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850B1 -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850B1
KR100759850B1 KR1020070039685A KR20070039685A KR100759850B1 KR 100759850 B1 KR100759850 B1 KR 100759850B1 KR 1020070039685 A KR1020070039685 A KR 1020070039685A KR 20070039685 A KR20070039685 A KR 20070039685A KR 100759850 B1 KR100759850 B1 KR 10075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d
pole
sphere
bas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채
Original Assignee
(주)성문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문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성문기술단
Priority to KR1020070039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한 구성은 배전용 케이블의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설치몸체; 상기 설치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몸체에 대한 회전방향이 자유롭도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는 베이스 로드; 및 상기 베이스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로드에 대한 회전방향이 자유롭도록 결합부에 의해 결합되며, 케이블이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케이블 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자유롭게 가변하여 선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가 설치된 전주를 얻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A CHANGING DEVICE OF DIRECTION FOR CABLE OF ELECTRIC POWER DISTRIBUTION POLE}
도 1은 종래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 시공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의 연결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가 설치된 배전용 전주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의 요부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가 설치된 배전용 전주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전주 300 : 가변장치
302 : 설치몸체 304: 베이스 로드
302a, 304c : 구 304a, 306d : 캡
302b, 304b : 고정홀 306,308 :연결로드
320,330 : 결합부 502 : 보조 힌지
502a,503a,503b,503c : 보조 힌지 홀 504 : 고정볼트
506 : 힌지
본 발명은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용 전주에 설치되어 케이블의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을 지지함과 함과 아울러 케이블의 선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조류가 근접할 수 없는 구조를 취하여 조류에 의한 정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 선로를 통해 고압 전력으로 각 변전소에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는 송전된 전력을 변압하여 각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 케이블에 의해 각 지역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주을 통해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각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은 배전선로에 따라서 단상식과 2선식, 3선식이 있으며, 이들 전선 케이블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는 것은 이미 주지된 바 와 같다.
여기서, 고압 전기는 3상 3선 또는 3상 4선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3개 또는 4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며, 이들은 합선사고의 방지를 위해 항상 팽팽한 장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 전주의 상부에 지지대(이하, "경완금"이라 칭함.)를 설치하여 각 고압 케이블들이 합선되지 않는 간격으로 평행하면서 팽팽한 긴장력을 갖도록 배선하는데 이러한 고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대는 사각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또 밴드형 클램프로 전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시공은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케이블(101)의 선로방향에 대하여 직교 방향으로 전주(100) 상단 양측면으로 횡설되는 경완금(102)의 양측에서 현수애자(103)를 통해 전선 케이블(101)을 연결, 결합하고 양측 현수애자(103) 사이를 점퍼선(110)으로 연결하되, 상기 경완금(102)의 양측 상면에 고정, 설치된 지지용 애자(Line post:핀애자)(104)를 통해 점퍼선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지지하는 시공이 이루어져 왔다.
여기서, 이와 같이 수개의 현수 애자(103)와 지지용 애자(104) 등을 전주(100)에 체결하여 전선 케이블(101)의 가설을 가능하게 하는 경완금(10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00)에 연결 고정을 취해 줄 수 있는 별개의 "U"자형 결속구(104)를 이용하여 체결 설치하는 단순 시공 방식으로 취해져 왔다.
그러므로 경완금의 설치를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없었고, 시공 상에 많은 불편 및 애로 사항이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충 설명하면, 경완금을 설치하기 위해선 "U"자형 결속구를 전주에 위치시킨 후 이 상태에서 "U"자형 결속구에 경완금을 이동 연결 시켜 너트로 상호간을 체결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작업자 단독으로 시공하기가 사실상 불가한 문제점과, 경완금과 "U"자형 결속구 상호간의 연결 구조가 비견고하여 전주 상에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하기에는 미흡한 구조적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선로 방향을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하려면, 별도의 지지구를 증설하여 선로의 방향을 전환하여야만 하는 불편사항이 있었다.
그리고 경완금의 외형이 일률적인 사각관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한 평면 공간을 제공하여 이로 인한 정전 사고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경완금의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어, 사실 도심 경관을 크게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측으로 설치되는 케이블들의 선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로드를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하지 않은 형태로 공간을 제공하여 조류로 인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는 배전용 케이블의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배전용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있어서,
그 일단이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설치 몸체와, 그 일단이 상기 설치 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설치 몸체에 대한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위치로 가변되는 베이스 로드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로드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되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제 1연결 로드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연결 로드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되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제 2연결 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설치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구와, 상기 베이스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의 외주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반구 형상의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 및 상기 캡에는 상기 구와 상기 캡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위치로 가변시킬수 있도록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 1연결 로드의 일단 및 상기 제 1연결 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 2연결 로드의 일단에는 그 가변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 힌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부재를 지칭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가 설치된 배전용 전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는 주지된 바와 같은 형태의 전주(100)에 케이블(440)의 방향을 가변하기 위한 가변장치(300)가 구비된 형태이다.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300)는 그 일단이 전주(100)에 설치되는 설치 몸체(302)와, 그 일단이 설치 몸체(302)의 타단에 연결되고 결합부(32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상기 설치 몸체(302)에 대한 회전 방향이 기설정된 위치로 가변되는 베이스 로드(304)와, 일단이 상기 베이스 로드(304)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케이블(440)이 관통되어 위치되는 케이블 홀(312)이 형성되는 제 1연결 로드(306)와, 그 일단이 상기 제 1연결 로드(306)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케이블(440)이 관통되어 위치되는 케이블 홀(412)이 형성되는 제 2연결 로드(308)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320)(330)는 상기 설치 몸체(302)의 일단에 형성된 구(302a)와, 상기 베이스 로드(304)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302a)의 외주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반구 형상의 캡(304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302a) 및 상기 캡(304a)에는 상기 구(302a)와 상기 캡(304a)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위치로 가변시킬수 있도록 고정볼트(504)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302b)(304b)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부(320)(330)는 도 4, 도5와 같은 형태 및 도 6과 같은 대략 두 가지의 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그 중 하나의 형태는 도 4와 도5와 같은 형태로, 설치몸체(302)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302a), 구(302a)를 감싸도록 베이스 로드(304)의 타단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캡(304a)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설치몸체(302)와 베이스 로드(304)에 각각 형성된 구(302a)와 반구 형태의 캡(304a)에 의해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구(302a)와 캡(304a)에는 설치몸체(302)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한 상태의 베이스 로드(30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02b)(30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홀(302b)(304b)에는 고정볼트(504)가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 로드(304)의 일단과 제 1,2연결로드(306)(308)는 힌지(506)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베이스 로드(304)의 일단과 베이스 로드(304)에 연결되는 연결로드(306)(308)에는 각각 힌지 홀(506a)(507a) 및 보조 힌지(502)가 결합되도록 보조 힌지 홀(502a)(503a)(503b)(503c)이 형성된다.
힌지(506)는 베이스 로드(304)와 제 1,2연결 로드(306)(308)가 회전상태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보조 힌지(502)는 베이스 로드(304)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의 연결로드(306)(308)를 고정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힌지 홀(506a)(507a)에 의해 베이스 로드(304)에 대한 연결로드(306)을 설치 위치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킨 뒤 보조힌지(502)를 사용하여 보조 힌지 홀(502a)(503a)(503b)(503c)에 체결함으로 이들 간의 체결을 실시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 로드(304)와 연결된 연결 로드(306)(30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베이스 로드(304)와 연결 로드(306)(308)의 결합을 지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3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베이스 로드(304)와 연결로드(306)(308)의 연결 상태를 다르게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 베이스 로드(304)와 연결로드(306)(308)를 결합하는 결합부(320)는 구(302a)와 캡(304a)에 의한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설치몸체(302)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302a), 구(302a)를 감싸도록 베이스 로드(304)의 타단에 형성되는 반구 형상의 캡(304a)으로 이루어져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구(302a)와 캡(304a)에는 설치몸체(302)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한 상태의 베이스 로드(30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02b)(304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홀(302b)(304b)에는 고정볼트(504)가 삽입된다.
그리고 베이스 로드(304)의 일단에도 구(304c)가 형성되고, 이와 연결되는 연결로드(306)의 일단에는 반구 형상의 캡(306d)이 형성되며, 이들은 고정볼트(504)에 의해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300)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주(100)에 설치되는 케이블(440)의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와 같은 형태로 결합부재(320)(330)에 의해 연결된 상태의 베이스 로드(300) 및 연결로드(306)(308)를 설치 몸체(302)에 대해서 케이블(44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7의 경우는 결합부(320)(330)에 의해 연결된 설치몸체(302)에 대한 베이스 로드(304)를 조작하여 케이블(440)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설치몸체(302)와 베이스 로드(304)를 연결하고 있는 구(302a)와 캡(304a)을 체결하고 있는 고정볼트(504)를 고정홀(302b)(304b)에서 빼내는 작업이 우선된다.
고정홀(302b)(304b)에서 고정볼트(504)를 빼낸 후 케이블(440)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베이스 로드(304)를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나머지 연결 로드(306)(306)는 힌지(506)와 보조 힌지(502)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로드(304)를 조작하고 난 후 다시 고정홀(302b)(304b)에 고정볼트(504)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 케이블(440)의 방향 가변을 위한 작업은 완료된다.
이때 베이스 로드(30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몸체(302)에 연결된 부분이 연결로드(306)(308)가 연결된 부분 보다 높게 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베이스 로드(304)부터 연결아암(306)(308)들은 전주(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하는 형태가 되어 조류 등이 둥지를 마련할 수 없도록 하여 이로 인한 감전사고 등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최소화 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8과 같은 사용상태가 나타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는 결합부(320)(330)에 의해 연결된 베이스 로드(304)와 연결로드(306)를 조작하여 케이블(440)의 방향전환이 가능하게 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 베이스 로드(304)와 연결로드(306)를 연결하고 있는 보조힌지(502)를 빼내는 작업이 선행되며, 힌지(506)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보조힌지(502)를 보조 힌지 홀(502a)(503a)(503b)(503c)에서 빼낸 후 연결로드(306)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 로드(306)를 조작하고 난 후 다시 보조 힌지 홀(502a)(503a)(503b)(503c)에 보조 힌지(502)를 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 케이블(440)의 방향 가변을 위한 작업은 완료된다. 이때 보조힌지(502)가 체결되는 보조 힌지 홀(502a)(503a)(503b)(503c)은 연결로드(306)의 가변방향에 맞게 체결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베이스 로드(30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몸체(302)에 연결된 부분이 연결로드(306)(308)가 연결된 부분 보다 높게 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베이스 로드(304)부터 연결아암(306)(308)들은 전주(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하는 형태가 되어 조류 등이 둥지를 마련할 수 없도록 하여 이로 인한 감전사고 등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물질이 쌓이는 것이 최소화 되는 효과도 발생하게 된다.
미설명 부호 524는 설치몸체(302)를 전주(100)에 설치하기 위한 브래킷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방향을 기설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가변하여 선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로드를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하지 않은 형태로 공간을 제공하여 조류로 인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를 얻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배전용 케이블의 방향을 가변하기 위해 배전용 전주에 설치되는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에 있어서,
    그 일단이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설치 몸체;
    그 일단이 상기 설치 몸체의 타단에 연결되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설치 몸체에 대한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위치로 가변되는 베이스 로드; 및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 로드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되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제 1연결 로드;
    그 일단이 상기 제 1연결 로드의 타단에 힌지 연결되며, 케이블이 관통되어 위치되는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제 2연결 로드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설치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구와, 상기 베이스 로드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구의 외주를 감싸도록 끼워지는 반구 형상의 캡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 및 상기 캡에는 상기 구와 상기 캡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기 회전방향이 기설정된 위치로 가변시킬수 있도록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 1연결 로드의 일단 및 상기 제 1연결 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 2연결 로드의 일단에는 그 가변상태를 고정하기 위한 보조 힌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4. 삭제
KR1020070039685A 2007-04-24 2007-04-24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100759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85A KR100759850B1 (ko) 2007-04-24 2007-04-24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685A KR100759850B1 (ko) 2007-04-24 2007-04-24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850B1 true KR100759850B1 (ko) 2007-09-18

Family

ID=3873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685A KR100759850B1 (ko) 2007-04-24 2007-04-24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8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61B1 (ko) 2008-04-11 2008-07-02 (주)동우기술단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871415B1 (ko) 2008-08-23 2008-12-03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전력 선로 방향 전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64Y1 (ko) 2000-06-23 2000-12-15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0660645B1 (ko) 2006-07-05 2006-12-21 (주)일신전기감리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의 인출방향 조절이 가능한 완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464Y1 (ko) 2000-06-23 2000-12-15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0660645B1 (ko) 2006-07-05 2006-12-21 (주)일신전기감리 전신주에 연결된 전선의 인출방향 조절이 가능한 완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161B1 (ko) 2008-04-11 2008-07-02 (주)동우기술단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871415B1 (ko) 2008-08-23 2008-12-03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전력 선로 방향 전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253B1 (ko) 직선철탑의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전선을 고정하는 현수형 고정장치 및 폴리머 절연암의 현수형 고정장치를 이용한 송전선로 설치공법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051993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709097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CN108306241A (zh) 一种35kv双拼电缆单杆登杆装置
KR100759850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방향 가변장치
KR10079656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100677657B1 (ko)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JP2007195483A (ja) 鳥害防止装置
KR100620781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CN105186370A (zh) 直线杆塔架空线路用收线装置
KR100681733B1 (ko) 연합케이블을 이용한 가공 송배전 선로장치
KR20200142659A (ko) 케이블 지지장치
KR102493929B1 (ko)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1329343B1 (ko)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KR100907433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CN112952708B (zh) 带电作业三角形夹板式间隔棒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2150504B1 (ko) 배전선로의 다기능 케이블 고정 장치
KR100818556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KR200251758Y1 (ko) 전선케이블의 점퍼선을 지지하기 위한 폴리머애자
KR100843162B1 (ko) 전선케이블 경완금 연결장치
KR101129397B1 (ko) 고압선의 처짐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