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36B1 -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36B1
KR102246336B1 KR1020200120572A KR20200120572A KR102246336B1 KR 102246336 B1 KR102246336 B1 KR 102246336B1 KR 1020200120572 A KR1020200120572 A KR 1020200120572A KR 20200120572 A KR20200120572 A KR 20200120572A KR 102246336 B1 KR102246336 B1 KR 10224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overhead distribution
wancheol
unit
over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컨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2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완철(10); 완철(10)의 양단부에 내설되어 라인픽스유닛(30)을 왕복이송시키는 진퇴유닛(20); 진퇴유닛(20)을 매개로 완철(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가공배전선(L)을 고정 및 절연하는 라인픽스유닛(30); 완철(10)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대(40); 받침대(40)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면서 라인픽스유닛(30)을 승강시키는 자아틀유닛(50); 완철(10)에 설치되어 완철(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누전감지유닛(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완철에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누전감지유닛이 감지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누전여부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Overhead distribution line support facility equipped with overhead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clamps}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누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을 보호해 줄 수 있고, 교체작업시 작업자가 해당부품을 자동으로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근골격계의 부상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전선을 전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절연성능을 가진 폴리머(polymer) 현수애자 등을 이용하여 가공전선을 장악하고, 이러한 현수애자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완철을 전주에 설치한다.
상기 현수애자를 완철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아이쇄클(eye shackle)이 필요하며, 아이쇄클과 현수애자는 코터핀(cotter pin)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한편, 종래에는 누전이 발생한 경우 이를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수단이 완철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모르고 완철을 만질 경우 감전사고로 연결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교체작업시 수작업(로프를 이용)으로 교체물품을 들어올리거나 내려야 했기 때문에 작업이 힘들고, 특히 이러한 작업과정에 근골격계 부상을 자주 당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 제20-0486031호(2018.03.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누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을 보호해 줄 수 있고, 교체작업시 작업자가 해당부품을 자동으로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근골격계의 부상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를 사이에 두고 전주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되, 양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축공이 각각 형성되고, 축공을 사이에 두고 제1·2돌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단부의 상·하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장공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관 형상의 완철;
가공배전선의 가설방향으로 완철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이송스크류와, 이송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장공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볼트를 갖추고서 이송스크류에 체결되어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이송블록으로 구성된 진퇴유닛;
장착볼트를 매개로 완철에 설치되며 쇄클아이를 구비하는 아이쇄클과, 쇄클아이에 쇄클코터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와, 현수애자의 단부에 애자코터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가공배전선 및 가공배전선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연결클램프로 구성된 라인픽스유닛;
완철 사이에 배치되며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2돌부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받침대;
받침대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 포스트에 회전가능하게 다단설치되는 풀리로 이루어진 로프가이더와,
전동기, 전동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 드럼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며 풀리에 의해 안내되는 로프, 로프에 연결되어 가공배전선을 물어 고정하는 바이스로 이루어지며, 로프가이더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2권양기로 구성된 자아틀유닛;
완철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완철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와, 누전감지센서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램프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완철에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누전감지유닛이 감지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누전여부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교체작업시 제1·2권양기를 이용해 가공배전선을 매달은 채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무거운 현수애자를 손쉽게 내리거나 끌어올릴 수 있어 작업이 상당히 편하며, 수작업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근골력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의 요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서 라인픽스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서 받침대 및 자아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서 받침대의 동작상태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를 이용한 라인픽스유닛의 교체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됨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의 요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서 라인픽스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서 받침대 및 자아틀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에서 받침대의 동작상태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는 완철(10)과 진퇴유닛(20), 라인픽스유닛(30), 받침대(40), 자아틀유닛(50) 및 누전감지유닛(6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누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을 보호해 줄 수 있고, 교체작업시 작업자가 해당부품을 자동으로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근골격계의 부상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완철(10)은 사각관 형상의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완철(10)의 양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받침대(40)의 축(41)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공(11)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공(11)을 사이에 두고 제1·2돌부(12a,12b)가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여기서 제1·2돌부(12a,12b)는 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된 받침대(4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완철(10)의 양단부 상하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장공(13)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장공(13)에는 진퇴유닛(20)의 장착볼트(23a)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완철(10)에는 누전이 감지되면 이를 불빛으로 알려주는 누전감지유닛(60)이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진퇴유닛(20)은 이송스크류(21)와 모터(22) 및 이송블록(23)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완철(10)과 라인픽스유닛(30)을 상호 연결하면서 라인픽스유닛(30)을 가공배전선(L)의 가설방향을 따라 왕복이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스크류(21)는 가공배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완철(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된다. 상기 모터(22)는 통상의 서보모터로서, 완철(10)의 외면에 고정되어 이송스크류(21)의 일단과 상호 연결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이송스크류(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블록(23)은 이송스크류(21)에 체결되어 이송스크류(21)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송되는데, 상면과 하면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볼트(23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장착볼트(23a)는 장공(13)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돌출되며, 돌출된 장착볼트(23a)에는 라인픽스유닛(30)의 아이쇄클(31)이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장착볼트(23a)에 끼워진 아이쇄클(31)은 장착볼트(23a)에 체결되는 너트(23b)에 의해 이탈이 제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라인픽스유닛(30)은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 및 연결클램프(3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과 가공배전선(L) 사이에 설치되어 완철(10)과 가공배전선(L)이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절연하고,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라인픽스유닛(30)은 해당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하에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넘어가기로 한다.
상기 아이쇄클(31)은 대략‘C’자 형상을 가지며, 일측에 쇄클아이(31a)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현수애자(32)는 쇄클아이(31a)에 쇄클코터핀(32a)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쇄클코터핀(32a)의 일단에는 분할핀(P')이 관통되게 끼워져 쇄클코터핀(32a)의 이탈을 단속한다. 상기 연결클램프(33)는 가공배전선(L)이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현수애자(32)의 단부에 애자코터핀(33a)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애자코터핀(33a)의 일단에는 분할핀(P')이 관통되게 끼워져 애자코터핀(33a)의 이탈을 단속한다.
일 예로, 상기 현수애자(32)의 파손으로 인해 교체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가공배전선(L)이 추락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한 다음,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애자코터핀(33a)를 분리하여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가 서로 분리한다. 상기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가 서로 분리되면 현수애자(32)와 연결된 아이쇄클(31)을 완철(10)으로부터 분리하고, 새로운 라인픽스유닛(30)을 구성하는 아이쇄클(31)을 완철(10)에 설치한다. 상기 아이쇄클(31)이 완철(10)에 설치되면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애자코터핀(33a)를 매개로 상호 연결해 주면 되는데, 가공배전선(L)을 잡아당겨 견고하게 고정하더라도 가공배전선(L)의 자중에 의해 소정의 처짐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현수애자(32)의 구멍(도 3 참조)과 연결클램프(33)의 구멍(도 3 참조)이 서로 어긋나게 되면서 애자코터핀(33a)을 끼워 넣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진퇴유닛(20)을 구성하는 모터(22)를 동작시켜 주게 되면, 모터(22)에 의해 이송스크류(21)가 회전하게 되고, 이송스크류(21)의 회전으로 인해 이송블록(23) 및 장착볼트(23a)가 이송되며, 장착볼트(23a)이 이송됨에 따라 장착볼트(23a)에 끼워진 아이쇄클(31)이 이송하게 되므로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의 어긋난 구멍을 손쉽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렇게 구멍(도 3 참조)이 맞춘 다음 애자코터핀(33a)을 구멍으로 삽입하여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을 상호 연결하고, 애자코터핀(33a)에 분할핀(P')을 끼워 애자코터핀(33a)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의 구멍이 서로 어긋나더라도 진퇴유닛(20)을 이용해 어긋난 구멍을 손쉽게 맞춰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리해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과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4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판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 사이에 배치되어 완철(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자아틀유닛(50)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회전시 자아틀유닛(50)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관련도구를 거치해 둘 수 있는 작업공간이 선택적으로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40)의 일단부 측면에는 완철(10)의 축공(1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41)이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 측면에는 제1돌부(12a)에 끼워져 얹혀지는 걸림홈(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일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축(41)을 중심으로 받침대(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받침대(40)의 상면으로 자아틀유닛(50)이 노출되고, 받침대(40)는 제1돌부(12a)에 얹혀져 지지된다.
반대로, 상기 축(41)을 중심으로 받침대(4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받침대(40)의 상면으로 유지보수를 위한 관련도구를 거치해 둘 수 있는 작업공간이 노출되고, 받침대(40)는 제2돌부(12b)에 얹혀져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받침대(40)를 이용해 필요 목적에 따라 자아틀유닛(50) 또는 거치공간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서 하나의 받침대(40)에 자아틀유닛(50)과 거치공간이 모두 구비됨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과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자아틀유닛(50)은 로프가이더(51)와 제1·2권양기(52,5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받침대(40)의 일면에 설치되어 라인픽스유닛(30)의 교체작업시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면서 교체 대상되는 구성부품(아이쇄클 및 현수애자)을 내리거나 끌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프가이더(51)는 포스트(51a)와 풀리(51b)로 구성되는데, 포스트(51a)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부재로, 받침대(40)의 일면 중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고, 풀리(51b)는 포스트(51a)에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포스트(51a)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어 로프(52c)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2권양기(52,52')는 전동기(52a)와 드럼(52b), 로프(52c) 및 바이스(52d)로 이루어지며, 로프가이더(5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가공배전선(L)의 고정 및 라인픽스유닛(30)을 승강(내리거나 올림)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전동기(52a)는 일단에 설치되는 드럼(52b)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통상의 서보모터이다. 상기 드럼(52b)은 전동기(52a)의 축(미도시)에 고정되어 전동기(52a)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로프(52c)를 감거나 푼다. 상기 로프(52c)는 드럼(52b)에 권취 및 권출가능하게 설치된 줄(예:와이어)로서, 일단은 드럼(52b)에 연결되고, 타단은 바이스(52d)에 연결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52b)에 의해 드럼(52b)에 감기거나 드럼(52b)에서 풀리게 된다. 상기 바이스(52d)는 분할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돌기와 홈을 매개로 상호 결합하거나 벌릴 수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측으로 인입되는 가공배전선(L) 또는 로프(52c)을 감싸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라인픽스유닛(30)의 교체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제1권양기(52)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고, 제2권양기(52')를 이용하여 라인픽스유닛(30)을 각각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1·2권양기(52,52')에 의해 각각 고정되면, 작업자는 아이쇄클(31)을 매개로 완철(10)에 연결된 현수애자(32)와, 가공배전선(L)을 고정하고 있는 연결클램프(33)가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제1권양기(52)를 이용해 늘어져 있는 가공배전선(L)을 잡아당겨 준다. 그리고 상기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애자코터핀(33a)을 분리하게 되면, 비로소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서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제2권양기(52')를 이용하여 현수애자(32)를 지상으로 내려주고, 새로운 현수애자(32)를 완철(10)까지 끌어올린 다음 새로운 현수애자(32)를 애자코터핀(33a)을 매개로 연결클램프(33)와 상호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교체작업시 제1·2권양기(52,52')를 이용해 가공배전선(L)을 매달은 채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무거운 현수애자(32)를 손쉽게 내리거나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하고, 수작업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근골력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진퇴유닛(20) 및 자아틀유닛(50)의 동작은 주변에 설치된 스위치(컨트롤러-미도시)를 작업자가 조작함으로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누전감지유닛(60)은 누전감지센서(61)와 램프(6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완철(1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완철(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이를 작업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누전감지유닛(60)은 교체 가능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이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누전감지센서(61)는 완철(1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완철(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 상기 램프(62)는 누전감지센서(61)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누전감지센서(61)에 의한 누전감지시 램프(62)가 점등됨에 따라 작업자가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램프(62)를 통해 완철(10)에 누전이 발생하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어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을 사전에 피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를 이용한 라인픽스유닛의 교체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를 참조하면, 라인픽스유닛(30)의 노후 또는 손상으로 인해 교체를 진행하고자 할 경우, 완철(10)에 설치된 누전감지유닛(60)을 먼저 확인한다.
일 예로, 누전으로 인해 완철(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누전감지센서(61)가 감지하게 되고, 누전감지센서(61)는 즉시 램프(62)를 동작시켜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게 되며, 작업자는 불빛을 통해 현재 완철(10)에 누전이 발생했다는 것을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누전이 감지되면 작업자는 누전원인을 먼저 해소한 다음 후속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누전여부를 확인한 다음에는 자아틀유닛(50)을 구성하는 제1권양기(52)의 로프(52c)를 상부 풀리(51b)를 경유하도록 거치한 다음, 로프(52c)의 단부에 설치된 바이스(52d)를 가공배전선(L)에 고정한다. 그리고 제2권양기(52')의 로프(52c)를 하부 풀리(51b)를 경유하도록 거치한 다음, 로프(52c)와 바이스(52d)를 이용해 현수애자(32)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제1·2권양기(52,52')에 의해 각각 고정되면, 작업자는 제1권양기(52)의 전동기(52a)를 조작하여 드럼(52b)에 로프(52c)가 감기도록 한다. 이때 드럼(52b)에 감기는 로프(52c)가 바이스(52d)를 잡아당김에 따라 바이스(52d)에 고정된 가공배전선(L)이 당겨지게 되고, 이로 인해 라인픽스유닛(30)에 걸려 있던 장력은 해제되는 대신 로프(52c)에 장력이 걸리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라인픽스유닛(30)을 구성하는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 및 연결클램프(33)에 걸려 있던 장력이 해제되면, 작업자는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상호 연결하고 있던 애자코터핀(33a)을 분리하여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서로 분리하고, 아이쇄클(31)을 진퇴유닛(20)의 장착볼트(23a)로부터 이탈시켜 완철(10)으로부터 분리한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가 완철(10)과 연결클램프(33)로부터 각각 분리되면, 작업자는 제2권양기(52')의 전동기(52a)를 조작하여 드럼(52b)에 감겨진 로프(52c)를 풀어주게 되고, 로프(52c)이 풀림에 따라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는 지상으로 하강하게 되며, 지상에 작업자는 새로운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를 로프(52c)에 묶어 주며, 전주(P) 위에 작업자는 제2권양기(52')의 전동기(52a)를 재조작하여 로프(52c)를 감아 새로운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를 끌어 올려준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아이쇄클(31)과 현수애자(32)가 끌어 올려지면, 아이쇄클(31)을 진퇴유닛(20)의 장착볼트(23a)에 끼워주고, 아이쇄클(31)이 장착볼트(23a)로부터 빠지지 않게 장착볼트(23a)에 너트(23b)를 채워준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쇄클(31)이 완철(10)에 연결되면,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를 상호 연결하면 되는데, 가공배전선(L)을 제1권양기(52)를 이용해 잡아당기면서 견고하게 고정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최초 위치에서 미세하게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현수애자(32)와 연결클램프(33) 간에는 일정거리만큼 이격(D)이 생기게 되면서 구멍(도 3 참조)의 불일치로 인해 애자코터핀(33a)을 이용한 상호 연결작업이 쉽지 않다.
도 6e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일정거리만큼 이격(D)된 경우 작업자는 진퇴유닛(20)를 이용해 이를 해소할 수 있는데, 우선 작업자가 모터(22)를 조작하게 되면, 모터(22)에 의해 이송스크류(21)가 회전하게 되고, 이송스크류(21)의 회전에 의해 이송블록(23)이 이동하게 되며, 이송블록(23)의 이동에 의해 장착볼트(23a) 및 장착볼트(23a)에 연결된 아이쇄클(31)은 장공(13:도 2 참조)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현수애자(32)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도 3 참조)과 연결클램프(33)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도 3 참조)을 신속하게 맞춰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현수애자(32)의 구멍과 연결클램프(33)의 구멍이 일치되면, 일치된 구멍으로 애자코터핀(33a)을 끼워넣은 다음 분할핀(P')으로 고정하며, 마지막으로 제1권양기(52)의 로프(52c)에 걸려 있는 장력이 라인픽스유닛(30)에 걸리도록 제1권양기(52)를 동작제어하여 로프(52c)을 풀어주고, 가공배전선(L)으로부터 바이스(52d)를 분리하면 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완철(10)에 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누전감지유닛(60)이 감지하여 주변으로 불빛을 방출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누전여부를 직감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감전사고와 같은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40)를 이용해 필요 목적에 따라 자아틀유닛(50) 또는 거치공간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고, 이와 더불어서 하나의 받침대(40)에 자아틀유닛(50)과 거치공간이 모두 구비됨에 따라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교체작업시 제1·2권양기(52,52')를 이용해 가공배전선(L)을 매달은 채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무거운 현수애자(32)를 손쉽게 내리거나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편하고, 수작업으로 진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근골력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완철 11: 축공 12a: 제1돌부
12b: 제2돌부 13: 장공 20: 진퇴유닛
21: 이송스크류 22: 모터 23: 이송블록
23a: 장착볼트 23b: 너트 30: 라인픽스유닛
31: 아이쇄클 31a: 쇄클아이 32: 현수애자
33: 연결클램프 33a: 애자코터핀 40: 받침대
41: 축 42: 걸림홈 50: 자아틀유닛
51: 로프가이더 51a: 포스트 51b: 풀리
52,52': 제1·2권양기 52a: 전동기 52b: 드럼
52c: 로프 52d: 바이스 60: 누전감지유닛
61: 누전감지센서 62: 램프 L: 가공배전선
J: 점퍼선

Claims (1)

  1. 전주(P)를 사이에 두고 전주(P)의 상단부에 나란하게 설치되되, 양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축공(11)이 각각 형성되고, 축공(11)을 사이에 두고 제1·2돌부(12a,12b)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단부의 상·하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장공(13)이 일체로 형성된 사각관 형상의 완철(10);
    가공배전선(L)의 가설방향으로 완철(10)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이송스크류(21)와, 이송스크류(21)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22)와, 장공(13)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장착볼트(23a)를 갖추고서 이송스크류(21)에 체결되어 이송스크류(21)의 회전에 의해 왕복이송되는 이송블록(23)으로 구성된 진퇴유닛(20);
    장착볼트(23a)를 매개로 완철(10)에 설치되며 쇄클아이(31a)를 구비하는 아이쇄클(31)과, 쇄클아이(31a)에 쇄클코터핀(32a)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현수애자(32)와, 현수애자(32)의 단부에 애자코터핀(33a)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가공배전선(L) 및 가공배전선(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점퍼선(J)이 각각 결합 고정되는 연결클램프(33)로 구성된 라인픽스유닛(30);
    완철(10) 사이에 배치되며 축공(1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2돌부(12a,12b)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받침대(40);
    받침대(40)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포스트(51a), 포스트(51a)에 회전가능하게 다단설치되는 풀리(51b)로 이루어진 로프가이더(51)와,
    전동기(52a), 전동기(52a)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드럼(52b), 드럼(52b)의 회전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며 풀리(51b)에 의해 안내되는 로프(52c), 로프(52c)에 연결되어 가공배전선(L)을 물어 고정하는 바이스(52d)로 이루어지며, 로프가이더(51)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받침대(40)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1·2권양기(52,52')로 구성된 자아틀유닛(50);
    완철(1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완철(10)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61)와, 누전감지센서(61)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램프(62)로 구성된 누전감지유닛(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0200120572A 2020-09-18 2020-09-18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24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72A KR102246336B1 (ko) 2020-09-18 2020-09-18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572A KR102246336B1 (ko) 2020-09-18 2020-09-18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36B1 true KR102246336B1 (ko) 2021-04-29

Family

ID=7572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572A KR102246336B1 (ko) 2020-09-18 2020-09-18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3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46B1 (ko) * 2021-11-16 2022-05-17 주식회사 백두 낙뢰피해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479524B1 (ko) * 2022-03-08 2022-12-20 미래컨설턴트(주)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491958B1 (ko) * 2022-04-06 2023-01-27 (주)대진이앤지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491957B1 (ko) * 2022-04-06 2023-01-27 (주)대진이앤지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2492787B1 (ko) * 2022-04-06 2023-01-27 (주)삼화종합기술 가공배전선로용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KR102521123B1 (ko) * 2022-03-08 2023-04-13 주식회사 서원전력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KR102526430B1 (ko) * 2022-03-08 2023-04-28 (주)경성감리단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554701B1 (ko) * 2023-01-31 2023-07-12 (주)조이엔지니어링 변압기와 특고압 배전선로의 낙뢰 방지 설비 설치방법
CN116609572A (zh) * 2023-07-20 2023-08-18 临沂智喆电子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柜安全性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2227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KR200486031Y1 (ko) 2013-06-25 2018-03-27 한국전력공사 현수애자용 아이쇄클
KR101941106B1 (ko) * 2018-08-24 2019-01-23 이수기술(주)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112807B1 (ko) * 2020-02-26 2020-05-19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031Y1 (ko) 2013-06-25 2018-03-27 한국전력공사 현수애자용 아이쇄클
KR20160142227A (ko) * 2015-06-02 2016-12-12 주식회사 성진 배전선로용 쇄클
KR101941106B1 (ko) * 2018-08-24 2019-01-23 이수기술(주)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2112807B1 (ko) * 2020-02-26 2020-05-19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546B1 (ko) * 2021-11-16 2022-05-17 주식회사 백두 낙뢰피해방지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479524B1 (ko) * 2022-03-08 2022-12-20 미래컨설턴트(주) 전주 착탈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KR102521123B1 (ko) * 2022-03-08 2023-04-13 주식회사 서원전력 가공배전선 안전지지를 위한 애자 탑재형 고정기구
KR102526430B1 (ko) * 2022-03-08 2023-04-28 (주)경성감리단 클램프활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491958B1 (ko) * 2022-04-06 2023-01-27 (주)대진이앤지 피뢰기능을 탑재한 가공배전라인용 고정기구
KR102491957B1 (ko) * 2022-04-06 2023-01-27 (주)대진이앤지 충돌방지를 위한 가공배전선 간격 유지기구
KR102492787B1 (ko) * 2022-04-06 2023-01-27 (주)삼화종합기술 가공배전선로용 안전기능 탑재 가공점퍼선 지지기구
KR102554701B1 (ko) * 2023-01-31 2023-07-12 (주)조이엔지니어링 변압기와 특고압 배전선로의 낙뢰 방지 설비 설치방법
CN116609572A (zh) * 2023-07-20 2023-08-18 临沂智喆电子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配电柜安全性检测装置
CN116609572B (zh) * 2023-07-20 2023-11-24 国网四川省电力公司宜宾供电公司 一种配电柜安全性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338B1 (ko) 변압기로의 가공배전선 분기가 용이한 가공배전설비
KR102246336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112807B1 (ko)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KR102254652B1 (ko) 가공배전라인 이탈 방지용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US20130269180A1 (en) Maintenance tool for insulator of direct current transmission line
KR20150087785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941106B1 (ko) 안전한 가공배전선로 수리를 위한 가공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장치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KR102456387B1 (ko)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KR102265393B1 (ko) 피뢰기능이 구비된 안전성 향상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1972405B1 (ko) 송전선용 장력측정식 상탑 이도공법과 그 장치
CN105398990A (zh) 电力角钢塔用辅助提升装置
CN107425475B (zh) 一种架空地线提线器及其提升就位方法
CN105633859B (zh) 一种悬空输电线路上线装置
CN214755178U (zh) 一种旁路电缆与带电导线连接装置
CN107834425B (zh) 架空导线更换施工用接地保护装置
JP2019170125A (ja) 架線の撤去方法及び架線撤去用具
KR102246309B1 (ko) 가공배전선을 위한 안전성 향상 고정기구
CN111193120A (zh) 一种向高空线缆悬挂接地线可拆卸头的装置
KR102472682B1 (ko) 낙뢰 보호형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CN219226658U (zh) 一种能实时观测接电线夹状态的监控报警装置
KR102456675B1 (ko) 분기기능을 마련한 가공배전라인 지지용 스트랍장치
CN215768799U (zh) 带电作业装置
CN215343674U (zh) 500kV输电线路带电作业快捷悬挂装置
CN211629328U (zh) 一种向高空线缆悬挂接地线可拆卸头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