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597A -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 Google Patents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597A
KR20170132597A KR1020160063670A KR20160063670A KR20170132597A KR 20170132597 A KR20170132597 A KR 20170132597A KR 1020160063670 A KR1020160063670 A KR 1020160063670A KR 20160063670 A KR20160063670 A KR 20160063670A KR 20170132597 A KR20170132597 A KR 20170132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link
main body
folding
upper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954B1 (ko
Inventor
오형순
권순도
김성엽
이종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3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95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2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7Devices and methods for erecting scaffolds, e.g. automatic scaffold er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트 구조물(10)에 현수되는 비계용 작업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으로 구성되고, 현수를 위한 고정대(25)를 구비하는 본체(20); 상기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을 접철링크(31)로 연결하여 본체(20)의 높이 변동을 허용하는 접철수단(30); 및 상기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 사이에 윈치(46)의 구동력을 작용하여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작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플랜트 등 작업 대상물의 하부 지상 공간 상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필요한 부분에만 설치하여 지상부터 쌓는 것에 비해 자재와 작업량이 축소되고, 모듈형으로 필요한 높이에 맞춰 중간 모듈을 추가 또는 제거하기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시 작업대가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 편리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Foldable work stage for suspension scaffold}
본 발명은 현수 비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달림 공법에 의한 족장 설치 시, 플랜트 모듈 외곽부와 넌데크(None-deck) 부분에서 족장을 설치하기 위한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모듈의 외곽부와 넌데크(None-deck) 부분 작업을 위해 작업대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소차를 사용하고 있으나, 고소차는 하부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구조물과의 간섭으로 인해 고소차의 접근이 불가하기도 하다. 고소차의 접근이 불가할 경우, 발판을 설치하는데 바닥에서 쌓아 올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고소의 작업 부분으로의 접근을 위해서는 아래쪽 작업이 필요 없는 부분이라도 설치를 해야 하는 불합리함이 있어 작업량이 많아진다.
이에, 필요한 부분에만 적용할 수 있는 접이식 작업대가 선호된다. 관련되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6254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21668호(선행문헌 2)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선행문헌 1은 다수의 연결바에 의해 연결된 전방 지주부와, 전방 지주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후방 지주부와, 상기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의 연결바에 회전가능토록 연결되고 경첩구조로 접고 펴는 바닥판과, 전방 지주부와 후방 지주부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가새로 이루어진다. 이에,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워 이동이 용이하고 빠른 조립과 분해에 따라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체결편이 부착된 상부플랫폼과; 상기 상부플랫폼의 하부에 위치된 발판과; 상기 상부플랫폼과 발판에 각각 회동되게 설치되고, 상부플랫폼과 발판이 이루는 내측 공간으로 절첩되는 접이식 수직재;를 포함한다. 이에, 비계틀을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신속하게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으며, 보관과 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의 작업대는 비교적 층고가 높은 플랜트 모듈에 적용하기 미흡하고, 특히 지상에서 쌓아 올리는 방식을 기반으로 하므로 매다는 현수 비계용으로 부적합하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96254호 "접이형 작업대" (공개일자 : 2005.03.11.)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821668호 "접이식 비계" (공개일자 : 2006.03.14.)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거치식 작업대를 활용하여 매다림 공법으로 플랜트 모듈 내부로의 발판 설치 작업이 가능하고, 필요한 길이에 맞춰 중간 작업대 모듈을 추가적으로 조립이나 제거하여 층고에 관계없이 사용상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랜트 구조물에 현수되는 비계용 작업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플랫폼과 하부플랫폼으로 구성되고, 현수를 위한 고정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상부플랫폼과 하부플랫폼을 접철링크로 연결하여 본체의 높이 변동을 허용하는 접철수단; 및 상기 상부플랫폼과 하부플랫폼 사이에 윈치의 구동력을 작용하여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접철수단은 상부플랫폼에 부착되는 단부힌지에 상부링크를 연결하고, 하부플랫폼에 부착되는 단부힌지에 하부링크를 연결하고,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중간힌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의 상부플랫폼과 하부플랫폼은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사다리로 활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해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접철수단은 다수의 봉재와 관재를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엮어 상부플랫폼과 하부플랫폼 사이에 설치한 난간링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난간링크는 봉재와 관재의 암수 슬라이딩 구조로 구비하고, 접철수단과 연동하여 접철되도록 관재에 절개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작동수단은 일측과 타측 와이어를 독립된 경로의 시브를 통하여 윈치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는 상부플랫폼과 하부플랫폼의 최소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상하로 연장하여 다층 비계를 형성하기 위한 걸쇠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트 등 작업 대상물의 하부 지상 공간 상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상부로부터 필요한 부분에만 설치하여 지상부터 쌓는 것에 비해 자재와 작업량이 축소되고, 모듈형으로 필요한 높이에 맞춰 중간 모듈을 추가 또는 제거하기 용이하고, 설치 및 해체시 작업대가 자동으로 펼쳐지고 접혀 편리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장치를 설치된 상태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적용되는 난간링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높이 변동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플랜트 구조물(10)에 현수되는 비계용 작업대 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해양플랜트용 매달림 비계용 발판(12)을 설치를 위한 상부 거치식 모듈형 작업대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플랜트 구조물(10)에서 넌데크(None-deck) 부분의 하부 작업을 위해서는 현수되는 거치식(매달림) 작업대가 선호된다. 도 1에서 플랜트 구조물(10)의 상단 층에 막대 형태의 지지대(15)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20)가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으로 구성되고, 현수를 위한 고정대(25)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항시 상하로 이격되어 평행을 유지하도록 대향한다.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은 프레임 상에 판재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전술한 지지대(15)와 맞물림 가능하도록 상부플랫폼(21)의 양단에 ㅁ자 단면의 고정대(25)가 부착된 상태를 예시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접철수단(30)이 상기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을 접철링크(31)로 연결하여 본체(20)의 높이 변동을 허용하는 구조이다. 접철수단(30)은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을 연결하는 접철링크(31)를 요체로 관절운동을 구현하여 상하로 대향하는 간격을 변동한다.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의 간격이 변동되면 본체(20)의 전체적인 높이 변동이 수반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접철링크(31)는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접철수단(30)은 상부플랫폼(21)에 부착되는 단부힌지(23)에 상부링크를 연결하고, 하부플랫폼(22)에 부착되는 단부힌지(23)에 하부링크를 연결하고,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중간힌지(33)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상부링크는 상부플랫폼(21)의 저면에 일측 단부힌지(23)로 연결되고, 하부링크는 하부플랫폼(22)의 상면에 타측 단부힌지(23)로 연결된다. 양측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연결하는 중간힌지(33)는 동시에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후술하는 난간링크(32)와 연계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체(20)의 높이를 축소하는 과정에서 좌측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중심을 향하여 우측으로 절곡되고, 우측의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는 중심을 향하여 좌측으로 절곡되어 전체적 크기 증대가 배제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의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은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사다리로 활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해치(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처럼 하부링크와 상부링크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재를 포함하여 사다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링크와 상부링크가 다소 절곡된 상태에서도 사다리 역할을 하도록 별도의 보조재(도시 생략)를 더 부가할 수 있다.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에서 수직으로 동일 위치에 배치되는 해치(26)는 작업자와 물자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접철수단(30)은 다수의 봉재(35)와 관재(36)를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엮어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 사이에 설치한 난간링크(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난간링크(32)가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접철수단(30)인 하부링크 사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다. 접철수단(30)을 봉재(35)와 관재(36)로 구성하는 것은 접철수단(30)이 절곡되는 것에 맞추어 길이 변동을 유발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난간링크(32)는 봉재(35)와 관재(36)의 암수 슬라이딩 구조로 구비하고, 접철수단(30)과 연동하여 접철되도록 관재(36)에 절개홈(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수평과 수직으로 총 4개의 부재(링크)를 연결하여 난간링크(32)를 형성한 상태를 예시한다. 수평링크는 봉재(35)와 관재(36)를 슬라이딩 구조로 연결하는 반면, 수직링크는 봉재(35)로만 형성하고 교차점에 연결핀(38)을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접철수단(30)의 상하부 링크와 연동하여 난간링크(32)이 접히는 과정에서 기구적 구속을 방지하도록 연결핀(38) 중의 적어도 일부는 관재(36)의 절개홈(37) 상으로 활주한다. 절개홈(37)은 관재(36)에서 중심선을 따라 설정된 길이로 절개된 슬랏 구조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수단(40)이 상기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 사이에 윈치(46)의 구동력을 작용하여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구조이다. 상부플랫폼(21)이 플랜트 구조물(10)에 고정된 경우 작동수단(40)은 상부플랫폼(21)에 대응한 하부플랫폼(22)의 높이를 변동한다. 작동수단(40)의 윈치(46)가 작동되면 후술하는 와이어(44)를 통하여 하부플랫폼(22)의 상하운동이 유발된다. 도 2에서 윈치(46)가 상부플랫폼(21)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를 예시하지만 상부플랫폼(21)의 저면에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외에 작동수단(40)은 유무선으로 원격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제어기(4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작동수단(40)은 일측과 타측 와이어(44)를 독립된 경로의 시브(42)를 통하여 윈치(46)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는 본체(20)의 높이가 최소로 축소된 상태에서 최대로 전개되는 과정을 나타내고, 도 5(b)는 이러한 작동을 위해 각각의 시브(42)에 설치된 2개의 와이어(44)가 윈치(46)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하나의 윈치(46)로 두 개의 와이어(44)를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아 동시에 풀리고 감기고 하기 때문에 본체(20)을 접고 펴는 과정에서 플랫폼(21)(22)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20)는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의 최소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27), 상하로 연장하여 다층 비계를 형성하기 위한 걸쇠(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서 스토퍼(27)는 접철링크(31)의 하부링크의 단부힌지(23) 부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본체(20)의 크기가 축소될 때 최소한의 여유공간을 확보한 높이로 유지한다. 도 2에서 걸쇠(28)는 하부플랫폼(22)의 코너 부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도 1처럼 본체(20)를 다층으로 연결할 때 걸쇠(28)를 고정대(25)에 끼우고 맞물린다.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이 프레임 상에 판재를 결합한 구조인 경우 전체적인 중량 감소를 위해 하부플랫폼(22)의 판재를 생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플랜트 구조물 15: 지지대
20: 본체 21: 상부플랫폼
22: 하부플랫폼 23: 단부힌지
25: 고정대 26: 해치
27: 스토퍼 28: 걸쇠
30: 접철수단 31: 접철링크
32: 난간링크 33: 중간힌지
35: 봉재 36: 관재
37: 절개홈 38: 연결핀
40: 작동수단 42: 시브
44: 와이어 46: 윈치
48: 제어기

Claims (7)

  1. 플랜트 구조물(10)에 현수되는 비계용 작업대 장치에 있어서: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으로 구성되고, 현수를 위한 고정대(25)를 구비하는 본체(20);
    상기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을 접철링크(31)로 연결하여 본체(20)의 높이 변동을 허용하는 접철수단(30); 및
    상기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 사이에 윈치(46)의 구동력을 작용하여 높이 변동을 유발하는 작동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30)은 상부플랫폼(21)에 부착되는 단부힌지(23)에 상부링크를 연결하고, 하부플랫폼(22)에 부착되는 단부힌지(23)에 하부링크를 연결하고,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중간힌지(33)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은 상부링크와 하부링크를 사다리로 활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해치(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철수단(30)은 다수의 봉재(35)와 관재(36)를 사용하여 격자형으로 엮어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 사이에 설치한 난간링크(3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난간링크(32)는 봉재(35)와 관재(36)의 암수 슬라이딩 구조로 구비하고, 접철수단(30)과 연동하여 접철되도록 관재(36)에 절개홈(37)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40)은 일측과 타측 와이어(44)를 독립된 경로의 시브(42)를 통하여 윈치(46)에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상부플랫폼(21)과 하부플랫폼(22)의 최소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27), 상하로 연장하여 다층 비계를 형성하기 위한 걸쇠(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1020160063670A 2016-05-24 2016-05-24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10182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70A KR101820954B1 (ko) 2016-05-24 2016-05-24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670A KR101820954B1 (ko) 2016-05-24 2016-05-24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597A true KR20170132597A (ko) 2017-12-04
KR101820954B1 KR101820954B1 (ko) 2018-01-22

Family

ID=6092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670A KR101820954B1 (ko) 2016-05-24 2016-05-24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9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03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효광기획 절첩식 가설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703A (ko) 2020-08-12 2022-02-21 주식회사 효광기획 절첩식 가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954B1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4550B2 (e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comprising an elevator car
JP7319098B2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エレベータかごを備え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403358B2 (ja) 物品保管設備
RU2631145C2 (ru) Транспорт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ерхнего расположения с самонесущим несущим каркасом
JP6012578B2 (ja) 重量物運搬方法、及び重量物運搬装置
JP2003321174A (ja) エレベータ乗り籠の作業用柵
JP5805499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426503B1 (ko)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
KR101820954B1 (ko)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KR20080093514A (ko) 높이 가변형 작업대
JP2016003480A (ja) 足場装置
KR200480473Y1 (ko) 수직 사다리용 접이식 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직 사다리
JP2009215051A (ja) エレベーター
KR102027845B1 (ko) 접철식 족장 프레임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KR20180073829A (ko) 타워크레인용 건널 다리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JP6965371B2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
WO2018173135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789836B2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JP5360645B2 (ja) 折り畳み式作業用ゴンドラ
JP2006057337A (ja) 吊足場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458096B1 (ko) 이동형 간이 리프트 장치
KR101280916B1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를 위한 가설 작업대
KR20150002689U (ko) 작업용 발판이 구비된 핸드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