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713B1 -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713B1
KR102535713B1 KR1020220177442A KR20220177442A KR102535713B1 KR 102535713 B1 KR102535713 B1 KR 102535713B1 KR 1020220177442 A KR1020220177442 A KR 1020220177442A KR 20220177442 A KR20220177442 A KR 20220177442A KR 102535713 B1 KR102535713 B1 KR 10253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aintaining
cables
transmiss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한송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송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송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7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hav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송전선로용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가공선로인 케이블들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장치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송전철탑에 형성되는 현수암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설치준비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의 현수암에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설치하는 현수암 열감지센서 설치단계와, 상기 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도록 상기 송전철탑에 송,수신기를 설치하는 송전철탑 송,수신기 설치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의 하부에 안전매트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저면이 지면과 맞닿게 배치시키는 송전철탑 안전매트 설치단계와, 상기 케이블들이 일정간격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송전철탑의 현수암에 간격 유지 장치를 설치하는 간격 유지 장치설치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에 설치된 간격 유지 장치에 외력을 가해 상기 송전철탑에서 움직이거나 이탈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적정설치 확인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에 설치된 간격 유지 장치에 케이블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된 간격 유지 장치 케이블 연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 유지 장치설치단계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어, 고정브라켓과 슬라이드브라켓 및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장치로 가공송전선로인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들을 일정간격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호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링에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을 마련하여 케이블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케이블이 이동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 Spacing between overhead transmission cables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브라켓과 슬라이드브라켓 및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장치로 가공송전선로인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들을 일정간격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호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링에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을 마련하여 케이블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케이블이 이동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배전선로는 지면에서 소정의 높이를 갖게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송전철탑과 그 설치된 다수의 송전철탑 간에 이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전력이동이 가능하도록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송전(送電)하는 송전선 및 그 지지물에 송전선을 설치하기 위한 부속설비를 통칭한다.
특히, 수십 또는 수백 미터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송전철탑은 그 높이만 해도 60미터 이상인 철골로 이루어진 구조물로서, 그 간격을 서로 이어주도록 다수 설치되는 송전선은 그 하중에 의해 늘어지거나 바람 등의 자연적인 영향에 의해 서로 접촉하여 손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송전선 서로 간의 간격에 변화를 주지않도록 간극유지장치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간격유지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과 설치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지지하는 송전선로를 이동시키는 구성이 없어 송전선로의 위치를 변경시 간격유지장치를 송전철탑에서 분리한 후 재설치하거나 추가적인 간격유지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50498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브라켓과 슬라이드브라켓 및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장치로 가공송전선로인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들을 일정간격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호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링에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을 마련하여 케이블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케이블이 이동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용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가공선로인 케이블들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장치의 설치방법으로서, 상기 송전철탑에 형성되는 현수암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설치준비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의 현수암에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설치하는 현수암 열감지센서 설치단계와, 상기 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도록 상기 송전철탑에 송,수신기를 설치하는 송전철탑 송,수신기 설치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의 하부에 안전매트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저면이 지면과 맞닿게 배치시키는 송전철탑 안전매트 설치단계와, 상기 케이블들이 일정간격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송전철탑의 현수암에 간격 유지 장치를 설치하는 간격 유지 장치설치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에 설치된 간격 유지 장치에 외력을 가해 상기 송전철탑에서 움직이거나 이탈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적정설치 확인단계와, 상기 송전철탑에 설치된 간격 유지 장치에 케이블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된 간격 유지 장치 케이블 연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 유지 장치설치단계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용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송전선로인 케이블들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장치로서, 상기 송전철탑의 현수암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현수암에 체결된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안내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드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형성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제어돌부와,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들이 관통되게 체결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돌부의 나사공에는 가압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나사의 단부가 사익 고정브라켓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안내레일에 체결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메인고정틀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고정틀의 내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간격유지틀들과, 상기 간격유지틀의 내부에 끼움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움되는 안내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링들에 끼움된 케이블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은 고정브라켓과 슬라이드브라켓 및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진 간격 유지 장치로 가공송전선로인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들을 일정간격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호 접촉되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링에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을 마련하여 케이블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킴과 아울러 케이블이 이동되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에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설치방법의 철탑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설치방법의 철탑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설치방법의 철탑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에 케이블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간격유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설치방법의 철탑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설치방법의 철탑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의 설치방법의 철탑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간격 유지 장치라 명명함)는 가공송전선로용 송전철탑(100)에 설치되어 송전선로인 케이블(200)들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간격 유지 장치(10)는 고정브라켓(20)과 안내레일(30)과 슬라이드브라켓(40)과 제어돌부(50)와 간격유지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은 상기 송전철탑(100)에 형성되는 현수암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현수암의 하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안내레일(30)은 상기 현수암에 체결된 상기 고정브라켓(20)의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안내레일(3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안내레일(30)은 도면에서와 같이 " ㅗ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은 상기 고정브라켓(20)에 형성되는 안내레일(30)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은 상기 안내레일(30)에 이동가능하게 끼움되며, 상기 안내레일(30)의 양측에 걸림되어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관구조로 형성되며, 상측에 걸림패널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30)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은 절연되도록 합성수지재 또는 석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이 상기 안내레일(30)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된 후 가압나사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케이블(200)이 체결되는 간격유지부(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고, 케이블(200)을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간격유지부(7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케이블(200)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고, 외부 물체 및 현수압에 설치되는 설비에 의해 케이블(200)의 간섭이 발생시 케이블(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을 통해 상기 안내레일(30)에 전달되어,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 및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돌부(50)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에 형성되며 나사공(60)이 형성된다.
상기 제어돌부(50)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의 상면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나사공(60)에 가압나사를 체결하여, 상기 가압나사가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돌부(50)의 나사공(60)에는 가압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나사의 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안내레일(30)에 체결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측면에는 상기 가압나사의 단부가 끼움되도록 체결홈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70)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00)들이 관통되게 체결된다.
상기 간격유지부(70)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의 저면에 상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메인고정틀(71)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에 연결된 상기 메인고정틀(71)의 내부에 끼움되고 상기 슬라이드브라켓(40)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간격유지틀(72)들과, 상기 간격유지틀(72)의 내부에 끼움된 후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00)이 관통되게 끼움되는 안내링(73)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링(73)들에 끼움된 케이블(200)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된다.
상기 간격유지틀(72)들의 상기 안내링(73)에 케이블(200)이 관통되게 끼움되어, 케이블(200)들이 상호 마찰되거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마찰에 의해 케이블(200)이 손상되거나 접촉에 의해 합선 및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고정틀(71)의 내면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패드를 부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을 완충시켜 상기 안내링(73) 및 상기 안내링(73)에 체결된 케이블(20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링(73)은 상기 탄성패드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안내링(73)의 내면 하측에는 상기 케이블(200)의 하측 일부가 인입되도록 곡선의 걸림홈을 더 형성하여, 상기 케이블(200)이 외력이나 바람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링(73)에는 끼움된 상기 케이블(200)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8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80)은, 상기 안내링(73)의 내면에 형성되는 작동홈(81)과, 상기 작동홈(81)에 일단이 끼움되고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82)과,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82)의 타단에 일면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83)과, 상기 가압패널(83)의 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지지패널(84)과, 상기 케이블(200)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84)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인입홈(85)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82)과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8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안내링(73)에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케이블(200)을 가압함과 아울러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공송전선로용 송전철탑(100)에 설치되어 가공선로인 케이블(200)들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장치(10)의 설치방법은 상기 송전철탑(100)에 형성되는 현수암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설치준비단계(S1)와, 상기 송전철탑(100)의 현수암에 열기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설치하는 현수암 열감지센서 설치단계(S2)와, 상기 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도록 상기 송전철탑(100)에 송,수신기를 설치하는 송전철탑(100) 송,수신기 설치단계(S3)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송전철탑(100)의 하부에 안전매트의 일단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저면이 지면과 맞닿게 배치시키는 송전철탑(100) 안전매트 설치단계(S4)와, 상기 케이블(200)들이 일정간격이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송전철탑(100)의 현수암에 간격 유지 장치(10)를 설치하는 간격 유지 장치설치단계(S5)와, 상기 송전철탑(100)에 설치된 간격 유지 장치(10)에 외력을 가해 상기 송전철탑(100)에서 움직이거나 이탈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적정설치 확인단계(S6)와, 상기 송전철탑(100)에 설치된 간격 유지 장치(10)에 케이블들을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된 간격 유지 장치(10) 케이블 연결단계(S7)를 거치면서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상기 간격 유지 장치설치단계(S5)에는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인지확인작업안내단계(S5-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인지확인업안내수단(90)은, 상기 송전철탑(10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이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간격 유지 장치 20 : 고정브라켓
30 : 안내레일 40 : 슬라이드브라켓
50 : 제어돌부 60 : 나사공
70 : 간격유지부 71 : 메인고정틀
72 : 간격유지틀 73 : 안내링
80 :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 81 : 작동홈
82 : 탄성가압코일스프링 83 : 가압패널
84 : 탄성가압지지패널 85 : 인입홈
90 : 인지확인작업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송전철탑 200 : 케이블

Claims (2)

  1. 삭제
  2. 가공송전선로용 송전철탑에 설치되어 송전선로인 케이블들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 유지 장치로서,
    상기 송전철탑의 현수암의 하부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현수암에 체결된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부에 형성되는 안내레일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형성되는 안내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드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형성되며 나사공이 형성된 제어돌부와,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들이 관통되게 체결되는 간격유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돌부의 나사공에는 가압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가압나사의 단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의 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안내레일에 체결된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을 고정시키도록 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메인고정틀과,
    상기 슬라이드브라켓에 연결된 상기 메인고정틀의 내부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간격유지틀들과,
    상기 간격유지틀의 내부에 끼움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움되는 안내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안내링들에 끼움된 케이블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도록 하는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링에는 끼움된 상기 케이블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여 고정시킴과 아울러 지지하도록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가압고정형탄성지지수단은,
    상기 안내링의 내면에 형성되는 작동홈과,
    상기 작동홈에 일단이 끼움되고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탄성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의 타단에 일면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압패널과,
    상기 가압패널의 타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가압지지패널과,
    상기 케이블의 일부가 인입되도록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인입홈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가압코일스프링과 상기 탄성가압지지패널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안내링에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케이블을 가압함과 아울러 지지하여,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력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KR1020220177442A 2022-12-16 2022-12-16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35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442A KR102535713B1 (ko) 2022-12-16 2022-12-16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442A KR102535713B1 (ko) 2022-12-16 2022-12-16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713B1 true KR102535713B1 (ko) 2023-05-30

Family

ID=86529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442A KR102535713B1 (ko) 2022-12-16 2022-12-16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7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298B1 (ko) * 2023-07-27 2024-01-30 대평엔지니어링(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누전 차단시스템
KR102631216B1 (ko) * 2023-07-05 2024-01-31 주식회사 공간이엔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636918B1 (ko) * 2023-07-05 2024-02-15 주식회사 공간이엔지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 설비 보호시스템
KR102656000B1 (ko) * 2023-06-12 2024-04-11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배관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37B1 (ko) * 2012-03-13 2012-06-01 주식회사 천지 전주 상부 지지대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4986B1 (ko)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2004128B1 (ko) * 2019-05-27 2019-07-25 안병록 전신주 설치물 세척 및 냉각장치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56387B1 (ko) * 2022-01-06 2022-10-19 대승전력기술 (주)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0437B1 (ko) * 2012-03-13 2012-06-01 주식회사 천지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504986B1 (ko) 2014-12-01 2015-03-23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전선 스페이서장치
KR102004128B1 (ko) * 2019-05-27 2019-07-25 안병록 전신주 설치물 세척 및 냉각장치
KR102456387B1 (ko) * 2022-01-06 2022-10-19 대승전력기술 (주) 가공송전용 안전성 향상 지지철탑
KR102419889B1 (ko) * 2022-01-11 2022-07-13 (주)신한종합건축사사무소 지중 송전케이블 선로 누전감시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6000B1 (ko) * 2023-06-12 2024-04-11 지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배관 시스템
KR102631216B1 (ko) * 2023-07-05 2024-01-31 주식회사 공간이엔지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636918B1 (ko) * 2023-07-05 2024-02-15 주식회사 공간이엔지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 설비 보호시스템
KR102631298B1 (ko) * 2023-07-27 2024-01-30 대평엔지니어링(주)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누전 차단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713B1 (ko) 가공 송전케이블 간 간격 유지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36095B1 (ko) 가공배전선로의 선로간 간극 유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31949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539981B1 (ko) 변압기용 전신주의 고정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07620260B (zh) 一种拱桥施工缆索吊塔架位移控制系统及使用方法
CN101613045B (zh) 电梯的运行恢复方法及装置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CN104555646A (zh) 一种提升设备的转动式防坠落装置
KR102547024B1 (ko) 변압기와 연계된 배전선로 접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US202200884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condition of a fall - protection safety system
CN105318857A (zh) 一种智能屋面板变形检测管理系统及其检测管理方法
CN108362421B (zh) 一种浮置板隔振器受力监测装置
KR102606521B1 (ko) 송전선로와 철탑의 누전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35712B1 (ko) 송전선로와 철탑 연결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1369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선 보호 장치 설치방법
KR102512263B1 (ko) 송전철탑의 낙뢰 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CN101417164A (zh) 电力杆塔钢索式防坠系统
CN205719352U (zh) 一种舞台吊索载荷监测系统
KR102546489B1 (ko) 가공배전선로의 스페이서 전도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06522B1 (ko) 송전선로의 케이블 탈선 방지용 거치대 및 그 설치방법
KR102536064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연결장치 설치방법
CN103693523A (zh) 钢丝绳松绳及断裂报警装置
KR102561481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수평 유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5600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배관 시스템
KR102523370B1 (ko) 원자력발전소 엠베드와 슬리브 중심 측량을 위한 거치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