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387B1 -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6387B1 KR102456387B1 KR1020220001917A KR20220001917A KR102456387B1 KR 102456387 B1 KR102456387 B1 KR 102456387B1 KR 1020220001917 A KR1020220001917 A KR 1020220001917A KR 20220001917 A KR20220001917 A KR 20220001917A KR 102456387 B1 KR102456387 B1 KR 102456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or
- unit
- rod
- arm
- transmission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탑본체(100)와 애자유닛(200),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 애자착탈유닛(400), 윈치(500), 도르래(600) 및 피뢰침(700)으로 구성된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에 관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손상된 애자유닛(200)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 줄 수 있으며, 낙뢰의 위험으로부터 주변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765kV 등과 같은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탑은 하나 이상의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현수형 애자(insulator)를 구비하고 있다.
애자란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 부분을 절연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체로, 전기적으로 충분한 절연내력을 갖도록 다수의 주름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애자를 제작하는 절연체는 절연내력이 우수하며 변질되지 않고 온도 변화와 태양광선 등의 환경영향에도 강한 내구도를 가질 수 있는 경질자기를 주재료로 하고 있다.
이러한 애자는 온도 변화나 태양광선 등에는 높은 내구성을 보이나 취성이 높아 강풍이나 낙뢰 등에는 상당히 취약한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애자가 낙뢰 등의 자연현상이나 선로 사고로 인해 손상되는 경우, 이를 안전하게 교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9831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손상된 애자를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단순히 송전선을 승강하는 기능만 있을 뿐, 애자 교체는 전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진행된다는 점에서 작업이 상당히 불편하고, 작업시간도 상당히 오래 걸리며, 특히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상된 애자유닛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 줄 수 있으며, 낙뢰의 위험으로부터 주변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상에 입설되는 지주와,
지주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지주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양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부로 이루어진 암과,
베이스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디부,
바디부를 관통하는 출입홀과, 바디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일단이 출입홀과 상호 연통된 가이드홀로 이루어진 애자안내부,
가이드홀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베이스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스토퍼로 이루어진 애자거치대로 구성된 철탑본체;
애자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절연체와,
제1절연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행거와,
행거의 양단에 각각 매달려 송전선을 고정 및 절연하는 제2절연체와,
제1절연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애자안내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거치되는‘I’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걸이부와,
걸이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리부로 구성된 애자유닛;
레일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과,
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로드를 갖추고서 암에 설치되며 로드를 매개로 브라켓을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진퇴수단과,
승강되는 로드를 갖추고서 브라켓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승강수단과,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는 보조애자, 보조애자의 하단에 설치되는 행거, 행거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파지부로 이루어진 전선지지기구로 구성된 송전선 임시고정유닛;
걸이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포크형 로드를 갖추고서 애자거치대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크형 로드를 매개로 애자유닛을 직선왕복으로 이동시키는 제2진퇴수단과,
베이스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2진퇴수단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으로 구성된 애자착탈유닛;
암을 관통해 고리부와 연결되는 로프를 갖추고서 암에 설치되어 로프를 권취 및 권출하여 애자유닛을 승강시키는 윈치;
암에 설치되어 로프의 마찰을 줄여주는 도르래;
지중으로 연결된 접지선을 갖추고서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상된 애자유닛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 줄 수 있으며, 낙뢰의 위험으로부터 주변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에서 애자유닛의 교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2의 평면도.
도 7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에서 애자유닛의 교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의 일부를 확대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철탑은, 철탑본체(100)와 애자유닛(200),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 애자착탈유닛(400), 윈치(500), 도르래(600) 및 피뢰침(7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손상된 애자유닛(200)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해 줄 수 있으며, 낙뢰의 위험으로부터 주변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철탑본체(100)는 지주(110)와 암(120) 및 애자거치대(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지상에 입설된다.
상기 지주(110)는 철골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주(110)의 상단부에는 암(120)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암(120)은 지주(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지주(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베이스(121)와, 베이스(121)의 양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부(1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21)의 하면에는 애자거치대(130)가 일체로 형성되며, 애자거치대(130)는 바디부(131)와 애자안내부(132) 및 스토퍼(133)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1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았을 때,‘ㄷ’자를 뉘여놓은 형태를 취하고 있어 양측에 돌출된 부분은 베이스(121)의 하면에 맞대어지고 가운데 부분은 베이스(12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바디부(131)에는 상하로 관통된 출입홀(132a)과 가이드홀(132b)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출입홀(132a)과 가이드홀(132b)은 서로 연통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출입홀(132a)의 크기(원지름)는 가이드홀(132b)의 단변 폭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되어 있어 애자유닛(200)의 걸이부(240)는 출입홀(132a)에 관통되게 끼워질 수 있지만, 가이드홀(132b)은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출입홀(132a)을 통과해 가이드홀(132b)을 따라 이동된 걸이부(240)는 가이드홀(132b)에 걸쳐져 애자거치대(130)에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한편, 상기 애자유닛(200)을 단순히 가이드홀(132b)에 거치하게 되면, 외력에 의해 애자유닛(200)이 가이드홀(132b)을 따라 이동되어 출입홀(132a)을 통해 낙하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홀(132b)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스토퍼(133)를 형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상기 스토퍼(133)는 베이스(12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부재로서, 애자유닛(200)의 과도한 이동으로 인해 출입홀(132a)에 접근시 걸림되도록 함으로서 애자유닛(200)이 출입홀(132a)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애자유닛(200)은 제1절연체(210)와 행거(220), 제2절연체(230), 걸이부(240) 및 고리부(25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안내부(132)에 삽탈가능하게 거치되어 송전선(L)을 고정 및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절연체(210)와 제2절연체(230)는 통상의 절연애자로서, 제1절연체(210)와 제2절연체(230) 사이에는 행거(220)가 설치되어 제1절연체(210)와 제2절연체(230)를 상호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제2절연체(230)는 행거(220)의 양단에 매달리듯 설치되어 송전선(L)이 추락하지 않게 고정하면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절연체(210)의 상면에는‘I’자 형상의 걸이부(240)가 일체로 형성되며, 참고로 애자착탈유닛(400)의 포크형 로드(411)는 제1절연체(210)와 걸이부(240) 사이로 끼워진다.
한편, 상기 걸이부(240)는 상부와 하부의 원판 크기가 서로 상이하게 제작되었는데, 이는 애자착탈유닛(400)에 의해 애자유닛(200)이 상승될 때, 상부에 원판은 출입홀(132a)에 관통되도록 하고, 하부에 원판은 출입홀(132a)에 걸리도록 함으로서 애자유닛(200)의 적절한 삽입깊이를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240)의 상면에는 호 형상의 고리부(250)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고리부(250)에는 윈치(500)의 로프(510)가 연결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은 브라켓(310)과 제1진퇴수단(320), 제1승강수단(330) 및 전선지지기구(3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120)에 설치되어 애자유닛(200)으로부터 송전선(L)을 분리할 수 있게 들어올리고, 송전선(L)을 수평이동시켜 애자유닛(200)의 승강(상승 및 하강)시 송전선(L)과 간섭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310)은 암(120)에 대응되는 형태로 제작되어 레일부(122)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브라켓(310)은 제1진퇴수단(320)에 의해 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는데, 제1진퇴수단(320)은 암(120)을 구성하는 베이스(121)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1진퇴수단(320)은 직선왕복으로 이동되는 로드(321)를 구비한다. 여기서 로드(321)는 브라켓(310)과 연결되며, 로드(321)가 직선왕복으로 이동될 경우 브라켓(310) 역시 직선왕복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승강수단(330)은 브라켓(31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전선지지기구(34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1승강수단(330)은 승강(상승/하강)되는 로드(331)를 구비하며, 로드(331)의 말단에는 전선지지기구(340)가 연결된다.
상기 전선지지기구(340)는 보조애자(341)와 행거(342) 및 파지부(34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송전선(L)을 고정하면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조애자(341)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며, 로드(331)의 말단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애자(341)의 하단에는 행거(342)가 설치되며, 행거(342)의 양단에는 송전선(L)을 파지할 수 있도록 된 파지부(343)가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파지부(343)는, 측면에서 보면 삼각형태이며,‘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파지부(343)는 핀(미도시)을 매개로 행거(342)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지부(343)의 내측으로 송전선(L)을 인입한 상태에서 핀(미도시)을 매개로 행거(342)에 결합하면 송전선(L)이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애자착탈유닛(400)은 제2진퇴수단(410)과 제2승강수단(42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120)에 설치되어 애자유닛(200)을 애자안내부(132)에 삽입해 거치하거나 애자안내부(132)로부터 애자유닛(200)을 이탈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진퇴수단(410)은 애자거치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애자유닛(200)을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진퇴수단(410)은 직선왕복으로 이동되는 포크형 로드(411)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포크형 로드(411)는 애자유닛(200)을 구성하는 제1절연체(210)와 걸이부(240) 사이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이에 따라 애자유닛(200)은 포크형 로드(411)에 의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승강수단(420)은 암(120)을 구성하는 베이스(12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2진퇴수단(41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수단(420)은 애자거치대(130)를 관통해 제2진퇴수단(410)과 상호 연결된 로드(421)를 구비하며, 로드(421)는 제2승강수단(420)의 작동에 의해 승강(상승/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제2진퇴수단(410)은 제2승강수단(420)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애자유닛(200)이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윈치(500)는 공지의 권양기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암(120)을 구성하는 베이스(1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애자유닛(200)을 승강시키기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윈치(500)는 인양을 위한 절연재질의 로프(510)를 구비하며, 로프(510)의 일단은 윈치(5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121)를 관통해 애자유닛(200)의 고리부(250)에 연결된다.
상기 윈치(500)의 동작에 의해 로프(510)가 감기거나 풀리게 되면서 애자유닛(200)을 승강(昇降)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르래(600)는 암(120)을 구성하는 베이스(121)의 상면에 설치되어 로프(510)의 이동시 마찰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상기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과 애자착탈유닛(400) 및 윈치(500)는 별도의 작동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작제어되며, 전원은 외부로부터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제1·2진퇴수단(320,410)과 제1·2승강수단(330,420)은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적용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피뢰침(700)은 지주(110)의 상면에 설치되어 낙뢰에 의한 충격전류를 접지선(710)을 통해 땅으로 흘려보내어 각종 설비들이 낙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7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에서 애자유닛의 교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유닛(200)이 노후, 외적 요인 등으로 인해 손상된 경우 이를 즉시 교체해 줄 필요가 있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유닛(200)으로부터 송전선(L)을 분리해 주기 위하여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의 파지부(343)에 송전선(L)을 각각 거치해 준다.
상기와 같이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에 송전선(L)이 거치되면, 작업자는 별도의 작업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해 제1승강수단(330)을 동작제어하며, 이에 의해 로드(331)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로드(331)의 상승으로 인하여 로드(331)의 하단(말단)에 연결된 전선지지기구(340)가 승강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서 전선지지기구(340)의 파지부(343)에 거치되어 있던 송전선(L) 역시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됨에 따라 애자유닛(200)에 걸려있던 송전선(L)의 하중은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에 각각 걸리게 된다.
그 다음 작업자는 애자유닛(200)을 구성하는 제2절연체(230)로부터 송전선(L)을 각각 분리시켜 준다.
상기 송전선(L)이 분리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의 로드(331)가 하강하도록 조작스위치를 이용해 제1승강수단(330)을 동작제어하고, 제1승강수단(330)이 브라켓(310)을 매개로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제1진퇴수단(320)을 동작제어한다.
상기 제1진퇴수단(320)은 조작스위치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42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로드(421)의 이동으로 인해 브라켓(310)은 암(120)의 레일부(122)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브라켓(310)이 이동됨에 따라 제1승강수단(330) 및 송전선(L)이 거치된 전선지지기구(340) 역시 자연스럽게 이동된다.
한편, 상기 송전선(L)의 이송이 완료되면, 애자착탈유닛(400) 및 윈치(500)를 이용해 애자유닛(200)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며, 이를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유닛(200)과 포크형 로드(411)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해 제2승강수단(420)을 동작제어하게 되면, 이에 의해 로드(421)가 상승하게 되고, 로드(421)의 상승으로 인해 제2진퇴수단(410)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진퇴수단(410)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포크형 로드(411)가 함께 상승하게 되고, 포크형 로드(411)가 상승함에 따라 애자유닛(200) 역시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애자유닛(200)이 상승된 상태에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스위치를 이용해 제2진퇴수단(410)을 동작제어하게 되면, 포크형 로드(411)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애자유닛(200)은 가이드홀(132b)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어 출입홀(132a)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애자유닛(200)이 출입홀(132a)에 배치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해 제2승강수단(420)을 동작제어하며, 이에 의해 로드(421)가 하강하게 되고, 로드(421)의 하강으로 인해 제2진퇴수단(410)이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애자유닛(200)이 출입홀(132a)로부터 하방으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출입홀(132a)로부터 애자유닛(200)이 이탈되면, 작업자는 작업스위치를 이용해 제2진퇴수단(410)과 윈치(500)를 동작제어하게 되면, 포크형 로드(411)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로프(510)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로프(510)의 하강으로 인해 고리부(250)를 매개로 연결된 애자유닛(200)은 자연스럽게 하강하게 되며, 지상의 작업자는 이를 전달받아 새로운 애자유닛(200)으로 교체한 다음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애자유닛(200)의 교체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본 발명은 손상된 애자유닛(200)을 쉽고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근골격계 부상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낙뢰의 위험으로부터 주변기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철탑본체 110: 지주 120: 암
121: 베이스 122: 레일부 130: 애자거치대
131: 바디부 132: 애자안내부 132a: 출입홀
132b: 가이드홀 133: 스토퍼 200: 애자유닛
210: 제1절연체 220: 행거 230: 제2절연체
240: 걸이부 250: 고리부 300: 송전선 임시고정유닛
310: 브라켓 320: 제1진퇴수단 321: 로드
330: 제1승강수단 331: 로드 340: 전선지지기구
341: 보조애자 342: 행거 343: 파지부
400: 애자착탈유닛 410: 제2진퇴수단 411: 포크형 로드
420: 제2승강수단 421: 로드 500: 윈치
510: 로프 600: 도르래 700: 피뢰침
710: 접지선
121: 베이스 122: 레일부 130: 애자거치대
131: 바디부 132: 애자안내부 132a: 출입홀
132b: 가이드홀 133: 스토퍼 200: 애자유닛
210: 제1절연체 220: 행거 230: 제2절연체
240: 걸이부 250: 고리부 300: 송전선 임시고정유닛
310: 브라켓 320: 제1진퇴수단 321: 로드
330: 제1승강수단 331: 로드 340: 전선지지기구
341: 보조애자 342: 행거 343: 파지부
400: 애자착탈유닛 410: 제2진퇴수단 411: 포크형 로드
420: 제2승강수단 421: 로드 500: 윈치
510: 로프 600: 도르래 700: 피뢰침
710: 접지선
Claims (1)
- 지상에 입설되는 지주(110)와,
지주(110)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지주(1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베이스(121), 베이스(121)의 양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레일부(122)로 이루어진 암(120)과,
베이스(121)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디부(131),
바디부(131)를 관통하는 출입홀(132a)과, 바디부(131)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일단이 출입홀(132a)과 상호 연통된 가이드홀(132b)로 이루어진 애자안내부(132),
가이드홀(132b)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베이스(121)의 하면을 향해 돌출된 스토퍼(133)로 이루어진 애자거치대(130)로 구성된 철탑본체(100);
애자거치대(13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절연체(210)와,
제1절연체(2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행거(220)와,
행거(220)의 양단에 각각 매달려 송전선(L)을 고정 및 절연하는 제2절연체(230)와,
제1절연체(2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애자안내부(13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며, 가이드홀(132b)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거치되는‘I’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걸이부(240)와,
걸이부(24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리부(250)로 구성된 애자유닛(200);
레일부(122)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310)과,
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로드(321)를 갖추고서 암(120)에 설치되며 로드(321)를 매개로 브라켓(310)을 레일부(122)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진퇴수단(320)과,
승강되는 로드(331)를 갖추고서 브라켓(31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제1승강수단(330)과,
로드(331)의 하단에 설치되는 보조애자(341), 보조애자(341)의 하단에 설치되는 행거(342), 행거(342)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송전선(L)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파지부(343)로 이루어진 전선지지기구(340)로 구성된 송전선 임시고정유닛(300);
걸이부(24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포크형 로드(411)를 갖추고서 애자거치대(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크형 로드(411)를 매개로 애자유닛(200)을 직선왕복으로 이동시키는 제2진퇴수단(410)과,
베이스(121)의 하면에 설치되어 제2진퇴수단(410)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420)으로 구성된 애자착탈유닛(400);
암(120)을 관통해 고리부(250)와 연결되는 로프(510)를 갖추고서 암(120)에 설치되어 로프(510)를 권취 및 권출하여 애자유닛(200)을 승강시키는 윈치(500);
암(120)에 설치되어 로프(510)의 마찰을 줄여주는 도르래(600);
지중으로 연결된 접지선(710)을 갖추고서 지주(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피뢰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1917A KR102456387B1 (ko) | 2022-01-06 | 2022-01-06 |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01917A KR102456387B1 (ko) | 2022-01-06 | 2022-01-06 |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6387B1 true KR102456387B1 (ko) | 2022-10-19 |
Family
ID=8380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1917A KR102456387B1 (ko) | 2022-01-06 | 2022-01-06 |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638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713B1 (ko) * | 2022-12-16 | 2023-05-30 | (주)한송엔지니어링 |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2535712B1 (ko) * | 2022-12-16 | 2023-05-30 | (주)한송엔지니어링 | 송전선로와 철탑 연결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2561814B1 (ko) * | 2023-03-27 | 2023-08-01 |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 고정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
KR102590560B1 (ko) * | 2023-03-27 | 2023-10-19 |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 분기기능을 갖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0402A (ko) * | 2010-10-19 | 2012-04-27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송전탑 애자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
KR101804113B1 (ko) * | 2017-06-30 | 2017-12-04 | 함문상 |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KR102112807B1 (ko) * | 2020-02-26 | 2020-05-19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
-
2022
- 2022-01-06 KR KR1020220001917A patent/KR1024563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040402A (ko) * | 2010-10-19 | 2012-04-27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송전탑 애자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
KR101149831B1 (ko) | 2010-10-19 | 2012-05-24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송전탑 애자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
KR101804113B1 (ko) * | 2017-06-30 | 2017-12-04 | 함문상 |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KR102112807B1 (ko) * | 2020-02-26 | 2020-05-19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가공송전선의 안정적 설치를 위한 지지기구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35713B1 (ko) * | 2022-12-16 | 2023-05-30 | (주)한송엔지니어링 |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2535712B1 (ko) * | 2022-12-16 | 2023-05-30 | (주)한송엔지니어링 | 송전선로와 철탑 연결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102561814B1 (ko) * | 2023-03-27 | 2023-08-01 |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 고정성이 향상된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
KR102590560B1 (ko) * | 2023-03-27 | 2023-10-19 | 주식회사 대웅이엔지 | 분기기능을 갖춘 다기능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6387B1 (ko) |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 |
KR102246336B1 (ko) |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 |
US4466506A (en) | Wire lift device for high tension electric line | |
DK2036179T3 (en) |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several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under voltage | |
CA2710631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emporary support and a means for relocating energized electrical conductors | |
CN105633859B (zh) | 一种悬空输电线路上线装置 | |
CN106405412B (zh) | 断路器特性测试装载台 | |
KR102456388B1 (ko) | 가공송전선간의 충돌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지지장치 | |
CN213026895U (zh) |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避雷装置 | |
CN106744567B (zh) | 一种检修隧道电缆的抬升装置 | |
EP0037811A1 (en) | VERTICALLY MOBILE PLATFORM. | |
CN217704670U (zh) | 一种吹膜机 | |
CN213278952U (zh) | 一种架空地线修补装置 | |
CN210297099U (zh) | 一种电力通讯用线缆固定装置 | |
CN211018061U (zh) | 一种多联式电缆滑轮组 | |
CN211592558U (zh) | 一种接触网检修作业车及其辅助装置 | |
CN207453623U (zh) | 一种废弃横担拆除装置 | |
CN114759490B (zh) | 一种用于带电加高直线杆杆顶支架的中相导线提升装置及其提升方法 | |
CN217062986U (zh) | 一种移动式检修电源箱 | |
CN110661203B (zh) | 一种架空地线提升器 | |
CN213906110U (zh) | 一种高强度消弧滑车 | |
CN116161535A (zh) | 一种电缆井盖提升装置 | |
CN217516450U (zh) | 拣货系统用扫描装置 | |
CN210973434U (zh) | 一种用于绝缘斗臂车上的绝缘绳盘线器 | |
CN216948145U (zh) | 水电站检修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