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63Y1 - 모니터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63Y1
KR200470263Y1 KR2020110009088U KR20110009088U KR200470263Y1 KR 200470263 Y1 KR200470263 Y1 KR 200470263Y1 KR 2020110009088 U KR2020110009088 U KR 2020110009088U KR 20110009088 U KR20110009088 U KR 20110009088U KR 200470263 Y1 KR200470263 Y1 KR 200470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lifting
plate
eleva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391U (ko
Inventor
오병석
Original Assignee
이광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임 filed Critical 이광임
Priority to KR2020110009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6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07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under-desk displays, e.g. displays being viewable through a transparent working surface of the table or des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5Monitor mounted supports or st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니터 출입구멍이 형성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모니터 출입구멍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부에 모니터가 고정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모니터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양측에 접속되는 승강와이어와; 테이블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승강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도르레와; 상기 각 승강와이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량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니터를 사용할 때에 모니터를 테이블 상부면 상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모니터를 테이블 하부면 하부 공간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 상부면 전체 면적을 활용하여 사무를 보거나 학습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니터 승강장치 {a monitor elevator apparatus}
본 고안은 모니터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모니터를 사용할 때에는 테이블 상부면의 상부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 하부면의 하부로 모니터를 하강시켜 보관함으로써 테이블 상부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강의용으로 사용되는 모니터는 테이블의 상부면에 설치되는데, 모니터를 사용할 때에는 물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테이블의 상부면에 그대로 위치되기 때문에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는 사무를 보거나 학습을 할 때에 테이블 상부면의 전체 면적 중에서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모니터를 사용할 때에는 테이블 상부면의 상부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 하부면의 하부로 하강시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테이블 상부면의 전체 면적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그 다른 목적이 모니터의 승강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모니터의 승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는 모니터 출입구멍이 형성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모니터 출입구멍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부에 모니터가 고정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 및 모니터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양측에 접속되는 승강와이어와; 테이블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승강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도르레와; 상기 각 승강와이어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량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승강플레이트는 받침부의 상부 중앙에 상기 테이블의 모니터 출입구멍과 대응되는 장방형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승강가이드 접속구멍과 전선 인출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와이어는 승강플레이트의 일측 전방과 후방, 타측 전방과 후방에 모두 4개가 접속되고, 승강와이어의 이송을 지지하는 도르레는 테이블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가 설치된다.
아울러 중량추는 승강와이어가 접속되는 포켓에 수납 설치되어 포켓에 수납되는 중량추의 무게를 가감하는 것에 의해 승강플레이트 및 모니터의 승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의하면 모니터를 사용할 때에 모니터를 테이블 상부면 상부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모니터를 테이블 하부면 하부 공간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 상부면 전체 면적을 활용하여 사무를 보거나 학습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는 승강플레이트의 양측 전방과 후방에 각각 승강와이어가 접속되어 승강플레이트 및 모니터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중량추의 무게를 가감하는 것에 의해 모니터의 승강 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동 실시예의 모니터 사용상태의 정면도
도 2b는 동 실시예의 모니터 보관상태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a에는 동 실시예의 모니터 사용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동 실시예의 모니터 보관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b과 같이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100)는 모니터 출입구멍(111)이 형성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120)와; 상부에 모니터(200)가 고정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13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130)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14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130)의 양측에 접속되는 승강와이어(150)와; 테이블(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승강와이어(150)의 이동을 지지하는 도르레(160)와; 상기 각 승강와이어(150)의 일단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중량추(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100)에 모니터 출입구멍(111)을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120)는 한 번 눌렀을 때에 걸림상태가 되고, 다시 한 번 눌렀을 때에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공지의 푸시푸시구조의 록킹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열쇠를 통해 잠글 수 있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은 승강플레이트(130)의 돌출부(132)와 대응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승강플레이트(130)는 장방형의 받침부(131)의 상부 중앙에 상기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과 대응되는 장방형의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부(131)의 양측에 각각 승강가이드 접속구멍(133)과 전선 인출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가이드(140)는 테이블(110)의 하부에 일정 거리만큼 이격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막대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100)에 있어서 승강플레이트(130)의 승강을 지지하기 위한 승강가이드(140)는 레일홈을 갖는 수직레일형 등의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승강가이드(140)를 수직레일형으로 구성할 때에는 승강플레이트(130)에 승강가이드(140)의 레일홈에 결합되는 레일돌기를 마련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강와이어(150)는 승강플레이트(130)의 일측 전방과 후방, 타측 전방과 후방에 모두 4개가 접속되어 있고, 승강와이어(150)의 이송을 지지하는 도르레(160)는 테이블(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량추(170)는 2개의 승강와이어(150)가 접속되는 포켓(180)에 수납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포켓(180)에 수납되는 중량추(170)의 무게를 가감하는 것에 의해 승강플레이트(130) 및 모니터(200)의 승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12는 테이블 지지다리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100)에 있어서는 모니터(200)를 사용하지 않고 테이블(110)의 전체 면적을 모두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모니터(200)를 테이블(110)의 아래쪽으로 하강시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고, 모니터(2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 테이블(110) 아래에서 테이블(110) 위로 상승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모니터 승강장치(100)에 있어서 한 쌍의 포켓(180)에 수납되는 중량추(170)의 총 무게는 모니터(200)와 승강플레이트(130)를 포함한 승강하는 구성 부품의 총 무게보다 더 무겁도록 설정되며, 그에 따라 각 중량추(170)는 항상 각 승강와이어(150)를 하부로 당기게 되고, 각 승강와이어(150)에 접속된 승강플레이트(130) 및 모니터(200)는 항상 상승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을 개폐하는 커버플레이트(120)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모니터(200)가 테이블(110) 위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모니터(200)를 테이블(110) 아래로 하강시킨 후 커버플레이트(120)를 닫아 모니터(200)의 상승을 억제하게 되면 모니터(200)를 테이블(110) 하부 공간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테이블(110) 상부면 전체 면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b와 같이 테이블(110)의 하부 공간에 보관중인 모니터(2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커버플레이트(120)를 열어 모니터 출입구멍(111)을 개방하게 되면 각 중량추(170)가 하강하면서 승강와이어(150)를 하부로 당기게 되며, 그에 따라 승강플레이트(130) 및 모니터(200)가 상승하게 되면서 테이블(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모니터(200) 및 승강플레이트(130)의 상승은 도 2a와 같이 모니터(200)가 완전히 인출되고 승강플레이트(130)의 받침부(131)가 테이블(110)의 하부면에 닿게 될 때까지 진행되며, 중량추(170)의 총 무게가 무거울수록 모니터(200)의 상승속도가 빨라지게 되므로 포켓(180)에 적당 무게의 중량추(170)를 넣어 너무 빠르지도 않고 늦지도 않은 적당한 상승 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모니터(200)의 사용을 마친 후에 테이블(110)의 하부 공간으로 모니터(200)를 보관하여 테이블(110) 상부면의 전체 면적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모니터(200)의 상단부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모니터(200)와 승강플레이트(130)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되며, 모니터(200)의 상단면을 테이블(110)의 하부면 아래까지 하강된 상태에서 커버플레이트(120)로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을 밀폐하게 되면 모니터(200) 및 승강플레이트(130)의 상승이 억제되고, 모니터(200)가 테이블(110) 하부 공간에 안전하게 보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모니터 승강장치
110 : 테이블
111 : 모니터 출입구멍
120 : 커버플레이트
130 : 승강플레이트
140 : 승강가이드
150 : 승강와이어
160 : 도르레
170 : 중량추
180 : 포켓
200 : 모니터

Claims (3)

  1. 모니터 출입구멍(111)이 형성되는 테이블(110)과; 상기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120)와; 상부에 모니터(200)가 고정 설치되는 승강플레이트(13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130)의 승강을 지지하는 승강가이드(14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130)의 양측에 접속되는 승강와이어(150)와; 테이블(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승강와이어(150)의 이동을 지지하는 도르레(160)와; 상기 각 승강와이어(150)의 일단에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중량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 승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130)는 받침부(131)의 상부 중앙에 상기 테이블(110)의 모니터 출입구멍(111)과 대응되는 장방형의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받침부(131)의 양측에 각각 승강가이드 접속구멍(133)과 전선 인출구멍(134)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와이어(150)는 승강플레이트(130)의 일측 전방과 후방, 타측 전방과 후방에 모두 4개가 접속되고, 승강와이어(150)의 이송을 지지하는 도르레(160)는 테이블(110)의 하부면 양측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가 설치되며, 상기 중량추(170)는 승강와이어(150)가 접속되는 포켓(180)에 수납 설치되어 포켓(180)에 수납되는 중량추(170)의 무게를 가감하는 것에 의해 승강플레이트(130) 및 모니터(200)의 승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10009088U 2011-10-12 2011-10-12 모니터 승강장치 KR200470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88U KR200470263Y1 (ko) 2011-10-12 2011-10-12 모니터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088U KR200470263Y1 (ko) 2011-10-12 2011-10-12 모니터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391U KR20130002391U (ko) 2013-04-22
KR200470263Y1 true KR200470263Y1 (ko) 2013-12-06

Family

ID=50750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088U KR200470263Y1 (ko) 2011-10-12 2011-10-12 모니터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71A (ko) 2018-06-26 2020-01-06 오병석 모니터 승하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763B1 (ko) * 2015-09-23 2016-10-17 주식회사 케이피 모니터 승강장치 및 키보드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책상
KR200487423Y1 (ko) * 2017-06-16 2018-09-13 정증자 책상 일체형 모니터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01U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모니터 수납장치
KR20060058674A (ko) * 2006-02-01 2006-05-30 (주)삼양 이.에프 컴퓨터용 책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201U (ko) * 1998-10-31 2000-05-25 전주범 모니터 수납장치
KR20060058674A (ko) * 2006-02-01 2006-05-30 (주)삼양 이.에프 컴퓨터용 책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871A (ko) 2018-06-26 2020-01-06 오병석 모니터 승하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391U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263Y1 (ko) 모니터 승강장치
KR100720656B1 (ko) 모니터 수납형 책상
CN107259791A (zh) 一种适合笔记本电脑用多功能办公桌
US11096484B2 (en) Lifting cabinet and device thereof
CA3063414C (en) A lifting cabinet and device thereof
CN111657688B (zh) 一种升降抽屉
KR101153157B1 (ko) 모니터 승강장치
KR101158807B1 (ko) 립스틱용기
CN105298377B (zh) 一种移动式多功能工作梯
CN203563874U (zh) 一种无柜门式电动储物柜
CN211354782U (zh) 一种移动式升降展示道具
CN203399852U (zh) 一种具备防翻倒功能的活动柜
CN209651684U (zh) 一种便于调节空间大小的货物运输用电梯
CN209807653U (zh) 登高抽屉柜
CN103637562A (zh) 一种无柜门式电动储物柜
JP4046419B2 (ja) ディスプレイを内蔵する机
CN205565464U (zh) 高度可调的组合式电力检修凳
CN213959943U (zh) 一种新型直流稳压电源保护装置
CN219175799U (zh) 一种装修设计用升降作业平台
KR10242018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CN214924252U (zh) 固定分隔柜
CN107686080A (zh) 一种绝缘斗
JPS6349787B2 (ko)
CN210696809U (zh) 一种升降床
CN215532898U (zh) 一种基于射频技术的存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