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512B1 -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512B1
KR101947512B1 KR1020180120231A KR20180120231A KR101947512B1 KR 101947512 B1 KR101947512 B1 KR 101947512B1 KR 1020180120231 A KR1020180120231 A KR 1020180120231A KR 20180120231 A KR20180120231 A KR 20180120231A KR 101947512 B1 KR101947512 B1 KR 101947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ltc
support
guide rail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학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덕
Priority to KR1020180120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5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66D3/22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with variable-speed gearings between driving motor and drum or bar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는 인양 작업시 상기 OLTC의 일정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OLTC를 상기 변압기의 내부에서 위로 올리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내리는 윈치부와; 마찰을 최소화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와 결합하여 상기 윈치부를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탈착이 가능한 롤러장치부와; 상기 롤러장치부가 탈착되고, 상기 롤러장치부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 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와;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가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자립되고 높이 조절이 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장치부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가 상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하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윈치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리부와; 상기 롤러부가 임의로 마운팅플레이트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롤러장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에서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부잠금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르면 건물 외부나 건물 내부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변압기의 높이에 따라 대응이 편리하고, 조립과 분해가 쉬워 변압기에서 상기 OLTC 내의 절환개폐기나 상기 OLTC 전체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Movable Assembly Type Lifting Apparatus for On Load Tap Changer}
본 발명은 부하시 탭 전환장치를 인양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On Load Tap Changer)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 내부에 있는 OLTC(On Load Tap Changer)의 정밀점검을 위해 상기 OLTC 내의 절환개폐기(Diverter Switch)나 상기 OLTC 전체를 인양하거나, 정밀점검 후 상기 변압기 내부로 인입시키며, 롤러장치부와 가이드레일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동과 해체 조립이 가능한 인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 1차측의 전압이 변하던지 혹은 부하의 크기나 역율이 변하면 그에 따라서 2차측의 전압도 변동된다.
1차측의 전원전압이나 부하변동에 관계 없이 원하는 2차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권선비를 바꾸는 게 가장 좋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변압기에서 원하는 2차 전압을 얻기 위한 전압조정장치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On Load Tap Changer 와 Un(No) Load Tap Changer 이다.
Un Load Tap Changer (ULTC 혹은 NLTC) : 무전압 탭 체인저-No Load 라고도 하고 Un Load 라고도 하며 무부하시 1차측 탭전압을 조정하여 2차측 전압을 얻는 조정장치이다. 쉽게 말해서 전류가 흐르지 못하게 변압기를 주통전 선로에서 분리하여 , 무전압상태에서 탭을 바꿔 전압을 얻는 방법이며, 1000KVA이하 소용량 유입변압기, 건식변압기에 적용된다.
과거에는 계통전압이 불안하여 154KV급 변압기에도 일부 No Load Tap Changer가 사용되었으나 , 최근에는 대부분의 변압기에는 부하시 탭 절환기를 많이 사용한다
On Load Tap Changer(OLTC)는 부하시 탭 절환기라고 하며, 부하시 탭을 조정하여 2차측 전압을 조정하는 장치이다. 즉 전류가 흐르는 상태(활선상태)에서 탭을 바꿔 변압기 1차 권선 변압비를 조정하여 2차측 전압을 얻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154KV 이상 변전소에서 설치 운영하는 주변압기에서는 대부분 채택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이고, 전기, 전력소모가 큰 여름이나 겨울 (에어컨, 난방)에는 무정전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많이 쓰이고, OLTC는 상판, 전환개폐기, 탭 선택기, 자동전압조정기, 구동장치, 보호기기, 여과기, 컨서베이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하시 탭 절환기(On-Load Tap Changer)는 탭절환 70,000회 정도 또는 6~7년마다 1회 정도 점검을 해 주어야 하고, 통상 점검 주기에 상관없이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때 154KV급 이상 변전소에서 설치 운영하는 주변압기의 정밀점검과 병행하여 점검한다.
이때, 상기 OLTC의 점검 및 수리 사항으로는 부하시 탭 절환기에 장착된 부품의 교체 여부를 확인하여 교체가 필요한 부품은 교체하고 부하시 탭 절환기에 붙어있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청소를 하여 다시 삽입하는 과정이다.
한편, 외함 내에 적재된 OLTC를 꺼내기 위해서는 인양기가 달린 차량을 호출하여 외함 내의 OLTC를 인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식은 외함 내에 OLTC를 넣고 뺄 때마다 인양기가 달린 차량을 호출하여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외함이 딸린 변압기가 실내 공간에 있을 때 차량 진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OLTC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은 154KV급 이상 변전소에서 설치 운영하는 주변압기의 정밀점검과 병행하는 작업으로 상기 OLTC의 "전체 교체 작업"과 "OLTC 정밀점검"으로 나눌 수 있다.
OLTC 전체가 인양되는 경우는 불량으로 교체 작업이 필요할 때 즉 'OLTC 교체작업' 시에만 전체교체를 한다.
'OLTC 정밀점검' 작업시 진행되는 인양작업은 OLTC 전체가 아닌 OLTC내 부품인 절환개폐기(DIVERTER SW.)만 인양된다.
'OLTC정밀점검' 작업시에 변압기 본체 상단에 있는 OLTC 상판을 개방해서 유격실내에 있는 절환개폐기(DIVERTER SW)만 인양하여 점검하고 유격실 및 탭선택기는 변압기 본체의 내부로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한다.
'OLTC 정밀점검' 작업이 전체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OLTC 정밀점검' 작업에 필요한 인양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65622로 게시된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는 건물 내부에 있는 변압기의 OLTC 인양에는 내부 진입이 어렵고 절환개폐기(DIVERTER SW)만 인양하기에는 너무 큰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165622 (등록일자 : 2012년 07월 09일)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 2. 한국등록실룡신안 제 20-0474265 (등록일자 : 2014년 08월 27일) 이동신 맨홀커버 인양장치 3. 한국등록실룡신안 제 20-0265441 (등록일자 : 2002년 02월 07일) 휴대용 맨홀 뚜껑 개폐장치 4.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779670 (등록일자 : 2017년 09월 12일)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외부나 건물 내부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변압기의 높이에 따라 대응이 편리하게 이동식 지지대부를 구비하고, 지지대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와 가이드레일부를 타고 움직이는 롤러장치부와 롤러장치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윈치부를 포함하며 조립과 분해가 쉽은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는 변압기 내부에 있는 OLTC(On Load Tap Changer)의 정밀점검을 위해 상기 OLTC 내의 절환개폐기(Diverter Switch)나 상기 OLTC 전체를 인양하거나, 정밀점검 후 상기 변압기 내부로 인입시키며, 이동과 해체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인양장치는 인양 작업시 상기 OLTC의 일정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절환개폐기 또는 OLTC 전체를 상기 변압기의 내부에서 위로 올리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내리는 윈치부와; 마찰을 최소화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와 결합하여 상기 윈치부를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탈착이 가능한 롤러장치부와; 상기 롤러장치부가 탈착되고, 상기 롤러장치부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 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와;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와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가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자립되고 높이 조절이 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장치부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롤러부와; 상기 롤러부가 상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마운팅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하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윈치부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리부와; 상기 롤러부가 임의로 마운팅플레이트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롤러장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에서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부잠금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부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전단부에 1열로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전단고정롤러로 구성된 전단고정롤러부와;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후단부에 1열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장치부가 상기 가이드레일부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후단회전롤러로 구성된 후단회전롤러부로 구성된다.
상기 전단고정롤러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며 전단롤러회전축을 포함하는 전단롤러와; 상기 전단롤러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전단지지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단지지브래킷은 상기 전단롤러회전축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롤러회전축을 지지하는 수직전단지지브래킷과; 상기 수직전단지지브래킷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단고정롤러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시키는 수평전단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후단회전롤러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며 후단롤러회전축을 포함하는 후단롤러와; 상기 후단롤러회전축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와 결합되는 후단지지브래킷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단지지브래킷은 상기 후단롤러회전축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롤러회전축을 지지하는 수직후단지지브래킷과; 일측은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회전롤러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롤러장치부를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는 상기 윈치부의 고리를 끼울 수 있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카라비너(Carabiner) 타입이다.
상기 롤러부잠금장치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상기 후단회전롤러부가 설치되는 쪽의 말단에 용접 결합되고 단면이 ㄴ 형상이고 일정 살두께를 가지며 설치 후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와 4각홈을 형성시키고 잠금앵글과; 상기 4각홈에 끼워져 상기 후단회전롤러부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된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고정힌지편과;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수평고정힌지편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힌지편과; 상기 수평고정힌지편과 회전힌지편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고정힌지편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힌지편의 일단이 양단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힌지편의 일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가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이 끼워는 회전힌지편 힌지핀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윈치부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기어감속장치와, 상부에 상기 롤러장치부의 고리부에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윈치본체와; 상기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OLTC의 일정 부분에 결합되며 2개소의 후크가 있는 후크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는 이물질이 변압기유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섬유 와이어이다.
상기 가이드레일부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져 상기 롤러장치부가 전후 양단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레일 역할을 하는 수평레일부와; 상기 수평레일부의 중앙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직레일부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레일부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장치부가 좌측 또는 우측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레일부의 양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대결합홀이 있는 지지대결합구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는 일단이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고 자립할 수 있는 제1지지대본체와; 상기 제1지지대본체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필요 높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인 제1삽입폴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본체는 상기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얹혀지며 4각 형상이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게 1열로 설치되는 2개의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와; 각각의 상기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에서 서로 결합된 제1연결지지대와; 상기 제1연결지지대의 중앙에서 수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폴이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타입의 제1중앙지지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중앙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폴의 삽입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폴에는 같은 높이 형성된 2개의 제1높이조절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높이조절홀에는 상기 제1삽입폴이 삽입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핀이 삽입된다.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립할 수 있는 제2지지대본체와; 상기 제2지지대본체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필요 높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인 제2삽입폴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본체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면에 얹혀지며 4각 형상이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게 1열로 설치되는 2개의 제24각베이스플레이트와; 각각의 상기 제24각베이스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에서 서로 결합된 제2지지대부와; 상기 제2지지대부의 중앙에서 수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폴이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타입의 제2중앙지지대로 구성된다.
상기 제2중앙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삽입폴의 삽입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결합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폴에는 같은 높이 형성된 2개의 제2높이조절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높이조절홀에는 상기 제2삽입폴이 삽입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2고정핀이 삽입된다.
상술한 인양장치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르면 건물 외부나 건물 내부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변압기의 높이에 따라 대응이 편리하고, 조립과 분해가 쉬워 변압기에서 상기 OLTC 내의 절환개폐기나 상기 OLTC 전체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가 사용되는 특고압 변압기와 변압기 내부의 OLTC 외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가 인양하는 OLTC 전체 및 절환개폐기 사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전체 설치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롤러장치부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에 따른 전단고정롤러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에 따른 후단고정롤러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의 후단고정롤러에 따른 힌지장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에 따른 후단고정롤러의 회전 및 가이드레일부에 롤러장치부를 설치하는 방법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가이드레일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가이드레일부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윈치부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지지부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지지부에 따른 제1지지대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지지부에 따른 제2지지대 개략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가 사용되는 특고압 변압기와 변압기 내부의 OLTC 외형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가 인양하는 OLTC 전체 및 절환개폐기 사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전체 설치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롤러장치부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에 따른 전단고정롤러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에 따른 후단고정롤러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의 후단고정롤러에 따른 힌지장치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롤러장치부에 따른 후단고정롤러의 회전 및 가이드레일부에 롤러장치부를 설치하는 방법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가이드레일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가이드레일부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윈치부 개략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른 지지부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지지부에 따른 제1지지대 개략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의 지지부에 따른 제2지지대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인양장치(A)는 154kVA를 포함한 특고압 변압기 내부에 있는 OLTC(On Load Tap Changer)(B1)의 정밀점검을 위해 상기 OLTC 내의 절환개폐기(Diverter Switch)나 상기 OLTC 전체를 인양하거나, 정밀점검 후 상기 변압기 내부로 인입시키며, 이동과 해체 조립이 가능한 장치이다.
도 1은 상기 OLTC(On Load Tap Changer)(B1)이 내부에 설치된 특고압 변압기의 사시도이고, 상기 특고압 변압기의 외함 내부에 상기 OLTC와 권선이 있고 오일로 채워져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OLTC(On Load Tap Changer)(B1)는 절환개폐기(B11)와와 상기 절환개폐기(B11)가 내부에 설치되는 유격실(B13)와과 상기 유격실(B13)의 하부에 설치되는 탭선택기(B14)와 상기 유격실(B13)의 상부를 덥는 상판(B12)으로 구성된다.
상기 OLTC(B1)의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은 상기 OLTC(B1)의 "전체 교체 작업"과 "OLTC 정밀점검"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OLTC(B1) 전체가 인양되는 경우는 불량으로 교체 작업이 필요할 때 즉 'OLTC 교체작업' 시에만 전체교체를 한다.
'OLTC 정밀점검' 작업시 진행되는 인양작업은 상기 OLTC(B1) 전체가 아닌 OLTC내 부품인 절환개폐기(DIVERTER SW.)(B11)만 인양된다.
'OLTC정밀점검' 작업시에 변압기 본체 상단에 있는 OLTC 상판을 개방해서 유격실내에 있는 절환개폐기(DIVERTER SW)(B11)만 인양하여 점검하고 상기 유격실(B13) 및 탭선택기(B14)는 변압기 본체의 내부로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한다.
'OLTC 정밀점검' 작업이 전체 교체 및 유지보수 작업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OLTC 정밀점검' 작업에 필요한 본 발명의 인양장치(A)가 필요하게 되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인양장치(A)는 변압기(B) 내부에 있는 OLTC(On Load Tap Changer)(B1)의 정밀점검을 위해 상기 OLTC(B1) 내의 절환개폐기(Diverter Switch)(B11)나 상기 OLTC(B1) 전체를 인양하거나, 정밀점검 후 상기 변압기(B) 내부로 인입시키며, 이동과 해체 조립이 가능하다.
상기 인양장치(A)는 인양 작업시 상기 OLTC(B1)의 일정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절환개폐기(B11) 또는 OLTC(B1) 전체를 상기 변압기(B)의 내부에서 위로 올리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내리는 윈치부(1)와; 마찰을 최소화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1)와 결합하여 상기 윈치부(1)를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탈착이 가능한 롤러장치부(2)와; 상기 롤러장치부(2)가 탈착되고, 상기 롤러장치부(2)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 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3)와;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41)와 상기 변압기(B)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42)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3)가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자립되고 높이 조절이 되는 지지부(4)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르면 건물 외부나 건물 내부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변압기(B)의 높이에 따라 대응이 편리하고, 조립과 분해가 쉬워 상기 변압기(B)에서 상기 OLTC(B1) 내의 절환개폐기(B11)나 상기 OLTC(B1) 전체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롤러장치부(2)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1)와 결합하여 상기 윈치부(1)를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이드레이부(3)에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어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롤러장치부(2)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롤러부(21)와; 상기 롤러부(21)가 상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마운팅플레이트(2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하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1)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리부(23)와; 상기 롤러부(21)가 임의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가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서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부잠금장치(24)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장치부(2)는 별도의 모터나 기관에 의한 운행장치가 포함되지 않고, 단거리를 좌우로 주행하므로 손으로 밀어 원하는 방향과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길이 방향 내에서 좌우로 이동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이탈방지턱(311)에 의해 상기 지지부(4)의 외부로는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롤러부(21)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전단부에 1열로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전단고정롤러(211a)로 구성된 전단고정롤러부(211)와;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후단부에 1열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장치부(2)가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후단회전롤러(212a)로 구성된 후단회전롤러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고리부(23)는 상기 윈치부(1)의 결합구(131)를 끼울 수 있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카라비너(Carabiner) 타입이다.
상기 롤러부잠금장치(24)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상기 후단회전롤러부(212)가 설치되는 쪽의 말단에 용접 결합되고 단면이 ㄴ 형상이고 일정 살두께를 가지며 설치 후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단부와 4각홈(2411)을 형성시키는 잠금앵글(241)과; 상기 4각홈(2411)에 끼워져 상기 후단회전롤러부(212)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4각바(2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잠금장치(24)는 또 다른 실시예는 고리 타입으로 걸림쇠와 걸쇠로 구성되어 상기 걸림쇠는 수직후단지지브래킷에 형성되고 상기 걸쇠는 마운팅플레이트 또는 수평후단지지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쇠에 상기 걸쇠가 걸려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가 회전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전단고정롤러(211a)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전단부에 1열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전단고정롤러(211a)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을 포함하는 전단롤러(2111)와;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와 결합되는 전단지지브래킷(2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지지브래킷(2112)은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을 지지하는 수직전단지지브래킷(21121)과; 상기 수직전단지지브래킷(21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단고정롤러(211a)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에 결합시키는 수평전단지지플레이트(21122)로 구성된다.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은 상기 전단롤러(2111)에 설치된 축베어링(21112)에 끼워지므로 최소한의 마찰로서 상기 전단고정롤러(211a)이 회전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후단고정롤러(212a)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적은 힘으로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후단부에 1열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장치부(2)가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는 회전할 수 있어 마찰이 적게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을 포함하는 후단롤러(2121)와;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와 결합되는 후단지지브래킷(2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후단지지브래킷(2122)은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을 지지하는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과; 일측은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를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힌지장치(21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은 상기 후단롤러(2121)에 설치된 축베어링(21212)에 끼워지므로 최소한의 마찰로서 상기 후단고정롤러(212a)가 회전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힌지장치(21222)는 일측은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를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힌지장치(21222)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고정힌지편(212221)과;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수평고정힌지편(212221)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힌지편(212222)과; 상기 수평고정힌지편(212221)과 회전힌지편(212222)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핀(212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고정힌지편(212221)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핀(212223)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힌지편(212222)의 일단이 양단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21222211)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힌지편(212222)의 일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21222211)가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212223)이 끼워는 회전힌지편 힌지핀결합구(2122221)가 형성된다.
도 8은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의 회전과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의 회전을 방지하는 방법과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상기 롤러장치부(2)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롤러장치부(2)를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설치하는 방법은 상기 후단롤러(2121)를 외측으로 회전시킨 후 상기 전단롤러(2111)을 먼저 수평레일부(31)에 끼우고 후단롤러(2121)를 수직으로 회전시키고 끼움4각바(242)를 잠금앵글(241)의 4각홈(2411)에 끼워넣어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서 상기 롤러장치부(2)가 탈락되지 않게 한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부(3)는 상기 롤러장치부(2)가 탈착되고, 상기 롤러장치부(2)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 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3)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져 상기 롤러장치부(2)가 전후 양단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레일 역할을 하는 수평레일부(31)와; 상기 수평레일부(31)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직레일부(32)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레일부(31)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장치부(2)가 좌측 또는 우측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레일부(32)의 양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에 각각 결합되는 지지대결합홀(3211)이 있는 지지대결합구(321)가 각각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윈치부(1)는 인양 작업시 상기 OLTC(B1)의 일정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OLTC를 상기 변압기의 내부에서 위로 올리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내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윈치부(1)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기어감속장치와, 상부에 상기 롤러장치부(2)의 고리부(23)에 결합되는 결합고리(113)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윈치본체(11)와; 상기 드럼(112)에 감기는 와이어(12)와; 상기 와이어(12)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OLTC(B1)의 일정 부분에 결합되며 2개소의 결합구(131)가 있는 결합바(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12)는 도체를 포함한 이물질이 변압기유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섬유 와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치부(1)는 리모컨으로 조작할 수도 있고, 컨트롤선으로 연결된 컨트롤러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지지대부(4)는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41)와 상기 변압기(B)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42)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3)가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자립되고 높이 조절이 된다.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는 볼트 또는 핀으로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지지대결합구(321)의 지지대결합홀(3211)에 결합되며, 상기 볼트 또는 핀이 임의로 빠지지 않게 상기 볼트는 너트로 체결하고, 상기 핀에는 핀구멍이 형성되어 안전핀을 꽂아둘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제1지지대(41)는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대(41)는 일단이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고 자립할 수 있는 제1지지대본체(411)와; 상기 제1지지대본체(411)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필요 높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인 제1삽입폴(4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대본체(411)는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얹혀지며 4각 형상이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게 1열로 설치되는 2개의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4111)와; 각각의 상기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4111)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에서 서로 결합된 제1연결지지대(4112)와; 상기 제1연결지지대(4112)의 중앙에서 수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폴(412)이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타입의 제1중앙지지대(4113)로 구성된다.
상기 제1중앙지지대(4113)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폴(412)의 삽입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결합구(41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결합구(41131)는 자체가 상기 제1삽입폴(412)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상기 제1삽입폴(412)이 하부로 내려가지 않게 하고, 또한 상기 제1중앙지지대(4113)의 내부면과 상기 제1삽입폴(412)의 외부면이 맞닿는 마찰력으로 상기 제1삽입폴(412)이 하부로 내려가지 않게 한다.
상기 제1삽입폴(412)에는 같은 높이 형성된 2개의 제1높이조절홀(412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폴(41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의 결합을 위한 제1수직레일부결합구(41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높이조절홀(4121)에는 상기 제1삽입폴이 삽입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핀(41211)이 삽입된다.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제2지지대(42)는 상기 변압기(B)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대(42)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립할 수 있는 제2지지대본체(421)와; 상기 제2지지대본체(421)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필요 높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인 제2삽입폴(422)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지지대본체(421)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면에 얹혀지며 4각 형상이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게 1열로 설치되는 2개의 제2사각베이스플레이트(4211)와; 각각의 상기 제2사각베이스플레이트(4211)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에서 서로 결합된 제2연결지지대(4212)와; 상기 제2연결지지대(4212)의 중앙에서 수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폴(422)이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타입의 제2중앙지지대(4213)로 구성된다.
상기 제2중앙지지대((4213)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삽입폴(422)의 삽입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결합구(42131)가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결합구(42131)는 자체가 상기 제2삽입폴(422)과의 마찰력을 극대화하여 상기 제2삽입폴(422)이 하부로 내려가지 않게 하고, 또한 상기 제2중앙지지대(4213)의 내부면과 상기 제2삽입폴(422)의 외부면이 맞닿는 마찰력으로 상기 제2삽입폴(422)이 하부로 내려가지 않게 한다.
상기 제2삽입폴(422)에는 같은 높이 형성된 2개의 제2높이조절홀(422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폴(42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의 결합을 위한 제2수직레일부결합구(422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높이조절홀(4221)에는 상기 제2삽입폴이 삽입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2고정핀(42211)이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에 따르면 건물 외부나 건물 내부에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변압기(B)의 높이에 따라 대응이 편리하고, 조립과 분해가 쉬워 상기 변압기(B)에서 상기 OLTC(B1)를 용이하게 인양할 수 있다.
A : 인양장치 B : 변압기
B1 : OLTC B11 : 절환개폐기
B111 : 인양고리 B12 : 상판
B13 : 유격실 B14 : 탭선택기
1 : 윈치부
11 : 윈치본체 111 : 모터 및 기어감속장치
112 : 드럼 113 : 결합고리
12 : 와이어 13 : 결합바
131 : 결합구 2 : 롤러장치부
21 : 롤러부 211 : 전단고정롤러부
211a : 전단고정롤러 2111 : 전단롤러
21111 : 전단롤러회전축 21112 : 축베어링
2112 : 전단지지브래킷 21121 : 수직전단지지브래킷
21122 : 수평전단지지플레이트 212 : 후단회전롤러부
212a : 후단회전롤러 2121 : 후단롤러
21211 : 후단롤러회전축 21212 : 축베어링
2122 : 후단지지브래킷 21221 : 수직후단지지브래킷
21222 : 힌지장치 212221 : 수평고정힌지편
2122211 :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
2122212 : 마운팅플레이트결합홀
212222 : 회전힌지편 2122221 : 회전힌지편 힌지핀결합구
2122222 : 수직전단지지브래킷결합홀
212223 : 힌지핀 22 : 마운팅플레이트
23 : 고리부 24 : 롤러부잠금장치
241 : 잠금앵글 2411 : 4각홈
242 : 끼움4각바 3 : 가이드레일부
31 : 수평레일부 311 : 이탈방지턱
32 : 수직레일부 321 : 지지대결합구
3211 : 지지대결합홀 4 : 지지부
41 : 제1지지대 411 : 제1지지대본체
4111 :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 4112 : 제1연결지지대
4113 : 제1중앙지지대 41131 : 제1고정결합구
412 : 제1삽입폴 4121 : 제1높이조절홀
41211 : 제1고정핀 4122 : 제1수직레일부결합구
42 : 제2지지대 421 : 제2지지대본체
4211 : 제2사각베이스플레이트 4212 : 제2연결지지대
4213 : 제2중앙지지대 42131 : 제2고정결합구
422 : 제2삽입폴 4221 : 제2높이조절홀
42211 : 제2고정핀 4222 : 제2수직레일부결합구

Claims (8)

  1. 변압기(B) 내부에 있는 OLTC(On Load Tap Changer)(B1)의 정밀점검을 위해 상기 OLTC 내의 절환개폐기(Diverter Switch)(B11)나 상기 OLTC(B1) 전체를 인양하거나, 정밀점검 후 상기 변압기(B) 내부로 인입시키는 이동과 해체 조립이 가능한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A)에 있어서,
    상기 인양장치(A)는 인양 작업시 상기 OLTC(B1)의 일정 부분과 결합하여 상기 절환개폐기(B11) 또는 OLTC(B1) 전체를 상기 변압기의 내부에서 위로 올리거나 외부에서 내부로 내리는 윈치부(1)와;
    마찰을 최소화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1)와 결합하여 상기 윈치부(1)를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고, 탈착이 가능한 롤러장치부(2)와;
    상기 롤러장치부(2)가 탈착되고, 상기 롤러장치부(2)가 이탈되지 않고 일정 구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레일부(3)와;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는 제1지지대(41)와 상기 변압기(B)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지지대(42)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부(3)가 일정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자립되고 높이 조절이 되는 지지부(4)로;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부(3)는 일정 폭과 길이를 가져 상기 롤러장치부(2)가 전후 양단에 끼워져 결합되어 좌우로 이동되는 레일 역할을 하는 수평레일부(31)와;
    상기 수평레일부(31)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으로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의 상단에 결합되는 수직레일부(3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레일부(31)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장치부(2)가 좌측 또는 우측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레일부(32)의 양단에는 상기 제1지지대(41)와 제2지지대(42)에 결합되는 지지대결합홀(3211)이 있는 지지대결합구(32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부(2)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롤러부(21)와;
    상기 롤러부(21)가 상면의 일정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마운팅플레이트(22)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하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인양 작업시 상기 윈치부(1)의 일단이 결합되는 고리부(23)와;
    상기 롤러부(21)가 임의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 내측에서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가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서 결합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롤러부잠금장치(24)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부(21)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전단부에 1열로 고정 설치되는 2개의 전단고정롤러(211a)로 구성된 전단고정롤러부(211)와;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후단부에 1열로 설치되고, 상기 롤러장치부(2)가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결합될 수 있게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 가능한 2개의 후단회전롤러(212a)로 구성된 후단회전롤러부(21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부(1)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며 브레이크를 포함하는 모터와, 모터의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기어감속장치와, 상부에 상기 롤러장치부(2)의 고리부(23)에 결합되는 결합고리(113)가 형성된 프레임을 포함하는 윈치본체(11)와;
    상기 드럼에 감기는 와이어(12)와;
    상기 와이어(12)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OLTC(B1)의 일정 부분에 결합되며 2개소의 결합구(131)가 있는 결합바(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12)는 도체를 포함한 이물질이 변압기유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섬유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41)는 일단이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고 자립할 수 있는 제1지지대본체(411)와;
    상기 제1지지대본체(411)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필요 높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인 제1삽입폴(412)로 구성되며,
    상기 제1지지대본체(411)는 지면이나 건물 내부의 바닥에 얹혀지며 4각 형상이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게 1열로 설치되는 2개의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4111)와;
    각각의 상기 제1사각베이스플레이트(4111)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에서 서로 결합된 제1연결지지대(4112)와;
    상기 제1연결지지대(4112)의 중앙에서 수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폴(412)이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타입의 제1중앙지지대(4113)로 구성되며,
    상기 제1중앙지지대(4113)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1삽입폴(412)의 삽입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1고정결합구(41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폴(412)에는 같은 높이 형성된 2개의 제1높이조절홀(412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폴(41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의 결합을 위한 제1수직레일부결합구(41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높이조절홀(4121)에는 상기 제1삽입폴이 삽입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1고정핀(41211)이 삽입되며,
    상기 제2지지대(42)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에 설치되고 자립할 수 있는 제2지지대본체(421)와;
    상기 제2지지대본체(421)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필요 높이에 고정될 수 있으며 파이프 형상인 제2삽입폴(422)로 구성되며,
    상기 제2지지대본체(421)는 상기 변압기의 상부면에 얹혀지며 4각 형상이고 서로 일정 거리가 떨어지게 1열로 설치되는 2개의 제2사각베이스플레이트(4211)와;
    각각의 상기 제2사각베이스플레이트(4211)에 수직으로 일정 높이에서 서로 결합된 제2연결지지대(4212)와;
    상기 제2연결지지대(4212)의 중앙에서 수직 일정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폴(422)이 유격없이 삽입될 수 있게 내부가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타입의 제2중앙지지대(4213)로 구성되며,
    상기 제2중앙지지대(4213)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삽입폴(422)의 삽입 높이를 고정시키는 제2고정결합구(421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폴(422)에는 같은 높이 형성된 2개의 제2높이조절홀(4221)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제2삽입폴(422)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와의 결합을 위한 제2수직레일부결합구(4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높이조절홀(4221)에는 상기 제2삽입폴이 삽입높이를 고정하기 위해 제2고정핀(42211)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23)는 상기 윈치부(1)의 결합구(131)를 끼울 수 있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카라비너(Carabiner) 타입이며,
    상기 롤러부잠금장치(24)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상기 후단회전롤러부(212)가 설치되는 쪽의 말단에 용접 결합되고 단면이 ㄴ 형상이고 일정 살두께를 가지며 설치 후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단부와 4각홈(2411)을 형성시키는 잠금앵글(241)과;
    상기 4각홈(2411)에 끼워져 상기 후단회전롤러부(212)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끼움4각바(2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고정롤러(211a)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을 포함하는 전단롤러(2111)와;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와 결합되는 전단지지브래킷(2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단지지브래킷(2112)은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롤러회전축(21111)을 지지하는 수직전단지지브래킷(21121)과;
    상기 수직전단지지브래킷(2112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전단고정롤러(211a)를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에 결합시키는 수평전단지지플레이트(21122)로 구성되며,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는 상기 가이드레일부(3)의 상면 위에서 회전하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을 포함하는 후단롤러(2121)와;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을 지지하며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와 결합되는 후단지지브래킷(2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후단지지브래킷(2122)은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후단롤러회전축(21211)을 지지하는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과;
    일측은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의 하단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에 결합되며, 상기 후단회전롤러(212a)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상기 롤러장치부(2)를 상기 가이드레일부(3)에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힌지장치(21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21222)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22)가 고정 결합되는 수평고정힌지편(212221)과;
    상기 수직후단지지브래킷(21221)에 고정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수평고정힌지편(212221)과 힌지 결합되는 회전힌지편(212222)과;
    상기 수평고정힌지편(212221)과 회전힌지편(212222)을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핀(2122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평고정힌지편(212221)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핀(212223)이 끼워지고 상기 회전힌지편(212222)의 일단이 양단 외측으로 결합되는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21222211)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힌지편(212222)의 일단의 양측에는 상기 고정힌지편 힌지핀결합구(21222211)가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212223)이 끼워는 회전힌지편 힌지핀결합구(21222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KR1020180120231A 2018-10-10 2018-10-10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KR101947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31A KR101947512B1 (ko) 2018-10-10 2018-10-10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31A KR101947512B1 (ko) 2018-10-10 2018-10-10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512B1 true KR101947512B1 (ko) 2019-05-21

Family

ID=6667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231A KR101947512B1 (ko) 2018-10-10 2018-10-10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26B1 (ko) 2020-05-19 2021-09-01 기흥전설(주) 전환 개폐기의 점검용 작업대
CN115043344A (zh) * 2022-07-06 2022-09-13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35千伏pt专用吊装结构及吊装方法
CN117735419A (zh) * 2024-02-08 2024-03-22 福建长裕电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箱式变电站施工辅助起吊装置
CN117735419B (zh) * 2024-02-08 2024-06-04 福建长裕电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箱式变电站施工辅助起吊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774U (ko) * 1977-09-19 1979-04-10
JPH1067486A (ja) * 1996-04-19 1998-03-10 Mannesmann Ag トロリー装置
KR200265441Y1 (ko) 2001-11-07 2002-02-21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휴대용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101165622B1 (ko) 2012-02-21 2012-07-19 (주) 인덕전력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
KR20140001154U (ko) * 2012-08-13 2014-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대빗
KR200474265Y1 (ko) 2012-12-26 2014-09-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KR101779670B1 (ko) 2015-10-2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1774U (ko) * 1977-09-19 1979-04-10
JPH1067486A (ja) * 1996-04-19 1998-03-10 Mannesmann Ag トロリー装置
KR200265441Y1 (ko) 2001-11-07 2002-02-21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휴대용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101165622B1 (ko) 2012-02-21 2012-07-19 (주) 인덕전력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
KR20140001154U (ko) * 2012-08-13 2014-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대빗
KR200474265Y1 (ko) 2012-12-26 2014-09-0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KR101779670B1 (ko) 2015-10-28 2017-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26B1 (ko) 2020-05-19 2021-09-01 기흥전설(주) 전환 개폐기의 점검용 작업대
CN115043344A (zh) * 2022-07-06 2022-09-13 国网冀北电力有限公司唐山供电公司 一种35千伏pt专用吊装结构及吊装方法
CN117735419A (zh) * 2024-02-08 2024-03-22 福建长裕电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箱式变电站施工辅助起吊装置
CN117735419B (zh) * 2024-02-08 2024-06-04 福建长裕电力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箱式变电站施工辅助起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7512B1 (ko)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US7243870B2 (en) Portable studio hoist
US5361565A (en) Elevating system
DE102009053249A1 (de) Aufzug
CN110571677B (zh) 一种电力设备用控制箱
CN110957647A (zh) 一种便于检修的配电柜
KR101165622B1 (ko) 특고압 변압기 내부(oltc) 수리용 인양 장치
KR20090015168A (ko) 상하 레일 이동식 조명장치
KR101542610B1 (ko) 변전용 변압기의 설치구조
KR100713146B1 (ko) 지주의 승강식 변압배전장비
AU2008226089B9 (en) Ceiling installation lift for a multimedia projector
CN116913651A (zh) 变压器台架
CN107869640A (zh) 变电站可升降监控摄像头立杆装置
CN116896010A (zh) 一种便于检修的电力配电柜柜体组件
CN114530779B (zh) 一种安装尺寸可调整的低压开关柜
DE102006053353A1 (de) Anordnung für einen elektromotorischen Möbelantrieb
KR100695784B1 (ko) 전력선 가선 기구 교체장치
KR100717352B1 (ko) 특고압 전신주의 상용전압 변압을 위한 가내 배전기이동기구
CN112332241A (zh) 一种用于自动化控制的可调式分区低压电控柜
KR20090038411A (ko) 상하 이동식 조명장치
CN214014828U (zh) 一种方便拆卸带支架的控制箱
DE102009043851A1 (de) Toilettenschüssel mit Sitzbrillenreinigungsvorrichtung
CN220190291U (zh) 一种挂接式箱式变电站
CN114221243B (zh) 一种m型有载调压分接开关检修支架
CN117554859B (zh) 变压器智能检测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