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929Y1 - 차단기용 리프터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929Y1
KR200482929Y1 KR2020150008639U KR20150008639U KR200482929Y1 KR 200482929 Y1 KR200482929 Y1 KR 200482929Y1 KR 2020150008639 U KR2020150008639 U KR 2020150008639U KR 20150008639 U KR20150008639 U KR 20150008639U KR 200482929 Y1 KR200482929 Y1 KR 2004829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er
lifting body
frame
guide rail
breake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승필
김종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8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9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9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9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과;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프레임에 설치되고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여, 차단기가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차단기 승강바디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차단기를 안전하게 차단기 승강바디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단기용 리프터{Lifter for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차단기용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단기를 배전반 내부로 옮기거나 배전반 내부에 위치하는 차단기를 외부로 내릴 때 사용되는 차단기용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수전과 배전 계통에서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차단기, 보호계전기, 변압기 등의 기기를 철재 외함에 수납하여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하여 주기 위한 설비이다.
차단기는 전기회로에 과전류 즉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이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류의 흐름을 끊는 기계이다
차단기는 전력 수요처에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설비 점검시 감전을 예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부하측의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차단기는 전력계통에 고장 발생시 전류를 신속하게 차단하여 사고가 확산되지 않게 막는 전력계통보호장치이다.
차단기는 유지 보수 등을 위해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배전반의 내부로 인입되게 구성될 수 있고, 차단기는 차단기용 리프터에 올려진 상태에서 배전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고, 배전반 내부에서 차단기용 리프터로 옮겨지게 인출될 수 있다.
KR 10-1058808 B1 (2011년08월23일 공고)
본 고안은 차단기가 손쉽고 안전도 높게 올려질 수 있는 차단기용 리프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과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거는 고정용 걸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구배부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는 상기 차단기가 올려지는 로어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에 세워진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과 경사진 상면을 갖고 상기 차단기가 상기 로어 플레이트로 이동되기 위해 안내되는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어 바디에 올려진 차단기의 이탈을 막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각각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차단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기 홀더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가 장착되는 배전반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차단기가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차단기 승강바디로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고 차단기를 안전하게 차단기 승강바디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용 리프터의 이동시나 보관시 가이드 레일이 하측으로 회전되어 차단기용 리프터의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가이드 레일에 의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차단기용 리프터를 보관하는 보관실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면 보다 높은 차단기 승강바디로 차단기를 손쉽게 올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의 승강시 차단기의 흔들림이나 전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 승강바디가 배전반에 고정된 상태에서 차단기가 이동될 수 있어, 차단기가 차단기 승강바디와 배전반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에 차단기가 올려지기 이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단기용 리프터의 하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단기가 가이드 레일에 진입되었을 때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단기가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진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단기용 리프터의 하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단기 및 차단기 승강바디가 상승되고 가이드 레일이 하측 방향으로 꺽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가 배전반의 전방으로 이동된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전반의 전면이 확대 도시된 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가 배전반에 고정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에 차단기가 올려지기 이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단기용 리프터의 하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단기가 가이드 레일에 진입되었을 때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단기가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단기용 리프터의 하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차단기 및 차단기 승강바디가 상승되고 가이드 레일이 하측 방향으로 꺽인 사시도이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프레임(1)과; 차단기 승강바디(3)와; 프레임(1)에 설치되고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되어 차단기 승강바디(3)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와; 차단기 승강바디(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CB: Circuit breaker)가 차단기 승강바디(3)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7)을 포함한다.
프레임(1)은 제1프레임(11)과, 제1프레임(1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프레임(12)과,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의 하부를 잇는 제3프레임(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어느 하나(11)는 다른 하나(12) 보다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에는 적어도 하나의 휠 어셈블리(14)가 설치될 수 있다. 휠 어셈블리(14)는 차단기용 리프터 이동을 도울 수 있다. 휠 어셈블리(14)는 프레임(1)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프레임(1) 및 프레임(1)에 설치되는 구성을 지지할 수 있다.
휠 어셈블리(14)는 휠(14A)와, 휠(14A)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휠 바디(14B)와, 휠 바디(14B)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프레임(1)에 장착된 휠 바디 커넥터(14C)를 포함할 수 있다.
휠(14A)은 휠 바디(14B)에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고, 휠 바디(14B)는 휠 바디 커넥터(14C)에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휠 바디 커넥터(14C)는 프레임(1)에 스크류나 리벳 등의 체결부재나 용접 등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휠 어셈블리(14)는 프레임(1)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프레임(1)을 지면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휠 어셈블리(14)는 제1프레임(11)에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고, 제2프레임(12)에 적어도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에 설치된 휠 어셈블리(14)의 개수와, 제2프레임(12)에 설치된 휠 어셈블리(14)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높이가 더 높은 프레임에 더 많은 개수의 휠 어셈블리(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승강기구(5)가 설치된 프레임에 더 많은 개수의 휠 어셈블리(14)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은 로어 프레임(15)와, 로어 프레임(15)에 세워진 한 쌍의 수직 프레임(16)(17)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16)의 상부를 잇는 어퍼 프레임(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11)의 로어 프레임(15)은 제3프레임(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6)(17))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11)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9)(20)과, 한 쌍의 수직 프레임 상부에 형성된 어퍼 프레임(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레임(12)을 구성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9)(20)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프레임(12)의 어퍼 프레임(21)은 한 쌍의 수직 프레임(19)(20) 사이의 거리 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13)은 한 쌍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프레임(13)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은 제1프레임(11)의 상부와 제2프레임(12)의 상부를 잇는 연결 프레임(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22)은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높이가 더 높은 프레임에 연결된 수평 프레임(23)과,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높이가 더 낮은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23)을 잇는 수직 프레임(2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은 승강기구(5)의 후술하는 연결부재(56)가 연결되는 승강기구 연결 프레임(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 연결 프레임(26)은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높이가 더 높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기구 연결 프레임(26)은 제1프레임(11)의 로어 프레임(15)와, 어퍼 프레임(18)의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기구 연결 프레임(26)은 제1프레임(11)의 로어 프레임(15)와, 어퍼 프레임(18)의 각각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기구 연결 프레임(26)은 제1프레임(11)의 한 쌍의 수직 프레임(16)(17)을 잇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기구 연결 프레임(26)은 제1프레임(11)의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프레임(1)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차단기(CB)가 올려지는 로어 플레이트(32)와, 로어 플레이트(22)에 세워진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32)은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로어 플레이트(32)는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용 리프터가 운반하고자 하는 차단기(CB)는 로어 플레이트(32)에 올려진 상태에서 승강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는 둘 중 어느 하나(34)가 로어 플레이트(32)의 좌측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고, 둘 중 다른 하나(36)가 로어 플레이트(32)의 우측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 각각은 로어 플레이트(32)의 측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는 차단기 승강바디(3)의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는 로어 플레이트(32)에 올려진 차단기(CB)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차단기 승강바디(3)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제3프레임(13)의 상측에 승강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최하측으로 하강되었을 때,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3프레임(1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최하측으로 하강되었을 때, 제3프레임(13)의 상면에 접촉되게 제3프레임(13)에 올려질 수 있다. 제3프레임(13)은 차단기 승강바디(3)를 지지할 수 있는 차단기 승강바디 서포터일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에는 승강기구(5)가 연결될 수 있다. 승강기구(5)는 로어 플레이트(32)와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승강기구(5)의 작동시 승강기구(5)는 차단기 승강바디(3)를 승강시킬 수 있고, 차단기(CB)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전면, 배면 및 상면이 각각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차단기(CB)는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차단기 승강바디(3)에 올려질 수 있고, 차단기 승강바디(3)의 위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의 개방된 배면을 통해 배전반으로 옮겨질 수 있다.
반대로, 차단기(CB)는 배전반의 내부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의 개방된 배면을 통해 차단기 승강바디(3)에 올려질 수 있고, 차단기 승강바디(3)의 위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으로 내려올 수 있다.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CB)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기 홀더(37)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그 운반시나 차단기 승강바디(3)의 승강시 차단기(CB)가 차단기 승강바다(3)에서 미끄러질 수 있는데, 차단기 홀더(37)는 차단기(CB)를 차단기 승강바디(3)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차단기(CB)가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낙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단기 홀더(37)는 차단기(CB)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홀(37A)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CB)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기 본체(100)와, 차단기 본체(100)가 올려지는 대차모듈(102)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모듈(102)에는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더(104)이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CB)는 슬라이더(104)의 일부가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로 삽입될 수 있고, 차단기(CB)는 슬라이더(104)의 일부가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로 삽입되었을 때 그 전후 방향 이동 및 좌우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더(104)는 측단에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로 삽입되는 돌출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CB)는 차단기(CB)의 돌출부(105)가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 옆에 위치되게 로어 플레이트(32)에 올려질 수 있고, 차단기(CB)의 돌출부(105)는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로 삽입되어 차단기 홀더(37)에 끼워질 수 있다.
차단기(CB)에는 슬라이더(104)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CB)의 슬라이더(104)를 옆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차단기(CB)를 로어 플레이트(32)에 올릴 수 있고, 차단기(CB)의 돌출부(105)가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 옆에 위치될 때, 슬라이더(104)를 잡고 있던 손을 놓고, 이때 스프링은 차단기(CB)의 돌출부(105)가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104)를 밀 수 있다.
반대로, 작업자는 차단기(CB)를 배전반 내부에 올릴 때, 슬라이더(104)를 옆으로 다시 슬라이드시킬 수 있고, 차단기(CB)의 돌출부(105)는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에서 빠져나올 수 있고, 차단기(CB)는 로어 플레이트(32)에 이동 가능하게 놓여지 수 있다.
승강기구(5)는 프레임(1)에 설치되고 승강로드(51)가 승강되게 배치된 유압 액츄에이터(52)와, 승강로드(51)에 연결된 승강로드 연결바디(54)와, 프레임(1)에 일측이 연결되고 승강로드 연결바디(54)에 감기며 차단기 승강바디(3)에 타측이 연결된 연결부재(56)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5)는 유압 액츄에이터(52)에 연결되어 승강로드(51)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유압을 작동시키는 유압 작동레버(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구(5)는 유압 액츄에이터(52)에 연결되어 유압 액츄에이터(52)의 유압을 해제하는 유압 해제핸들(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액츄에이터(52)는 작업자가 유압 작동레버(58)을 통해 작동시킬 수 있는 수동식 유압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유압 액츄에이터(52)는 프레임(1)에 설치될 수 있다. 유압 액츄에이터(52)는 프레임(1)에 세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유압 액츄에이터(52)는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와 제3프레임(13)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유압 액츄에이터(52)는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 중 높이가 더 높은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유압 액추에이터(52)는 제1프레임(11)의 로어 프레임(15)에 설치될 수 있다.
유압 작동레버(58)는 사용자가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를 수 있게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는 유압 작동레버(58)을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르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으며, 유압 액츄에이터(52)는 승강 로드(51)를 유압에 의해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로드 연결바디(54)는 승강 로드(51) 상단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승강로드 연결바디(54)는 승강 로드(51) 상단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수평 봉일 수 있다. 승강로드 연결바디(54)은 승강 로드(51)에 의해 승강 로드(51)와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승강로드 연결바디(54)는 승강 로드(51)와 함께 'T' 자형 승강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일부가 승강로드 연결바디(54)과 맞물리면서 승강로드 연결바디(54)을 따라 돌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고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차단기 승강바디(3)의 로어 플레이트(32)와,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34)(36)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프레임(1) 중 승강로드 연결바디(54)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프레임(1)에 연결고리 등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프레임(1) 중 승강기구 연결프레임(26)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6)는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고, 승강로드 연결바디(54)에는 이러한 체인의 일부가 감기는 스프로킷이 설치될 수 있다. 승강로드 연결바디(54)의 회전시 연결부재(56)는 스프로킷을 따라 돌면서 그 일단과 타단의 상대적 높이가 바뀔 수 있다.
승강 로드(51) 및 승강로드 연결바디(54)의 상승시, 승강로드 연결바디(54)에 감긴 연결부재(56)는 승강로드 연결바디(54)에 맞물려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된 일단이 상승되고, 연결부재(56)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된 일단이 차단기 승강바디(3)을 상측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반대로, 승강 로드(51) 및 승강로드 연결바디(54)의 하강시, 승강로드 연결바디(54)에 감긴 연결부재(56)는 승강로드 연결바디(54)에 맞물려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된 일단이 하강되고, 연결부재(56)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된 일단이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된 상태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의 안정적 하강을 유도할 수 있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차단기(CB)가 차단기 승강바디(3)로 용이하게 올려지거나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용이하게 내려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이드 레일(7)을 타고 넘어 차단기 승강바디(3)로 올려질 수 있고, 차단기 승강바디(3)의 위에서 가이드 레일(7)을 타고 내려와 차단기용 리프터 외부로 내려올 수 있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차단기 승강바디(3)가 최하단 높이로 하강되었을 경우, 차단기 승강바디(3)의 높이가 지면의 높이 보다 높다. 가이드 레일(7)은 차단기 차단기 승강바디(3)에 올리거나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내릴 때 그 상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차단기(CB)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이드 레일(7)는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7A)(7B)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7A)(7B)을 포함할 경우,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로어 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가이드 레일(7A)과, 제1가이드 레일(7A)과 이격되고 로어 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가이드 레일(7A)과 함께 차단기(CB)를 안내하는 제2가이드 레일(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7A)와 제2가이드 레일(7B)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7A)와 제2가이드 레일(7B)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레일(7A)와 제2가이드 레일(7B)는 그 장착 위치 이외의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제1가이드 레일(7A)와 제2가이드 레일(7B)를 구분하여 설명할 경우에는 제1가이드 레일(7A)와 제2가이드 레일(7B)로 칭하여 설명하고,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가이드 레일(7)로 칭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레일(7)은 로어 플레이트(32)의 상면과 경사진 상면을 갖고 차단기(CB)가 로어 플레이트(22)로 이동되기 위해 타고 넘는 로어 바디(72)와; 로어 바디(72)에서 돌출되어 로어 바디(72)에 올려진 차단기의 이탈을 막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7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사이드 바디(74)는 로어 바디(72)의 측단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사이드 바디(74)는 로어 바디(72)의 측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어퍼 돌출부와, 로어 바디(72)의 측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로어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아우터 사이드 바디(74)의 로어 돌출부를 마주보는 로어 사이드 바디(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사이드 바디(76)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74)의 로어 돌출부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차단기 승강바디(3)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구배부(78)(80)를 갖을 수 있다.
구배부(78)(80)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74)의 앞부분에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 제1구배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구배부(78)(80)는 로어 사이드 바디(76)의 앞부분에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게 형성된 제2구배부(8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는 수평 회전축(82)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에는 수평 회전축(8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 지지부(42)는 차단기 승강바디(3)의 선단 또는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최대로 상승되게 회전되었을 때 차단기 승강바디(3)에 걸리는 스토퍼(8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는 차단기(CB)를 차단기 승강바디(3)에 올리거나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내릴 때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방향으로 길게 돌출되게 회전될 수 있고, 차단기용 리프터의 이동이나 보관시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 하측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회전될 수 있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7)과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5)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86)은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86)은 레일(7)을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일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86)의 일단부는 가이드 레일(7)의 저면으로 연장되거나 가이드 레일(7)에 형성된 삽입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86)은 차단기 승강바디(3)에 접촉되는 타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7)을 차단기 승강바디(3)에 거는 고정용 걸쇠(8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에는 고정용 걸쇠(88)의 일부가 진입되어 걸리는 걸쇠 걸이구(9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용 걸쇠(88)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연결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7)을 걸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고정용 걸쇠(88)에 걸어졌을 때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 하측에 수직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고정용 걸쇠(88)가 걸쇠 걸이구(90)에서 빠져 나오기 전까지 그 상측 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가 배전반의 전방으로 이동된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전반의 전면이 확대 도시된 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차단기용 리프터가 배전반에 고정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
차단기용 리프터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구비되어 차단기 승강바디(3)를 배전반(DB)에 고정시키는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 승강기구 홀더(38)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구비되어 차단기(CB)를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배전반(DB) 내부로 옮길 때 차단기용 리프터가 이동되지 않게 차단기 승강바디(3)를 배전반(D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배전반(DB)에는 차단기(CB)가 수용되는 차단기실(202)와, 변압기(미도시)가 수용되는 변압기실(20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전반(DB)는 상측의 차단기실(202)과 하측의 변압기실(204)을 구획하는 파티션(206)을 포함할 수 있다.
파티션(206)의 상면은 차단기실(202)를 형성할 수 있고, 파티션(206)의 하면은 변압기실(204)를 형성할 수 있다.
배전반(DB)는 차단기실(202)와 변압기실(204)를 구획하는 파티션(206)의 번방에 배치된 프론트 커버(2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기(CB)를 배전반 내부로 옮기거나 배전반 내부의 차단기(CB)를 차단기 승강바디(3)에 옮길 때, 차단기용 리프터가 이동되어 배전반과 이격되면, 차단기(CB)가 차단기 승강바디(3)와 배전반 사이로 낙하될 수 있고, 차단기(CB)의 이동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는 배전반(DB)에 형성된 삽입부(210)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 핀(39)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10)는 파티션(206) 또는 프론트 커버(208)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0)은 파티션(206) 또는 프론트 커버(208)에 형성된 경우 함몰된 형상의 삽입홈부로 구성될 수 있다.
걸이 핀(39A)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걸이 핀(39)는 삽입부(210)의 상측에서 삽입부(210)로 삽입되어 삽입부(210)에 끼워질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걸이 핀(39)는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는 차단기 승강바디(3)의 후면에 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는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단기(CB)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차단기실(202)로 이동되거나 차단기실(202)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로 ?グ保? 때,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의 상면에 안내될 수 있다.
이하, 차단기용 리프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단기 승강바디(3)은 승강기구(5)에 의해 하강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7)은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에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전방 방향 또는 전방 하측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되게 펼쳐질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CB)를 가이드 레일(7)로 올릴 수 있고, 가이드 레일(7)을 따라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차단기(CB)는 가이드 레일(7)을 따라 안내되면서 가이드 레일(7)을 타고 넘을 수 있고, 가이드 레일(7)의 위에서 차단기 승강바디(3)의 위로 옮겨질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CB)의 슬라이더(104)를 옆으로 슬라이드시킨 상태에서 차단기(CB)의 돌출부(105)가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 옆에 위치되게 차단기(CB)를 이동시키고, 슬라이더(104)를 잡고 있던 손을 놓을 수 있다.
차단기(CB)의 돌출부(105)는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로 삽입되어 걸릴 수 있고, 차단기(CB)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기(CB)가 차단기 승강바디(3)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유압 작동레버(58)를 수차례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를 수 있고, 유압 액츄에이터(52)는 유압 작동레버(58)의 작동에 의해 승강 로드(51)를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 로드(51)의 상승시 승강 로드 연결바디(54)는 승강 로드(51)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연결부재(56)는 승강 로드 연결바디(54)의 외주면을 따라 돌면서 차단기 승강바디(3)를 상승시킬 수 있다.
차단기 승강바디(3)는 그 위에 올려진 차단기(CB)와 함께 상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기 승강바디(3)의 상승시, 가이드 레일(7)은 자중에 의해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 승강바디(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 레일(7)를 고정용 걸쇠(88)에 근접하게 회전시켜 고정용 걸쇠(88)에 걸 수 있다. 가이드 레일(7)은 고정용 걸쇠(88)에 걸렸을 때 차단기 승강바디(3)의 전방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레일(7)을 고정용 걸쇠(88)에 건 상태에서 작업자는 차단기용 리프터를 배전반(DB)의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의 걸이 핀(39)이 배전반(DB)의 삽입부(210) 위에 위치되게 차단기용 리프터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유압 작동레버(58)를 조작할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의 걸이 핀(39)이 배전반(DB)의 삽입부(210)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유압 해제레버(60)을 조작할 수 있다. 유압 해제레버(60) 조작시 승강 로드(51) 및 승강 로드 연결바디(54)는 하강될 수 있고, 차단기 승강바디(3)는 연결부재(56)에 연결된 상태에서 하강될 수 있으며, 차단기 승강바디(3)의 하강시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의 걸이 핀(39)은 배전반(DB)의 삽입부(210)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단기 승강바디(3)의 고정시, 차단기 승강바디(3)는 배전반(DB)에 고정될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판 승강바디(3)에 고정된 차단기(CB)의 슬라이더(104)를 옆으로 슬라이드시켜 차단기(CB)의 돌출부(105)를 차단기 홀더(37)의 삽입홀(37A)에서 빼낼 수 있고, 이후 차단기(CB)를 배전반(DB)의 차단기실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차단기(CB)는 차단기 승강바디(3)의 위에서 배전반의 차단기실 내부로 진입될 수 있고, 배전반의 차단기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 승강바디(3)를 배전반(DB)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유압 작동레버(58)를 수차례 발로 밟거나 손으로 누를 수 있고,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38)의 걸이 핀(39)은 배전반(DB)의 삽입부(210)에서 위로 빠져나와 배전반(DB)와 분리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조작으로 차단기(C)를 배전잔의 차단기실로 옮길 수 있고, 타 작업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차단기(CB)를 배전반의 차단기실에서 외부로 인출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차단기(CB)의 인입시와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작업자는 차단기(CB)를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내리는 작업을 위해, 고정용 걸쇠(88)를 가이드 레일(7)에서 빼낼 수 있고, 이때, 가이드 레일(7)은 스프링(86)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차단기(CB)를 차단기 승강바디(3)에서 내릴 때, 가이드 레일(7)은 지면과 차단기 승강바디(3)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단기(CB)를 안내할 수 있고, 차단기(CB)는 차단기 승강바디(3) 위에서 지면으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프레임 3: 차단기 승강바디
5: 승강기구 7: 가이드 레일
7A: 제 1 가이드 레일 7B: 제 2 가이드 레일
32: 로어 플레이트 34,36: 어퍼 플레이트
37: 차단기 홀더 38: 차단기 승강바디 홀더
51: 승강로드 52: 유압 액츄에이터
54: 승강로드 연결바디 56: 연결부재
58: 유압 작동레버 60: 유압 해제핸들
72: 로어 바디 74,76: 아우터 사이드 바디
78,80: 구배부 86: 스프링
88: 고정용 걸쇠

Claims (8)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과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차단기용 리프터.
  2. 삭제
  3.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거는 고정용 걸쇠를 더 포함하는 차단기용 리프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와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차 얇아지는 구배부를 갖는 차단기용 리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는
    상기 차단기가 올려지는 로어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에 세워진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과 경사진 상면을 갖고 상기 차단기가 상기 로어 플레이트로 이동되기 위해 안내되는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어 바디에 올려진 차단기의 이탈을 막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는 차단기용 리프터.
  6.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는
    상기 차단기가 올려지는 로어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에 세워진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과 경사진 상면을 갖고 상기 차단기가 상기 로어 플레이트로 이동되기 위해 안내되는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어 바디에 올려진 차단기의 이탈을 막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각각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차단기용 리프터.
  7.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는
    상기 차단기가 올려지는 로어 플레이트와;
    상기 로어 플레이트에 세워진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로어 플레이트의 상면과 경사진 상면을 갖고 상기 차단기가 상기 로어 플레이트로 이동되기 위해 안내되는 로어 바디와;
    상기 로어 바디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어 바디에 올려진 차단기의 이탈을 막는 아우터 사이드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퍼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차단기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차단기 홀더가 형성된 차단기용 리프터.
  8.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차단기 승강바디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차단기가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올려지기 위해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승강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가 장착되는 배전반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되어 걸리는 걸이 핀을 포함하는 차단기용 리프터.
KR2020150008639U 2015-12-30 2015-12-30 차단기용 리프터 KR2004829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39U KR200482929Y1 (ko) 2015-12-30 2015-12-30 차단기용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639U KR200482929Y1 (ko) 2015-12-30 2015-12-30 차단기용 리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929Y1 true KR200482929Y1 (ko) 2017-03-16

Family

ID=5849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639U KR200482929Y1 (ko) 2015-12-30 2015-12-30 차단기용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92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123A (ja) * 2001-03-27 2002-10-04 Fuji Electric Co Ltd 盤内設置機器の引出し装置
KR101058808B1 (ko) 2009-07-01 2011-08-23 (주)세계테크원 차단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리프터
JP5191504B2 (ja) * 2010-03-10 2013-05-08 中国電力株式会社 昇降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123A (ja) * 2001-03-27 2002-10-04 Fuji Electric Co Ltd 盤内設置機器の引出し装置
KR101058808B1 (ko) 2009-07-01 2011-08-23 (주)세계테크원 차단기를 승하강 시키기 위한 리프터
JP5191504B2 (ja) * 2010-03-10 2013-05-08 中国電力株式会社 昇降搬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757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078955B1 (ko) 회로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1779670B1 (ko)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CN207116958U (zh) 一种新型组合式开关柜
CA2887771C (en)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and method of racking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therefor
KR101071097B1 (ko) 진공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200482929Y1 (ko) 차단기용 리프터
CN210273164U (zh) 一种抽拉式交流开关柜
KR20110118625A (ko) 물품 수납 설비
KR101191571B1 (ko) 기중 차단기
KR200485946Y1 (ko) 차단기 운송용 리프터
KR200470263Y1 (ko) 모니터 승강장치
KR200489519Y1 (ko) 진공차단기의 플러그 인터록 장치
KR102602302B1 (ko) 배전반의 컨트롤 잭 자동 동작 어셈블리
JP5547240B2 (ja) スイッチギヤ及び該スイッチギヤの撤去方法
JP6658581B2 (ja) 昇降機能付スイッチギヤ
JP2959552B1 (ja) 閉鎖形配電盤のシャッタ装置
CN213753585U (zh) 一种低压开关柜
JP2015122929A (ja) リフター
CN211909405U (zh) 一种消防工程用升降式电气控制柜
CN218525958U (zh) 一种开关柜的避雷器安装设备
CN113241652B (zh) 一种可变型调节的中置柜转运车
CN213847354U (zh) 电源控制器
CN216720692U (zh) 一种装修用可移动配电箱
CN221340642U (zh) 一种钣金件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