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028A -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 Google Patents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028A
KR20180042028A KR1020160134576A KR20160134576A KR20180042028A KR 20180042028 A KR20180042028 A KR 20180042028A KR 1020160134576 A KR1020160134576 A KR 1020160134576A KR 20160134576 A KR20160134576 A KR 20160134576A KR 20180042028 A KR20180042028 A KR 20180042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able
cos
curren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철
정만길
서윤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3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2028A/ko
Publication of KR2018004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은, 전력선 체결 구조와 휴즈(fuse)를 구비하는 휴즈부; 상기 휴즈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주상변압기용 규격을 만족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케이블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변압기 체결 구조를 구비하는 변압기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JUMPER CABLE FOR CHANGING COS}
본 발명은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COS 교체용 휴즈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과거에는 특고압선로의 유지보수나 신규 건설공사를 진행할 때, 배전선로를 정전시킨 후 휴전작업을 통하여 전기시설공사를 수행하여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전기사용자는 전기공급에 대한 신뢰도 향상을 더욱더 요구하기 때문에 전기사업자는 정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각종 전기시설공사 시행시 정전을 시키지 않고 전기가 통전되는 상태에서 작업을 시행하는 활선작업을 확대하게 되었다.
활선작업에는 활선스틱을 이용하는 간접활선 방식, 절연바켓트럭에 승주하여 작업원이 직접 손을 이용하여 작업하는 직접활선 방식이 있다. 직접활선에서는 작업자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즉, 전기설비에는 각종 방호구를 시설해야 하며, 작업원은 방전고무장갑, 고무소매 등의 보호구를 착용해야 한다.
대표적인 활선작업으로는 주상변압기(Pole Mounted Transformer: P.Tr)의 COS(Cut Off Switch)를 교체하는 작업이 있는데, 이러한 활선작업을 위해 점퍼케이블(jumper cable)이 사용된다. 이러한 점퍼케이블은 주상변압기의 COS를 교체할 때 사용되는 활선작업 장비로서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배전선로의 주상변압기와 전선은 점퍼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연결하고, COS의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COS를 통해 흐르던 전기는 점퍼케이블을 통해 흐르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COS 또는 완철을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COS 교체용 장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COS 교체용 장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COS 교체용 장비는 임시 COS(1)와 임시 점퍼케이블(2)을 포함한다. 여기서, 임시 COS(1)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용된다.
임시 COS(10)의 방출형 휴즈(fuse)(1)는 과부하 등의 소전류 고장차단을 위한 기능만을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휴즈(1)는 변압기 고장 등에 의한 단락이 발생할 때, 고장전류 등의 대전류 고장차단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휴즈(1)는 배전계통 고장에 취약한 비한류형(Bay-o-net Limited: B.L) 특성을 나타낸다.
임시 점퍼케이블(20)은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중량을 가진다. 즉, 임시 점퍼케이블(20)은 고압고객 최대용량(10,000kVA)을 상정하여 250A용을 사용한다. 하지만, 주상변압기의 최대용량(150kVA)을 고려하면, 주상변압기의 COS를 교체할 경우에는 150kVA의 1차 최대전류인 15A의 2배 이상이면 충분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를 이용한 COS 교체 작업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먼저, 작업자는 임시 COS(10)의 1차(11)를 전력선(30)의 분기고리 압축부에 연결한다. 이때, 작업자는 임시 COS(10)의 홀더를 개방한다. 이후, 작업자는 임시 COS(10)의 2차(12)를 임시 점퍼케이블(20)의 1차(21)에 서로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완철(40)에 케이블지지대(41)를 설치한 후, 케이블지지대(41)을 통해 임시 점퍼케이블(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는 임시 점퍼케이블(20)의 2차(22)를 주상변압기(50)의 부싱(51)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임시 COS(10)의 홀더를 투입한 후 작업을 시행한다.
그런데,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의 중량은 상당히 무겁다. 즉, 임시 COS(10)의 중량은 4.86㎏이고, 임시 점퍼케이블(20)의 중량은 8.10㎏이기 때문에, 전체 중량은 총 12.96㎏이다.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의 전체 중량은 결과적으로 전력선(30)의 하중을 가중하게 만든다. 이로 인해, 작업자들은 임시 COS(10) 설치를 기피함에 따라 임시 COS(10)를 연결하지 않고 임시 점퍼 케이블(20)만 연결하여 COS 교체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작업자들은 자신들의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자신들의 안전을 담보로 활선작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더욱이, 작업자들은 임시 COS(10)를 생략할 뿐만 아니라, 임시 점퍼케이블(20) 대신에 5㎜ 정도의 고압 바인드선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들은 불완전한 절연으로 인한 감전 위험이 높고, 임시 COS(10)의 충전부가 노출되는 것은 배전선로의 고장요인이 될 수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을 서로 연결한 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복잡하여 상당한 작업시간이 걸릴 수 있다. 작업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시간당 공사비를 지급하는 입장에서 추가 지출이 불가피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이 상당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을 생략하여 사용하는 등과 같이 원칙대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임시 COS(10)와 임시 점퍼케이블(20)은 작업자가 임의로 연결하지 않고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한다면 필히 일체형 구조로 제공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을 단순하여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COS 교체 장비가 제안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COS 교체용 휴즈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즈부와 케이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COS 교체 작업시에 휴즈부와 케이블부를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즈부와 케이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작업자들이 휴즈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상변압기의 COS 교체를 위한 안전 기준을 만족하는 케이블부를 이용하여 케이블부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써 COS 교체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에 의한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은, 전력선 체결 구조와 휴즈(fuse)를 구비하는 휴즈부; 상기 휴즈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주상변압기용 규격을 만족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케이블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변압기 체결 구조를 구비하는 변압기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휴즈는, 비한류형 휴즈 특성(Bay-o-net Limited)과 한류형 휴즈 특성(Current Limited)을 나타내는 풀-레인지(full-range) 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즈는, COOPER Power Systems社의 Current-Limiting Fuse이다.
상기 케이블부의 규격은, AWG(American Wire Gauge) #7 규격이다.
상기 전력선 체결 구조와 상기 변압기 체결 구조는, 클램프(clamp)이다.
상기 클램프는, 간접활선식 활선스틱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블부의 단면 구조는, 중심 도체를 절연부와 쉬이즈부로 감싸는 이중 절연 구조이다.
본 발명은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이 COS 관련 각종 부속품(즉, 결합애자, COS, 홀더, 휴즈링크 등)을 활선작업을 통한 무정전 작업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즈부와 케이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COS 교체 작업시에 휴즈부와 케이블부를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즈부와 케이블부를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작업자들이 휴즈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상의 COS의 휴즈링크의 용량에 따라 COS 교체 작업 이전에 적절한 휴즈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의 COS 교체를 위한 안전 기준을 만족하는 케이블부를 이용하여 케이블부의 중량을 경량화함으로써 COS 교체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에 의한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활선스틱을 이용하는 간접활선식으로 작업을 진행하므로, 감전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정전 공사시 사용하는 활선용 공기구를 제공하여, 무정전으로 불량기자재(COS, 홀더, 휴즈링크, 내오손결합애자)를 교체할 때, 작업 공정을 단순화하고, 경량화하여 작업자의 작업 편리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COS 교체용 장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COS 교체용 장비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에 대한 도면,
도 4a는 비한류형 휴즈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4b는 한류형 휴즈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a는 활선스틱을 휴즈부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활선스틱을 변압기 연결부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e는 작업자가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을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이하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이라 함, 100)은, 작업자의 작업 환경 및 안전을 고려하여 기존 대비 전체 중량을 줄인 경량화된 케이블과 COS 교체용 휴즈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완전히 간접활선용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은 주상변압기의 각종 불량 기자재(즉, 내오손결합애자, COS, 홀더, 휴즈링크 등)을 활선작업을 통한 무정전 작업시에 사용할 수 있다.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은 휴즈부(110), 케이블부(120), 변압기 연결부(130), 활선스틱(14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휴즈부(110)는 휴즈 1차 연결부(111), 휴즈 본체(112), 휴즈 2차 연결부(113)를 포함한다. 케이블부(120)는 케이블 1차 연결부(121), 케이블 본체(122), 케이블 2차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변압기 연결부(130)는 케이블측 연결부(131), 변압기측 연결부(132)를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케이블부(120)의 길이가 생략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케이블부(120)의 길이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다.
먼저, 휴즈부(1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휴즈 1차 연결부(111)는 배선선로의 분기고리 압축부 또는 분기스리브 압축부에 체결 가능한 구조로서, 클램프(clamp)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즈 1차 연결부(111)는 활선스틱(140)과 착탈 가능한 제1 스틱 연결부(111a)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활선스틱(140)을 사용함으로써 휴즈 1차 연결부(111)의 클램프를 단단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직접활선식이 아닌 간접활선식으로 활선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휴즈 1차 연결부(111)는 휴즈 본체(112)와 볼트식 구조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휴즈 본체(112)의 휴즈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휴즈 본체(112)와 분리할 수 있다.
휴즈 본체(112)는 과부하 등 소전류 동작특성을 나타내는 비한류형 휴즈 특성(Bay-o-net Limited, B.L)과 고장전류 등 대전류 제한특성을 나타내는 한류형 휴즈 특성(Current Limited, C.L)을 모두 보유하는 풀-레인지 휴즈(full-range fuse)를 내장한다. 예를 들어, 휴즈는 COOPER Power Systems社의 'Current-Limiting Fuse'일 수 있다.
이하, [표 1],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한류형 휴즈와 비한류형 휴즈의 특성을 설명하면서, 휴즈 본체(112)에 내장된 휴즈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비한류형 휴즈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한류형 휴즈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구분 한류형 휴즈 비한류형 휴즈
동작시간 0.5사이클 이내 0.65사이클 이상
통과전류 사고전류의 10% 내외 사고전류의 80% 내외
차단용량 40㎄(63Max) 12.5㎄(20Max)
차단시폭발음 없음 있음
소음기필요 없음 있음
차단후휴즈개로 개로되지 않음 개로됨
아크(ARC) 없음 있음
일반적으로, 휴즈는 통상의 차단기와 다르게 1 사이클(cycle) 이내에 차단한다. 차단 시간은 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0.5사이클 이내이며, 비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0.65사이클 이상이다. 또한, 통과 전류도 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사고전류의 10% 이내로 전류를 제한하는 반면에, 비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사고전류의 80%가 통과할 수 있다. 즉, 계통기나 선로의 기계적 열적 손상의 강도는 어느 휴즈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
또한, 차단 용량은 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40㎄(63Max)이며, 비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12.5㎄(20Max)이다. 차단시 폭발음 발생, 소음기 필요 및 아크 발생은 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해당 사항이 없고, 비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해당 사항이 있다. 차단후 휴즈 개로는 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휴즈가 개로되지 않으며, 비한류형 휴즈의 경우에 휴즈가 개로된다.
한편, 휴즈 본체(112)에 내장된 휴즈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동작 시간은 한류형 휴즈와 같이 0.5사이클(약 80㎳) 이내에 동작한다. 통과 전류는 한류형 휴즈와 같이 사고전류를 10% 이내로 차단하여 계통기나 선로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차단 용량은 비한류형 휴즈와 같이 20㎄이다. 차단시 폭발음 발생은 한류형 휴즈와 같이 애관 내에서 융단되므로 차단시 폭발음이 발생하지 않고, 그에 따라 소음기도 필요하지 않다. 아크 발생은 한류형 휴즈와 같이 애관 내에서 아크를 소호하기 때문에 외부로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차단후 휴즈 개로는 한류형 휴즈와 같이 융단직후 휴즈링크가 홀더로부터 개로되지 않아 아크의 발생이 없으며, 개로시 발생되는 아크로부터의 절연거리에 의한 판넬 사이즈의 확대가 필요없다.
아울러, 휴즈 본체(1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즈 1차 연결부(111)와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대상인 COS의 휴즈링크의 용량과 동일 규격의 휴즈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대상의 COS의 휴즈링크의 용량에 따라 적절한 휴즈로 교체하기 용이하므로 범용적으로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휴즈는 작업시에 임시 COS와 같이 방출형 구조가 아니라 휴즈 본체(112)에 내장된 밀폐형 구조를 갖는다.
휴즈 2차 연결부(113)는 케이블부(120)의 케이블 1차 연결부(121)와 연결된다. 즉 휴즈부(110)와 케이블부(120)는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COS 교체 작업 전 임시 COS와 임시 점퍼케이블을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할 필요가 없고, 작업자가 임의로 휴즈부(110)를 생략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때 마다 임시 COS와 임시 점퍼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환경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여기서, 휴즈 2차 연결부(113)와 케이블 1차 연결부(121)는 볼트식 체결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블부(1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 1차 연결부(1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즈부(110)의 휴즈 2차 연결부(113)과 연결된다.
케이블 본체(122)는 기존의 임시 점퍼케이블에 비해 전기적인 용량과 중량이 경량화시켜 제작된다. 즉, 케이블 본체(122)는 주상변압기용 규격을 만족하는 전기적인 용량과 중량을 고려하여 제작된다. 임시 점퍼케이블은 COS 교체 장비(임시 COS와 임시 점퍼케이블)의 전체 중량에 대해 63%를 차지하므로, 작업자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중량을 경량화시키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본체(122)는 주상변압기의 최대용량이 150kVA이고, 그에 따라 최대용량 150kVA의 최대부하전류가 15A이므로, 최대부하전류 15A의 2배 이상인 70A의 용량으로 제작된다. 참고로, 기존의 임시 점퍼케이블은 250A 용량을 사용한다. 또한, 케이블 본체(122)는 정격전압이 25.8kV이고, 기존의 임시 점퍼케이블은 정격전압이 25kV이다. 그리고, 케이블 본체(122)는 기존 규격인 AWG(American Wire Gauge)#0 또는 AWG#1 대신에 신규 규격인 AWG#7으로 제작된다. 즉, AWG#0 규격인 경우에는 단면적 53.5㎟, 중량 4.8㎏/5m, 정격전류 250A, 정격용량 10,000kVA이고, AWG#7 규격인 경우에는 단면적 10.5㎟, 중량 2.7㎏/5m, 정격전류 70A, 정격용량 2,800kVA이다. 여기서, AWG#7는 주상변압기용 규격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본체(122)는 4㎏ 이하의 중량으로 제작된다. 참고로, 임시 점퍼케이블은 8.10㎏의 중량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케이블 본체(122)는 주상변압기의 COS 교체시 주상변압기용 규격을 만족하고, COS 교체 작업 환경에서 작업자에 의한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본체(122)는 도 3의 단면 구조를 참고하면, 전기를 도통시키는 중심 도체(122a), 중심 도체(122a) 주위를 감싸는 절연부(122b), 절연부(122b) 주위를 감싸는 쉬이즈부(sheath, 122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 도체(122a)는 배선선로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주상변압기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절연부(122b)는 중심 도체(122a)에 전류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절연기능을 갖는다. 쉬이즈부(122c)는 절연부(122b)와 마찬가지로 절연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 또는 외부 요인 등에 대한 케이블 본체(122)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쉬이즈부(122c)는 25kV 이상의 절연 내력이 있는 절연체일 수 있다. 그리고, 쉬이즈부(122c)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케이블 본체(122)의 단면 구조는 중심 도체(122a)를 절연부와 쉬이즈부로 감싸는 이중 절연 구조이다.
그리고, 변압기 연결부(13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케이블 2차 연결부(123)는 변압기 연결부(130)의 케이블측 연결부(131)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블 2차 연결부(123)와 케이블측 연결부(131)는 볼트식 체결을 통해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변압기측 연결부(132)는 주상변압기의 1차 충전부(즉 부싱)에 체결 가능한 구조로서, 클램프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변압기측 연결부(132)는 활선스틱(140)과 착탈 가능한 제2 스틱 연결부(132a)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활선스틱(140)을 사용함으로써 변압기측 연결부(132)의 클램프를 단단하게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직접활선식이 아닌 간접활선식으로 활선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활선스틱(140)은 간접활선식 분리형 스틱으로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도 5a는 활선스틱을 휴즈부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활선스틱을 변압기 연결부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활선스틱(140)은 휴즈 1차 연결부(111)의 제1 스틱 연결부(111a)와 변압기측 연결부(132)의 제2 스틱 연결부(132a)에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활선스틱(140)을 이용하여 휴즈 1차 연결부(111)를 배선선로에 연결하고, 변압기측 연결부(132)를 주상변압기에 각각 연결함으로써, 감전 사고의 위험이 높은 연결작업을 완전한 간접활선식으로 진행한다. 여기서, 작업자는 활선스틱(140)을 이용하여 휴즈 1차 연결부(111)의 클램프, 변압기측 연결부(132)의 클램프를 동작시킨다. 즉, 작업자는 활선스틱(140)을 회전시켜 클램프를 조이거나 풀어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작업자가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을 설치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작업자는 도 6a 내지 도 6e과 같이 COS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작업자는 전력선(151)에 케이블 걸이(152)와 임시걸이(153)를 설치한다(도 6a 참조). 기존에는 임시 점퍼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완철(156)에 케이블 지지대를 설치한다. 즉, 임시 점퍼케이블은 상당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전주에 고정된 완철(156)에 설치된 케이블 지지대에 의해 지지된다. 하지만, 케이블 걸이(152)는 전력선(151)에 설치되고,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을 지지한다. 이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이 경량화됨으로써 전력선(151)에 설치된 케이블 걸이(152)를 통해서도 충분하게 지지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작업자는 케이블 걸이(152)와 임시걸이(153)를 전력선(151)에 모두 설치하기 때문에, 기존에 임시 COS를 전력선(151)에 설치한 후, 케이블 지지대를 완철(156)에 설치하는 경우보다 짧은 작업 동선상에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케이블 걸이(152)에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의 케이블부(120)를 지지시키고, 임시걸이(153)에 휴즈부(110)를 임시로 연결한다(도 6b 참조). 여기서, 휴즈부(110)와 케이블부(120)는 서로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COS 교체 작업중에 있어서, 휴즈부(110)와 케이블부(120)를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 COS 교체 작업은 작업자가 휴즈부(110)와 케이블부(120)를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단순해지고 작업 시간이 줄어든다.
더욱이,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은 기존 임시 COS와 임시 점퍼케이블에 비해 경량화되어 전력선(151)에 가해지는 중량을 감소시킨다. 작업자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을 설치함에 있어 용이하게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선(151) 단락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주상변압기(154)의 부싱(154a)에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의 변압기 연결부(130)를 연결한다(도 6c 참조). 이때, 작업자는 간접활선식으로 활선스틱(140)을 이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감전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임시걸이(153)에 연결된 휴즈부(120)를 분리하고, 휴즈부(120)를 전력선(151)의 분기고리 압축부 또는 분기스르부 압축부(155)에 연결한다(도 6d 참조). 마찬가지로, 작업자는 간접활선식으로 활선스틱(140)을 이용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감전 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전력선(151)과 주상변압기(154) 사이를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로 연결하여 주상변압기(154)의 불량기자재를 제거 및 교체할 수 있다(도 6e 참조). 즉, 작업자는 COS의 스위치를 오프시켜 전력선(151)과 주상변압기(154) 사이에 설치된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주상변압기(154)의 불량기자재(COS, 홀더, 휴즈링크, 내오손결합애자)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작업자는 주상변압기(154)의 불량기자재를 제거하고, 양호한 상태의 주상변압기(154)의 기자재로 교체한다.
작업자는 밀폐형 휴즈부(120)를 이용하여 휴즈부(120)의 홀더를 개방하거나, 홀더를 투입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100)은 작업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COS 교체 작업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다. 즉, COS 교체 작업은 기존에 COS 교체 작업시에 수행되었던 임시 COS와 임시 점퍼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 임시 COS의 홀더 개방 및 홀더 투입 과정 등 생략시킴으로써, 작업 공정이 단순하게 되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휴즈부 111 : 휴즈 1차 연결부
111a : 제1 스틱 연결부 112 : 휴즈 본체
113 : 휴즈 2차 연결부 120 : 케이블부
121 : 케이블 1차 연결부 122 : 케이블 본체
123 : 케이블 2차 연결부 130 : 변압기 연결부
131 : 케이블측 연결부 132 : 변압기측 연결부
132a : 제2 스틱 연결부 140 : 활선스틱

Claims (7)

  1. 전력선 체결 구조와 휴즈(fuse)를 구비하는 휴즈부;
    상기 휴즈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주상변압기용 규격을 만족하는 케이블부; 및
    상기 케이블부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변압기 체결 구조를 구비하는 변압기 연결부;
    를 포함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는, 비한류형 휴즈 특성(Bay-o-net Limited)과 한류형 휴즈 특성(Current Limited)을 나타내는 풀-레인지(full-range) 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는, COOPER Power Systems社의 Current-Limiting Fu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의 규격은, AWG(American Wire Gauge) #7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체결 구조와 상기 변압기 체결 구조는, 클램프(clam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간접활선식 활선스틱에 연결되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의 단면 구조는, 중심 도체를 절연부와 쉬이즈부로 감싸는 이중 절연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KR1020160134576A 2016-10-17 2016-10-17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KR20180042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76A KR20180042028A (ko) 2016-10-17 2016-10-17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576A KR20180042028A (ko) 2016-10-17 2016-10-17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28A true KR20180042028A (ko) 2018-04-25

Family

ID=6208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576A KR20180042028A (ko) 2016-10-17 2016-10-17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20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979A (zh) * 2018-10-23 2019-02-15 国网四川省电力公司南充供电公司 一种带负荷更换绝缘穿刺线夹为异型并钩线夹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979A (zh) * 2018-10-23 2019-02-15 国网四川省电力公司南充供电公司 一种带负荷更换绝缘穿刺线夹为异型并钩线夹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017B1 (ko) 갭리스 타입의 애자형 피뢰기
US20100110616A1 (en) Disconnect switch with overcurrent device and enclosure for reduced hazard
US11936135B2 (en) Automatic tripping and anti-falling arrester and a lightning protection and fuse integrated combination device
KR20180116848A (ko)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US3666992A (en) Protective means for distribution transformer
US7639113B2 (en) Enclosed insulator assembly for high-voltage distribution systems
KR20180042028A (ko) Cos 교체용 점퍼케이블
KR101188633B1 (ko)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JP2012099388A (ja) 高圧カットアウト
KR20130026295A (ko) 피뢰기를 내장한 컷아웃 스위치
CN210693223U (zh) 一种应用于不停电作业的电压互感器隔离组合装置
US11024985B2 (en)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KR101908987B1 (ko) 주상 컷아웃 스위치의 무정전 안전 교체 공법
KR101036585B1 (ko) 방전 기능이 구비된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Durocher et al. Understanding circuit breaker design and operation to improve safety and reliability in underground mining
JP4223988B2 (ja) 電力系統の保護回路
KR102641695B1 (ko) 간접활선 작업용 클램프 및 컷아웃 스위치의 간접활선 작업방법
KR102119214B1 (ko) 가공배전용 부하개폐기의 피뢰기 장착구조
KR102357558B1 (ko) 컷아웃스위치용 이중 퓨즈홀더장치
KR100434152B1 (ko) 지상형 이동변압기
KR20230109957A (ko) 간접활선용 고리형 클램프 기능을 가진 피뢰기
CN102088172B (zh) 全封闭屏顶小母线组合装置
KR200324461Y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