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416Y1 -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416Y1
KR200483416Y1 KR2020150001819U KR20150001819U KR200483416Y1 KR 200483416 Y1 KR200483416 Y1 KR 200483416Y1 KR 2020150001819 U KR2020150001819 U KR 2020150001819U KR 20150001819 U KR20150001819 U KR 20150001819U KR 200483416 Y1 KR200483416 Y1 KR 200483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rail
frame
fixing
fixed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371U (ko
Inventor
김성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41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4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63B9/00
    • B63B27/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6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lifts 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B66C23/24Mobile wall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obo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체에 고정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의 타단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에이 프레임을 마련하여 벽체에 인접하게 설치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벽체에 길이가 긴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선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길이가 짧아 조명등의 불빛을 차단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조명등의 조도 감소를 줄일 수 있고, 고정부재의 길이가 짧아 벽체에 다른 의장품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Moving and Lifting Equipment of Ship or Offshore}
본 고안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된 장비 또는 밸브 등을 승강시킬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는 많은 장비와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작동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지·보수가 요구된다.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기계실(machinery space)에는 구조 보강 및 구역을 구성하기 위한 벽체(wall)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기계실에는 다수의 배관과 이들 배관 사이에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들 밸브 등은 운용(operator)의 편의성과 유지·보수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있다.
즉, 벽체에는 배관, 상기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물(support), 배관에 설치되는 밸브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배관, 밸브 등을 벽체에 근접하게 설치함으로써 기계실의 공간 확보 및 배관의 지지물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벽체 주위에는 밸브를 분리하거나 설치하기 위하여 밸브의 수직 상측에 구멍쇠(padeye)가 설치되고 있고, 구멍쇠는 밸브의 승강 작업뿐만 아니라 이동 작업 등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구멍쇠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외팔보 형태의 H-빔(H-beam)이 설치되고 있고, 벽체에는 다른 의장품들이 다수 설치되고 있다.
한편 벽체 옆에 설치된 배관의 밸브를 분리 또는 설치하기 위하여 구멍쇠(padeye)를 이용하거나 이동식 크레인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H-빔 구조물은 용접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므로 밸브를 유지·보수를 하지 않더라도 설치 공간을 차지하고 있고, 밸브를 코밍(coaming) 밖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길이가 긴 H-빔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H-빔 구조물은 조명등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조명등에서 나오는 빛을 차단하게 되어 조명등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코밍(coaming) 밖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H-빔 구조물은 이동자의 안전을 위하여 일정 높이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다른 의장품의 설치 높이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 H-빔 구조물은 외팔보(cantilever) 형태로 설치되고 있고, H-빔의 강성(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브레이싱(bracing)을 설치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으나, 브레이싱 설치에 따라 공간을 확보할 수 없고, 외팔보 형태의 H-빔 구조물에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휨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선체의 갑판 상측에 배치된 모노 레일; 상기 모노 레일 상측에 배치된 리프팅 러그(lifting lug); 상기 리프팅 러그의 상측으로부터 연결되어 상기 갑판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링(sling)에 연결되어 승강하고, 상기 모노 레일의 단부와 대응하는 단부 형상을 지닌 설치용 빔(beam); 상기 설치용 빔에 결합되어 상기 모노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트롤리 호이스트(trolley hoist); 및 상기 리프팅 러그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설치용 빔이 상기 모노 레일의 단부에 정렬되고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가 상기 모노 레일에 배치되면 상기 설치용 빔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상기 설치용 빔과 상기 모노 레일을 상호 탈착 결합시키는 설치 유닛 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체의 갑판 상측에 배치된 모노 레일을 따라 왕복하는 트롤리 호이스트(trolley hoist); 상기 트롤리 호이스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멈춤핀; 및 상기 멈춤핀과 걸림 고정 되도록 상기 모노 레일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후크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49819호(2014년 4월 2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60951호(2014년 5월 21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승강장치는 H-빔 구조물을 벽체에 설치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다른 의장품을 설치하기가 어렵고, 브레이싱 등과 같은 보강부재를 필요로 하며, 용접으로 고정된 H-빔 구조물이 상시 설치되어 있어 조명등의 조도 및 다른 장비 또는 밸브의 유지·보수에 따른 공간을 확보하기 어렵고, 벽체에 길이가 긴 H-빔 구조물이 다수 설치됨에 따라 선체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 등의 유지·보수 시 간편하게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팔보 형상의 H-빔 구조물의 휨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벽체 주위의 의장품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조명등의 조도 확보 및 다른 장비의 유지·보수에 따른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는 벽체에 고정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의 타단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에이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이프레임은 상기 모노레일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용 에이프레임과 상기 모노레일의 타단에 고정되는 이동용 에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구멍, 상기 고정구멍과 대응되도록 상기 모노레일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레일 고정구멍, 상기 고정구멍과 레일 고정구멍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벽체에 고정되도록 일정 크기로 이루어지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 고정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판, 상기 수직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용 에이 프레임은 모노레일이 결합되도록 센터 피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레일 고정구멍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에 의하면, 벽체에 인접하게 설치된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벽체에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선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길이가 짧아 조명등의 불빛을 차단하거나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조명등의 조도 감소를 줄일 수 있고, 고정부재의 길이가 짧아 벽체에 다른 의장품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는 벽체(1)에 고정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부재(10),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노레일(20), 상기 모노레일(20)의 타단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에이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기계실 등의 배관에 설치되어 있는 중량물을 교체 또는 유지·보수 시에 중량물을 승강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벽체(1)는 선체 사이에 설치되는 벽체뿐만 아니라 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벽체(1) 등에 고정되어 승강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승강장치의 일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벽체(1)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고정판(11), 고정판(11)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판(12), 수평판(12)의 좌우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수직판(1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0)는 H-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노레일(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H-빔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고정부재(10)의 양측에는 모노레일(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수직판(13)의 내측에 고정홈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부(15)는 수직판(13)의 내측에 수평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1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돌기(16)는 H-빔으로 이루어진 모노레일(20)의 플랜지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0)에는 수직판(13)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14)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구멍(14)에는 모노레일(20)이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5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20)은 일정 길이를 갖는 H-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의 모노레일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20)에는 중량물을 승강시킴은 물론 이동 가능하게 호이스트(hoist, 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이 프레임(30)은 모노레일(20)의 타단에 고정되어 모노레일(20)을 이동시킬 수 있으면서 고정부재(10)에 안착된 상태에서 모노레일(20)을 일정 높이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에이 프레임(30)은 모노레일(20)의 일단에 모노레일(20)을 고정부재(10)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과 필요에 따라 모노레일(20)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은 모노레일(20)에 고정되어 있고,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필요에 따라 모노레일(20)에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20)에는 고정부재(10)의 복수의 고정구멍(14)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레일 고정구멍(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들 고정구멍(14)과 레일 고정구멍(21)에는 고정수단(5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은 고정부재(10)의 고정구멍(14) 및 레일 고정구멍(21)을 관통하는 볼트(51)와 볼트(51)에 체결되는 너트(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노레일(20)의 일단에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에 고정되어 있으며, 모노레일(20)의 타단에는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이동용 에이 프레임(31)과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모노레일(20)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은 모노레일(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 4에서와 같이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모노레일(20)의 일단에 분리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승강장치의 이동 시에 결합되어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재(10)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동용 에이 프레임(31)과 분리용 이동 프레임(32)이 모노레일(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모노레일(20)과 에이 프레임(30)에 의해서도 중량물을 승강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의 센터 피스(37) 상면에는 모노레일(20)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고정 프레임(41)이 고정될 수 있고, 고정 프레임(41)에는 모노레일(20)의 레일 고정구멍(21)에 대응되는 구멍(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0)은 고정 프레임(41)의 구멍(42) 및 모노레일(20)의 레일 고정구멍(21)에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42)를 체결하여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을 모노레일(2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에이 프레임(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33), 크로스 바(33)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휠 베이스(34), 휠 베이스(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휠(35), 크로스 바(33)의 양단에 각각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아암(36, arm), 상기 2개의 아암(36)이 만나는 상부에 고정되는 센터 피스(37), 상기 센터 피스(37)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컬럼(38) 및 상기 컬럼(38)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는 스트럿(39)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럿(39)은 모노레일(20)과 맞닿아 모노레일(20)을 지지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로써, 모노레일(20)의 양단에는 각각 에이 프레임(3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모노레일(20)의 양단에는 각각 에이 프레임(30)이 고정되는데, 모노레일(20)의 일단에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이 고정될 수 있으며, 모노레일(20)의 타단에는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은 모노레일(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승강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모노레일(20)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되게 하며, 분리용 에이 프레임(32)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노레일(2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노레일(20)의 끝단은 분리용 에이프레임(32)의 센터 피스(37)와 고정 프레임(41) 사이로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수단(50)의 볼트(51)는 고정 프레임(41)의 구멍(42)과 레일 고정구멍(21)을 관통하여 너트(52)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선체의 공간을 구획하는 벽체(1) 또는 구조물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일정 크기를 갖는 고정판(11)에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판(12)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판(12)의 길이는 벽체(1)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는데, 대략 200~400㎜의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판(12)의 길이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고정부재(10)의 길이가 200㎜ 이하인 경우, 모노레일(20)의 일단을 견고하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게 되고, 고정부재(10)의 길이가 400㎜ 이상인 경우, 모노레일(20)이 벽체(1)로부터 필요 이상으로 돌출되어 다른 의장품 또는 조명등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 또는 불빚의 차단을 피하기 위하여 대략 300㎜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판(12)의 양 측면에는 수평판(12)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수직판(13)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판(13)에는 모노레일(20)을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고정구멍(14)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수직판(13)의 내측에는 고정홈부(15)가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고정돌기(16)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6)에 의해 형성되는 고정홈부(15)에는 모노레일(20)의 플랜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노레일(20)은 H-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수직판(13)의 고정구멍(14)과 대응되는 레일 고정구멍(2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에이 프레임(30)은 모노레일(20)의 일단에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을 고정할 수 있으며, 도 4에서와 같이, 모노레일(20)의 일단에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을 고정할 수 있고, 타단에는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즉,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은 항시 모노레일(20)에 고정되어 있으며,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은 필요에 따라 모노레일(20)에 결합되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에이 프레임(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크로스 바(33)의 양단에 각각 휠 베이스(34)를 고정할 수 있고, 휠 베이스(34)에는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휠(35)을 고정할 수 있다.
또 크로스 바(33)의 양단에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아암(36)을 고정할 수 있으며, 2개의 아암(36)에는 아암(36) 및 모노레일(20)을 고정는 센터 피스(37)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센터 피스(37)에는 수직으로 컬럼(38)를 고정할 수 있고, 컬럼(38) 및 모노레일(20)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스트럿(39, stru)을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부재(10)와 모노레일(20)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수단(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고정수단(50)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볼트(51) 및 볼트(51)에 체결되는 너트(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50)은 볼트(51)와 너트(52) 외에 고정부재(10)와 모노레일(20)을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이동용 승강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는 기계실 등의 벽체(1)에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0)를 용접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하게 된다. 즉, 고정부재(10)는 벽체(1) 등에 항시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부재(10)는 밸브 등과 같은 중량물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 부위의 적당한 위치에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벽체(1)로부터 대략 300㎜의 길이로 돌출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정부재(1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벽체(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과 간섭 또는 빛의 차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모노레일(20)의 일단에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이 고정되어 있으며, 모노레일(20)은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에 의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벽체(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밸브 등을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승강장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을 이용하여 모노레일(20)을 함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에는 휠(3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휠(35)의 이동으로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승강장치의 이동 시에는 도 4에서와 같이, 2개의 에이 프레임(31, 32)을 모노레일(20)의 양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모노레일(20)의 일측에는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이 고정되어 있으며, 모노레일(20)의 타측에는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노레일(20)에는 2개의 에이 프레임(31, 32)이 결합되어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중량물을 승강시키거나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된 모노레일(20)의 일단, 즉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이 고정되지 않은 타단은 벽체(1)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재(10)에 안착시키게 된다.
상기 모노레일(20)의 일단은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을 고정부재(10) 쪽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모노레일(20)이 고정부재(10)의 수평판(12)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모노레일(20)은 고정부재(10)의 고정홈부(15)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모노레일(20)의 플랜지가 고정돌기(16)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부(15)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모노레일(20)이 고정부재(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고정구멍(14)과 레일 고정구멍(21)을 일치시켜 볼트(51)를 끼운 다음 너트(52)를 체결하여 모노레일(20)을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한편 모노레일(20)에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는 호이스트(미도시) 등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배관에 설치된 밸브 등의 중량물은 호이스트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고정부재(10)로부터 모노레일(20)을 분리하게 된다.
상기 모노레일(20)의 분리는 고정수단(50)을 해제한 다음 이동용 에이 프레임(31)을 끌어당김에 따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모노레일(20)에는 분리용 에이 프레임(32)을 결합하여 승강장치를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벽체(1)와 인접하게 설치된 밸브 등의 중량물을 상승시키는 경우, 고정부재(10), 모노레일(20), 이동용 에이프레임(31)으로 이루어진 승강장치에 의해 밸브 등을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분리된 밸브를 이동시키는 경우, 분리용 에이프레임(32), 모노레일(20), 이동용 에이프레임(31)으로 이루어진 승강장치에 의해 밸브 등을 호이스트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지·보수 작업 시에는 모노레일(20) 및 이동용 에이프레임(31)이 고정부재(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고, 중량물의 이동 작업 시에는 모노레일(20) 및 이동용 에이프레임(31)에 분리용 에이프레임(32)이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모노레일(20)의 일측에는 이동용 에이프레임(31)이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된 모노레일(20)의 타측에는 분리용 에이프레임(32)의 구멍(42)과 레일 고정구멍(21)에 볼트(51)가 관통된 상태에서 너트(52)를 체결하여 고정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고정부재 11: 고정판
12: 수평판 13: 수직판
14: 고정구멍 15: 고정홈부
16: 고정돌기 20: 모노레일
21: 레일 고정구멍 30: 에이 프레임
31: 이동용 에이프레임 32: 분리용 에이프레임
33: 크로스 바 34: 휠 베이스
35: 휠 36: 아암
37: 센터 피스 38: 컬럼
39: 스트럿 50: 고정수단
51: 볼트 52: 너트

Claims (5)

  1. 벽체에 일정한 크기를 가지며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면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고정부재,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수평판과 일측이 맞닿으며 상기 고정구멍과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레일 고정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승강수단이 설치될 수 있는 모노레일,
    상기 모노레일이 고정부재에 삽입되면 상기 복수의 고정구멍과 상기 레일 고정구멍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상기 모노레일의 타단에 일정 높이를 유지하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도록 상기 모노레일이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센터 피스, 상기 센터 피스의 하부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연결되는 아암, 상기 센터 피스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컬럼과 상기 컬럼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며 연결되어 일측이 모노레일을 지지할 수 있는 스트럿을 포함하는 에이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프레임은 상기 모노레일의 일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용 에이프레임과 상기 모노레일의 타단에 고정되는 이동용 에이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에이 프레임은 모노레일이 결합되도록 센터 피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레일 고정구멍에 대응되게 형성된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KR2020150001819U 2015-03-23 2015-03-23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KR200483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19U KR200483416Y1 (ko) 2015-03-23 2015-03-23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819U KR200483416Y1 (ko) 2015-03-23 2015-03-23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71U KR20160003371U (ko) 2016-10-04
KR200483416Y1 true KR200483416Y1 (ko) 2017-05-16

Family

ID=5713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819U KR200483416Y1 (ko) 2015-03-23 2015-03-23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4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4856B (zh) * 2022-08-19 2024-04-1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轨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026B1 (ko) * 2010-02-10 2012-01-25 이규태 갠트리 크레인 장치
KR101973038B1 (ko) 2012-10-18 2019-04-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20140060951A (ko) 2012-11-13 2014-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71U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528272U (zh) 一种预制构件的吊装设备
EP3177774B1 (en) Scaffold for supporting a working platform for bridges
KR101066577B1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KR200483416Y1 (ko)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CA2920075C (en) Scaffold
KR20050001271A (ko) 선박내부 작업용 이동대차.
KR101846788B1 (ko) 발전용 보일러 수냉벽 긴급 보수용 조립식 곤도라 시스템 및 사용방법
JP5473294B2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KR20140001154U (ko) 이동식 대빗
JP2015229850A (ja) 作業用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0957533B1 (ko) 호이스트크레인의 바퀴 지지브라켓 장착용 지그
KR101665291B1 (ko) 컨테이너선 혹은 자동차운반선의 투 후크 투 트롤리 타입 기관실 크레인
US1105970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ifting elevator cars during installation
KR102213315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밸브 정비용 대차
KR20170132597A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101973038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용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KR20150040461A (ko) 선박용 앵커 체인 컴프레서의 위치 조정장치
JP4784167B2 (ja) エレベータの据付作業用足場装置
JP2007254080A (ja) 吊り降ろし足場
JP2007210726A (ja) トラス支保梁の移動装置
KR20180120529A (ko)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KR20120000314U (ko) 천장 크레인 하중시험장치
KR20100057959A (ko) 타이로드 보텀너트 체결용 지그
JP2009281029A (ja) 作業方法及び作業足場
JP2008050159A (ja) エレベータの錘保持装置および主ロープ緩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