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154U - 이동식 대빗 - Google Patents

이동식 대빗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154U
KR20140001154U KR2020120007206U KR20120007206U KR20140001154U KR 20140001154 U KR20140001154 U KR 20140001154U KR 2020120007206 U KR2020120007206 U KR 2020120007206U KR 20120007206 U KR20120007206 U KR 20120007206U KR 20140001154 U KR20140001154 U KR 201400011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support pipe
trolley
movable
dav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기철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7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154U/ko
Publication of KR201400011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5/00Base supporting structures with legs
    • B66C5/02Fixed or travelling bridges or gantries, i.e. elongated structures of inverted L or of inverted U shape or trip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의 상갑판에 구비된 각종 대형 장비의 정비시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의 지원을 받지 않고도 조립 가능한 대빗을 이용하여 선상에서 직접 장비를 인양하고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한 쌍의 서포트 파이프(10),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 레일(12),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14), 및 상기 트롤리(14)에 결합되는 체인 블록(1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동식 대빗{Portable Lifting Device}
본 고안은 대형 장비의 수리를 위한 이동식 인양장비(Lifting Device)에 해당하는 대빗(Dav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상갑판 여러 위치로 분산되어 설치된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의 모터에 대한 정비시 안벽 크레인의 지원 없이도 선상에서 직접 모터를 해체하고 분해하여 정비할 수 있게 하는 이동식 대빗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상갑판에는 데크 장비(Deck Machinery)용 무어링 윈치(Mooring Winch)가 다수의 개소로 분산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는 척당 대략 8대에서 16대의 정도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는 대중량(대략 650Kg)의 모터를 갖추고서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이용하여 무어링 윈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는 고장이나 정비시 무어링 윈치로부터 모터를 해체한 다음 분해하게 되는 데, 이때 모터는 중량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반드시 크레인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의 정비시 선박을 안벽으로 이동시킨 다음,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을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 결과, 종래 무어링 윈치의 정비에는 반드시 외부 크레인의 지원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수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 부담도 가중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관련 선행기술 없음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박의 상갑판에 구비된 각종 대형 장비의 정비시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의 지원을 받지 않고도 조립 가능한 대빗을 이용하여 선상에서 직접 장비를 인양하고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이동식 대빗으로서, 작업면에 대해 직립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서포트 파이프;
상기 서포트 파이프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 및
상기 트롤리에 결합되어 중량물과 결합되는 리프팅 툴을 인양하는 체인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서포트 파이프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측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조립면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플랜지를 일체로 구비하며, 하측 자유단부에 미끄럼 방지용 마찰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서포트 파이프는 길이 조절용 잭 스크류 조립체를 구비하고, 텐션 바아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 상기 트롤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하단 웨브에 구름 접촉하는 아이들 롤러, 및 상기 아이들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체인 블록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선박의 상갑판 여러 부위로 분산되어 구비되는 각종 대형 장비를 정비할 때 선상에서 직접 조립 가능한 대빗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장비의 인양을 목적으로 안벽에 위치한 크레인의 지원을 받기 위해 선박을 안벽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본 고안은 한 사람이 직접 운반하고 설치하기에 적당한 중량을 가지는 여러 부품들의 조합을 통해 이동식 대빗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필요시 이동식 대빗을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후 다시 분해하여 적정의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다음 번 사용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의 이동식 대빗은 대형 장비의 정비를 위해 안벽 크레인의 지원을 받지 않고 선상에서 직접적으로 대형 장비를 해체하고 분해하여 정비할 수 있으므로, 장비를 정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정비에 드는 각종 경제적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대빗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대빗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대빗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가"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나"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다"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각각 참조로 하면, 본 고안에 따른 중량물의 인양용 이동식 대빗은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형태의 장비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이동식 대빗은 좌/우측 부위에서 적어도 한 쌍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서포트 파이프(10),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 레일(12),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트롤리(14), 상기 트롤리(14)에 결합되는 체인 블록(16), 및 상기 체인 블록(16)에 결합되어 중량물을 파지하는 리프팅 툴(18)을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선체의 상갑판과 같은 작업면에 대해 직립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부재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양단부에 개별적으로 조립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조립면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플랜지(10a)를 일체로 구비한다. 이때,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와 상기 가이드 레일(12) 사이의 나사 결합부위에 적용되는 볼트(B)와 너트(N)는 각각 내부식성이 우수한 소재(예컨대, SUS 304)로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작업면에 대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하측 자유단부에 고무류의 마찰 패드(20)를 장착한다. 또한,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높이방향으로 그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해 부재의 중간에 높낮이 조절용 잭 스크류 조립체(2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잭 스크류 조립체(22)는 나사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그 체결위치에 따라 상호 간의 이격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길이 조절용 부재를 의미한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서포트 파이프(10)는 텐션 바아(24)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어, 과도한 하중에도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포함한 트롤리(14)와 체인 블록(16) 및 리프팅 툴(18)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텐션 바아(24)는 대향하는 서포트 파이프(10) 사이를 상호 연결할 수 있는 체인과 같이 적정의 강성을 갖는 유연 소재의 기계요소를 의미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형강류의 소재로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10) 사이에서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에 대해서는 볼트(B)와 너트(N)를 이용한 나사 결합을 통해 분해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와 상기 가이드 레일(12)은 한 사람이 직접 들 수 있을 정도인 대략 25Kg 미만의 중량 규격을 가지도록 설정되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경량 재료로 제작된다.
상기 트롤리(14)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조립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롤리(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하단 웨브에 대해 상측으로 구름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아이들 롤러(14a)와, 상기 아이들 롤러(14a)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체인 블록(16)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디(14b)를 일체로 구비한다.
상기 체인 블록(16)은 상기 트롤리(14)에 매달려 지지되고 권취된 체인에 대한 길이 조정을 통해 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는 공지의 기계요소를 의미한다. 상기 리프팅 툴(18)은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에서 중량물에 해당하는 모터(M)와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체인 블록(16)의 작동에 따라 중량물을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지지 구조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데크 장비용 무어링 윈치의 정비시 중량물에 해당하는 모터(M)를 해체하여 분해하기 위해 선박을 안벽으로 이동하지 않고, 선상에서 직접 이동식 대빗을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정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갑판의 작업부위로 서포트 파이프(10)를 이동한 다음 직립하게 설치하고, 이어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에 대해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나사체결로서 결합하여 수평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대한 트롤리(14)의 이동 가능한 설치는 선행되어야 한다.
이후, 상기 트롤리(14)에 대해 체인 블록(16)을 연결하고, 상기 모터(M)에 대해 리프팅 툴(18)을 결합한 다음, 상기 체인 블록(16)과 상기 리프팅 툴(18) 사이를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체인 블록(16)을 조작하여 상기 모터(M)를 분해 위치로 인양한 다음 필요한 정비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 결과, 본 고안은 선상에서 직접 조립과 분해가 가능한 이동식 대빗을 이용하여 중량물에 해당하는 무어링 윈치의 모터(M)를 해체하고 분해할 수 있으므로 무어링 윈치의 정비시 안벽 크레인의 이용을 위해 선박을 안벽으로 이동하지 않아도 되고, 이를 통해 무어링 윈치의 정비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무어링 윈치에 대한 정비가 완료된 후, 조립된 이동식 대빗을 상기의 역순으로 분해하고, 분해된 각 부품들을 적정의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다음 번 사용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서포트 파이프 10a-플랜지
12-가이드 레일 14-트롤리
14a-아이들 롤러 14b-바디
16-체인 블록 18-리프팅 툴
20-마찰 패드 22-잭 스크류 조립체
24-텐션 바아

Claims (6)

  1. 중량물의 인양을 위한 이동식 대빗으로서,
    작업면에 대해 직립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서포트 파이프(10);
    상기 서포트 파이프(1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 레일(12);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롤리(14); 및
    상기 트롤리(14)에 결합되어 중량물과 결합되는 리프팅 툴(18)을 인양하는 체인 블록(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빗.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양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측 자유단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조립면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플랜지(10a)를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빗.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하측 자유단부에 미끄럼 방지용 마찰 패드(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빗.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길이 조절용 잭 스크류 조립체(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빗.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파이프(10)는 텐션 바아(24)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빗.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14)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의 하단 웨브에 구름 접촉하는 아이들 롤러(14a), 및 상기 아이들 롤러(14a)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체인 블록(16)의 하중을 지지하는 바디(1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대빗.
KR2020120007206U 2012-08-13 2012-08-13 이동식 대빗 KR201400011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06U KR20140001154U (ko) 2012-08-13 2012-08-13 이동식 대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06U KR20140001154U (ko) 2012-08-13 2012-08-13 이동식 대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54U true KR20140001154U (ko) 2014-02-25

Family

ID=52441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206U KR20140001154U (ko) 2012-08-13 2012-08-13 이동식 대빗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154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695A (ko) 2015-04-10 2016-10-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점 계류 시스템
KR20190049129A (ko) 2017-11-01 2019-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 사다리용 이동식 대빗
KR101947512B1 (ko) * 2018-10-10 2019-05-21 주식회사 인덕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CN110126994A (zh) * 2019-03-21 2019-08-16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门架的俯仰机构及门架
KR200496547Y1 (ko) * 2022-10-18 2023-02-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붕산 저장 탱크의 붕산 주입용 안전 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695A (ko) 2015-04-10 2016-10-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다점 계류 시스템
KR20190049129A (ko) 2017-11-01 2019-05-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직 사다리용 이동식 대빗
KR101947512B1 (ko) * 2018-10-10 2019-05-21 주식회사 인덕 이동식 어셈블리형 oltc 인양장치
CN110126994A (zh) * 2019-03-21 2019-08-16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门架的俯仰机构及门架
KR200496547Y1 (ko) * 2022-10-18 2023-02-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붕산 저장 탱크의 붕산 주입용 안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1154U (ko) 이동식 대빗
EP3425136B1 (en) Transportation systems, elevator systems, kits, tower section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ssembly or maintenance operations in towers
CN110901851A (zh) 一种船舶大型设备舷侧安装装置
EP3177774B1 (en) Scaffold for supporting a working platform for bridges
RU2679791C2 (ru) Подъемник с трубчатым двигателем и раздельным креплением двигателя
US20110094830A1 (en) Vehicle and object portable lift
CN110877704A (zh) 一种船舶大型设备的舷侧安装方法
KR20170040837A (ko) 상탑 설치를 위해 주탑에 가설되는 헤비 리프팅장치
CN204265331U (zh) 一种燃油管吊
CN100431943C (zh) 可移动组装式检修架
CN102328739A (zh) 免搭设船用组合式脚手架装置
KR101794206B1 (ko) 교량 작업용 대차 장치
JP4407306B2 (ja) 吊り足場の組立方法
CN210418892U (zh) 一种船舶用钢管的吊运工装
CN101941507B (zh) 一种自动液压侧滚式特大型舱口盖
KR20150092952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구조물 지지 장치
JP2011223728A (ja) レバーブロック用滑車装置
KR200483416Y1 (ko)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KR101691585B1 (ko) 구명 보트 장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0466983Y1 (ko) 선박의 작업자 이동용 플랫폼
KR20150012079A (ko) 스트랜드 잭 지지 장치
CN201703547U (zh) 免搭设船用组合式脚手架装置
CN219029717U (zh) 一种船舶舷侧装配设备
KR20090042061A (ko) 대빗 장치
CN202945004U (zh) 用于安装大型设备的龙门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