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26B1 -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26B1
KR102631026B1 KR1020210175029A KR20210175029A KR102631026B1 KR 102631026 B1 KR102631026 B1 KR 102631026B1 KR 1020210175029 A KR1020210175029 A KR 1020210175029A KR 20210175029 A KR20210175029 A KR 20210175029A KR 102631026 B1 KR102631026 B1 KR 102631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der
fixed
fixing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6418A (ko
Inventor
신승훈
이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26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서 배전선로에 케이블을 입상하기 위해 마련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 상부지지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홀더, 케이블홀더에 연결되며 케이블과 고정되는 케이블 인류클램프를 포함하여 변압기 등이 설치된 전주에도 바이패스 케이블이 용이하게 입상하여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FIXING APPARATUS OF BYPASS CABLE}
본 발명은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에 설치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고정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전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 반면 전력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배전선로의 신설 및 유지보수를 위한 공사시 작업정전을 줄여 양질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작업중에도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 배전공법은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한 무정전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들어 직접활선공법의 위험성이 대두되면서 발주처인 한국전력공사에서 2017년부터 직접활선공법을 폐지하고 간접활선공법을 활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도입하기로 하면서 공구 및 공법개발이 전체 공정의 10% 정도로 미비한 상태에서 적용을 서두르고 있어 간접활선공법과 직접활선공법 병용으로 인한 혼란으로 활선전공의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노동강도 및 체력의 한계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어 현장 활용이 불가능한 상태로 어려운 현실을 전력분야 신문 등 언론에 연일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종전의 직접활선공법은 활선전공이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활선 상태의 특고압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을 하는 것과 달리 간접활선공법은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약 2m 길이의 활선용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활선상태의 특고압 배전선선로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공법이다.
한편, 무정전 배전공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활선용바이패스점퍼케이블, 공사용개폐기, 무정전변압기차,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활용하는데, 이 공법은 반드시 직접활선 또는 간접활선으로 공사용케이블클램프를 특고압전력선에 설치하고, 점퍼선 분리 압축이 수반된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정전 배전공법은 반드시 케이블클램프(3) 설치공정이 수반되는데, 먼저 특고압전력선(6)에 케이블임시걸이(2)를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가지지크리트(4)에 임시로 거치된 바이패스케이블(7)을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2)에 임시로 고정을 시킨 다음 활선용 피박기를 사용하여 특고압전력선(6)의 피복을 제거한 후, 또다시 활선작업용스틱(5)을 사용하여 케이블임시걸이(2)에 임시로 고정되어 있는 케이블클램프(3)를 피복이 제거된 특고압전력선(6)에 걸어놓고 케이블 회전장치를 케이블클램프(3)에 끼운 다음 간접활선용 회전기능 스틱을 사용하여 접속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가지지크리트(4)는 전주에 설치되어 특고압전력선(6)을 전주에 임시로 거치하게 되는데, 전주의 가지지크리트(4)가 설치될 위치에 변압기, COS 등의 장애물이 설치된 경우 가지지크리트(4)를 설치할 수 없으며 작업자는 가지지크리트의 설치를 생략하고 무정전 배전공법을 시행하는 비표준 편법시공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완철에 설치되어 변압기, 컷아웃스위치 등의 장애물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단일형 완철과 겹완철 모두 설치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은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지지대, 고정금구, 연결금구, 홀더지지대, 케이블홀더, 케이블 인류클램프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공중에서 진행되는 설치공정이 대폭 축소되며,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이패스 케이블이 케이블 인류클램프에서 한번 고정된 후 완철의 상측에서 한번 더 거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에서 배전선로에 케이블을 입상하기 위해 마련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 상부지지대에 연결되어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홀더, 케이블홀더에 연결되며 케이블과 고정되는 케이블 인류클램프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지지대는 완철의 길이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이 완철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며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부지지대의 타단에 상부지지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며 케이블홀더가 고정되고 완철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홀더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는 상부지지대의 타단에 홀더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연결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금구는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홀더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단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부지지대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대는 타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홀더는 홀더지지대에 고정되는 홀더지지대 체결부, 홀더지지대 체결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케이블이 안착되는 홀더부, 홀더지지대 체결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케이블 인류클램프가 연결되는 링 형상의 걸이용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부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안착홀을 구비하여 케이블이 안착되는 홀더부 몸체, 홀더부 몸체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안착홀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가로막으며 케이블을 안착홀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는 완철이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서 양단이 한쌍의 완철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관통볼트를 구비하고, 상부지지대의 완철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복수의 관통볼트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금구는 상부지지대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금구 몸체, 고정금구 몸체에 구비되어 관통볼트와 고정되는 잠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관통볼트가 삽입되도록 고정금구 몸체의 일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잠금부, 고정금구 몸체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관통볼트를 잠금부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잠금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는 완철에 고정되어 상부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의 설치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설치금구는 완철과 고정되는 설치금구 몸체, 설치금구의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설치금구 몸체와 대향되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치금구 몸체는 완철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완철 삽입홀, 완철 삽입홀과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조임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지지대의 완철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복수의 설치부재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금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인류클램프는 케이블홀더에 형성된 걸이용 고리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일단이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연결로프, 연결로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케이블과 고정되는 클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홀이 좁아지게 형성된 클램프 몸체, 연결로프의 타단과 연결되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케이블을 장악하는 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완철에 설치되어 변압기, 컷아웃스위치 등의 장애물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단일형 완철과 겹완철 모두 설치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지지대, 고정금구, 연결금구, 홀더지지대, 케이블홀더, 케이블 인류클램프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공중에서 진행되는 설치공정이 대폭 축소되며,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이패스 케이블이 케이블 인류클램프에서 한번 고정된 후 완철의 상측에서 한번 더 거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고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력 케이블용 접속함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상부지지대와 고정금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연결금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케이블홀더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케이블 인류클램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설치금구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상부지지대와 고정금구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연결금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케이블홀더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케이블 인류클램프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의 설치금구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는 지상에서 배전선로에 케이블(20)을 입상하기 위해 마련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완철(30)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300), 상부지지대(300)에 연결되어 케이블(20)을 지지하는 케이블홀더(600), 케이블홀더(600)에 연결되며 케이블(20)과 고정되는 케이블 인류클램프(7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는 지상에서 배전선로에 케이블(20)을 입상하기 위해 완철(30)에 설치되며 바이패스 케이블(20)이 케이블 인류클램프(700)에 일정 높이에 고정된 후 케이블홀더(600)에 안착되며 한번 더 거치되도록 마련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는 겹완철 장주에 설치되기 위해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금구(200), 상부지지대(300), 연결금구(400), 홀더지지대(500), 케이블홀더(600), 케이블 인류클램프(700)로 구성되어 유닛 형태로 제공된다.
완철(3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겹완철 장주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을 지지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각각 전주(40)의 양측에 지지밴드를 매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완철(30) 사이에는 2개의 완철(30)을 관통하여 볼트와 체결되는 관통볼트(31)가 설치된다.
관통볼트(31)는 양단이 각각 2개의 완철(30)을 관통하여 볼트와 체결되며 2개의 완철(30) 사이에 고정되고, 완철(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 개로 구비된다.
상부지지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30)의 길이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이 완철(30)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며 완철(30)에 고정되며, 일예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지지대(300)는 일단이 완철(30)과 겹쳐지며 고정금구(200)를 매개로 고정되는데, 완철(30)과 겹쳐지는 길이를 조절하며 상부지지대(300)가 완철(30)에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타단에 홀더지지대(500)와 함께 케이블홀더(600)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지지대(300)는 타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결금구(400)의 제2 고정부(42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단부(310)를 구비하여 홀더지지대(500)와 고정된다.
체결단부(31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고정부(420)에 삽입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금구(400)와 완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고정금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부지지대(300)의 완철(30)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통볼트(31)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금구(200)는 상부지지대(300)와 고정되는 고정금구 몸체(210)와, 관통볼트(31)와 고정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된다.
고정금구 몸체(21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지지대(300)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상부지지대(30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사각홀 형태의 상부지지대(300)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수단은 관통볼트(31)가 고정금구 몸체(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금구 몸체(210)에 마련되며 잠금부(212)와 잠금편(220)으로 구성된다.
잠금부(212)는 관통볼트(31)가 삽입되도록 고정금구 몸체(210)의 일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완철(30)의 폭방향 양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잠금부(212)는 고정금구 몸체(210)의 하단에 'ㄴ' 형상의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고정금구 몸체(210)의 하단면과 돌기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쪽으로 관통볼트(31)가 삽입된 후 잠금편(220)의 안쪽에서 고정될 수 있다.
잠금편(220)은 고정금구 몸체(210)의 잠금편 힌지부(211)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관통볼트(31)를 잠금부(212)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잠금편(220)은 바 형태로 마련되어 고정금구 몸체(210)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 중 잠금부(212)의 상측에 위치한 잠금편 힌지부(211)에 힌지 연결되고, 잠금편 힌지부(211)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관통볼트(31)를 지지하는 잠금돌기(221)를 구비하며, 반대측에는 간접활선용 공구가 접속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링 형상의 공구용 고리(2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잠금편(220)은 잠금편 힌지부(211)에 연결되되 스프링을 매개로 연결되어 잠금돌기(221)가 관통볼트(31)를 탄성 지지한다. 즉, 잠금돌기(221)는 관통볼트(31)의 잠금부(212)의 안쪽에 지지된 부분의 반대측을 지지함에 따라 잠금부(212)에 삽입된 관통볼트(31)의 이탈을 방지한다.
잠금돌기(221)는 잠금편(220)의 일측단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잠금부(212)를 폐쇄하는 절곡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공구용 고리(222)는 간접활용 공구를 이용하여 잠금돌기(221)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되고, 도면을 기준으로 공구용 고리(222)에 외력을 가하지 않으면 잠금편(220)이 스프링에 의해 잠금편 힌지부(21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잠금부(212)에 구속된 관통볼트(31)를 탄성 지지한다.
또한, 공구용 고리(222)에 외력을 가하여 잠금편(2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잠금돌기(221)가 상측으로 이동하며 잠금부(212)를 개방하고, 관통볼트(31)가 잠금부(212)에서 분리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홀더지지대(500)는 상부지지대(300)의 타단에 복수의 케이블홀더(600)를 설치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완철(30)의 폭방향으로 긴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지지대(300)의 타단에 상부지지대(300)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결된다.
연결금구(400)는 상부지지대(300)의 타단에 홀더지지대(500)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제1 고정부(410)를 구비하며 타측에 제2 고정부(420)를 구비한다.
제1 고정부(410)는 연결금구(400)의 일측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홀더지지대(500)가 삽입되는 홀 형태로 형성되어 홀더지지대(500)와 고정된다.
제2 고정부(420)는 연결금구(400)의 타측에 단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부지지대(300)의 타단이 삽입되는 홈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지지대(300)의 타단과 고정된다.
또한, 연결금구(400)는 제1 고정부(410)에 홀더지지대(500)가 삽입되며 제2 고정부(420)에 상부지지대(300)의 타단이 삽입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의 열융착을 통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홀더(600)는 복수 개의 케이블(20)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블(20)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지지대(300)에 연결되되 상부지지대(300)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어 케이블(20)이 안착된다.
이러한 케이블홀더(6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지지대(500)와 고정되는 홀더지지대 체결홀(611), 케이블(20)을 지지하는 홀더부(620), 및 케이블 인류클램프(700)와 고정되는 걸이용 고리(640)로 구성된다.
홀더지지대 체결부(61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방면과 후방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되 홀더지지대(50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홀더지지대 체결부(610)를 구비하고, 홀더지지대 체결부(610)에 홀더지지대(500)가 삽입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의 열융착을 통해 홀더지지대(500)와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홀더부(620)는 홀더지지대 체결부(610)의 상단에 구비되어 고정되며 케이블(20)이 안착되도록 홀더부 몸체(621)와 지지편(630)으로 구성된다.
홀더부 몸체(621)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안착홀(622)을 구비하여 케이블(20)이 안착되며, 일예로, 가운데가 하측으로 벤딩되어 형성된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쪽으로 케이블(2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특히, 홀더부 몸체(621)는 양단이 완철(3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홀더부 몸체(621)의 가운데에 안착된 케이블(20)이 완철(3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그리고, 케이블(20)은 홀더지지대(500)의 상부지지대(300) 반대측에서 입상하여 홀더부 몸체(621)에 안착되면 홀더부(620)의 안착홀(622)을 통과한 후 상부지지대(300) 측으로 가이드되어 전력선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홀더부(620)는 홀더부 몸체(621)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안착홀(622)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가로막으며 케이블(20)을 안착홀(622)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편(630)을 구비한다.
이러한 홀더부(620)는 홀더부 몸체(621)의 상측단 중 한쪽에 지지편(630)이 스프링 힌지 연결되는 지지편 힌지부(623)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편(630)은 지지편 힌지부(623)를 기준으로 일측에 안착홀(622)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가로막으며 케이블(20)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632)를 구비하고, 반대측에 간접활선용 공구가 연결되는 공구 지지부(631)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공구 지지부(631)에 간접활선용 공구를 연결하여 지지편(630)을 회전시키면 케이블 지지부(632)가 안착홀(622)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개방하게 되고, 지지편(630)에 가하던 외력을 제거하면 케이블 지지부(632)가 안착홀(622)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폐쇄하면서 케이블(20)을 탄성 지지한다.
걸이용 고리(6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홀더지지대 체결부(610)의 하단에 구비되며 고정되고 케이블 인류클램프(700)가 연결된다.
케이블 인류클램프(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홀더(600)에 연결되며 케이블(20)과 고정되도록, 연결고리(730), 연결로프(720), 및 클램프부(710)로 구성되며, 케이블홀더(600)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케이블홀더(600)에 설치된다.
연결고리(730)는 케이블홀더(600)에 형성된 걸이용 고리(640)에 연결되도록 고리몸체(731)와 레버(732)로 구성될 수 있다.
고리몸체(731)는 일측이 개구되는 고리형태 또는 후크 형태로 마련되어 내측에 걸이용 고리(640)가 체결되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레버(732)는 고리몸체(731)의 일단에 스프링 힌지 연결되어 고리몸체(731)의 타단에 형성된 회전제한부를 탄성 지지하며 고리몸체(731)의 개구된 부분을 폐쇄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레버(732)에 외력을 가하여 고리몸체(731)의 개구된 부분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고리몸체(731)는 연결로프(720)가 연결되는 제2 고리(733)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로프(720)는 홀더지지대(500)에 클램프부(710)를 매달기 위해 마련되며 일단이 클램프부(710)의 제1 고리(715)에 연결되고 타단이 연결고리(730)의 제2 고리(733)에 연결된다.
클램프부(710)는 연결로프(720)의 타단에 연결되며 케이블(20)을 장악하여 케이블(20)과 고정된다.
이러한 클램프부(710)는 클램프 몸체(711)와 쐐기(713)로 구성되며 클램프 몸체(711)와 쐐기(713) 사이로 클램프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클램프 몸체(711)는 쐐기(713)와 케이블(20)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측에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쐐기(713)를 지지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다.
이러한 클램프 몸체(711)는 일측이 상측으로 폭이 좁아지며 형성되는 가이드부(712)를 구비하고 그 내측에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가이드홀에 삽입된 쐐기(713)가 케이블(20)과 밀착되도록 지지한다.
쐐기(713)는 연결로프(720)의 타단과 연결되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케이블(20)을 장악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쐐기(713)의 상측단에는 제1 고리(715)를 구비하여 연결로프(720)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714)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쐐기(713)가 클램프 몸체(711)의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케이블(20)이 삽입되고, 쐐기(713)가 연결로프(720)에 지지되어 일정 높이에 위치되며 클램프 몸체(711)가 쐐기(713)의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면 공간이 좁아지며 케이블(20)을 장악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는 고정금구(200), 상부지지대(300), 연결금구(400), 홀더지지대(500), 케이블홀더(600), 케이블 인류클램프(700)가 서로 고정되어 유닛 형태로 마련되며, 고정금구(200)의 잠금장치를 겹완철 장주의 관통볼트(31)에 설치하여 시공된다.
이에 따라 공중에서 진행되는 설치공정을 최소화하며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케이블(20)을 고정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아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단완철 장주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는 상술한 고정금구(200), 상부지지대(300), 연결금구(400), 홀더지지대(500), 케이블홀더(600), 케이블 인류클램프(700)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설치금구(10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지지대(300)가 완철(3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복수의 고정금구(200)가 완철(30)에 설치되는 복수의 설치금구(100)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금구(200)의 잠금부(212)에는 설치금구(100)의 설치부재(130)가 삽입되어 잠금편(220)으로 고정된다.
도 11에는 설치금구(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설치금구(100)는 완철(30)에 고정되어 상부지지대(300)와 연결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고, 설치금구 몸체(110)와 설치부재(130)를 포함한다.
설치금구 몸체(110)는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완철(30)이 관통하여 삽입되는 완철 삽입홀(111)을 구비한다.
일예로, 설치금구 몸체(110)는 완철(30)이 삽입되는 'ㄷ' 형상의 제1 몸체부와 제1 몸체부의 일측단에 힌지 연결되어 타측단에 잠금되며 완철 삽입홀(111)에 완철(30)이 삽입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설치금구 몸체(110)는 완철 삽입홀(111)에 삽입된 완철(30)을 고정하기 위해 조임부재(120)를 구비한다.
조임부재(120)는 상측단에 완철(30)을 지지하는 가압부(121)를 구비하며 하측단에 간접활선용 고리가 연결되는 조임용 고리(1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조임부재(120)는 설치금구 몸체(110)의 하측면과 완철 삽입홀(111)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임부재 체결홀(112)에 나사 체결되고, 조임부재 체결홀(112)에 조임부재(120)가 체결될수록 완철(30)이 설치금구 몸체(110)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설치부재(130)는 설치금구(100)의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설치금구 몸체(110)와 대향되며 삽입공간(131)을 형성한다.
이러한 설치부재(130)는 관통볼트(31) 대신 잠금부(212)와 체결되기 위한 구성이며,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설치할 때 잠금부(212)에 삽입된 후 잠금편(2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가 단완철 장주에 설치되어 케이블(20)을 지지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따르면, 완철(30)에 2개의 설치금구(100)를 설치한 후, 설치금구(100)에 상부지지대(300)의 고정금구(200)를 각각 체결하여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케이블(20)은 케이블 인류클램프(700)에 의해 일정 높이에서 한번 고정되고, 케이블홀더(600)에 안착되며 한번 더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전주(40)에 변압기, COS 등의 장애물(41)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1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완철(30)에 고정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케이블(2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가 완철에 설치됨에 따라 전주에 기 설치된 변압기, 컷아웃스위치 등의 장애물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단일형 완철과 겹완철 모두 설치 가능하며 케이블홀더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여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지지대, 고정금구, 연결금구, 홀더지지대, 케이블홀더, 케이블 인류클램프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공중에서 진행되는 설치공정이 대폭 축소되며, 시공편의성이 향상되며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접활선용 공구를 이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이패스 케이블이 입상하여 케이블 인류클램프에서 한번 고정된 후 완철의 상측부분인 케이블홀더에서 한번 더 거치된 후 제공됨에 따라 바이패스 케이블의 무게로 인한 작업자의 부담이 저감되고 작업시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20: 케이블
30: 완철 31: 관통볼트
40: 전주 100: 설치금구
110: 설치금구 몸체 111: 완철 삽입홀
112: 조임부재 체결홀 120: 조임부재
121: 가압부 122: 조임용 고리
130: 설치부재 131: 삽입공간
200: 고정금구 210: 고정금구 몸체
211: 잠금편 힌지부 212: 잠금부
220: 잠금편 221: 잠금돌기
222: 공구용 고리 300: 상부지지대
310: 체결단부 400: 연결금구
410: 제1 고정부 420: 제2 고정부
500: 홀더지지대 600: 케이블홀더
610: 홀더지지대 체결부 611: 홀더지지대 체결홀
620: 홀더부 621: 홀더부 몸체
622: 안착홀 623: 지지편 힌지부
630: 지지편 631: 공구 지지부
632: 케이블 지지부 640: 걸이용 고리
700: 케이블 인류클램프 710: 클램프부
711: 클램프 몸체 712: 가이드부
713: 쐐기 714: 연결부
715: 제1 고리 720: 연결로프
730: 연결고리 731: 고리 몸체
732: 레버 733: 제2 고리

Claims (17)

  1. 지상에서 배전선로에 케이블을 입상하기 위해 마련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홀더; 및
    상기 케이블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과 고정되는 케이블 인류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대는 상기 완철의 길이방향으로 긴 봉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이 상기 완철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타단에 상기 상부지지대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홀더가 고정되고 상기 완철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홀더지지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타단에 상기 홀더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연결금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금구는,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홀더지지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고, 타측에 단부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는 타단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홀더는,
    상기 홀더지지대에 고정되는 홀더지지대 체결부;
    상기 홀더지지대 체결부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지지대 체결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인류클램프가 연결되는 링 형상의 걸이용 고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상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안착홀을 구비하여 상기 케이블이 안착되는 홀더부 몸체; 및
    상기 홀더부 몸체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안착홀의 상측으로 개구된 부분을 가로막으며 상기 케이블을 상기 안착홀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이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그 사이에서 양단이 상기 한쌍의 완철에 체결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관통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기 완철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볼트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구는,
    상기 상부지지대가 관통하여 삽입되며 고정되는 고정금구 몸체; 및
    상기 고정금구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볼트와 고정되는 잠금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관통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고정금구 몸체의 일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잠금부; 및
    상기 고정금구 몸체에 스프링을 매개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관통볼트를 상기 잠금부의 안쪽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잠금편;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에 고정되어 상기 상부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의 설치금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금구는,
    상기 완철과 고정되는 설치금구 몸체; 및
    상기 설치금구의 상단에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설치금구 몸체와 대향되며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설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금구 몸체는,
    상기 완철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완철 삽입홀; 및
    상기 완철 삽입홀과 하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조임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조임부재 체결홀;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기 완철과 길이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설치부재 중 적어도 둘 이상에 각각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금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6. 지상에서 배전선로에 케이블을 입상하기 위해 마련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완철에 고정되는 상부지지대;
    상기 상부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홀더; 및
    상기 케이블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과 고정되는 케이블 인류클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인류클램프는,
    상기 케이블홀더에 형성된 걸이용 고리에 연결되는 연결고리;
    일단이 상기 연결고리에 연결되는 연결로프; 및
    상기 연결로프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과 고정되는 클램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홀이 좁아지게 형성된 클램프 몸체; 및
    상기 연결로프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기 케이블을 장악하는 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1020210175029A 2021-12-08 2021-12-08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102631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29A KR102631026B1 (ko) 2021-12-08 2021-12-08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29A KR102631026B1 (ko) 2021-12-08 2021-12-08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18A KR20230086418A (ko) 2023-06-15
KR102631026B1 true KR102631026B1 (ko) 2024-01-31

Family

ID=8676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029A KR102631026B1 (ko) 2021-12-08 2021-12-08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167B1 (ko) * 1994-07-19 1999-01-15 백중영 활선공사용 이동 변압기 시스템
KR20180116848A (ko) * 2017-04-18 2018-10-26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102571927B1 (ko) * 2019-08-06 2023-08-30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고정장치
KR102650799B1 (ko) * 2019-12-18 2024-03-26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18A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4197B2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1043557B1 (ko)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KR102491957B1 (ko)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1619905B1 (ko) 애자 교체용 지그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CN104967027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US3670390A (en) Tool for applying suspension clamps to power lines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2355720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2647559B1 (ko) 라인포스트 애자 교체 방법 및 장치
CN112531555A (zh) 更换带电设备引流线固定用屏蔽盒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2657726B1 (ko)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N106785942B (zh) 高压熔断器作业保护装置以及高压熔断器防触电作业方法
US20220112737A1 (en) Crossarm for an electrical pole
KR102485150B1 (ko) 전선 스페이서
KR102648793B1 (ko) 기계화 공간 설정용 단상 승강구동장치
KR102359152B1 (ko) 간접활선 작업용 바이패스케이블 클램프 방호구조체
KR102526430B1 (ko)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N217882584U (zh) 旁路引流作业装置
KR102521123B1 (ko)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CS199328B1 (cs) Ochranná zařízeni pro práci na venkovních vedeních a zařízeních pro napájení elektrickou energií pod napětí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