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21A -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21A
KR20230110021A KR1020220006025A KR20220006025A KR20230110021A KR 20230110021 A KR20230110021 A KR 20230110021A KR 1020220006025 A KR1020220006025 A KR 1020220006025A KR 20220006025 A KR20220006025 A KR 20220006025A KR 20230110021 A KR20230110021 A KR 20230110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ushing
junction box
elbow connect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840B1 (ko
Inventor
김노우
김경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840B1/ko
Publication of KR2023011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상태로 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는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의 부싱에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엘보접속재가 탈착되는 엘보접속재 설치부, 그리고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무정전 상태로 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ELBOW CONNECTOR SEPARATOR AND UNINTERRUPTIBLE REPLACEMENT DEVICE AND METHOD FOR AERIAL INSULATED CAB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정전 상태로 완전절연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주에는 전원측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측에 전달시킬 수 있도록 전선이 설치되는데 변전소에서 강압한 특고압 22kV를 배전선로로 송전하게 된다. 이 때 삼상 고객에게 공급하는 경우에는 3개의 전선, 단상 고객에게 공급하는 경우에는 1개의 전선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전선에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선을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공중으로 전선이 지나가는 가공선로와 땅 속으로 전선을 묻는 지중선로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공선로에는 도체에 절연 피복을 감싼 절연전선을 사용하고, 지중선로에는 도체를 절연체와 반도전층으로 감싸고 그 위에 절연 피복을 감싼 케이블을 사용한다.
가공용 절연전선의 구조상 절연 성능이 지중용 케이블에 비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정전과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가공선로에도 케이블을 시공하는 사례가 있으며, 기존에는 ABC케이블 또는 CNCV케이블을 사용하다가 최근 들어 기존 케이블의 대체품인 완전절연케이블인 AITC(삼상용), AISC(단상용)를 개발하여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 가공 케이블의 경우 무정전 작업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케이블 구간 내에 설비 교체나 보강이 필요한 경우 해당 구간의 전원을 끊고 정전 상태에서 작업하는 사선작업을 시행해야 한다.
무정전 작업을 시행하려면 교체하려는 설비와 전선을 임시로 대체하는 설비가 필요하며 대표적으로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과 무정전 변압기 공법이 있다.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작업구간 시점과 종점에 임시 케이블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작업구간 내는 정전시킨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다. 무정전 변압기 공법은 주상변압기를 교체하기 위해 이동식 변압기 장치에 특고압과 저압 임시케이블을 연결한 후 특고압 임시케이블은 선로의 특고압 전선에, 임시 저압케이블은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선로의 저압전선에 연결하여 수용가에 전원을 공급하고 변압기는 정전시킨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이다.
무정전 작업의 공통점은 모두 절연전선의 절연피복을 제거하고 전선 내부의 도체에 임시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다. 케이블의 경우 도체 외부의 절연체를 제거하고 복구하는 것이 용이치 않아 절연전선과 같은 방식의 무정전 공법 적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케이블의 접속은 직선접속, 종단접속과 엘보접속이 있는데 엘보접속을 자세히 설명하면, 케이블의 종단을 엘보접속재와 연결한 후 이 엘보접속재를 기기(지중)나 접속함(가공 AITC)의 부싱과 연결한다. 엘보접속재는 그 중심의 접촉봉(스터드 볼트)을 통하여 부싱 내의 접촉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접촉봉(스터드 볼트)은 도전층과 압착단자을 통해 케이블과 기기, 접속함을 상호 연결한다.
엘보접속재는 내부에 절연층, 외부에 차폐층을 구비하여 고압의 전기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게 된다. 엘보접속재를 임의로 분리할 경우 아크가 발생하거나 엘보접속재 내의 접촉봉이 외부로 노출되어 접촉될 경우 특고압 22.9kV가 통전될 수 있으므로 엘보 분리는 전력을 차단한 후 시행하거나, 로드 브레이크형 엘보접속재인 경우 전류 상한값(200A) 내에서 기구를 이용해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중선로에서는 변압기 부싱 분리에 대해 엘보 분리 장치를 이용해 변압기 교체 무정전 작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 외의 케이블과 개폐기 교체는 모두 선로 정전 후 작업을 시행한다.
현재 가공 완전절연케이블(AITC, AISC)의 경우 본격 사용 기간이 짧아 무정전 장치와 작업절차 또한 부재인 상태이며 가공 절연전선과 동일한 수준의 무정전공법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104759호 (2007.10.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무정전 상태로 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는,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의 부싱에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속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엘보접속재가 탈착되는 엘보접속재 설치부; 및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접속함에 밀착될 때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가 부싱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는, 상기 엘보접속재가 수용되고, 상기 엘보접속재의 조작고리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엘보접속재의 조작고리를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하는 한쌍의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를 이동시키고,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가 설치되어 상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록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한쌍의 상기 클램핑 사이에 구비되어 한쌍의 상기 클램핑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함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이동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함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함의 부싱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부싱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가 그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과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는, 전주에 설치되고,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1 회로 부싱과,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2 회로 부싱과,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3 회로 부싱, 그리고 제4 회로 부싱이 구비된 접속함;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설치되고 고압측과 연결된 제1 임시 케이블과, 상기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된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에 설치되고 저압측과 연결된 제2 임시 케이블이 구비된 무정전 변압기; 및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구비된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는, 전주에 설치되고,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1 회로 부싱과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2 회로 부싱과, 제3 회로 부싱 및 제4 회로 부싱이 구비된 접속함;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일측에 구비된 전주에 설치된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과 타측에 구비된 전주에 설치된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케이블; 및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구비된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개폐하는 개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은,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함은,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은, 전주에 설치되고 제1 회로 부싱에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2 회로 부싱에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3 회로 부싱에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4 회로 부싱은 미사용 중인 접속함을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정전 변압기의 고압측과 연결된 제1 임시 케이블을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설치하는 제1 임시 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무정전 변압기의 저압측과 연결된 제2 임시 케이블을 상기 변압기의 저압단자에 연결된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2 임시 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제3 회로 부싱에서 상기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분리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 분리단계; 상기 변압기를 교체하는 변압기 교체단계; 교체된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된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상기 제3 회로 부싱에 설치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 설치단계; 및 상기 제1 임시 케이블과 상기 제2 임시 케이블을 분리하여 무정전 변압기를 탈거하는 무정전 변압기 탈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임시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는 보호캡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정전 변압기 탈거단계 후에 상기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설치하는 보호캡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단자에는 엘보접속재가 구비되어 있어, 접속함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보접속재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은, 전주에 설치되고 제1 회로 부싱에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2 회로 부싱에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접속함을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교체 케이블이 설치된 제1 접속함과 제2 접속함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교체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단계; 새로운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서 분리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는,상기 교체 케이블의 일측단이 체결된 제1 접속함의 제2 회로 부싱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하여 구비된 제4 회로 부싱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측단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제1 설치단계; 및 상기 교체 케이블의 타측단이 체결된 제2 접속함의 제1 회로 부싱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하여 구비된 제3 회로 부싱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타측단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제2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는,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제1 설치단계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제2 설치단계 전에 접속함의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는 보호캡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분리단계 후에 접속함의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체결하는 보호캡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은 양측단에 엘보접속재가 구비되어 있어, 접속함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보접속재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는,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상에 구비된 개폐기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 접속함과 제2 접속함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한 후 상기 개폐기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에 따르면, 무정전 상태로 완전절연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함에 구비된 부싱에 완전절연케이블의 엘보접속재를 자동으로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구비하여 감전의 위험 없이 무정전 상태로 완전절연케이블과 연결 변압기, 개폐기 및 부속 자재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서 엘보접속재 설치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서 엘보접속재 설치부가 동작하여 클램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에 배치되기 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에서 접속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에서 전주에 접속함을 설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에서 접속함에 구비된 보호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의 제2 실시예에서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서 엘보접속재 설치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서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에 배치되기 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전주(10)에 설치된 접속함(200)의 부싱에 활선 상태로 엘보접속재(31)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도 6을 참조하면, 버켓 트럭(50)에 구비된 절연 버켓(51)에 설치된 후 전주(10)에 설치된 접속함(200)의 전방에 배치된 후에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에 설치된 엘보접속재(31)를 활선 상태로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에 엘보접속재(31)를 설치한 후에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31)를 활선 상태로 자동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상기 부싱에 활선 상태로 설치 또는 분리할 때 발생하는 아크 등에 의하여 작업자가 감전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5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에 설치되고 상기 엘보접속재(31)가 탈착되는 엘보접속재 설치부(520), 그리고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은, 도 9를 참조하면, 제3 회로 부싱(223) 또는 제4 회로 부싱(224)일 수 있다. 물론, 제1 회로 부싱(221) 또는 제2 회로 부싱(222)일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은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될 때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가 부싱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51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톱퍼(511)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을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키면 상기 스톱퍼(511)가 상기 접속함(200)에 걸림 지지되어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가 상기 부싱과 항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제한한다.
상기 구동부(530)는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실린더(531)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실린더(531)에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가 체결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531)의 동작에 따라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를 전후방을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상기 부싱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을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되게 배치시키고, 상기 구동부(530)가 상기 실린더(531)를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에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체결하면 상기 구동부(530)가 상기 실린더(531)를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싱에서 상기 엘보접속재(31)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상기 부싱에 설치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에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체결한 후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을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되게 배치시키고, 상기 구동부(530)가 상기 실린더(531)를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삽입 체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530)는 유압에 의해 상기 실린더(531)를 동작시키거나 액추에이터 방식으로 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실린더(531)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는 상기 엘보접속재(31)가 탈착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는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수용되고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면(521a)이 형성된 하우징(521)과, 상기 하우징(521)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521a)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를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하는 한쌍의 클램핑부(522)와, 상기 클램핑부(522)를 이동시키고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가 설치되어 상대 이동하는 가이드홈(524a)이 형성된 가이드블록(524)이 구비된 액추에이터(523), 그리고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 사이에 구비되어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52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로 삽입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가 상기 경사면(521a)의 사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523)가 동작하여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를 상기 엘보접속재(3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가 상기 경사면(521a)에 의해 가압되면서 이동하므로,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수직한 방향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가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에 삽입되어 걸림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 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에서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액추에이터(523)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는 상기 탄성부재(525)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경사면(521a)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이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가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 또는 부싱에 설치되어 있는 엘보접속재(31)의 후방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함(200)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이동프레임(540)과, 상기 구동부(530)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540)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함(2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530)를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프레임(5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54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에 구비된 수평 리니어 모터(541)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550)은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540)에 구비된 수직 리니어 모터(551)에 의하여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540)을 따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540)과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55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다양한 이동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보다 정밀하게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의 위치를 설정하도록, 상기 접속함의 부싱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560)와, 상기 센서부(560)로부터 상기 부싱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가 그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540)과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5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560)는 상기 부싱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센서 또는 상기 부싱 부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510)이 상기 접속함(200)에 밀착 배치되면, 상기 센서부(560)는 상기 부싱의 위치 또는 상기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가 상기 부싱 또는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수평 리니어 모터(541)와 상기 수직 리니어 모터(551)를 조작한다.
그리고, 상기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구동부(530)를 동작시켜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520)를 상기 엘보접속재(31)가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에 삽입되게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액추에이터(523)를 동작시켜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522)가 상기 엘보접속재(31)의 조작고리(32)를 클램핑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구동부(530)를 동작시켜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당겨서 상기 부싱에서 상기 엘보접속재(31)를 분리시키도록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외부에서 작업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 기기 등을 이용하여 명령신호를 상기 제어부(570)에 전달하여 상기 구성들을 조작하여 상기 엘보접속재(31)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상기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교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상기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에서 전주에 접속함을 설치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11은 상기 접속함에 구비된 보호캡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7 및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101)는전주(10)에 설치된 접속함(200)과, 상기 접속함(200)과 연결된 변압기(40)를 교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무정전 변압기(400)와, 상기 접속함(200)에 엘보접속재(31)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101)는 무정전 변압기 공법으로 전주(10)에 설치되어 있는 변압기(40)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주와 전주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교체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접속함(200)은 전주(10)에 설치되고, 전원측 케이블(30a)이 설치되는 제1 회로 부싱(221)과, 부하측 케이블(30b)이 설치되는 제2 회로 부싱(222)과, 변압기(40)의 고압단자와 연결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41)이 설치되는 제3 회로 부싱(223), 그리고 제4 회로 부싱(22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접속함(200)은 4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로 부싱(221)과 상기 제2 회로 부싱(22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함(200)의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회로 부싱(223)과 상기 제4 회로 부싱(224)은 상기 접속함(2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속함(200)은, 도 10을 참조하면, 전주(10)에 설치된 암타이 랙크밴드(20)에 상기 접속함(200)에 구비된 고정바(210)를 체결하여 상기 접속함(200)을 상기 전주(10)에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는 3상용 접속함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즉, 3상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접속함(200)에 제1 회로 부싱(221), 제2 회로 부싱(222), 제3 회로 부싱(223), 그리고 제4 회로 부싱(224)이 각각 3개로 구비되어 각 위상별로 케이블이 연결된다.
물론, 교체해야 할 케이블이 단상인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내지 제4 회로 부싱이 각각 하나씩 구비된 접속함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200)은, 도 11를 참조하면, 부싱에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부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설치하여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 회로 부싱(221~224) 중에서 엘보접속재를 설치할 경우에는 엘보접속재가 설치될 부싱에서만 보호캡(230)을 분리시킨 후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설치한다. 그리고, 부싱에서 엘보접속재를 분리시킨 후 다시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보호캡(230)을 설치하여 부싱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200)은 상기 제1 회로 부싱(221)과 상기 제2 회로 부싱(222)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223)과 상기 제4 회로 부싱(224)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무정전 변압기(400)는 상기 제4 회로 부싱(224)에 설치되고 고압측과 연결된 제1 임시 케이블(410)과, 상기 변압기(40)의 저압단자와 연결된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42)에 설치되고 저압측과 연결된 제2 임시 케이블(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전주(10)에 구비되어 있는 변압기(40)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임시 케이블(410)을 상기 접속함(200)의 제4 회로 부싱(224)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임시 케이블(420)은 상기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42)에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223)에서 상기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41)을 분리하여 상기 변압기(40)를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이때, 전류는 상기 접속함(200)의 제4 회로 부싱(224)과 상기 무정전 변압기(400)를 통해 상기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42)로 흐르게 되므로 무정전 상태로 상기 변압기(40)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구역의 케이블을 교체할 경우에도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양단의 전주에 구비된 접속함에 상기와 같이 무정전 변압기를 설치한 후 무정전 상태로 일정 구역 내의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102)는 전주(10)에 설치된 접속함(200)과,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접속함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케이블(300), 그리고 상기 접속함(200)에 엘보접속재(31)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102)는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으로 전주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을 교체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이 교체되는 영역에 구비된 변압기 등과 같은 설비를 함께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접속함(200)은 전주(10)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30)이 설치되는 제1 회로 부싱(221)과 제2 회로 부싱(222)이 구비되고, 바이패스 케이블(300) 또는 변압기 등이 연결되는 제3 회로 부싱(223)과 제4 회로 부싱(224)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접속함(200)은 4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CA)의 케이블을 교체하는 동안에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CA)의 접속함(201, 202)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을 차단하지 않고 바이패스로 연결하여 무정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은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CA)의 일측에 구비된 전주(11)에 설치된 제1 접속함(201)의 제4 회로 부싱(224)에 일측단이 설치되고, 타측에 구비된 전주(12)에 설치된 제2 접속함(202)의 제3 회로 부싱(223)에 타측단에 설치되어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CA)에서 케이블 교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 무정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200)의 제1 및 제2 회로 부싱(221, 222)에 설치되는 케이블(30)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의 양단에는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에 간편하게 탈부착되도록 엘보접속재(31, 3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엘보접속재(31, 310)는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31, 310)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접속함(200)의 부싱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엘보접속재(31, 310)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이용하여 상기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엘보접속재(31, 310)와 상기 부싱의 구조 및 형태, 그리고 그에 따른 체결 상태는 종래의 변압기에 적용되고 있는 엘보접속재 및 부싱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은 개폐기(320)에 연결되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개폐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320)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의 일측단을 상기 제1 접속함(201)의 제4 회로 부싱(224)에 설치하고, 타측단을 상기 제2 접속함(202)의 제3 회로 부싱(223)에 설치한 후에 상기 개폐기(320)를 개방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작동시켜 안전하게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3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를 통하여, 무정전 상태로 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속함에 구비된 부싱에 케이블의 엘보접속재를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케이블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은 전주에 설치되고 제1 회로 부싱에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2 회로 부싱에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3 회로 부싱에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4 회로 부싱은 미사용 중인 접속함을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은, 무정전 변압기의 고압측과 연결된 제1 임시 케이블을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설치하는 제1 임시 케이블 설치단계(S110)와, 상기 무정전 변압기의 저압측과 연결된 제2 임시 케이블을 상기 변압기의 저압단자에 연결된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2 임시 케이블 연결단계(S120)와, 상기 제3 회로 부싱에서 상기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분리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 분리단계(S130)와, 상기 변압기를 교체하는 변압기 교체단계(S140)와, 교체된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된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상기 제3 회로 부싱에 설치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 설치단계(S150), 그리고 상기 제1 임시 케이블과 상기 제2 임시 케이블을 분리하여 무정전 변압기를 탈거하는 무정전 변압기 탈거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과 상기 무정전 변압기가 상기 제1 임시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무정전 변압기는 상기 제2 임시 케이블로 상기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 회로 부싱에서 상기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분리하도 무정전 상태로 상기 변압기의 교체 또는 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구역의 케이블을 교체할 경우에도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양단의 전주에 구비된 접속함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무정전 변압기를 설치한 후 무정전 상태로 일정 구역 내의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함은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단자에는 엘보접속재가 구비되어 있어, 접속함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이용하여 상기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임시 케이블 설치단계(S110)는 상기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는 보호캡 분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상기 제1 임시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먼저 분리한 후에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상기 제1 임시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정전 변압기 탈거단계(S160) 후에 상기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설치하는 보호캡 설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무정전 공법으로 변압기 또는 케이블 등의 교체 작업 중에만 사용되므로, 사용이 완료되면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보호캡을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14는 상기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서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은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의 제2 회로 부싱과 다른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의 제1 회로 부싱에 체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을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은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교체 케이블이 설치된 제1 접속함과 제2 접속함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S210)와, 상기 교체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단계(S220)와, 새로운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S230),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서 분리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분리단계(S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S210)는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케이블을 교체하는 동안에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양측의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 각각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여 무정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S210)는 상기 교체 케이블의 일측단이 체결된 제1 접속함의 제2 회로 부싱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하여 구비된 제4 회로 부싱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측단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제1 설치단계(S213)와, 상기 교체 케이블의 타측단이 체결된 제2 접속함의 제1 회로 부싱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하여 구비된 제3 회로 부싱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타측단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제2 설치단계(S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제1 접속함으로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2 접속함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하면서 케이블을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속함은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단자에는 엘보접속재가 구비되어 있어, 접속함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엘보접속재 분리장치(500)를 이용하여 상기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S210)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상에 구비된 개폐기를 폐쇄시킨 상태(S211)에서 제1 접속함과 제2 접속함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S213, S215)한 후 상기 개폐기를 개방(S216)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개폐기를 차단한 상태(S211)에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측단을 상기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에 설치(S213)하고, 타측단을 상기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에 설치(S215)한 후에 상기 개폐기를 개방(S216)하여 전류가 흐르도록 작동시켜 안전하게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은 부싱에 케이블이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감전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부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캡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캡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S210)는 보호캡 분리단계(S212)와 보호캡 분리단계(S2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호캡 분리단계(S212)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제1 설치단계(S213) 전에 상기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 분리단계(S214)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제2 설치단계(S215) 전에 상기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S210)는 바이패스 케이블 상에 구비된 개폐기를 폐쇄한 상태(S211)에서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에 구비되어 있는 보호캡을 분리(S212)한 후에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측단을 설치(S213)하고,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에 구비되어 있는 보호캡을 분리(S214)한 후에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타측단을 설치(S215)하고, 상기 개폐기를 개방(S216)하여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분리단계(S240) 후에 상기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체결하는 보호캡 설치단계와, 상기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체결하는 보호캡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케이블 교체가 완료된 후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접속함에서 분리하면 부싱이 외부에 노출되어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부싱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분리한 후에 부싱에 보호캡을 설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을 통하여, 무정전 상태로 케이블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접속함에 구비된 부싱에 케이블의 엘보접속재를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킬 수 있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어 케이블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무정전 교체장치 200 : 접속함
210 : 고정바 221 : 제1 회로 부싱
222 : 제2 회로 부싱 223 : 제3 회로 부싱
224 : 제4 회로 부싱 230 : 보호캡
300 : 바이패스 케이블 310 : 엘보접속재
320 : 개폐기 400 : 무정전 변압기
410 : 제1 임시 케이블 420 : 제2 임시 케이블
500 :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510 : 베이스 프레임
511 : 스톱퍼 520 : 엘보접속재 설치부
521 : 하우징 522 : 클램핑부
523 : 액추에이터 524 : 가이드블록
525 : 탄성부재 530 : 구동부
531 : 실린더 540 : 수평 이동프레임
550 : 수직 이동프레임 560 : 센서부
570 : 제어부

Claims (24)

  1. 전주에 설치된 접속함의 부싱에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속함에 밀착하여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엘보접속재가 탈착되는 엘보접속재 설치부; 및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접속함에 밀착될 때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가 부싱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위치를 제한하는 스톱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는,
    상기 엘보접속재가 수용되고, 상기 엘보접속재의 조작고리 측으로 가까워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엘보접속재의 조작고리를 클램핑 또는 클램핑 해제하는 한쌍의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를 이동시키고,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가 설치되어 상대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록이 구비된 액추에이터; 및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 구비되어 한쌍의 상기 클램핑부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함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평 이동프레임; 및
    상기 구동부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함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수직 이동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의 부싱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부싱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엘보접속재 설치부가 그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과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6. 전주에 설치되고,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1 회로 부싱과,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2 회로 부싱과,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3 회로 부싱, 그리고 제4 회로 부싱이 구비된 접속함;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설치되고 고압측과 연결된 제1 임시 케이블과, 상기 변압기의 저압단자와 연결된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에 설치되고 저압측과 연결된 제2 임시 케이블이 구비된 무정전 변압기; 및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구비된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를 포함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
  7. 전주에 설치되고,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1 회로 부싱과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제2 회로 부싱과, 제3 회로 부싱 및 제4 회로 부싱이 구비된 접속함;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일측에 구비된 전주에 설치된 제1 접속함의 제4 회로 부싱과 타측에 구비된 전주에 설치된 제2 접속함의 제3 회로 부싱에 설치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및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설치되는 케이블에 구비된 엘보접속재를 상기 부싱에 설치 또는 분리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를 포함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상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개폐하는 개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은,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은,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보호캡;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
  11. 전주에 설치되고 제1 회로 부싱에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2 회로 부싱에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3 회로 부싱에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4 회로 부싱은 미사용 중인 접속함을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정전 변압기의 고압측과 연결된 제1 임시 케이블을 상기 제4 회로 부싱에 설치하는 제1 임시 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무정전 변압기의 저압측과 연결된 제2 임시 케이블을 상기 변압기의 저압단자에 연결된 변압기 저압측 케이블에 연결하는 제2 임시 케이블 연결단계;
    상기 제3 회로 부싱에서 상기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분리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 분리단계;
    상기 변압기를 교체하는 변압기 교체단계;
    교체된 변압기의 고압단자와 연결된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을 상기 제3 회로 부싱에 설치하는 변압기 고압측 케이블 설치단계; 및
    상기 제1 임시 케이블과 상기 제2 임시 케이블을 분리하여 무정전 변압기를 탈거하는 무정전 변압기 탈거단계;
    를 포함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시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는 보호캡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변압기 탈거단계 후에 상기 제4 회로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설치하는 보호캡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함의 부싱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단자에는 엘보접속재가 구비되어 있어, 접속함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접속재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7. 전주에 설치되고 제1 회로 부싱에 전원측 케이블이 설치되고, 제2 회로 부싱에 부하측 케이블이 설치되는 접속함을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 교체가 필요한 구역의 교체 케이블이 설치된 제1 접속함과 제2 접속함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
    상기 교체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서 분리하는 케이블 분리단계;
    새로운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 설치하는 케이블 설치단계; 및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속함과 상기 제2 접속함에서 분리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교체 케이블의 일측단이 체결된 제1 접속함의 제2 회로 부싱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하여 구비된 제4 회로 부싱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일측단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제1 설치단계; 및
    상기 교체 케이블의 타측단이 체결된 제2 접속함의 제1 회로 부싱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기하여 구비된 제3 회로 부싱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의 타측단을 설치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제2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제1 설치단계와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제2 설치단계 전에 접속함의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된 보호캡을 분리하는 보호캡 분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분리단계 후에 접속함의 부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캡을 체결하는 보호캡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은 양측단에 엘보접속재가 구비되어 있어, 접속함의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가압하여 삽입 체결되거나, 상기 엘보접속재를 당겨서 부싱에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접속재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엘보접속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부싱에 상기 엘보접속재를 설치 또는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단계는,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상에 구비된 개폐기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 접속함과 제2 접속함에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한 후 상기 개폐기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로 부싱과 상기 제2 회로 부싱은 400A 데드브레이크(De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 회로 부싱과 상기 제4 회로 부싱은 200A 로드브레이크(Load Break)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방법.
KR1020220006025A 2022-01-14 2022-01-14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KR102664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025A KR102664840B1 (ko) 2022-01-14 2022-01-14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025A KR102664840B1 (ko) 2022-01-14 2022-01-14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21A true KR20230110021A (ko) 2023-07-21
KR102664840B1 KR102664840B1 (ko) 2024-05-10

Family

ID=8743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025A KR102664840B1 (ko) 2022-01-14 2022-01-14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84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59A (ko) 2006-04-24 2007-10-29 에스엠 종합개발 주식회사 전선의 무정전 교체방법
KR20100054948A (ko) *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20100093201A (ko) * 2009-02-16 2010-08-25 흡 윤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20130063275A (ko) * 2011-12-06 2013-06-14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용 연결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변압기 연결방법
KR101656805B1 (ko) * 2016-04-08 2016-09-12 엔일렉트릭 주식회사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KR101765087B1 (ko) * 2016-11-16 2017-08-04 최전수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KR102014049B1 (ko) * 2019-04-11 2019-08-23 서영곤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및 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759A (ko) 2006-04-24 2007-10-29 에스엠 종합개발 주식회사 전선의 무정전 교체방법
KR20100054948A (ko) *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20100093201A (ko) * 2009-02-16 2010-08-25 흡 윤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20130063275A (ko) * 2011-12-06 2013-06-14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변압기용 연결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변압기 연결방법
KR101656805B1 (ko) * 2016-04-08 2016-09-12 엔일렉트릭 주식회사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KR101765087B1 (ko) * 2016-11-16 2017-08-04 최전수 엘보 접속재 탈착장치
KR102014049B1 (ko) * 2019-04-11 2019-08-23 서영곤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상변압기용 엘보접속재 분리 및 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840B1 (ko) 2024-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939B2 (en) Medium voltage separable insulated energized break connector
CN109412146B (zh) 一种电力电缆交叉互联在线修正装置及方法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US20180316124A1 (en)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US10748728B2 (en) Boom mountable breaker and methods of using same
GB2532009A (en) DC circuit breaker and disconnector
US8379373B2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including a bus recovery member
KR101041732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0805224B1 (ko)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중선의 무정전공법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2664840B1 (ko) 엘보접속재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완전절연케이블용 무정전 교체장치와 교체방법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20040074749A (ko)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US11024985B2 (en) Insulated external parking bushing
KR20080034266A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20080041785A (ko) 지중 배전선로 상의 지상변압기를 무정전 공법에 의해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로의 교체방법
KR101858354B1 (ko) 접지대차
JP2684623B2 (ja) 地上用変圧器
CN217061893U (zh) 一种适用于带电作业快速接入高压开关
KR200263314Y1 (ko) 활선 전선교체 작업용 보조완철
KR19990017918U (ko) 가스절연부하 개폐기의 파워휴즈장치
KR200314282Y1 (ko)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KR102661356B1 (ko) 분리형 배전반 방전 및 접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