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1123B1 -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123B1
KR102521123B1 KR1020220029534A KR20220029534A KR102521123B1 KR 102521123 B1 KR102521123 B1 KR 102521123B1 KR 1020220029534 A KR1020220029534 A KR 1020220029534A KR 20220029534 A KR20220029534 A KR 20220029534A KR 102521123 B1 KR102521123 B1 KR 10252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telephone pole
fork
overhead
distribution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전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전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전력
Priority to KR102022002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철(100)과 전선픽스어셈블리(200) 및 가설어셈블리(300)으로 구성된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걸이대(332)에 전선이나 공구가 수납된 가방 등을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Insulator-mounted fixture for safety support of overhead distribution lines}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골목이나 도로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전주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설치된 애자 및 점퍼선을 통해 가공배전라인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한편, 도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주와 전주 사이에 가공배전선을 가설하고자 할 경우 통상 작업자는 각 전주에 완철을 설치하고, 설치된 완철에 현수애자를 설치한 다음 신설되는 가공배전선을 연결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가지고 올라간 작업도구나 가방 등을 거치해 둘 만한 공간이 없어 작업상에 큰 불편함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65477호
본 발명은 걸이대를 이용해 전선이나 등기구, 공구가 수납된 가방 등을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편리하고, 평상시에는 점퍼선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신주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완철;
체결수단을 매개로 완철에 설치되며 쇄클아이를 구비하는 아이쇄클과, 쇄클아이에 쇄클코터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와, 현수애자의 단부에 애자코터핀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 및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연결클램프로 구성된 전선픽스어셈블리;
완철의 결합부에 양단부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과 직교를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지지대, 지지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신주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하단부 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축홀이 마련되고, 하단부 후면에는 축홀과 직교를 이루는 좌우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제1포크홀이 마련된 직육면체형상의 거치대, 거치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힌지부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T형 행거수단과,
제1힌지부에 결합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전신주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고정 및 절연하거나, 전신주와 직교를 이루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신설되는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을 고정 및 절연하는 가변애자와,
내부가 상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축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포크홀이 형성된 브라켓, 브라켓의 하면에 형성되어 각종 도구나 물건 등을 임시로 걸어두기 위한 걸이대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연결수단과,
브라켓 결합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부를 갖추고서 거치대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전신주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연결대,
거치대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거치대와 연결대가 나란하게 배치시 거치대에 맞대어지는 스페이서,
스페이서에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포크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브라켓의 회동을 제한하는 포크, 연결대의 말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연장되어 전신주의 외면에 맞대어져서 제2아크밴드와 함께 전신주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제1아크밴드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보강수단과,
거치대와 연결대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로 구성된 가설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걸이대를 이용해 전선이나 등기구, 공구가 수납된 가방 등을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편리하고,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에서 가설어셈블리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A”확대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에서 가설어셈블리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A”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는, 완철(100)과 전선픽스어셈블리(200) 및 가설어셈블리(3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선이나 공구가 수납된 가방 등을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완철(100)은 입설된 전신주(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전신주(1)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완철(100)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사각관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단부에는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결합부(11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결합부(110)에는 가설어셈블리(300)을 구성하는 T형 행거수단(310)의 지지대(311)에 양단부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100)에 걸쳐진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픽스어셈블리(200)는 아이쇄클(210)과 현수애자(220) 및 연결클램프(2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0)과 가공배전선(L) 사이에 설치되어 완철(100)과 가공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고,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픽스어셈블리(200)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상기 아이쇄클(210)은 대략‘C’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 완철(100)에 체결수단(BN: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쇄클아이(21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수애자(220)는 쇄클아이(211)에 쇄클코터핀(22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쇄클코터핀(221)의 일단에는 분할핀이 관통되게 끼워져 쇄클코터핀(221)의 이탈을 단속한다.
상기 연결클램프(230)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이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현수애자(220)의 단부에 애자코터핀(23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애자코터핀(231)의 일단에는 분할핀이 관통되게 끼워져 애자코터핀(231)의 이탈을 단속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설어셈블리(300)는 T형 행거수단(310)과 가변애자(320), 연결수단(330), 보강수단(340) 및 고정수단(35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선이나 등기구, 공구가 수납된 가방 등을 임시로 거치해두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신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현수애자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없이 가변애자(320)를 전환해 사용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T형 행거수단(310)은 지지대(311)와 거치대(312), 제1힌지부(313)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변애자(320)와 연결수단(330), 보강수단(340) 및 고정수단(35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지지대(311)는 직육면체형상의 막대로, 양단부가 각각 완철(100)의 결합부(1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1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거치대(312)는 직육면체형상의 막대로, 지지대(311)의 하면 중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신주(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거치대(312)의 하단부 후면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축홀(312a)이 형성되고, 하단부 측면에는 제1포크홀(312b)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축홀(312a)에는 연결수단(330)의 축(331a)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포크홀(312b)에는 보강수단(340)의 포크(343)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제1힌지부(313)는 거치대(31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호형의 부재로, 중심에는 결합핀(P)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도 3 참조)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는 스토퍼(S)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변애자(320)는 제1힌지부(313)에 결합핀(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가변애자(320)와 제1힌지부(313)를 관통하는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다.
일 예로, 상기 가변애자(320)는 평상시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체로 전신주(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토퍼(S)를 제거한 다음 결합핀(P)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전신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해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한다.
즉, 본 발명의 가변애자(320)는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는 LP애자로 이용할 수 있고, 스토퍼(S)를 제거한 다음 회동시켜 주게 되면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는 현수애자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상당히 뛰어나다.
이에 따라, 신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기 위해 전주에 별도의 완철 및 현수애자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30)은 브라켓(331)과 걸이대(33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T형 행거수단(310)과 보강수단(340)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331)은 전체적으로 육면체형상을 이루며, 내부가 상방으로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도 3 참조). 이러한 브라켓(331)의 전면에는 거치대(312)의 축홀(31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331a)이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결합핀(P)이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도 3 참조)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포크(343)가 삽탑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포크홀(331b)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축(331a)의 경우 축홀(312a)에 끼워져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 핀을 끼워 넣어 축홀(312a)에서 빠지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이대(332)는 브라켓(33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걸이대(332)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공구나 가방, 등기구, 전선 등을 임시로 거치해 두기 위한 용도로 이용되며, 이에 따라 주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용하다.
상기 보강수단(340)은 연결대(341)와 스페이서(342), 포크(343) 및 제1아크밴드(344)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수단(3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신주(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T형 행거수단(310)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대(341)는 직육면체형상의 부재로, 일단에 마련된 제2힌지부(341a)를 매개로 브라켓(33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거치대(312)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전신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힌지부(341a) 역시 호형의 부재이며 브라켓(331)과 결합핀(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페이서(342)는 연결대(341)로부터 돌출되어 연결대(341)와 거치대(312)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때, 거치대(312)에 맞대어짐으로서 연결대(341)와 거치대(312) 사이에 간격을 메워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스페이서(342)에는 포크(343)가 이동과 회동 및 삽탑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가이드홀(342a)과 수납홀(34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포크(343)는 보강수단(34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시, 제1·2포크홀(312b,331b)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보강수단(340)이 축(331a)을 중심으로 회동되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도 4 참조)을 한다.
상기 제1아크밴드(344)는 연결대(341)의 말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연장된 부재로, 전신주(1)의 외면에 맞대어져 체결수단(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제2아크밴드(345)와 함께 전신주(1)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며, 이에 따라 연결대(341)와 전신주(1)는 제1·2아크밴드(344,345)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제2아크밴드(345)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다가, 전신주(1)로 가지고 올라가 제1아크밴드(344)를 전신주(1)에 고정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상기 고정수단(350)은 공지의 벨크로 테이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T형 행거수단(310)을 구성하는 거치대(312)에 설치되어 거치대(312)와 입설된 연결대(341)의 외면을 감싸 함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35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가지고 올라간 공구나 가방, 등기구, 전선 등은 걸이대(332)에 걸어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50)을 매개로 거치대(312)와 보강수단(340)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수단(350)을 풀어준 다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330)을 매개로 보강수단(340)을 회동시켜 거치대(312)와 서로 직교를 이루도록 만들어 주며, 이때 걸이대(332)는 연결수단(330)에 의해 회전되어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면,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343)를 가이드홀(342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수납홀(342b)로부터 인출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포크(343)의 한쪽이 인출되면 제1·2포크홀(312b,331b)을 향해 밀어 포크(343)의 단부가 제1·2포크홀(312b,331b)에 인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포크(343)가 제1·2포크홀(312b,331b)에 인입됨에 따라 연결수단(330)의 축(312b)을 중심으로 보강수단(3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서 연결수단(330)의 결합핀(P)을 중심으로 보강수단(3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포크(343)를 매개로 보강수단(340)이 회전되지 않게 고정해 줌에 따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보강수단(340)이 회전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고, 걸이대(332)에 공구나 가방, 등기구, 전선 등을 걸더라도 보강수단(3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의 다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위 도면을 참조하여 신설되는 가공배전선의 연결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로(R)를 사이에 두고 도로(R)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도로(R)를 가로지르는 가공배전선(L)을 신설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를 이용하면 손쉽게 가설할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제2아크밴드(345)를 가지고 전신주(1)로 올라가 고정수단(350)을 분리한다.
그 다음 제2힌지부(341a)의 결합핀(P)을 중심으로 입설된 보강수단(340)이 전신주(1)를 향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동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보강수단(340)을 회동시켜주게 되면, 제1아크밴드(344)의 내주면은 전신주(1)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되고, 이때 작업자는 제2아크밴드(345)의 양단부를 제1아크밴드(344)의 양단부에 맞대어준 다음 체결수단(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상호 고정하여 전신주(1)의 외주면이 제1·2아크밴드(344,345)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다.
상기 보강수단(340)이 전신주(1)의 외주면에 고정됨에 따라 T형 행거수단(310)은 연결수단(330) 및 보강수단(340)을 매개로 전신주(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특히 가변애자(320)를 현수애자형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더라도 T형 행거수단(310)이 흔들리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신주(1)에 보강수단(340)이 고정되면, 스토퍼(S)를 분리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변애자(320)를 제1힌지부(313)에 결합된 결합핀(P)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준 다음,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고, 이웃하는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며, 이를 도 6d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선이나 공구가 수납된 가방 등을 걸이대(332)에 임시로 거치해 둘 수 있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전신주 100: 완철 110: 결합부
200: 전선픽스어셈블리 210: 아이쇄클 211: 쇄클아이
220: 현수애자 221: 쇄클코터핀 230: 연결클램프
231: 애자코터핀 300: 가설어셈블리 310: T형포스트
311: 지지대 312: 거치대 312a: 축홀
312b: 제1포크홀 313: 제1힌지부 320: 가변애자
330: 연결수단 331: 브라켓 331a: 축
331b: 제2포크홀 332: 걸이대 340: 보강수단
341: 연결대 341a: 제2힌지부 342: 스페이서
343: 포크 344: 제1아크밴드 345: 제2아크밴드
350: 고정수단

Claims (1)

  1. 전신주(1)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결합부(110)가 형성된 완철(100);
    체결수단(BN)을 매개로 완철(100)에 설치되며 쇄클아이(211)를 구비하는 아이쇄클(210)과, 쇄클아이(211)에 쇄클코터핀(22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220)와, 현수애자(220)의 단부에 애자코터핀(231)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연결클램프(230)로 구성된 전선픽스어셈블리(200);
    완철(100)의 결합부(110)에 양단부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100)과 직교를 이루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지지대(311), 지지대(3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신주(1)와 나란하게 배치되되, 하단부 후면에는 전후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축홀(312a)이 마련되고, 하단부 후면에는 축홀(312a)과 직교를 이루는 좌우방향으로 내부가 관통된 제1포크홀(312b)이 마련된 직육면체형상의 거치대(312), 거치대(31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힌지부(313)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T형 행거수단(310)과,
    제1힌지부(313)에 결합핀(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체로 전신주(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거나, 스토퍼(S)가 제거된 상태에서 전신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핀(P)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는 가변애자(320)와,
    내부가 상방과 후방으로 개구된 육면체형상을 이루되, 전면에는 축홀(312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축(331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제2포크홀(331b)이 형성된 브라켓(341), 브라켓(341)의 하면에 형성되어 각종 도구나 물건 등을 임시로 걸어두기 위한 걸이대(342)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연결수단(330)과,
    브라켓(341)에 결합핀(P)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부(341a)를 갖추고서 거치대(312)와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전신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연결대(341),
    거치대(312)와 마주보는 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거치대(312)와 연결대(341)가 나란하게 배치시 거치대(312)에 맞대어지는 스페이서(342),
    스페이서(342)에 이동 및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2포크홀(312b,331b)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브라켓(331)의 회동을 제한하는 포크(343), 연결대(341)의 말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연장되어 전신주(1)의 외면에 맞대어져서 제2아크밴드(345)와 함께 전신주(1)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제1아크밴드(344)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보강수단(340)과,
    거치대(312)와 연결대(341)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50)으로 구성된 가설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KR1020220029534A 2022-03-08 2022-03-08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KR102521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534A KR102521123B1 (ko) 2022-03-08 2022-03-08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534A KR102521123B1 (ko) 2022-03-08 2022-03-08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1123B1 true KR102521123B1 (ko) 2023-04-13

Family

ID=85979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534A KR102521123B1 (ko) 2022-03-08 2022-03-08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1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63B1 (ko) * 2008-03-05 2008-1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송전탑용 현수애자의 각도보정장치
KR102206803B1 (ko) * 2020-08-11 2021-01-25 금양테크(주) 피뢰기능탑재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246336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365477B1 (ko) 2021-08-23 2022-02-23 박혜숙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63B1 (ko) * 2008-03-05 2008-1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송전탑용 현수애자의 각도보정장치
KR102206803B1 (ko) * 2020-08-11 2021-01-25 금양테크(주) 피뢰기능탑재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246336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365477B1 (ko) 2021-08-23 2022-02-23 박혜숙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2381232B1 (ko) 피뢰구조장착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CN205178427U (zh) 通用街码
KR102521123B1 (ko)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KR102289230B1 (ko) 가공배전라인 설치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CN205335777U (zh) 用于绑紧电缆的绑线装置
CN210326920U (zh) 一种高压电缆临时固定支架
CN211456121U (zh) 一种通讯电缆接头固定装置
KR100681733B1 (ko) 연합케이블을 이용한 가공 송배전 선로장치
CN110581475B (zh) 线缆悬吊锁扣及其配套使用的挂结器
CN218206053U (zh) 一种干字型双回路电缆下线钢管杆
KR102526430B1 (ko)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N206806926U (zh) 接户线电缆固定支架装置
KR102479524B1 (ko)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281030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US11569648B2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KR100345470B1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JP3423992B2 (ja) 柱上据付型変圧器装置
JP3212907B2 (ja) ホルダー
JP5558075B2 (ja) ケーブル支持金具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CN218386647U (zh) 一种电缆用桥架支撑装置
CN110620345A (zh) 一种10kV中置式开关柜母线接地杆
CN205400233U (zh) 安装在电线杆上的横担
KR102492923B1 (ko) 보수작업이 편리한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