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848A -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 Google Patents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848A
KR20180116848A KR1020170049644A KR20170049644A KR20180116848A KR 20180116848 A KR20180116848 A KR 20180116848A KR 1020170049644 A KR1020170049644 A KR 1020170049644A KR 20170049644 A KR20170049644 A KR 20170049644A KR 20180116848 A KR20180116848 A KR 20180116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jumper wire
jumper
cu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선
김보연
배이수
이선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4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6848A/ko
Publication of KR20180116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주의 상부 양측에 단상 또는 3상으로 배선된 전선을 연결하는 한 쌍의 현수애자(11)와 상기 한 쌍의 현수애자(11) 양측에 연결된 전선을 하향으로 연결하는 점퍼선(12)과 상기 전주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변압기(13)와 상기 변압기(13)의 1차 인하선(14)과 상기 점퍼선(12)의 일측을 연결하는 컷아웃스위치(15)와 상기 현수애자(11)의 일단과 상기 점퍼선(12)의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쐐기애자(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선 교체시 종래와 같이 불필요한 분기고리의 절단, 압축을 통한 이설 없이 단순한 공정으로 무정전 공법에 의한 전선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WIRE CHANGING DEVICE AND METHOD OF WIRE CHANGING BY USING SAME}
본 발명은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를 위한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배전공사시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 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장치 공법이 있다. 이 중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장치,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버켓트럭 및 활선 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 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하고 다시 바이패스 케이블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정전 및 활선 전선 교체를 위해선 대상전선 위의 3상 TR 분기고리(스리브)의 절단, 압축에 대한 공정이 수반된다.
도 2에는 종래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를 위한 전선 이선 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선 이선 기구는 전주의 상부 양측에 배선된 전선(L)을 연결하는 현수애자(1), 현수애자(1) 양측의 전선(L)을 하향 연결하는 점퍼선(2), 전주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변압기(3), 일측 전선(L)에 설치된 TR 분기고리(4), 변압기(3)의 2차 인하선(6)과 TR 분기고리(4)에 연결되는 1차 인하선(7)을 연결하는 컷아웃스위치(COS)(8)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종래의 전선 이선 기구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은 1. 충전부 방호, 2. 입상케이블 고정장치 설치, 3. 입상케이블 설치 및 연결(이동용변압기 장치와 특고압선), 4. 저압케이블 설치 및 연결(이동용변압기 장치와 저압선 및 중성선), 5. 특고압 개폐기 투입, 6. 검상 및 저압 차단기 투입, 7. 변압기 2차 인하선 분리, 8. 변압기 COS 개방, 9. 점퍼선 절분 및 전선교체, 10. 변압기 COS 투입, 11. 변압기 2차 인하선 검상 및 연결, 12. 저압차단기 및 특고압 개폐기 개방, 13. 입상케이블 분리, 14. 입상케이블 잔류전하 방전 및 철거, 15. 충전부 방호구 철거의 과정 순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선 이선 장치 구조에서는, 변압기(TR) 1차 인하선의 접속개소가 전선경간 중에 위치하여 단방향 전선 교체 시엔 1~3개의 분기고리 절단, 압축을 통한 이설이 불필요하게 소요되고, 변압기 분기고리 기존이설절차의 수행을 위해선 별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압기(TR)의 1차 인하선의 접속개소를 전선경간 중에서 점퍼선 내로 변경하여 불필요한 분기고리의 절단, 압축을 통한 이설을 없애고, 하향형 쐐기애자로 고정하여 LP애자(선로용 지지애자) 특유의 전선 침식을 구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공정단순화 및 구조적 변형 방지가 가능하게 하는 TR 점퍼선 접속용 쐐기애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주의 상부 양측에 단상 또는 3상으로 배선된 전선을 연결하는 한 쌍의 현수애자와 상기 한 쌍의 현수애자 양측에 연결된 전선을 하향으로 연결하는 점퍼선과 상기 전주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의 1차 인하선과 상기 점퍼선의 일측을 연결하는 컷아웃스위치와 상기 현수애자의 일단과 상기 점퍼선의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쐐기애자를 포함한다.
상기 쐐기애자는 상기 현수애자의 일단과 상기 점퍼선의 중앙 사이에 하향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쐐기애자는 상기 현수애자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에 고정되는 금구와 상기 금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코어가 내장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점퍼선과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컷아웃스위치의 인하선이다.
상기 금구는 코터핀과 스프릿트핀에 의해 완철에 고정된다.
전선 교체 방법은 충전부에 방호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와 상기 절분된 상기 점퍼선 말단에 단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 교체하는 단계와 상기 점퍼선을 상기 현수애자의 외측에 압축,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방호구를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점퍼선을 상기 현수애자의 외측에 압축,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점퍼선의 말단을 상기 현수애자의 외측의 교체한 전선에 연결하고 슬리브로 감싸 압축한 후 절연커버로 고정한다.
본 발명은 변압기(TR)의 1차 인하선의 접속개소를 전선경간 중에서 점퍼선 내로 변경하고 점퍼선과 1차 인하선을 하향형 쐐기애자로 고정한다.
따라서, 전선 교체시 종래와 같이 불필요한 분기고리의 절단, 압축을 통한 이설 없이 단순한 공정으로 무정전 공법에 의한 전선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로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보인 사진.
도 2는 종래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하는 전선 이선 기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이선 기구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 이선 기구에서 쐐기애자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선 이선 기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애자(11), 점퍼선(12), 변압기(13), 컷아웃스위치(15), 쐐기애자(21)를 포함한다.
현수애자(11)는 전주의 상부 양측에 단상 또는 3상으로 배선된 전선(L)을 연결하는 한 쌍으로 된다. 현수애자(11)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에 금구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전선(L)은 고압 케이블이며, 현수애자(11)는 고압 케이블에 급전이 작용하거나 낙뢰를 맞아 고압 케이블이 절단되거나 하는 등 기타 안전사고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점퍼선(12)은 한 쌍의 현수애자(11) 양측에 연결된 전선(L)을 하향으로 연결한다. 점퍼선(12)은 전주 양측에 배선된 일측 전선(L)의 전력을 타측 전선(L)으로 공급한다.
내장주의 경우는 전선의 굴곡이 심하여 장력을 받게 되면 단선될 우려가 있으므로 전주 양측의 전선(L)을 점퍼선으로 연결한다.
컷아웃스위치(COS)(15)는 변압기(13)의 1차 인하선(14)과 점퍼선(12)의 일측을 연결한다. 컷아웃스위치(15)는 배전선로를 보호하거나 변압기의 고장을 차단함으로써 배전선로 전체로 고장이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컷아웃스위치(15)는 변압기(13) 1차측에 설치한다.
컷아웃스위치(15)가 변압기(13)의 1차 인하선(14)과 점퍼선(12)의 일측을 연결하도록 설치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불필요한 분기고리의 절단, 압축을 통한 이설을 없앨 수 있다.
컷아웃스위치(15)는 점퍼선(12)에 연결되는 연결부(16)를 포함한다. 연결부(16)가 컷아웃스위치(15)의 인하선이다.
이와 더불어, 현수애자(11)의 일단과 점퍼선(12)의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쐐기애자(21)를 포함한다. 쐐기애자(21)는 전선 피복 침식을 방지하고 전선 이선시 공정 단순화를 가능하게 하고 구조적 변형 방지를 위한 것이다.
여기서, 구조적 변형 방지는 변압기(13)의 1차 인하선(14)과 점퍼선(12) 접속으로 인한 컷오프스위치(15) 간 구조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쐐기애자(21)는 현수애자(11)의 일단과 점퍼선(12)의 중앙 사이에 하향 수직하게 설치되어 점퍼선(12)과 1차 인하선(14)을 고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애자(21)는 현수애자(11)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한 완철에 연결되는 금구(25)와 금구(25)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코어(24)가 내장된 하우징(23)과 하우징(23)의 하단에 설치되어 점퍼선(12)과 컷아웃스위치(15)의 연결부(16)에 연결되는 연결구(22)를 포함한다.
쐐기애자(21)는 코어(24)를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금구(25)와 연결구(22)를 압착 연결하여 그 강도를 유지하는 방식이다.
금구(25) 및 연결구(22)는 주물에 용융아연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된다.
하우징(23)은 갓 형태로 형성되어 절연거리를 유지하며 코어(24) 노출을 방지하고 코어(24)와 연결구(22)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전 사고를 예방한다. 하우징(23)은 내구성, 내진성, 수밀성이 우수하여 열화가 지속되는 환경에서도 잘 견딜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된다.
코어(24)는 FRP 코어이다. FRP 코어는 유리섬유와 에폭시 등의 유기수지로 된 것으로 전기절연성이 있다. FRP는 금속보다 훨씬 가벼우면서 우수한 인장특성을 나타낸다. 그런데 FRP는 대기 중의 공해나 수분과 직접 접촉하게 되면 트래킹이나 절연파괴로 이어져 전선 침식의 원인이므로 그 위에 실리콘 재질의 하우징으로 성형 가공하여 코어 노출을 방지한다.
연결구(22)는 점퍼선(12) 중앙부와 컷아웃스위치(15)의 연결부(16)의 소선을 클램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연결구(22)는 둘 이상의 소선을 클램핑하여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금구이다.
금구(25)는 현수애자(11)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에 코터핀(26)과 스프릿트핀(27)에 의해 고정된다.
코터핀(26)은 FCD45C 재질에 용융아연도금한 것일 수 있고, 스프릿트핀(27)은 스테인레스 재질 예를 들어, STS304로 될 수 있다. 코터핀과 스트릿트핀은 전력분야에서 금구와 금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 기구의 일종이므로 자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술한 전선 이선 기구는 정전을 시키기 않는 무정전의 활선 상태에서 전선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전선 이선 기구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은 충전부에 방호구를 설치하는 단계와,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와, 절분된 점퍼선 말단에 단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 교체하는 단계와, 점퍼선을 현수애자의 외측에 압축, 고정하는 단계와, 방호구를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충전부에 방호구를 설치하는 단계는 전선의 활선을 방호하는 것으로, 점퍼선과 교체하고자 하는 전선 부분에 절연효과가 있는 방호망, 활선방호커버를 설치한다.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는 필요한 길이만큼의 충분한 여유를 고려하여 점퍼선을 절분한다.
절분된 점퍼선 말단에 단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절분된 점퍼선 말단을 자기융착테이프 등으로 봉합하여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 교체하는 단계는 전선연선기구 등을 이용하여 전선의 연선과 긴선을 미리 실시한 후 수행할 수 있다.
점퍼선을 현수애자의 외측에 압축, 고정하는 단계는, 점퍼선의 말단을 단말처리 제거한 후 현수애자의 외측의 교체한 전선에 연결하고 슬리브로 감싸 압축한 후 절연커버로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 이선 기구를 이용하여 정전을 시키기 않는 무정전의 활선 상태에서 전선 교체가 가능하다.
즉, 변압기 1차 인하선(14)의 접속 위치를 점퍼선(12)으로 변경하고, 특고압인하용 절연전선을 쐐기애자(21)에 고정하여 정전없이 전선 교체가 가능하다.
참고로, 종래에는 1차 인하선의 접속 위치를 전주를 중심으로 좌우 한쪽의 고압전선이고, 특고압인하용 절연전선을 분기스리브에 고정하였다.
그에 따라 종래에는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과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등을 이용하여 무정전 활선 상태에서 전선 교체가 수행된 반면 본 발명의 경우에는 별도의 공법이 필요없이 간단하게 전선 교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현수애자 12: 점퍼선
13: 변압기 14: 1차 인하선
15: 컷아웃스위치 16: 연결부
21: 쐐기애자 22: 연결구
23: 하우징 24: 코어
25: 금구 26: 코터핀
27: 스프릿트핀

Claims (7)

  1. 전주의 상부 양측에 단상 또는 3상으로 배선된 전선을 연결하는 한 쌍의 현수애자;
    상기 한 쌍의 현수애자 양측에 연결된 전선을 하향으로 연결하는 점퍼선;
    상기 전주의 하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변압기;
    상기 변압기의 1차 인하선과 상기 점퍼선의 일측을 연결하는 컷아웃스위치; 및
    상기 현수애자의 일단과 상기 점퍼선의 중앙 사이를 연결하는 쐐기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선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쐐기애자는 상기 현수애자의 일단과 상기 점퍼선의 중앙 사이에 하향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선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쐐기애자는
    상기 현수애자를 전주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완철에 고정되는 금구;
    상기 금구의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코어가 내장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점퍼선과 상기 컷아웃스위치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선 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컷아웃스위치의 인하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선 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금구는 코터핀과 스프릿트핀에 의해 상기 완철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를 위한 전선 이선 기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의 전선 이선 기구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이며,
    충전부에 방호구를 설치하는 단계;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
    상기 절분된 상기 점퍼선 말단에 단말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선을 다른 전선으로 교체하는 단계;
    상기 점퍼선을 상기 현수애자의 외측에 압축,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호구를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교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점퍼선을 상기 현수애자의 외측에 압축,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점퍼선의 말단을 상기 현수애자의 외측의 교체한 전선에 연결하고 슬리브로 감싸 압축한 후 절연커버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교체 방법.
KR1020170049644A 2017-04-18 2017-04-18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20180116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644A KR20180116848A (ko) 2017-04-18 2017-04-18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644A KR20180116848A (ko) 2017-04-18 2017-04-18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848A true KR20180116848A (ko) 2018-10-26

Family

ID=6409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644A KR20180116848A (ko) 2017-04-18 2017-04-18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6848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1875A (zh) * 2021-07-28 2021-10-01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厦门供电公司 一种带电设备检修作业用绝缘引流线的托架
CN114629048A (zh) * 2022-03-18 2022-06-1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绝缘子串弹簧销操作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30019676A (ko) 2021-08-02 2023-02-09 조덕승 컷아웃 스위치 체결용 튜브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 공법
KR20230036991A (ko) 2021-09-08 2023-03-15 조덕승 케이블 종단 접속용 클램프 및 이 클램프를 이용한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방법
KR20230086418A (ko) * 2021-12-08 2023-06-15 한국전력공사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20230091556A (ko) 2021-12-16 2023-06-23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접속용 기자재
KR20230111486A (ko) * 2022-01-18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KR20240037615A (ko) 2022-09-15 2024-03-22 조덕승 간접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용 입상 케이블의 주클램프 및 주클램프를 이용한 간접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1875A (zh) * 2021-07-28 2021-10-01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厦门供电公司 一种带电设备检修作业用绝缘引流线的托架
KR20230019676A (ko) 2021-08-02 2023-02-09 조덕승 컷아웃 스위치 체결용 튜브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 공법
KR20230036991A (ko) 2021-09-08 2023-03-15 조덕승 케이블 종단 접속용 클램프 및 이 클램프를 이용한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방법
KR20230086418A (ko) * 2021-12-08 2023-06-15 한국전력공사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KR20230091556A (ko) 2021-12-16 2023-06-23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접속용 기자재
KR20230111486A (ko) * 2022-01-18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CN114629048A (zh) * 2022-03-18 2022-06-14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绝缘子串弹簧销操作装置及其使用方法
CN114629048B (zh) * 2022-03-18 2024-01-26 国网河南省电力公司平顶山供电公司 绝缘子串弹簧销操作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40037615A (ko) 2022-09-15 2024-03-22 조덕승 간접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용 입상 케이블의 주클램프 및 주클램프를 이용한 간접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6848A (ko)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EP2633597B1 (en) Voltage balancing of symmetric hvdc monopole transmission lines after earth faults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KR101354017B1 (ko)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KR10160029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절연애자 구조
WO2016190824A1 (en) Heavy-duty and water-proof link boxes for cross bonding of extra high voltage cable systems
US7639113B2 (en) Enclosed insulator assemb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KR200491327Y1 (ko) 연장형 인류클램프 절연커버(폴리머현수애자용)
US7327213B2 (en) Encapsulated fuse with corona shield
KR102146972B1 (ko) 지하 전력 케이블의 부분 방전 모니터링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JP6658286B2 (ja) 耐雷装置及び耐雷装置構築方法
KR100830397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JP2012099388A (ja) 高圧カットアウト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102179905B1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1042952B1 (ko) 전차선로용 쐐기형 드롭퍼 클램프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20180042028A (ko)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US4952898A (en) Transformer secondary buss adapter apparatus
KR200324461Y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2119214B1 (ko) 가공배전용 부하개폐기의 피뢰기 장착구조
US6359765B1 (en) Fused terminal for use with a network protector
KR102357557B1 (ko)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