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25U -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 Google Patents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825U
KR20170001825U KR2020150007458U KR20150007458U KR20170001825U KR 20170001825 U KR20170001825 U KR 20170001825U KR 2020150007458 U KR2020150007458 U KR 2020150007458U KR 20150007458 U KR20150007458 U KR 20150007458U KR 20170001825 U KR20170001825 U KR 201700018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tilting
electric equipment
med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4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경덕
김동원
권순성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4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825U/ko
Publication of KR20170001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25U/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5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non-mas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높이가 그리 높은 않은 블록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의 운반은 물론 간편하게 리프팅시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모서리에 승강되는 각각의 이동바퀴부가 구비되는 운반대차; 상기 운반대차에 설치하고자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가 올려지고, 그 올려진 중,대형 전장장비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틸팅(tilting)부; 및 상기 운반대차의 모서리에 그 운반대차 전체를 승강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를 운반에서부터 설치까지 번거롭거나 복잡한 과정 없이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Medium and large battlefield equipment installation lifting device}
본 고안은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높이가 그리 높은 않은 블록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의 운반은 물론 간편하게 리프팅시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선박 자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전장장비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장장비를 구비하게 된다. 선박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전장장비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무게 또한 수십에서 수백 Kg에 달하는 중,대형 전장장비를 구비한다.
이렇게,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 특히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단위블록 등과 같은 단위체에 중대형의 전장장비를 설치하고 할 때에는 도 4에 도시된 사진과 같이 운반을 위해서는 적어도 2 이상의 많은 작업자가 요구된다.
더불어 리프팅을 위해서는 중대형 전장장비(100)의 중량을 감안하여 통상적인 체인블록(110)이 요구되며, 상기 체인블록(110)을 설치하기 위한 전용 러그(도시하지 않음) 등을 설치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전용 러그를 설치하기 위하여 주변 앵글(12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앵글이 없는 경우에는 별도로 거치용 프레임을 새로 설치한 후 철거해야 하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체인블록을 사용하여 리프팅 시 중,대형 전장장비의 중량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일측으로 편중되면서 작업자에게는 상당히 위험한 상황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상기와 같이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4324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지면이나 중량물과의 밀착면이 비스듬히 경사진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 및 리프팅로드에 무리를 주거나 전도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직립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중량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유압잭 리프트장치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5179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건조 과정에서 좁은 공간에서 중량물을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켜 지지할 수 있는 중량물 승강 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772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고 하중 전장장비를 승강시켜 설치할 수 있는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432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5179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5-0000772호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 내지 4는 높은 곳으로의 전장장비와 같은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선박의 건조하는 과정에서 단위블록과 같이 높이가 그리 높지 않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단위블록으로 중대형 전장장비를 운반과 함께 리프팅 후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기술적 과제는 높이가 그리 높은 않은 블록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의 운반은 물론 간편하게 리프팅시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해결 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가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모서리에 승강되는 각각의 이동바퀴부가 구비되는 운반대차; 상기 운반대차에 설치하고자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가 올려지고, 그 올려진 중,대형 전장장비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틸팅(tilting)부; 및 상기 운반대차의 모서리에 그 운반대차 전체를 승강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바퀴부는 운반대차의 모서리 프레임 측에 형성되는 고정홀더, 상기 고정홀더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토퍼와 손잡이가 형성되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대차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틀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내부로 상기 승강부가 마련되는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는 틀프레임의 양측에 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틸팅 실린더, 상기 각 틸팅 실린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올려지는 중,대형 전장장비의 밑면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프레임의 끝단 틀프레임과 맞닿는 부분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승강부는 각 모서리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 실린더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선박 등의 건조시 높이가 그리 높은 않은 블록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의 운반은 물론 간편하게 리프팅시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를 운반에서부터 설치까지 번거롭거나 복잡한 과정 없이 안전하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정확한 위치가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종래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고안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등을 건조시 높이가 그리 높지 않으면서 협소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 등으로 선박 등의 자체 이동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전장장비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전장장비 중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고자 할 사용되는 리프트장치(1)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높이가 그리 높은 않은 블록 등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도 중대형 전장장비의 운반은 물론 간편하게 리프팅시켜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리프트장치(1)는 모서리에 이동시에는 하강시켜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동 후에는 상승시켜 거치되도록 승강되는 각각의 이동바퀴부(12)가 구비되는 운반대차(10)와; 상기 운반대차(10)에 설치하고자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100)가 올려지고, 그 올려진 중대형 전장장비(100)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틸팅부(20); 및 상기 운반대차(10)의 모서리에 그 운반대차(10) 전체를 설치하고자 높이로 승강하는 승강부(3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본 고안은 먼저, 운반대차의 이동바퀴부를 하강시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한 후 운반대차에 마련된 틸팅부에 설치하고자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를 눕혀서 올려놓는다.
그런 다음 운반대차를 이동바퀴부에 의해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협소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의 위치로 눕혀서 이동시켜 운반한 후, 이동바퀴부를 상승시켜 운반대차의 밑면이 바닥면으로 놓여져 지지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틸팅부에 올려진 중대형 전장장비를 그 틸팅부에 의해 수직에 가깝도록 최대한 경사지게 세운다.
그 후, 운반대차의 모서리에 마련된 승강부를 사용하여 틸팅부에 의해 세워진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블록의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마지막으로, 승강부에 의해 틸팅부에 경사지게 세워진 중대형 전장장비를 블록의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으로 밀어 넣으므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체인블록으로 인한 무게중심이 편중됨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 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은 물론 체인블록을 설치하기 위한 부수적인 작업 또한 생략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짐으로써,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이로써, 본 고안은 중대형 전장장비를 운반시에는 눕혀서 운반한 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서는 경사지게 세운 후 그 설치위치로 상승시켜 간단하게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 등의 건조시 높이가 그리 높지 않으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블록 등으로 중대형 전장장비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최소한의 인력으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더욱이, 중대형의 전장장비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게 위험한 요소 또한 최소화함으로써, 안전성도 높은 조건을 가진다.
이동바퀴부(12)는 운반대차(10)를 이동시와 이동 후 운반대차(10)가 바닥면으로 놓여져 안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운반대차(10)의 모서리 프레임(14) 측에 형성되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의 고정홀더(12a)와, 상기 고정홀더(12a)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토퍼(12b)와 손잡이(12c)가 형성되는 승강축(12A), 및 상기 승강축(12A)의 하단에 구비되는 통상의 캐스터 등과 같은 이동바퀴(12d)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는 승강축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상기 고정홀더에 걸려져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운반대차를 이동시에는 승강축의 손잡이를 잡고 하강시켜 스토퍼가 고정홀더의 밑면에 지지되어 승강축의 하단에 형성된 이동바퀴가 바닥면으로부터 이동 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다시 작업자가 승강축의 손잡이를 잡아 회전시켜 스토퍼가 고정홀더의 상부로 위치되도록 상승시키면서 고정홀더로 걸려져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동바퀴가 바닥면으로 소정 높이로 위치하여 운반대차가 더이상 이동되지 않고 바닥면으로 놓여지게 된다. 이는 운반대차 내의 틸팅부를 틸팅 시 안전하게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운반대차(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대형 전장장비(100) 보다는 큰 길이와 폭을 가지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틀프레임(15)과, 상기 틀프레임(15)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내부로 상기 승강부(30)가 마련되는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14)을 포함한다.
틀프레임(15)은 양측은 사각형의 관 형태로 상면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틸팅부의 틸팅 실린더와 받침프레임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틸팅부(20)는 틀프레임(15)의 양측에 각 일단이 공지된 방식 핀 결합 또는 힌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틸팅 실린더(22)와, 상기 각 틸팅 실린더(22)의 타단에 통상의 핀 결합 또는 힌지 결합방식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올려지는 중대형 전장장비(100)의 밑면을 받쳐주는 받침대(23)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 실린더(22)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받침프레임(24)을 포함한다.
받침프레임(24)은 중대형 전장장비가 원활하게 올려질 수 있도록 양측에 틸팅 실린더(22)와 연결되는 한 쌍의 가동프레임(24a)과, 상기 가동프레임(24a)의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받침대(23) 및 복수의 지지대(24b)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상기 받침프레임은 중대형 전장장비를 올려놓기 전에는 운반대차 측으로 눕혀진 상태로 있다가 상기 중대형 전장장비를 올려놓은 후, 이동바퀴부에 의해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한 다음 상기 틸팅 실린더(22)를 작동함에 따라 받침프레임(24)의 가동프레임(24a)이 경사지도록 세워지게 된다.
즉, 틸팅 실린더의 일단은 틀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받침프레임의 가동프레임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틸팅 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상기 받침프레임의 가동프레임을 눕히고 세울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받침프레임(24)의 끝단, 즉 가동프레임(24a)의 끝단 틀프레임(15)과 맞닿는 부분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24c)를 더 포함함으로써, 받침프레임이 틸팅시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승강부(30)는 각 모서리 프레임(14)의 내부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승강 실린더(32)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틀프레임 상에 받침프레임을 틸팅시켜 중,대형 전장장비가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에서 승강부의 승강 실린더를 작동하여 운반대차 전체를 상기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블록의 위치로 위치시킨다.
그로 인해 작업자는 승강부에 의해 상승된 받침프레임 상의 중,대형 전장장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블록으로 간단하게 밀어 넣으므로써,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중,대형 전장장비의 설치가 완료되면 승강부의 승강 실린더를 다시 하강시킴에 따라 일련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1 : 리프트장치
10 : 운반대차 12 : 이동바퀴부
12A : 승강축 12a : 고정홀더
12b : 스토퍼 12c : 손잡이
12d : 이동바퀴 14 : 모서리 프레임
15 : 틀프레임 20 : 틸팅부
22 : 틸팅 실린더 23 : 받침대
24 : 받침프레임 24a : 가동프레임
24b : 지지대 24c : 롤러
30 : 승강부 32 : 승강 실린더
100 : 중대형 전장장비

Claims (6)

  1. 모서리에 승강되는 각각의 이동바퀴부가 구비되는 운반대차;
    상기 운반대차에 설치하고자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가 올려지고, 그 올려진 중,대형 전장장비를 경사지게 세울 수 있도록 마련되는 틸팅부; 및
    상기 운반대차의 모서리에 그 운반대차 전체를 승강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부는 운반대차의 모서리 프레임 측에 형성되는 고정홀더, 상기 고정홀더 상에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스토퍼와 손잡이가 형성되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의 하단에 구비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대차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틀프레임, 상기 틀프레임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내부로 상기 승강부가 마련되는 각각의 모서리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틀프레임의 양측에 각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각각의 틸팅 실린더, 상기 각 틸팅 실린더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올려지는 중대형 전장장비의 밑면을 받쳐주는 받침대가 형성되어 상기 틸팅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의 끝단 틀프레임과 맞닿는 부분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각 모서리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KR2020150007458U 2015-11-17 2015-11-17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Withdrawn KR201700018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58U KR20170001825U (ko) 2015-11-17 2015-11-17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458U KR20170001825U (ko) 2015-11-17 2015-11-17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25U true KR20170001825U (ko) 2017-05-25

Family

ID=5902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458U Withdrawn KR20170001825U (ko) 2015-11-17 2015-11-17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82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9787A (zh) * 2019-09-25 2019-12-06 深圳市海能达通信有限公司 搬运设备
KR20210063801A (ko) 2019-11-25 2021-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장판넬 운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324A (ko) 2008-03-31 2009-10-06 김형옥 유압잭 리프트장치
KR20130125179A (ko) 2012-05-08 2013-1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승강 장치
KR20150000772U (ko) 2013-08-16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4324A (ko) 2008-03-31 2009-10-06 김형옥 유압잭 리프트장치
KR20130125179A (ko) 2012-05-08 2013-1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량물 승강 장치
KR20150000772U (ko) 2013-08-16 2015-02-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대형 전장장비 설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9787A (zh) * 2019-09-25 2019-12-06 深圳市海能达通信有限公司 搬运设备
KR20210063801A (ko) 2019-11-25 2021-06-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장판넬 운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4750B2 (en) Rack and hoist system
US8306706B2 (en) Storage container loading/unload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CN110939785A (zh) 一种石油管道铺设安装施工方法
CN105523505A (zh) 物流箱搬运装置
CN115402393A (zh) 气体容器运送用台车
KR101796643B1 (ko) 트롤리커넥터용 승강식 이동셋팅장치
KR20170001825U (ko) 중대형 전장장비 설치용 리프트장치
KR101774321B1 (ko) 크레인 리프터
JP2012001300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KR20130036871A (ko) 하역용 운반기구
CN204116057U (zh) 一种小型叉车稳定性试验台
US11873175B2 (en) Hauling beam, hauling transporter and method for loading
KR20230113160A (ko) 드럼 홀더를 이용한 드럼 리프트 후 드럼운반장치
CN205294749U (zh) 阳极挂具升降装置
CN210554400U (zh) 一种便于装卸货物的车厢
CN207955439U (zh) 一种货车及上下料装置
US20070183882A1 (en) Removable stinger assembly for forklift and dolly
CN217708629U (zh) 一种用于大型耐火砖坯吊装运输装置
CN218403536U (zh) 一种叉车
CN220745231U (zh) 升降搬运装置
JP7627731B1 (ja) 重量物運搬装置
CN205344969U (zh) 一种物流推车
JP3240716U (ja) 地上式消火栓の搬送機構。
CN205417695U (zh) 一种物流推车
CN216508400U (zh) 一种预制管道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5111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C1204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