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470B1 -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 Google Patents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470B1
KR100345470B1 KR1019990046595A KR19990046595A KR100345470B1 KR 100345470 B1 KR100345470 B1 KR 100345470B1 KR 1019990046595 A KR1019990046595 A KR 1019990046595A KR 19990046595 A KR19990046595 A KR 19990046595A KR 100345470 B1 KR100345470 B1 KR 10034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voltage cable
cable
clamp
low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566A (ko
Inventor
김창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1999004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47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저압배전선로에서 저압케이블을 손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설치시간을 단축시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저압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복잡한 저압배전선로의 단순화로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는, 저압배전선로의 직선개소가 위치한 장주(110)에는 행거수단(530)으로 계지됨과 더불어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행거수단(530)의 하부로 조가선(230)과 저압케이블(200)을 위치시키고 타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A straight line clamp for mounting of low voltage cable }
본 발명은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저압배전선로에서 저압케이블을 손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압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복잡한 저압배전선로의 단순화로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서 수용가까지 송전선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압용의 장주를 배치하고, 이 장주에 고압용의 완금을 수평방향으로 다층배열한 다음에, 이 완금에 애자등을 설치하여 고압선을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고압선의 하부에 변압기로 전압을 낮추어 저압케이블을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의 저압용 장주를 설치하여 저압케이블을 설치하게 되는 한편, 이 저압케이블에서 인입선을 뽑아 수용가로 송전하게 된다.
즉, 상기 고압케이블(100)의 설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장주(110)와, 이 장주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다수개 배치됨과 더불어 완금밴드(도시않됨)로 고정설치된 완금(120)과, 이 완금의 상면에 배치되어 고압선이 지지되는 다수개의 애자(130)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압케이블(200)의 설치를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고압케이블(100)에서 완금(12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장주(110)에 설치된 변압기(210)를 통해 저압케이블(200)이 인출되고, 이렇게 인출된 저압케이블(200)은 변압기(210)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장주(110)에 설치한 지선밴드(220)를 이용하여 대략 5경간에 고정한 조가선(230)을 매개로 늘어지지 않게 설치된다.
이후 상기 저압케이블(200)에서 인입선(300)을 인출하여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로 저압배전선로의 인류 및 내장개소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조가선(230)의 장력이 걸리는 인류 및 내장개소에는 지선밴드 (220)의 애자에 조가선(230)을 당겨서 조가바인드선(410)으로 직접 묶어 고정하는 한편, 상기 변압기(210)에서 인출된 저압케이블(200)도 케이블바인드선(420)으로 조가선 (230)을 묶은 근처에서 바인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주(110)와 장주(110)사이의 조가선(230)에는 저압케이블(2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바인드선(430)으로 묶어져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저압케이블(200)이 직선개소에서 설치되는 것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압케이블(220)의 직선개소에 설치된 장주(110)이면서 상기 완금(120)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소정형상의 랙크밴드(500)와 저압가선용의 랙크(510)를 매개로 저압인류애자(52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저압인류애자(520)에 조가선(230)의 직진개소를 조가바인드선(410)으로 바인드 한 후에, 상기 조가선(230)에 저압케이블(20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바인드선(420)으로 바인드하게 된다.
즉, 상기 저압케이블(200)은 이와 같이 수용가의 주위까지 송전되고, 이로 부터 인입선(300)을 통해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저압케이블(200)의 직선개소에서, 적당한 설치금구가 개발되지 않아 저압인류애자(520)에 조가선(230)를 조가바인드선(410)으로 묶어서 설치하므로 취부가 불편하고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 장주(110)마다 저압케이블(200)을 점퍼선 형태로 만들어 넘기므로 저압케이블(200)의 소요길이가 증가되고 철심이 내장된 케이블바인드선(420)으로 저압케이블(200)을 조가선(230)에 묶어 점퍼부분의 중량이 바인드부분에 직접 전달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케이블바인드선(420)이 저압케이블 (200)을 파고 들어가 저압케이블(200)의 절연이 파괴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압케이블의 직선개소에서 저압케이블과 조가선을 동시에 고정시켜 저압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압케이블의 설치상태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D방향 상세도,
도 5는 도 1의 C - 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3의 대응도,
도 7은 도 6의 E방향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를 나타내는 도 7의 F방향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정면도,
도 10은 도9의 행거클램프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에 포함되는 케이블고정부재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직선클램프 11: 행커클램프부재
12: 조가선클램프부재 13: 가압수단
14: 절연부재 200: 저압케이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는, 저압케이블의 직선개소가 위치한 장주에는 행거수단으로 계지됨과 더불어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행거수단의 하부로 조가선과 저압케이블을 위치시키고 타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를 설명하는 것으로 도 3의 대응도이고, 도 7은 도 6의 E방향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를 나타내는 도 7의 F방향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9의 행거클램프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직선클램프에 포함되는 케이블고정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우측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압케이블(200)의 직선개소에 배치된 장주(110)에는 랙크밴드(500)가 고정되고, 이 랙크밴드(500)에 행거수단(530)으로 조가선(230)과 저압케이블(200)을 동시에 고정하는 직선클램프(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랙크밴드(500)는, 상기 장주(110)의 뒤쪽에 배치된 반원형의 밴드이면서 양단에 플랜지가 구비된 제 1밴드(501)와, 이 제 1밴드(501)와 대칭으로 형성되면서 반원형의 중앙부위가 돌출되어 상기 행거수단(530)이 설치되는 제 2밴드(502)와, 상기 제 1,2밴드(501,502)를 상기 장주(110)에 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50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503)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 와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상기 제 1,2밴드(501,502)를 장주(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면 모두 가능할 것이다.
상기 행거수단(5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울트와 너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상기 직선클램프(1)를 계지할 수 있도록 후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직선클램프(1)는, 상기 랙크밴드(500)에 행거수단(530)으로 일단이 계지됨과 더불어 타단은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행거클램프부재(11)와, 이 행거클램프부재(11)의 반원형상부분에 일단이 힌지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행거클램프부재(11)의 반원형상부분과 대칭되게 형성되면서 타단의 상부에 상기 조가선(230)이 안착되도록 내측에 반원홈(12a)을 형성한 조가선클램프부재(12)와,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를 밀착시켜 조가선(230)을 가압하도록 설치된 가압수단(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1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와 너트 및 와셔로 이루어져 있으나 보울트와 너트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더불어 보울트와 너트 및 콧타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부호 11a는 상기 행거수단(530)이 결합되는 구멍이고, 11b, 12b는 상기 가압수단(13)이 끼워지는 구멍이며, 11c와 12c는 상기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엇갈리게 끼워맞춤된 곳에 형성된 힌지구멍이고, 15는 상기 힌지구멍(11c,12c)으로 끼워져 힌지중심을 구성하는 힌지핀이다.
또한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반원형상 내측에는 파지되는 저압케이블(200)의 절연과 저압케이블(200)의 파손을 위해 절연고무로 이루어진 절연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1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반원형상 내측에 안착되도록 소정의 반경과 폭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정한 원호를 갖는 케이블가압부(14a)와, 이 케이블가압부(14a)의 양단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양측면에 끼워지도록 된 플랜지부(14b)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저압케이블(200)의 직선개소에서 행거수단(530)으로 설치되는 직선클램프(1)를 이용하여 조가선(230)과 저압케이블(200)를 함께 효율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조가선(230)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반원홈(12a)에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저압케이블(200)은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반원형상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가압수단(13)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조가선(230)에 저압케이블(200)이 처지지 않도록 계지하는 것이 손쉬워져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반원형상 내측에각각 절연부재(14)를 설치한 후 저압케이블(200)을 계지하게 되면 절연은 물론 저압케이블(200)의 가압시 파손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저압케이블(200)을 조가선(230)에 계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직선클램프(1)를 이용하여 저압배전선로를 시공하므로 저압배전선로가 단순화되어 도시미관이 우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압케이블을 손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압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정성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복잡한 저압배전선로의 단순화로 도시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단이 장주(110)에 행거수단(530)으로 계지되며 타단이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행거클램프부재(11)와,
    일단이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의 반원형상부분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그 힌지 결합된 부위의 내측에 저압케이블(200)의 외주 일부위가 수용되며 타단의 상부에 조가선(230)이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조가선클램프부재(12)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클램프부재(12)는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가 밀착되는 상부 내측면에 상기 조가선(230)을 수용하기 위한 반원홈(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측면에 관통 결합되어 그 결합력으로 상기 조가선(230)을 가압함과 아울러, 상기 저압케이블(200)를 계지하기 위한 가압수단(13)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클램프부재(11)와 조가선클램프부재(12)의 타단 반원형상 내측에 저압케이블(200)를 감싸도록 절연부재(14)가 개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KR1019990046595A 1999-10-26 1999-10-26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KR10034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595A KR100345470B1 (ko) 1999-10-26 1999-10-26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595A KR100345470B1 (ko) 1999-10-26 1999-10-26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566A KR20010038566A (ko) 2001-05-15
KR100345470B1 true KR100345470B1 (ko) 2002-07-26

Family

ID=1961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595A KR100345470B1 (ko) 1999-10-26 1999-10-26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4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19B1 (ko) * 2008-02-04 2009-03-10 (주)세광 송·배전선용 클램프
KR101815683B1 (ko) 2017-08-22 2018-01-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저압인류애자 인류 바인드레스 체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227B1 (ko) * 2007-02-01 2007-05-08 (주)유진씨엔이 건축물용 조가선 접속구조
CN106772853B (zh) * 2016-12-26 2022-11-29 国网浙江省电力公司湖州供电公司 一种输电线路上通讯光缆的保护结构
CN107745657A (zh) * 2017-11-14 2018-03-02 中国铁路设计集团有限公司 一种锚支定位卡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419B1 (ko) * 2008-02-04 2009-03-10 (주)세광 송·배전선용 클램프
KR101815683B1 (ko) 2017-08-22 2018-01-05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저압인류애자 인류 바인드레스 체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566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38142A1 (en) Hybrid electrical-optical cable for overhead installations
KR100345470B1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직선클램프
KR20200079659A (ko) 배전용 저압전선 일체형 절연인장 그립
KR100345471B1 (ko) 저압케이블의 설치용 내장클램프
US11569648B2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JP2010166640A (ja) 架空送電線路及び鉄塔周辺の工事方法
JP4003892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を用いた分岐配線方法
KR100887419B1 (ko) 송·배전선용 클램프
GB2354373A (en) Maintenance of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 assemblies
KR102521123B1 (ko)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CN219181079U (zh) 一种电源线的线材固定结构
JP2002027648A (ja) 電線分岐支持具
KR200298283Y1 (ko) 무바인드형 애자
CN219697101U (zh) 一种引流线悬挂装置
KR102526430B1 (ko)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20230086421A (ko) 편출장주의 완철 지지선 설치 구조
US20230085769A1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JP3152378B2 (ja) 圧縮型引留クランプおよびプレハブ電線
KR200203639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0352555B1 (ko) 저압케이블 배전용 후크
JP4100477B2 (ja) ジョイントボックス
JP2000207957A (ja) 間隙型送電線の製造方法
KR200181971Y1 (ko) 전주의 수직형 지지 장치
JP4181507B2 (ja) 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構造、敷設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JP2002142343A (ja) 螺旋状ケーブル支持具の架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