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72U -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0772U KR20150000772U KR2020130006815U KR20130006815U KR20150000772U KR 20150000772 U KR20150000772 U KR 20150000772U KR 2020130006815 U KR2020130006815 U KR 2020130006815U KR 20130006815 U KR20130006815 U KR 20130006815U KR 20150000772 U KR20150000772 U KR 2015000077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ift
- shifting means
- electric equipment
- lift
- electrical equip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하게 고 하중 전장장비를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리프트의 상부에 고하중의 대형 전장장비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쉬프트수단을 더 설치하여 전장장비를 안전하고 쉽게 승강시키고 위치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한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장장비 설치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다 안전하게 고 하중 전장장비를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리프트의 상부에 장비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쉬프트수단을 설치하여 전장장비의 높이는 리프트로 조절하고, 수평 위치는 쉬프트수단으로 조절하면서 장비를 설치할 수 있어 고하중의 대형 전장장비를 안전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에는 선박 자체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전장장비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장장비를 구비하고 있다. 선박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전방 장비 중에는 100Kg 내지 700Kg의 중량을 갖는 대형 전장장비도 있으며, 이러한 전장장비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장장비를 비롯한 선박의 배치설계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를 포함하여 다양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선박에서 배전반실 관련 장비를 한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시스템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설계, 설치작업 및 장비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LNG 선박의 배전반실 구조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선박의 생산에서 인력, 설비, 작업장 등의 일정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일정 계획의 신뢰도 및 실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선박 건조 시 부하분석을 통한 생산 계획 수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선박에 있어서 전장장비를 포함하는 구조물이나 기계 장치의 최적화 배치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있으나, 전장장비를 설치하는 방법은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전장 장비를 설치 위치로 견인한 상태에서 전장 장비를 설치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즉, PE(Pre-Erection)장에서 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기 위해 작업자가 전장장비가 설치되는 위치의 수직 상부에 체인블록을 설치하고 체인블록의 하단의 체인에 전장장비를 매단 상태에서 체인블록을 작동시켜 전장장비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전장장비를 고정시키고 있다.
즉, 고하중의 전장장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체인블록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업자와 전장장비를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자가 필요하고, 높은 곳에 매달린 전장장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 작업자를 위해 새로운 발판 등을 가설하여야 하므로 작업장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체인에 의해 매달린 전장장비가 추락할 경우 체인블록을 작동시키는 작업자가 추락하는 전장장비에 의해 다칠 위험이 있다.
또한, 체인블록을 사용하여 전장장비를 매달은 상태에서 작업을 할 경우, 체인블록을 매달기 위해 전장장비가 설치되는 부분의 상부에 체인블록을 매달기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작업이 많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떨어지고, 전장장비의 방향이나 위치를 조정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고 하중 전장장비를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리프트의 상부에 전장장비를 수평으로 미세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쉬프트수단을 설치하여 전장장비의 승강 높이는 리프트로 조절하고, 수평 위치는 쉬프트수단을 이용하여 조절하여 장비의 고정 위치를 정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장장비를 보다 쉽게 들어 올려 설치할 수 있게 한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는 하부에 이동대차가 설치된 리프트;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장장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미세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에서 상기 리프트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시저스 리프트(scissors lift)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세이동레일은 다수의 구형 홈이 형성된 레일본체와, 상기 구형 홈에 설치된 다수의 볼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미세이동레일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쉬프트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작하다.
상기 제1쉬프트수단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 양단의 벽을 관통하여 볼트구멍이 형성된 제1쉬프트케이스와; 상기 제1쉬프트케이스의 중앙에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쉬프트바 및 ; 상기 볼트구멍에 조여져 제1쉬프트바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쉬프트수단의 하부에는 제1쉬프트수단과 수직을 이루고 제2쉬프트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쉬프트수단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 양단의 벽을 관통하여 볼트구멍이 형성된 제2쉬프트케이스와; 상기 제2쉬프트케이스의 중앙에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쉬프트바 및 ; 상기 볼트구멍에 조여져 제2쉬프트바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는 미세이동레일이 리프트의 미세이동레일의 상부에 고하중의 전장장비를 적재한 후, 리프트를 구동시켜 전장장비를 들어 올려 원하는 높이를 맞추고, 전장장비를 밀거나 당겨 전장장비의 수평 위차를 조절한 후 전장장비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전장장비를 보다 안정하게 들어 올려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쉬프트수단을 더 구비하여 전장장비의 수평 위치를 조절함은 물론 전장장비의 위치를 가 고정한 후 조정수단을 설치하여 전장장비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장장비를 높은 위치에 쉽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의 일예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구비된 미세이동레일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구비된 제1쉬프트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구비된 제1쉬프트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구비된 미세이동레일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구비된 제1쉬프트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에 구비된 제1쉬프트수단의 일예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무거운 전장장비를 보다 안전하고 쉽게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재된 전장장비를 승강시키는 리프트(10)와 상기 리프트의 상부에 적재된 전장장비를 보다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안내하는 미세이동레일(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프트(10)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리프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구조가 단순하고 낮추었을 때 높이가 낮아 그 위에 화물을 쉽게 적재할 수 있는 시저스리프트(scissors lif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프트(10)는 적재된 전장장비(100)를 장거리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하부에 이동대차(10c)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동대차(10c)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바퀴(10w)가 설치된 수동 이동식 대차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전동 수단 등을 더 설치하여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리프트(10)의 상부에는 상기 미세이동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미세이동레일(20)은 그 하부는 리프트(10)에 고정되고 상부에는 다수의 볼(20b)을 설치하여 그 위에 적재된 전장장비(100)가 볼(10b)의 구름에 의해 쉽게 이동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미세이동레일(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다수의 구형 홈이 형성된 레일본체(21)와, 상기 구형 홈에 설치된 볼(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이 구형 홈의 내부에서 회전함에 의해 그 위에 적재된 물건이 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는 리프트(10)의 구동에 의해 전장장비(100)가 승강되어 승강이 용이하고, 미세이동레일(20)에 의해 전장장비가 지지되어 전장장비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장방지를 설치하는 작업자가 쉽게 전장방비를 이동시켜 설치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장장비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전장장비가 움직이거나 방향이 틀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고, 더 쉽게 전장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쉬프트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쉬프트수단은 평면상에서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과 전후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 설치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쉬프트수단(30)과 제2쉬프트수단(4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쉬프트수단(30)은 상기 미세이동레일(20)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쉬프트수단(3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쉬프트수단(30)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홀(31h)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 양단의 벽을 관통하여 볼트구멍(31b)이 형성된 제1쉬프트케이스(31)와; 상기 제1쉬프트케이스의 중앙에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쉬프트바(32) 및 ; 상기 볼트구멍에 조여져 제1쉬프트바(32)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볼트(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1쉬프트수단(30)은 상기 제1조절볼트(33)의 조여지는 방향에 따라 제1쉬프트바(32)가 이동하고, 쉬프트바의 이동에 의해 전장장비가 이동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쉬프트바(32)의 상부 면은 상기 제1쉬프트케이스(31)의 상부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쉬프트케이스(31)의 양단에 각각 제1조절볼트(33)가 설치되어 어느 일측의 조절볼트는 풀고 다른 조절볼트는 조임에 의해 제1쉬프트바(32)가 조절볼트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전장장비가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쉬프트바(32)의 양단에는 반목(5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반목삽입홈(32g)이 더 형성되어 반복(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반목(50)은 전장장비가 측방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장장비(100)는 평면상에서 전후좌우로 수평 이동할 수 있어야 하고, 상기한 제1쉬프트수단(30)이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어한다면, 전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쉬프트수단으로 제2쉬프트수단(40)을 더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제2쉬프트수단(40)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홀(41h)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 양단의 벽을 관통하여 볼트구멍(41b)이 형성된 제2쉬프트케이스(41)와; 상기 제2쉬프트케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쉬프트바(42) 및 ; 상기 볼트구멍에 조여져 제2쉬프트바(42)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볼트(4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쉬프트수단(40)의 구성은 상기한 제1쉬프트수단(3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쉬프트수단과 제1쉬프트수단은 서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양단 바깥쪽에 설치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제2쉬프트바(32, 42)에 양단에 형성된 반목삽입홈(32g, 42g)에는 반목(50)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반목은 전장장비의 네 측벽을 지지하여 리프트(10)가 승강하는 동안 전장장비가 기울어지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0: 리프트 10c: 대차 10w: 이동바퀴
20: 미세이동레일
21: 레일본체 22: 볼
30: 제1쉬프트수단
31: 제1쉬프트케이스 31b: 볼트구멍 31h: 장홀
32: 제1쉬프트바 32g: 반목삽입홈
33: 제1조절볼트
40: 제2쉬프트수단
41: 제2쉬프트케이스 41b: 볼트구멍 41h: 장홀
42: 제2쉬프트바 42g: 반목삽입홈
43: 제2조절볼트
50: 반목
20: 미세이동레일
21: 레일본체 22: 볼
30: 제1쉬프트수단
31: 제1쉬프트케이스 31b: 볼트구멍 31h: 장홀
32: 제1쉬프트바 32g: 반목삽입홈
33: 제1조절볼트
40: 제2쉬프트수단
41: 제2쉬프트케이스 41b: 볼트구멍 41h: 장홀
42: 제2쉬프트바 42g: 반목삽입홈
43: 제2조절볼트
50: 반목
Claims (6)
- 하부에 이동대차(10c)가 설치된 리프트(10);
상기 리프트(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장장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미세이동레일(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10)는 시저스 리프트(scissors li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이동레일(20)은 다수의 구형 홈이 형성된 레일본체(21)와, 상기 구형 홈에 설치된 다수의 볼(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이동레일(20)들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쉬프트수단(30)이 설치되고,
상기 제1쉬프트수단(30)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홀(31h)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 양단의 벽을 관통하여 볼트구멍(31b)이 형성된 제1쉬프트케이스(31)와;
상기 제1쉬프트케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쉬프트바(32) 및 ;
상기 볼트구멍에 조여져 제1쉬프트바(32)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볼트(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쉬프트수단(30)의 하부에는 제1쉬프트수단과 수직을 이루고 제2쉬프트수단(4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2쉬프트수단(40)은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장홀(41h)이 형성되고, 상기 장홀 양단의 벽을 관통하여 볼트구멍(41b)이 형성된 제2쉬프트케이스(41)와;
상기 제2쉬프트케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장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쉬프트바(42) 및 ;
상기 볼트구멍에 조여져 제2쉬프트바(42)를 이동시키는 제2조절볼트(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쉬프트바(32, 42)의 양단에는 반목(50)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반목삽입홈(32g, 42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6815U KR20150000772U (ko) | 2013-08-16 | 2013-08-16 |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6815U KR20150000772U (ko) | 2013-08-16 | 2013-08-16 |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0772U true KR20150000772U (ko) | 2015-02-25 |
Family
ID=52579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6815U KR20150000772U (ko) | 2013-08-16 | 2013-08-16 |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0772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4193A (ko) | 2015-05-15 | 2016-11-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전장박스 운반장치 |
KR20170001825U (ko) | 2015-11-17 | 2017-05-2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
-
2013
- 2013-08-16 KR KR2020130006815U patent/KR2015000077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4193A (ko) | 2015-05-15 | 2016-11-2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의 전장박스 운반장치 |
KR20170001825U (ko) | 2015-11-17 | 2017-05-25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958134U (zh) | 预制楼面板专用吊架 | |
CN204057851U (zh) | 演出舞台大棚用升降机构 | |
KR20150000772U (ko) |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 |
CN102963817A (zh) | 一种无溜尾力的大型设备吊装垂直脱排方法 | |
KR20130053486A (ko) | 체인 호이스트 승강장치 | |
JP6917948B2 (ja) | 重量物の揚重装置、および、揚重運搬方法 | |
CN102381609B (zh) | 电梯卷扬机安装方法 | |
CN205724576U (zh) | 变频器模块更换工装 | |
CN204434069U (zh) | 吊具 | |
JP2015081172A (ja) | 高所設置構造物の施工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吊治具 | |
WO2012060007A1 (ja) | エレベータ | |
KR20050105207A (ko) | 건설자재 승강기 | |
JP2011068458A (ja) | エレベータのレール吊り装置 | |
KR101820954B1 (ko) | 현수 비계용 접이식 작업대 장치 | |
CN205381914U (zh) | 一种输送设备 | |
JP2011223728A (ja) | レバーブロック用滑車装置 | |
RU145274U1 (ru) | Электроталь с синхронным двойным подъёмом | |
JP6368726B2 (ja) | ベルトコンベア昇降装置 | |
KR101549351B1 (ko) | 액세스 플로어 패널의 지지다리 높이조절장치 | |
JP2021031234A (ja) | 盤起立治具及び当該治具を用いた盤起立方法 | |
KR200483416Y1 (ko) | 벽체에 복수의 의장품이 설치된 내부공간에서 활용되는 승강장치가 설치 가능한 이동용 지지장치 | |
KR101833706B1 (ko) | 크레인을 활용한 구조물 점검장치 | |
CN218231608U (zh) | 转运装置 | |
CN205114859U (zh) | 全轨道吊式场地装卸机 | |
CN220412727U (zh) | 一种移动式管道吊装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