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57B1 -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 Google Patents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57B1
KR102357557B1 KR1020210137170A KR20210137170A KR102357557B1 KR 102357557 B1 KR102357557 B1 KR 102357557B1 KR 1020210137170 A KR1020210137170 A KR 1020210137170A KR 20210137170 A KR20210137170 A KR 20210137170A KR 102357557 B1 KR102357557 B1 KR 10235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use holder
support part
fast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689A (ko
Inventor
김상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3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애자부와, 애자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부와, 애자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부와, 상부지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상부체결부와, 하부지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하부체결부와,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퓨즈홀더부를 포함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점검이나 교체를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DOUBLE FUSE HOLDER DEVICE FOR CUT OUT SWITCH}
본 발명은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개의 퓨즈홀더가 구비되고, 둘 중 하나를 사용하므로 무정전 상태에서 퓨즈홀더 교체가 가능한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컷아웃스위치는(COS : Cut-Out Switch)는 전주에 배선되는 가공 고전압전선으로부터 수용가 측으로 배선되는 분기전선의 중간에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단락시켜 주도록 설치되어서 수용가 측에서 돌발적으로 발생되는 과부하를 차단하여 주거나 수용가 측의 선로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즉, 단상 배전선로를 보호하거나 주상변압기의 고장을 차단함으로써 배전선로 전체로 고장이 파급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컷아웃스위치의 교체 작업시에는 수용가 측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무정전 상태) 진행해야 하므로, 바이패스 케이블과 임시 컷아웃스위치를 이용하여 전기를 우회시켜 흐르도록 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즉, 고전압전선에 제1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제1바이패스 케이블의 타단부를 임시 컷아웃스위치의 퓨즈 일단부에 연결하며, 제2바이패스 케이블의 일단부를 임시 컷아웃스위치의 퓨즈 타단부에 연결하고, 제2바이패스 케이블의 타단부를 변압기 단자에 연결한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진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체작업은 두 개의 바이패스 케이블과 임시 컷아웃스위치를 구비하여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연결과정에서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454호(2019.09.02. 등록, 발명의 명칭 : 바이패스 케이블)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의 퓨즈홀더가 구비되고, 둘 중 하나를 사용하므로 무정전 상태에서 퓨즈홀더 교체가 가능한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는: 애자부; 상기 애자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부; 상기 애자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상부체결부; 상기 하부지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하부체결부; 및 상기 상부체결부와 상기 하부체결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퓨즈홀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애자부에 내장되는 제1상부지지부; 상기 제1상부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상부지지부; 및 상기 제2상부지지부에서 분기되고, 양단부에 상기 상부체결부가 각각 체결되는 제3상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결부는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퓨즈홀더부와 연결되는 상부퓨즈부;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선과 연결되는 상부전선부; 및 한 쌍의 상기 상부전선부를 연결하는 상부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체결부는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퓨즈홀더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상부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애자부에 내장되는 제1하부지지부; 상기 제1하부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하부지지부; 및 상기 제2하부지지부에서 분기되고, 양단부에 상기 하부체결부가 각각 체결되는 제3하부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체결부는 상기 제3하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퓨즈홀더부와 연결되는 하부퓨즈부;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선과 연결되는 하부전선부; 및 한 쌍의 상기 하부전선부를 연결하는 하부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는: 한 쌍의 상기 상부체결부와 상기 하부체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는 퓨즈홀더부가 이중으로 장착 가능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퓨즈홀더부의 교체나 점검이 가능하다. 그리고, 2개의 퓨즈홀더부가 동시에 사용되어 전력이 병렬로 수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퓨즈홀더부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정상 작동하면 무정전을 유지할 수 있어 화학공장 등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한 수용가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상부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1)는 애자부(10)와, 상부지지부(20)와, 하부지지부(30)와,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와, 퓨즈홀더부(60)를 포함한다.
애자부(10)는 상하로 길이를 갖는 절연체이고, 상부지지부(20)는 애자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하부지지부(30)는 애자부(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일예로, 상부지지부(20)와 하부지지부(30)는 일부가 애자부(10)에 내장되고, 나머지는 외부로 노출되어 이중으로 퓨즈홀더부(60)를 장착 가능하도록 분기되는 형상을 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체결부(40)는 상부지지부(20)에 체결된다. 일예로, 상부체결부(40)는 상부지지부(2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퓨즈홀더부(60)의 상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체결부(50)는 하부지지부(30)에 체결된다. 일예로, 하부체결부(50)는 하부지지부(3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퓨즈홀더부(60)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퓨즈홀더부(60)는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에 각각 결합 가능하다. 일예로, 퓨즈홀더부(60)는 내부에 퓨즈가 설치된 것으로서, 양단은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장전류 발생시 퓨즈는 용융특성에 의해 용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부(20)는 제1상부지지부(21)와, 제2상부지지부(22)와, 제3상부지지부(23)를 포함한다.
제1상부지지부(21)는 애자부(10)의 상단부에 내장되고, 제1상부지지부(21)에서 연장되는 제2상부지지부(22)는 외부로 노출된다. 제3상부지지부(23)는 제2상부지지부(22)에서 좌우로 분기된다. 이러한 제3상부지지부(23)의 양단부에 상부체결부(40)가 각각 체결된다. 이를 위해 제3상부지지부(23)의 양단부에는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지지부(30)는 제1하부지지부(31)와, 제2하부지지부(32)와, 제3하부지지부(33)를 포함한다.
제1하부지지부(31)는 애자부(10)의 하단부에 내장되고, 제1하부지지부(31)에서 연장되는 제2하부지지부(32)는 외부로 노출된다. 제3하부지지부(33)는 제2하부지지부(32)에서 좌우로 분기된다. 이러한 제3하부지지부(33)의 양단부에 하부체결부(50)가 각각 체결된다. 이를 위해 제3하부지지부(33)의 양단부에는 체결을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상부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결부(40)는 상부퓨즈부(41)와, 상부전선부(42)와, 상부전달부(43)를 포함한다.
상부퓨즈부(41)는 제3상부지지부(2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퓨즈홀더부(60)와 연결된다. 일예로, 상부퓨즈부(41)는 제3상부지지부(23)에 적층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퓨즈부(41)는 퓨즈홀더부(6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상부퓨즈부(41)와 퓨즈홀더부(60)는 통전될 수 있다.
상부전선부(42)는 제3상부지지부(2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선과 연결된다. 일예로, 상부전선부(42)는 상부퓨즈부(41)에 적층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전선부(42)는 상부퓨즈부(41)와 통전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전선부(42) 중 어느 하나가 배전선로와 전기 접속될 수 있다.
상부전달부(43)는 한 쌍의 상부전선부(42)를 연결한다. 일예로, 상부전달부(43)는 상부퓨즈부(41)와 상부전선부(42)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 상부전선부(42)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하나의 상부전선부(42)가 배전선로와 전기 접속되면, 상부전달부(43)에 의해 한 쌍의 상부전선부(42)가 동시에 배전선로와 전기 접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체결부(40)는 상부가이드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가이드부(44)는 제3상부지지부(2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퓨즈홀더부(60)를 감싸도록 연장된다. 일예로, 상부가이드부(44)는 제3상부지지부(23)의 저면에 배치되어 볼트 결합되며, 절연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부가이드부(44)는 각각의 퓨즈홀더부(60)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한 쌍의 퓨즈홀더부(60) 간의 간격이 좁더라도 서로간의 접촉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체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체결부(50)는 하부퓨즈부(51)와, 하부전선부(52)와, 하부전달부(53)를 포함한다.
하부퓨즈부(51)는 제3하부지지부(3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퓨즈홀더부(60)와 연결된다. 일예로, 하부퓨즈부(51)는 제3하부지지부(33)에 적층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퓨즈부(51)는 퓨즈홀더부(6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하부퓨즈부(51)와 퓨즈홀더부(60)는 통전될 수 있다.
하부전선부(52)는 제3하부지지부(33)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전선과 연결된다. 일예로, 하부전선부(52)는 하부퓨즈부(51)에 적층되어 볼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전선부(52)는 하부퓨즈부(51)와 통전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전선부(52) 중 어느 하나가 변압기와 전기 접속될 수 있다.
하부전달부(53)는 한 쌍의 하부전선부(52)를 연결한다. 일예로, 하부전달부(53)는 하부퓨즈부(51)와 하부전선부(52) 사이에 배치되고, 양단부가 각각 하부전선부(52)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느 하나의 하부전선부(52)가 변압기와 전기 접속되면, 하부전달부(53)에 의해 한 쌍의 하부전선부(52)가 동시에 변압기와 전기 접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1)는 커버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70)는 한 쌍의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내부 부속품을 보호한다. 일예로, 커버부(70)는 상부커버부(71)와 하부커버부(72)를 포함하고, 이들이 나사 결합되면서 한 쌍의 상부체결부(40)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상부커버부(71)에 형성되는 상부돌기부(73)는 제3상부지지부(23)에 안착되어 커버부(70)의 처짐 현상을 막고, 설계안대로 커버부(70)가 상부체결부(40)에 간섭되지 않고 커버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예로, 평상시에는 한 쌍의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 중 어느 하나에 퓨즈홀더부(60)를 장착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사용중인 퓨즈홀더부(60)를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한 쌍의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 중 다른 하나에 퓨즈홀더부(60)를 새로 장착하여 병렬로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점검이나 교체가 필요한 퓨즈홀더부(60)를 분리한다. 이로 인해 무정전 상태에서 퓨즈홀더부(60)의 교체 또는 점검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로, 평상시 한 쌍의 상부체결부(40)와 하부체결부(50)에 각각 퓨즈홀더부(60)를 장착하여 전력을 병렬로 공급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이상전류 발생시 각각의 퓨즈홀더부(60)가 동시에 탈락되어 전력을 차단한다. 그리고, 이상전류가 아닌 어느 하나의 퓨즈홀더부(60) 자체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퓨즈홀더부(60)를 통해 전력이 공급되어 무정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1)는 퓨즈홀더부(60)가 이중으로 장착 가능하여, 무정전 상태에서 퓨즈홀더부(60)의 교체나 점검이 가능하다. 그리고, 2개의 퓨즈홀더부(60)가 동시에 사용되어 전력이 병렬로 수전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퓨즈홀더부(60)가 손상되더라도 다른 하나가 정상 작동하면 무정전을 유지할 수 있어 화학공장 등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필요한 수용가에 유용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애자부 20 : 상부지지부
21 : 제1상부지지부 22 : 제2상부지지부
23 : 제3상부지지부 30 : 하부지지부
31 : 제1하부지지부 32 : 제2하부지지부
33 : 제3하부지지부 40 : 상부체결부
41 : 상부퓨즈부 42 : 상부전선부
43 : 상부전달부 44 : 상부가이드부
50 : 하부체결부 51 : 하부퓨즈부
52 : 하부전선부 53 : 하부전달부
60 : 퓨즈홀더부 70 : 커버부

Claims (1)

  1. 애자부;
    상기 애자부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부지지부;
    상기 애자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부지지부;
    상기 상부지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상부체결부;
    상기 하부지지부에 체결되는 한 쌍의 하부체결부;
    상기 상부체결부와 상기 하부체결부에 각각 결합 가능한 퓨즈홀더부; 및
    한 쌍의 상기 상부체결부와 상기 하부체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부는
    상기 애자부에 내장되는 제1상부지지부;
    상기 제1상부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상부지지부; 및
    상기 제2상부지지부에서 분기되고, 양단부에 상기 상부체결부가 각각 체결되는 제3상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체결부는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적층되어 볼트 결합되고, 상기 퓨즈홀더부와 연결되어 통전되는 상부퓨즈부;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상부퓨즈부에 적층되도록 볼트 결합되어 상기 상부퓨즈부와 통전되며, 전선과 연결되는 상부전선부;
    상기 상부퓨즈부와 상기 상부전선부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상부전선부를 연결하는 상부전달부; 및
    상기 제3상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퓨즈홀더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며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애자부에 내장되는 제1하부지지부;
    상기 제1하부지지부에서 연장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제2하부지지부; 및
    상기 제2하부지지부에서 분기되고, 양단부에 상기 하부체결부가 각각 체결되는 제3하부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체결부는
    상기 제3하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적층되어 볼트 결합되고, 상기 퓨즈홀더부와 연결되어 통전되는 하부퓨즈부;
    상기 제3하부지지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하부퓨즈부에 적층되도록 볼트 결합되어 상기 하부퓨즈부와 통전되며, 전선과 연결되는 하부전선부; 및
    상기 하부퓨즈부와 상기 하부전선부 사이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하부전선부를 연결하는 하부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부체결부와 하부체결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커버부와 나사 결합되는 하부커버부; 및
    상기 상부커버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3상부지지부 또는 상기 제3하부지지부에 안착되는 상부돌기부;를 포함하고,
    평상시에는 한 쌍의 상기 상부체결부와 상기 하부체결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퓨즈홀더부를 장착하여 전력을 공급하고, 사용중인 상기 퓨즈홀더부를 점검하거나 교체하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상부체결부와 상기 하부체결부 중 다른 하나에 상기 퓨즈홀더부를 새로 장착하여 병렬로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점검이나 교체가 필요한 상기 퓨즈홀더부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0210137170A 2020-05-20 2021-10-15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35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7170A KR102357557B1 (ko) 2020-05-20 2021-10-15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291A KR102315625B1 (ko) 2020-05-20 2020-05-20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0210137170A KR102357557B1 (ko) 2020-05-20 2021-10-15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291A Division KR102315625B1 (ko) 2020-05-20 2020-05-20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89A KR20210143689A (ko) 2021-11-29
KR102357557B1 true KR102357557B1 (ko) 2022-02-09

Family

ID=7825855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291A KR102315625B1 (ko) 2020-05-20 2020-05-20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0210137171A KR102357558B1 (ko) 2020-05-20 2021-10-15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0210137170A KR102357557B1 (ko) 2020-05-20 2021-10-15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291A KR102315625B1 (ko) 2020-05-20 2020-05-20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20210137171A KR102357558B1 (ko) 2020-05-20 2021-10-15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156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91B1 (ko) * 2011-08-19 2012-12-20 송홍준 송전선 연결용 대형 폴리머 절연 암(arm)
KR101499652B1 (ko) * 2013-10-01 2015-03-18 제룡산업 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보호용 피뢰기와 컷아웃 스위치의 일체형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191B1 (ko) * 2011-08-19 2012-12-20 송홍준 송전선 연결용 대형 폴리머 절연 암(arm)
KR101499652B1 (ko) * 2013-10-01 2015-03-18 제룡산업 주식회사 주상변압기 보호용 피뢰기와 컷아웃 스위치의 일체형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690A (ko) 2021-11-29
KR20210143689A (ko) 2021-11-29
KR102315625B1 (ko) 2021-10-25
KR102357558B1 (ko) 202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5659B2 (ja) 個別に絶縁可能な複数の機能ゾーンを有する配電システム
KR101024727B1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 산업용 분전반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KR20180116848A (ko)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102357557B1 (ko)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JP6350219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JP4882698B2 (ja) テストプラグ
KR20090100706A (ko) 산업용 분전반용 분기 접속자 키트 및 이를 구비하는산업용 분전반
US11791611B2 (en) Arc mitigation devices
US5239441A (en) Underground power line fault locating system
KR20200037980A (ko) 변류기의 시험용 단자 분리대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CN101366156B (zh) 具有单独可隔离的功能区的配电系统
KR200490136Y1 (ko) 가공선로와 지중선로의 연결장치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KR102119214B1 (ko) 가공배전용 부하개폐기의 피뢰기 장착구조
KR200314282Y1 (ko)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KR19990017918U (ko) 가스절연부하 개폐기의 파워휴즈장치
KR20180042028A (ko)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KR200302767Y1 (ko) 스팟 네트웍 시스템의 병렬배선용 케이블 리미터 홀더
JP2684623B2 (ja) 地上用変圧器
KR100366225B1 (ko) 저압 인입선 휴즈함
JP2021035269A (ja) トリップロック端子
KR20230110021A (ko)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