74)는 수평 봉(73)에 맞물려 바스켓(4)에 연결된 일단이 상승되고, 연결부재(74)는 바스켓(4)을 상측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차단기와 종류가 상이한 차단기가 매달려질 때의 도이다.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스켓(4)에 올려지는 차단기(CB)와 상이한 차단기(CB')를 걸기 위한 와이어 기구(W)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기구(W)에 의해 매달려지는 차단기(CB')는 바스켓(4)에 올려지는 차단기(CB)와 그 종류가 상이한 차단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4)에 올려지는 차단기(CB)가 진공 차단기(VCB ; Vacuum Circuit Breaker)일 경우, 와이어 기구(W)에 의해 매달려지는 차단기(CB')는 진공 차단기와 상이한 종류인 공기 차단기(ACB : Air Circuit Breaker)일 수 있다.
진공 차단기(VCB)는 진공도가 높은 상태에서 절연내역이 높아지고 아아크(Arc)가 분산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소호하는 차단기로서, 보통 특고압(22.9kv) 배전을 하는 대부분 배전반에서 사용되는 차단기이다.
반면에, 공기 차단기(ACB)는 공기 중에서 회로를 차단할 때 접촉자가 떨어지면서 소호되는 차단기로서, 저압배전반(교류600V 이하)에서 널리 사용되는 차단기이다.
즉, 본 실시예의 배전반 차단기용 리프터는 고압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와, 저압 배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를 설치하는데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스켓(4)에는 와이어 기구(W)가 관통되는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51)(52)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51)(52)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2)(3)가 이격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와이어 기구(W)는 일부가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51)(52) 사이에 걸어질 수 있다. 와이어 기구(W)는 일부가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51)(52)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 기구 관통공(51)(52)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차단기(CB')가 걸어질 수 있다.
와이어 기구(W)에 의해 매달려지는 차단기(CB')는 그 상단 및 하단이 바스켓(4)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인양될 수 있다.
와이어 기구(W)는 와이어(101)와, 한 쌍의 새클(101)(103)와, 한 쌍의 인양걸이(102)(104)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기구(W)는 바스켓(4)에 걸어지는 와이어(101)와, 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된 제 1 새클(101)와, 제 1 새클(101)에 연결된 제 1 인양걸이(102)와,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된 제 2 새클(103)와, 제 2 새클(103)에 연결된 제 2 인양걸이(105)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기구(W)는 불사용시,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어느 하나에 걸어져서 보관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한 쌍의 수직 프레임(2)(3) 중 어느 하나에는 와이어 기구(W)를 걸어두기 위한 와이어 걸이부(31)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기구(W)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사용시 와이어 걸이부(31)에 걸려져 보관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 바스켓(4)에 걸어져서 차단기(CB')를 인양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베이스 2,3: 수직 프레임
4: 바스켓 5: 제 1 레일
6: 제 2 레일 7: 승강기구
41: 로어 바디 42,42: 사이드 바디
45,46,47,48: 레일 체결부 49,50: 리어 브래킷
51,52: 와이어 기구 관통공 66: 제 1 롤러
67: 제 2 롤러

Claims (9)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한 쌍의 수직 프레임과;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바스켓과;
    상기 바스켓을 상기 수직 프레임을 따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바디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는 제 1 레일;
    상기 제 1 레일과 이격되게 상기 바스켓에 장착되는 제 2 레일;
    차단기를 걸기 위한 와이어 기구; 및
    상기 와이어 기구가 관통되도록 상기 바스켓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기구는,
    수평 와이어;
    상기 수평 와이어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와이어;
    상기 제1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1 인양 걸이;
    상기 수평 와이어의 타측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와이어; 및
    상기 제2 와이어에 연결되는 제2 인양 걸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와이어는 상기 바스켓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을 경유하여 상기 바스켓 하부에 위치된 상기 차단기에 걸려지며,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1 레일과 제 2 레일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레일 체결부가 형성된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체결부 각각은 복수개의 체결공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레일 체결부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체결공은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로어 바디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각각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승되는 경사 레일부와, 상기 경사 레일부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높이가 일정한 수평 레일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각각은 상기 수평 레일부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 레일부 보다 높이가 높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에는 한 쌍의 리어 브래킷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리어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구르는 제 1 롤러가 설치된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리어 브래킷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다른 하나를 따라 구르는 제 2 롤러가 설치된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와이어 기구를 걸어두기 위한 와이어 걸이부가 형성된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KR1020150149880A 2015-10-28 2015-10-28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KR10177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80A KR101779670B1 (ko) 2015-10-28 2015-10-28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880A KR101779670B1 (ko) 2015-10-28 2015-10-28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34A KR20170049034A (ko) 2017-05-10
KR101779670B1 true KR101779670B1 (ko) 2017-09-18

Family

ID=5874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880A KR101779670B1 (ko) 2015-10-28 2015-10-28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12B1 (ko) 2018-10-10 2019-05-21 주식회사 인덕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4685A (zh) * 2017-11-27 2018-03-16 湖南长高成套电器有限公司 一种断路器底盘车装配系统
CN108033400A (zh) * 2017-12-29 2018-05-15 湖北世纪森源电气集团有限公司 高压成套开关设备的手车转运架及多功能手车转运车
CN109368550A (zh) * 2018-10-18 2019-02-22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中压断路器的运输小车
EP3922593A4 (en) * 2019-02-07 2022-03-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IFT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96Y1 (ko) * 2001-12-05 2002-03-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 인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096Y1 (ko) * 2001-12-05 2002-03-1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침지형 분리막 인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12B1 (ko) 2018-10-10 2019-05-21 주식회사 인덕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9034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670B1 (ko)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RU2554726C2 (ru) Компенс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ника
CN204497630U (zh) 一种用于断路器和瓷瓶的高兼容性翻转车
US6041949A (en) Overhead lifter for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CN201737548U (zh) 一种无机房电梯的轿厢锁定装置
KR200485946Y1 (ko)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CN218786479U (zh) 一种新型35kV变电站断路器吊装装置
KR101090186B1 (ko) 중량물 교체용 인양기구를 구비한 배전반
KR102217065B1 (ko) 배전반의 전력기기 인양 장치
WO2016009046A1 (en) Sub-module removal method
CN211592558U (zh) 一种接触网检修作业车及其辅助装置
KR200482929Y1 (ko) 차단기용 리프터
JP6345820B1 (ja) バッファ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およびバッファクリアランス調整方法
CN220358021U (zh) 一种便于安装调节的户外高压断路器
KR101838735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환경개선형 내진 수배전반
KR101035735B1 (ko) 차단기 운반용 리프트
CN211295949U (zh) 升降式服务车
KR20150000772U (ko)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CN215326574U (zh) 吊装组件
CN217281822U (zh) 一种中置柜高压开关检修作业平台
CN113036666B (zh) 一种用于电缆安装的辅助设备
CN210669252U (zh) 一种带高度可调节底盘的开关柜
CN217996714U (zh) 一种二级调节的托物插齿机构及具有其的转运车
CN213059862U (zh) 一种龙门式吊运托架
JP2005035320A (ja) 運搬装置及び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