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524B1 -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524B1
KR102479524B1 KR1020220029313A KR20220029313A KR102479524B1 KR 102479524 B1 KR102479524 B1 KR 102479524B1 KR 1020220029313 A KR1020220029313 A KR 1020220029313A KR 20220029313 A KR20220029313 A KR 20220029313A KR 102479524 B1 KR102479524 B1 KR 10247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pole
overhead distribution
insulator
electr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범
Original Assignee
미래컨설턴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컨설턴트(주) filed Critical 미래컨설턴트(주)
Priority to KR102022002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convertible, e.g. from one type tent to another type tent, from tent to canopy or from tent cover into diverse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철(100)과 라인고정조립체(200) 및 가설조립체(300)로 구성된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작업자를 환경적인 요인(뙤약볕, 소나기 등)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극대화할 수 있고, 또한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어 범용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Electric pole detachable overhead distribution line support mechanism}
본 발명은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가공배전선은 골목이나 도로변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전주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각 수용가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하며,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설치된 애자 및 점퍼선을 통해 가공배전라인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가설작업은 보통 작업자가 전주로 올라가서 실시하게 되는데, 갑자기 비가 온다 던지, 여름철의 뙤약볕은 작업의 피로도를 가중시키게 됨에 따라 작업의 능률을 떨어뜨리는 문제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전주에 가공배전선을 신설하고자 할 경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주와 전주 사이에 가공배전선을 가설하고자 할 경우 통상 작업자는 각 전주에 완철을 설치하고, 설치된 완철에 현수애자를 설치한 다음 신설되는 가공배전선을 연결함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시공시간이 오래 걸리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6338호
본 발명은 작업자를 환경적인 요인(뙤약볕, 소나기 등)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고, 평상시에는 점퍼선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완철;
체결수단을 매개로 완철에 설치되며 쇄클아이를 구비하는 아이쇄클과, 쇄클아이에 쇄클코터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와, 현수애자의 단부에 애자코터핀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 및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연결클램프로 구성된 라인고정조립체;
완철의 결합부에 양단부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수평대, 수평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주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수직대, 수직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힌지부, 수직대의 하단부로부터 전주를 향해 연장되어 제1힌지부와 직교를 이루는 제2힌지부,
수평대의 전면과 후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편, 링크편에 핀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암, 제1링크암과 연결핀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암, 제1링크암과 제2링크암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차양막으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T형 행거와,
제1힌지부에 결합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전주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고정 및 절연하거나, 전주와 직교를 이루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되어 신설되는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을 고정 및 절연하는 가변애자와,
제2힌지부에 결합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대에 맞대어지거나 전주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대, 연결대의 말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연장되어 전주의 외면에 맞대어져서 제2아크밴드와 함께 전주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제1아크밴드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서포트수단과,
수직대와 연결대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가설조립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링크편과 제1링크암 및 제2링크암을 매개로 차양막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를 환경적인 요인(뙤약볕, 소나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가설조립체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신설되는 가공배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에서 가설조립체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는, 완철(100)과 라인고정조립체(200) 및 가설조립체(3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작업자를 환경적인 요인(뙤약볕, 소나기 등)으로부터 보호해 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완철(100)은 입설된 전주(1)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전주(1)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완철(100)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사각관이다.
상기 완철(100)은 서로 마주보는 면의 일단부에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결합부(11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결합부(110)에는 가설조립체(300)를 구성하는 T형 행거(310)의 수평대(311)에 양단부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100)에 의해 지지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라인고정조립체(200)는 아이쇄클(210)과 현수애자(220) 및 전선고정금구(2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라인고정조립체(200)는 완철(100)과 가공배전선(L) 사이에 설치되어 완철(100)과 가공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고,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라인고정조립체(200)의 경우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상기 아이쇄클(210)은 대략‘C’자 형상을 갖는 부재로, 완철(100)에 체결수단(BN: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쇄클아이(211)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수애자(220)는 쇄클아이(211)에 쇄클코터핀(22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쇄클코터핀(221)의 일단에는 분할핀이 관통되게 끼워져 쇄클코터핀(221)의 이탈을 단속한다.
상기 전선고정금구(230)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이 결합고정되는 것으로, 현수애자(220)의 단부에 애자코터핀(23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애자코터핀(231)의 일단에는 분할핀이 관통되게 끼워져 애자코터핀(231)의 이탈을 단속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설조립체(300)는 T형 행거(310)와 가변애자(320), 서포트수단(330) 및 고정수단(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설조립체(300)는 완철(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신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기 위해 별도의 현수애자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없이 가변애자(320)를 전환해 사용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그럼, 상기 가설조립체(300)의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T형 행거(310)는 수평대(311)와 수직대(312), 제1힌지부(313), 제2힌지부(314), 링크편(315), 제1링크암(316), 제2링크암(317) 및 차양막(318)으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T형 행거(310)는 완철(1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변애자(320)와 서포트수단(330), 클램프(340) 및 고정수단(34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작업자가 환경적인 요인(뙤약볕, 소나기 등)에 방해받지 않고 편안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대(311)는 직육면체형상의 막대로, 양단부가 각각 완철(100)의 결합부(1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10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수직대(312)는 직육면체형상의 막대로, 수평대(311)의 하면 중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주(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힌지부(313)는 수직대(31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호형의 부재로, 중심에는 결합핀(P2)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힌지부(314)는 수직대(312)의 하단부로부터 전주(1)를 향해 연장되어 제1힌지부(313)와 직교를 이루는 호형의 부재로, 중심에는 결합핀(P2)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편(315)은 수평대(311)의 전면과 후면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로 전후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이 링크편(315)에는 제1링크암(316)의 일단부가 연결핀(P1)을 매개로 힌지연결되고, 제1링크암(316)의 타단부에는 제2링크암(317)의 일단부가 연결핀(P1)을 매개로 힌지연결되어 접철(접거나 펼침)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제2링크암(317)의 상면에는 유연한 재질을 갖는 차양막(318)이 설치되는데, 차양막(318)은 제1링크암(316)과 제2링크암(317)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져 작업공간의 상부를 가리는 역할을 하며, 그 형태는 그물망이거나 우산과 같은 방수재질의 부재일 수 있다.
상기 가변애자(320)는 제1힌지부(313)에 결합핀(P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애자(3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다.
일 예로, 상기 가변애자(320)는 평상시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체로 전주(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설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토퍼(S)를 제거한 다음 결합핀(P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전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해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한다.
즉, 본 발명의 가변애자(320)는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는 LP애자로 이용할 수 있고, 스토퍼(S)를 제거한 다음 회동시켜 주게 되면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는 현수애자로도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범용성이 상당히 뛰어나다.
이에 따라, 신규로 가설되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기 위해 전주에 별도의 완금 및 현수애자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수단(330)은 연결대(331)와 제1아크밴드(33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힌지부(314)에 결합핀(P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T형 행거(31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T형 행거(310)와 전주(1)를 상호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대(331)는 직육면체형상의 부재로, 제2힌지부(314)에 결합핀(P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대(312)에 맞대어지거나 전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아크밴드(332)는 연결대(331)의 말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연장된 부재로, 전주(1)의 외면에 맞대어져 체결수단(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는 제2아크밴드(333)와 함께 전주(1)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며, 이에 따라 연결대(331)와 전주(1)는 제1·2아크밴드(332,333)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제2아크밴드(333)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다가 필요시 전주(1)로 가지고 올라가 제1아크밴드(332)를 전주(1)에 고정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
상기 고정수단(340)는 공지의 벨크로테이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T형 행거(310)를 구성하는 수직대(312)에 설치되어 수직대(312)와 입설된 연결대(331)의 외면을 감싸 함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34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의 그 어떠한 것으로도 대체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를 이용하여 신설되는 가공배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를 참조하면, 도로(R)를 사이에 두고 도로(R)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된다.
상기와 같이 시공된 상태에서 도로(R)를 가로지르는 가공배전선(L)을 신설하고자 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를 이용하면 손쉽게 가설할 수 있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b 및 도 5c를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제2아크밴드(333)를 가지고 전주(1)로 올라가 고정수단(340)의 포개진 단부가 서로 분리되도록 뜯어 준다.
그 다음 제2힌지부(314)의 결합핀(P2)을 중심으로 입설된 서포트수단(330)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회동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서포트수단(330)을 회동시켜주게 되면, 제1아크밴드(332)의 내주면은 전주(1)의 외주면에 맞대어지게 되고, 이때 작업자는 제2아크밴드(333)의 양단부를 제1아크밴드(332)의 양단부에 맞대어준 다음 체결수단(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상호 고정하여 전주(1)의 외주면이 제1·2아크밴드(332,333)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다.
상기 서포트수단(330)이 전주(1)의 외주면에 고정됨에 따라 T형 행거(310)는 서포트수단(330)을 매개로 전주(1)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특히 가변애자(320)를 현수애자형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더라도 T형 행거(310)가 흔들리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전주(1)에 서포트수단(330)이 고정되면, 스토퍼(S)을 분리하고,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가변애자(320)를 제1힌지부(313)에 결합된 결합핀(P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준 다음,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고, 이웃하는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며, 이를 도 5d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링크편(315)과 제1링크암(316) 및 제2링크암(317)을 매개로 차양막(318)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자를 환경적인 요인(뙤약볕, 소나기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의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기 위한 LP애자로 이용하다가 가공배전선(L)을 신규로 가설하는 경우에는 현수애자로 전환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전주 100: 완금 110: 결합부
200: 라인고정조립체 210: 아이쇄클 211: 쇄클아이
220: 현수애자 221: 쇄클코터핀 230: 연결클램프
231: 애자코터핀 300: 가설조립체 310: T형 행거
311: 수평대 312: 수직대 313: 제1힌지부
314: 제2힌지부 315: 링크편 316: 제1링크암
317: 제2링크암 318: 차양막 320: 가변애자
330: 서포트수단 331: 연결대 332: 제1아크밴드
333: 제2아크밴드 340: 고정수단

Claims (1)

  1. 전주(1)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결합부(110)가 형성된 완철(100);
    체결수단(BN)을 매개로 완철(100)에 설치되며 쇄클아이(211)를 구비하는 아이쇄클(210)과, 쇄클아이(211)에 쇄클코터핀(22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220)와, 현수애자(220)의 단부에 애자코터핀(231)을 매개로 상호연결되며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연결클램프(230)로 구성된 라인고정조립체(200);
    완철(100)의 결합부(110)에 양단부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완철(100)과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수평대(311), 수평대(3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전주(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직육면체형상의 수직대(312), 수직대(31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힌지부(313), 수직대(312)의 하단부로부터 전주(1)를 향해 연장되어 제1힌지부(313)와 직교를 이루는 제2힌지부(314),
    수평대(311)의 전면과 후면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링크편(315), 링크편(315)에 핀(P)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암(316), 제1링크암(316)과 연결핀(P1)을 매개로 접철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암(317), 제1링크암(316)과 제2링크암(317)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지는 차양막(318)으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T형 행거(310)와,
    제1힌지부(313)에 결합핀(P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스토퍼(S)에 의해 회동이 제한된 체로 전주(1)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거나, 스토퍼(S)가 제거된 상태에서 전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핀(P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신설되는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 및 절연하는 가변애자(320)와,
    제2힌지부(314)에 결합핀(P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대(312)에 맞대어지거나 전주(1)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대(331), 연결대(331)의 말단으로부터 호형으로 연장되어 전주(1)의 외면에 맞대어져서 제2아크밴드(333)와 함께 전주(1)의 외주면을 감싸 고정하는 제1아크밴드(332)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서포트수단(330)과,
    수직대(312)와 연결대(331)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340)으로 구성된 가설조립체(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0220029313A 2022-03-08 2022-03-08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79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13A KR102479524B1 (ko) 2022-03-08 2022-03-08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313A KR102479524B1 (ko) 2022-03-08 2022-03-08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524B1 true KR102479524B1 (ko) 2022-12-20

Family

ID=84539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313A KR102479524B1 (ko) 2022-03-08 2022-03-08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52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63B1 (ko) * 2008-03-05 2008-1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송전탑용 현수애자의 각도보정장치
KR102206803B1 (ko) * 2020-08-11 2021-01-25 금양테크(주) 피뢰기능탑재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246338B1 (ko)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246336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363B1 (ko) * 2008-03-05 2008-11-24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송전탑용 현수애자의 각도보정장치
KR102206803B1 (ko) * 2020-08-11 2021-01-25 금양테크(주) 피뢰기능탑재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246338B1 (ko)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246336B1 (ko) * 2020-09-18 2021-04-29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CN101803134A (zh) 能安装到悬臂的机械臂
CN205178427U (zh) 通用街码
KR20230013795A (ko) 가변형 가지지크리트 구조체
CN105322482A (zh) 一种通用街码
KR102479524B1 (ko)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JP2002199563A (ja) 架空送電線の分岐方法
CN209626813U (zh) 一种带电作业用旁路电缆固定隔离的组合工具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US2844643A (en) Transmission line support
KR102526430B1 (ko)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CN112952708B (zh) 带电作业三角形夹板式间隔棒
KR102521123B1 (ko)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KR100391097B1 (ko) 배전선로용 다용도 랙크밴드와 x자형 스트랍
KR102634673B1 (ko) 피뢰 기능을 갖는 가공 배전선 고정 장치
KR20040018673A (ko) 핀애자용 지지구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JP3181508B2 (ja) 架空地線利用の電源装置
KR102434500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편리한 가공배전장치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