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40B1 -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 Google Patents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40B1
KR101497340B1 KR20140168355A KR20140168355A KR101497340B1 KR 101497340 B1 KR101497340 B1 KR 101497340B1 KR 20140168355 A KR20140168355 A KR 20140168355A KR 20140168355 A KR20140168355 A KR 20140168355A KR 101497340 B1 KR101497340 B1 KR 101497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cable
primary
terminal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Original Assignee
이윤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정 filed Critical 이윤정
Priority to KR2014016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변압기 캐비닛과; 상기 변압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지중송전선이 연결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지중배전선이 연결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가 구비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와 지중송전선 접속부 및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가 구비된 1차측 복합접속구와;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와 지중배전선 접속부 및 2차측 바이패스 접속부가 구비된 2차측 복합접속구와; 상기 변압기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와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와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가 구비된 1차측 개폐기와 2차측 개폐기와;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의 1차측 바이패스 접속부와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의 2차측 바이패스 접속부와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를 가지는 이동식 변압기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1차측 정션케이블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2차측 정션케이블; 및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와 2차측 복합접속구를 각각 변압기 1차측 단자와 변압기 2차측 단자에 대하여 탈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 그리고 이동식 변압기에 대한 정션케이블의 접속과 탈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작업자가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써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무정전 상태에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Uninterruptible connecting panel of transformer for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분야 기술 중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 그리고 이동식 변압기에 대한 정션케이블의 접속과 탈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작업자가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써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무정전 상태에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되고 변전소에서 승압 또는 강압한 특고압 전기를 송전선로를 통해 송전하며, 특고압 전류를 변압기에 의하여 가정용 전기와 산업시설용 전기로 강압하여 배전선로를 통해 각 가정이나 각종 산업시설 등의 수용가에 공급하고 있다.
송, 배전 방식은 지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에 가공송전선과 가공배전선을 지지하고 가공송전선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기(22.9kV)를 전주에 설치된 가공변압기에 의해 일반 가정용 전기(220V)와 산업시설용 전기(380V)로 강압하여 가공배전선을 통해 각 가정과 산업시설 등의 수용가에 배전하는 가공 송, 배전 방식과, 지중에 지중송전선과 지중배전선을 매설하고 지중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 전류를 지상에 설치된 지상변압기에 의해 일반 가정용 220V와 산업시설용 380V로 강압하여 지중배전선을 통해 각 가정과 산업시설 등의 수용가에 배전하는 지중 배전 방식으로 구분된다.
예로부터 송전선로와 배전선로는 예로부터 지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에 송전선과 배전선을 지지하는 가공 송, 배전 방식이 사용되어 왔으나, 날로 확장되고 복잡해지는 도심에서는 지중 송, 배전 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다.
지중 송, 배전 방식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고압 전류를 송전하는 지중송전선(L1)과, 가정용 전기와 산업시설용 전기를 가정과 산업시설 등의 수용가(5)에 배전하는 지중배전선(L2)과, 지상에 설치되는 변압기 캐비닛(1) 내에 설치되어 지중송전선(L1)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기를 가정용 전기와 산업시설용 전기로 강압하는 지상변압기(2) 및, 지상에 설치되는 개폐기 캐비닛(3) 내에 설치되어 지중배전선(L2)을 개폐하는 개폐기(4)를 포함하는 지중송, 배전선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송, 배전선로에 사용되는 전선과 변압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노후화되거나 고장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송, 배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거나 아크로 인한 화재 발생을 초래할 염려가 있을 경우, 원활한 송, 배전과 안전을 위하여 수시로 유지, 보수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전기를 차단한 정전(비활선)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정전 방식과 전기를 차단하지 않은 무정전(활선)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는 무정전 방식이 사용된다.
안전성을 고려한다면 전기를 완전히 차단한 정전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정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보수, 유지를 위하여 정전 상태로 유지할 경우 수용가 측의 모든 전기장치의 작동이 정지되어 막대한 산업상의 손실을 초래하게 됨과 아울러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송전선과 배전선을 무정전 상태로 유지하면서 보수, 유지 작업을 수행하는 무정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무정전 방식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69335호(2007.10.16. 등록)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선행기술1')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1은 도전성 연결바와 이에 연결된 좌우 접속체를 절연층과 쉴드층으로 성형하여 엘보접속재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접속체 내부에는 소켓부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엘보접속재의 접지봉으로 전달되는 아크를 차단하는 소호튜브가 연이어 구비된 인너프레임을 내장한 케이블 정션과; 저면에 변압기의 파킹 스탠드에 삽입 조립되는 삽입구를 갖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전면에 케이블 정션을 수평 및 수직 경사방향으로 지지 설치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베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수평 및 수직 경사방향으로 지지 설치되는 케이블 정션을 지렛대 작동으로 가압 고정하되, 저면에 회전가능케 축설치되거나 베이스에 착탈가능한 마그네틱을 구비한 토글클램프로 구성되어 엘보접속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분리 연결하므로 작업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를 제공한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1은 변압기의 1차측 엘보접속재에 이동 변압기를 활선 상태로 연결하는 케이블 정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케이블 정션을 1차측 엘보접속재에 접속하거나 탈거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절연봉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감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무정전 방식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6445호(2009.11.05. 등록)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선행기술2')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2는 지중배전선로의 변압기와 개폐기 등의 기기 및 케이블 교체를 비롯한 유지 보수를 무정전으로 시공하기 위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배전선로용 개폐기와 변압기를 연결하기 위한 지중케이블의 단부에 접속만 가능한 기존의 엘보우 접속구 대신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가 지중배전선로의 신규 건설시 적용 설치된 상태 또는 기존 지중선로의 경우 순차적인 분리 연결 방법에 의해 무정전 상태로 기존 엘보우 접속구를 익스텐션 엘보우로 교환 설치한 상태에서 지중배전선로용 변압기와 개폐기 및 케이블의 교체 시공 등 무정전 시공을 하는 경우 상기의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하여 임시 송전용 바이패스케이블을 무정전으로 설치하여 매우 안전하면서도 신속한 무정전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은 물론 종전에 대부분의 지중배전선로에 대한 작업이 심야 할증을 적용하여 야간에 정전 작업으로 시공하여 위험하고 비능률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을 무정전 상태에서 주간에 해당 공사에 대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게 하여 매우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된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2는 익스텐션 엘보우와 바이패스 케이블을 구비하여 활선 상태에서 익스텐션 엘보우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접속하거나 탈거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감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바이패스 케이블을 수작업으로 접속하거나 탈거하지 않고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면 바이패스 케이블이 접속되거나 탈거되도록 함으로써 감전사고를 초래하는 일이 없이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무정전 상태로 교체할 수 있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69335호(2007.10.16. 등록)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26445호(2009.11.05. 등록)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따라서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 그리고 이동식 변압기에 대한 정션케이블의 접속과 탈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작업자가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써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무정전 상태에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변압기 캐비닛과; 상기 변압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지중송전선이 연결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지중배전선이 연결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가 구비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와 지중송전선 접속부 및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가 구비된 1차측 복합접속구와;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와 지중배전선 접속부 및 2차측 바이패스 접속부가 구비된 2차측 복합접속구와; 상기 변압기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와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와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가 구비된 1차측 개폐기와 2차측 개폐기와;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의 1차측 바이패스 접속부와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의 2차측 바이패스 접속부와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를 연결하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를 가지는 이동식 변압기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1차측 정션케이블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2차측 정션케이블; 및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와 2차측 복합접속구를 각각 변압기 1차측 단자와 변압기 2차측 단자에 대하여 탈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서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와 1차측 개폐기 및, 2차측 개폐기가 장착되는 장착판 및 천장판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압기의 변압기 1차측 단자와 변압기 2차측 단자는 통상적인 부싱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지중송전선에는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의 지중송전선 접속부에 접속되는 지중송전선 접속구가 구비되며,
상기 지중배전선에는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의 지중배전선 접속부에 접속되는 지중배전선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의 양단에는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에 접속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와,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에 접속되는 1차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가 구비되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의 양단에는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와,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의 양단에는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와,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가 구비되며,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의 양단에는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와,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의 양단에는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에 접속하기 위한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와, 상기 이동식 변압기의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에 접속되는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가 구비되며,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의 양단에는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와, 상기 이동식 변압기의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캐비닛의 천장판 하면에 장착되며 내주면 양측에 서로 나선방향을 달리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중공형 모터축이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암나사부에 맞물리는 수나사부를 가지는 한 쌍의 구동스크루와; 상기 구동스크루에 각각 상단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와 2차측 복합접속구에 결합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에 의하면 지상에 설치되는 변압기 캐비닛과; 상기 변압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며, 지중송전선이 연결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지중배전선이 연결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가 구비된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와 지중송전선 접속부 및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가 구비된 1차측 복합접속구와;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와 지중배전선 접속부 및 2차측 바이패스 접속부가 구비된 2차측 복합접속구와; 상기 변압기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와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와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가 구비된 1차측 개폐기와 2차측 개폐기와;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의 1차측 바이패스 접속부와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상기 1차측 개폐기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의 2차측 바이패스 접속부와 상기 2차측 개폐기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를 가지는 이동식 변압기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1차측 정션케이블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를 연결하는 2차측 정션케이블; 및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와 2차측 복합접속구를 각각 변압기 1차측 단자와 변압기 2차측 단자에 대하여 탈착시키는 탈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 그리고 이동식 변압기에 대한 정션케이블의 접속과 탈거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작업자가 전환스위치를 조작하는 것만으로써 변압기의 1차측 단자와 2차측 단자에 대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과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중 배전선로의 변압기를 무정전 상태에서 감전사고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는 캐비닛의 상판과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캐비닛을 제외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변압기, 송전선, 배전선,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및 개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변압기 1차측 단자와 지중송전선 및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의 연결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변압기 2차측 단자와 지중배전선 및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의 연결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7은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및 1차측 차단기의 연결구조를 보인 횡단평면도,
도 8은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및 2차측 개폐기의 연결구조를 보인 횡단평면도,
도 9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과 1차측 정션케이블 및 이동식 변압기의 연결구조를 보인 종단좌측면도,
도 10은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과 2차측 정션케이블 및 이동식 변압기의 연결구조를 보인 종단좌측면도,
도 11은 정상적인 송, 배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바이패스 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를 정션케이블로 연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1차측 복합접속구와 2차측 복합접속구를 변압기 1차측 단자와 변압기 2차측 단자에서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그리고,
도 14는 종래 지중 송, 배전선로를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는 변압기 캐비닛(10)과; 상기 변압기 캐비닛(10) 내에 설치되며, 지중송전선(100)이 연결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지중배전선(200)이 연결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320)가 구비된 변압기(300)와;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31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와 지중송전선 접속부(420) 및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가 구비된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와 지중배전선 접속부(520) 및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가 구비된 2차측 복합접속구(500)와; 상기 변압기(300)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와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와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가 구비된 1차측 개폐기(600)와 2차측 개폐기(700)와;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접속부(430)와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를 연결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과,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에 연결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에 연결되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와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를 연결하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를 가지는 이동식 변압기(1200)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를 연결하는 1차측 정션케이블(1300)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를 연결하는 2차측 정션케이블(1400); 및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를 각각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 대하여 탈착시키는 탈착수단(1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에서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300)와 1차측 개폐기(500) 및, 2차측 개폐기(600)가 장착되는 장착판(13) 및 천장판(14)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2)과 장착판(13) 사이에는 공간부(15)가 형성되어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케이블(800)과 2차측 바이패스 케이블(90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중송전선(100)과 지중배전선(200),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 1차측 정션케이블(1300) 및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은 각각 3상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상기 변압기(3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는 통상적인 부싱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접속홈(312, 322)이 형성된 도체부(311, 321)와, 상기 도체부(311, 321)를 감싸며 원추형 외주면(314, 324)을 가지는 절연체부(313, 3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의 도체부(311, 321)는 변압기(300)의 트랜스(미도시)의 입력측과 출력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구조이므로 변압기(300)의 내부 구조 및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의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는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310)의 접속홈(31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412)와 상기 원추형 외주면(31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413)을 가지는 도체부(411)와, 상기 도체부(411)를 감싸는 절연체부(414)가 구비된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와; 상기 도체부(4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접속돌기(422)와 원추형 내주면(423)을 가지는 도체부(421)와, 상기 도체부(421)를 감싸는 절연체부(424)가 구비된 지중송전선 접속부(420); 및 상기 도체부(41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접속돌기(432)와 원추형 내주면(433)을 가지는 도체부(431)와, 상기 도체부(431)를 감싸는 절연체부(434)가 구비된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는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320)의 접속홈(32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512)와 상기 원추형 외주면(32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513)을 가지는 도체부(511)와, 상기 도체부(511)를 감싸는 절연체부(514)가 구비된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510)와; 상기 도체부(511)에 일체로 형성되며 접속돌기(522)와 원추형 내주면(523)을 가지는 도체부(521)와, 상기 도체부(521)를 감싸는 절연체부(524)가 구비된 지중배전선 접속부(520); 및 상기 도체부(511)에 일체로 형성되며 접속돌기(532)와 원추형 내주면(533)을 가지는 도체부(531)와, 상기 도체부(531)를 감싸는 절연체부(524)가 구비된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6 참조).
상기 지중송전선(100)을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지중송전선 접속부(42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지중송전선(100)의 선단부의 절연피복(102)을 박리하여 도체부(101)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101)를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지중송전선 접속부(420)의 도체부(421)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지중송전선(1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중송전선 접속구(11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송전선 접속구(110)는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지중송전선 접속부(420)의 접속돌기(422)에 대응하는 접속홈(112)과 상기 지중송전선(100)의 도체부(101)에 대응하는 접속홈(113)을 가지는 도체부(111)와, 상기 도체부(111)를 감싸며 상기 지중송전선 접속부(420)의 원추형 내주면(423)에 대응하는 원추형 외주면(115)을 가지는 절연체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5 참조).
상기 지중배전선(200)을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지중배전선 접속부(52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지중배전선(200)의 선단부의 절연피복(201)을 박리하여 도체부(201)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201)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지중배전선 접속부(520)의 도체부(521)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지중배전선(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중배전선 접속구(21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중배전선 접속구(210)는 상기 지중배전선 접속부(520)의 접속돌기(522)에 대응하는 접속홈(212)과 상기 지중배전선(200)의 도체부(201)에 대응하는 접속홈(213)을 가지는 도체부(211)와, 상기 도체부(211)를 감싸며 상기 지중배전선 접속부(520)의 원추형 내주면(523)에 대응하는 원추형 외주면(215)을 가지는 절연체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6 참조).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와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는 통상적인 부싱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접속홈(612, 622)이 형성된 도체부(611, 621)와, 상기 도체부(611, 621)를 감싸며 원추형 외주면(614, 624)을 가지는 절연체부(613, 6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와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는 통상적인 부싱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접속홈(712, 722)이 형성된 도체부(711, 721)와, 상기 도체부(711, 721)를 감싸며 원추형 외주면(714, 724)을 가지는 절연체부(713, 7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을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와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의 양단부의 절연피복(802, 804)을 박리하여 도체부(801, 803)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801, 803)를 각각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의 도체부(431)와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의 도체부(611)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양단에 결합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810)와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82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810)는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의 접속돌기(432)에 대응하는 접속홈(812)과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의 도체부(801)에 대응하는 접속홈(813)을 가지는 도체부(811)와, 상기 도체부(811)를 감싸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의 원추형 내주면(433)에 대응하는 원추형 외주면(815)을 가지는 절연제부(8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5 참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820)는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의 접속홈(61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822)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의 도체부(803)에 대응하는 접속홈(823) 및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의 원추형 외주면(61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824)을 가지는 도체부(821)와, 상기 도체부(821)를 감싸는 절연체부(8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참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을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의 일단부의 절연피복(902)을 박리하여 도체부(901)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901)를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의 도체부(621)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91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910)는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10)의 접속홈(61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912)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의 도체부(901)에 대응하는 접속홈(913) 및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10)의 원추형 외주면(62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914)을 가지는 도체부(911)와, 상기 도체부(911)를 감싸는 절연체부(9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7 참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의 타단에는 1차측 정션 케이블(1300)을 접속하기 위한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가 결합된다.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는 접속홈(922)과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의 도체부(903)에 대응하는 접속홈(923)을 가지는 도체부(921)와, 상기 도체부(921)를 감싸며 원추형 외주면(925)을 가지는 절연체부(9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9 참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는 상기 캐비닛(10)의 장착판(12)에 장착된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의 일단부에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가 결합된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는 접속홈(1012)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의 도체부(1001)에 대응하는 접속홈(1013)을 가지는 도체부(1011)와, 상기 도체부(1011)를 감싸며 원추형 외주면(1015)을 가지는 절연체부(10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는 상기 캐비닛(10)의 장착판(12)에 장착된다. 상기 도체부(1001)는 절연피복(1002)을 박리하여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을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의 일단부 절연피복(1004)을 박리하여 도체부(1003)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1003)를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02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020)는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의 접속홈(71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1022)와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000)의 도체부(1003)에 대응하는 접속홈(1023) 및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의 원추형 외주면(71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1024)을 가지는 도체부(1021)와, 상기 도체부(1021)를 감싸는 절연체부(10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8 참조). 상기 도체부(1003)는 절연피복(1004)을 박리하여 노출되는 부분이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을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일단부의 절연피복(1102)을 박리하여 도체부(1101)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1101)를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의 도체부(721)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11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110)는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의 접속홈(72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1112)와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도체부(1101)에 대응하는 접속홈(1113) 및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의 원추형 외주면(723)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1114)을 가지는 도체부(1111)와, 상기 도체부(1111)를 감싸는 절연체부(1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8 참조).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을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에 연결함에 있어서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단부의 절연피복(1104)을 박리하여 도체부(1103)가 노출되게 하여 도체부(1103)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의 도체부(531)에 직접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으나, 양단에 결합되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1120)에 의하여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1120)는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의 접속돌기(532)에 대응하는 접속홈(1122)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도체부(1003)에 대응하는 접속홈(1123)을 가지는 도체부(1121)와, 상기 도체부(1121)를 감싸며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의 원추형 내주면(533)에 대응하는 원추형 외주면(1125)을 가지는 절연체부(1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6 참조).
상기 이동식 변압기(1200)의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는 통상적인 부싱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접속홈(1212, 1222)이 형성된 도체부(1211, 1221)와, 상기 도체부(1211, 1221)를 감싸며 원추형 외주면(1214, 1224)을 가지는 절연체부(1213, 1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1300)의 양단에는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310)와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320)가 결합된다.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1300)은 양단의 피복부(1302, 1304)를 박리하여 도체부(1301, 1303)가 노출되도록 하여 이 도체부(1301, 1303)에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310)와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320)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310)는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의 접속홈(92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1312)와 1차측 정션케이블(1300)의 도체부(1301)에 대응하는 접속홈(1313) 및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의 원추형 외주면(925)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1314)을 가지는 도체부(1311)와, 상기 도체부(1311)를 감싸는 절연체부(1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9 참조).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320)는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의 접속홈(121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1322)와 1차측 정션케이블(1300)의 도체부(1303)에 대응하는 접속홈(1323) 및 상기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의 원추형 외주면(121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1324)은 가지는 도체부(1321)와, 상기 도체부(1321)를 감싸는 절연체부(13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9 참조).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의 양단에는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410)와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420)가 결합된다.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은 양단의 피복부(1402, 1404)를 박리하여 도체부(1401, 1403)가 노출되도록 하여 도체부(1401, 1403)에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410)와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420)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410)는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의 접속홈(101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1412)와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의 도체부(1401)에 대응하는 접속홈(1413) 및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의 원추형 외주면(1015)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1414)을 가지는 도체부(1411)와, 상기 도체부(1411)를 감싸는 절연체부(1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420)는 상기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의 접속홈(1222)에 대응하는 접속돌기(1422)와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의 도체부(1403)에 대응하는 접속홈(1423) 및 상기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의 원추형 외주면(1224)에 대응하는 원추형 내주면(1424)을 가지는 도체부(1411)와, 상기 도체부(1411)를 감싸는 절연체부(14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10 참조).
상기 탈착수단(1500)은 상기 캐비닛(10)의 천장판(14) 하면에 장착되며 내주면 양측에 서로 나선방향을 달리하는 암나사부(1521, 1522)를 가지는 중공형 모터축(1520)이 구비된 구동모터(1510)와; 상기 암나사부(1521, 1522)에 맞물리는 수나사부(1531, 1541)를 가지는 한 쌍의 구동스크루(1530, 1540)와; 상기 구동스크루(1530, 1540)에 각각 상단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에 결합되는 연결대(1550, 1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1510)는 모터베이스(1511)에 관통되는 볼트(미도시)를 상기 캐비닛(10)의 천장판(14)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모터축(1520)의 암나사부(1521)와 구동스크루(1530)의 수나사부(1531)는 오른나사로 형성하고, 모터축(1520)의 암나사부(1522)와 구동스크루(1540)의 수나사부(1541)는 왼나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대(1550, 1560)는 1차측 및 2차측 복합접속구(400, 500)를 연결하기 위하여 전, 후방 연결대(1551, 1552, 1561, 1562)로 분할 형성하고, 상기 전방 연결대(1551, 1561)의 후면과 후방 연결대(1552, 1562)의 전면에 각각 반원형 연결홈(1553, 1563)을 형성하여 반원형 연결홈(1553, 1563) 사이에 1차측 및 2차측 복합접속구(400, 500)를 삽입하고, 전방측 연결대(1551, 1561)에 형성된 관통공(1554, 1564)을 관통하는 결합볼트(1555, 1565)를 후방측 연결대(1552, 1562)에 형성된 볼트체결공(1556, 1566)에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크루(1530, 1540)와 연결대(1550, 156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대(1550, 1560)의 상단에 관통공(1557, 1567)을 형성하고, 구동스크루(1530, 1540)를 관통공(1557, 1567)에 관통시키고 연결대(1550, 1560)의 양측에서 구동스크루(1530, 1540)에 한 쌍의 고정너트(1558, 1568)를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510)는 캐비닛(10)의 장착판(12)에 설치되는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도 2 및 도 3의 우측에서 볼 때 탈락방향(반시계방향) 또는 접속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의 변압기의 무정전 유지, 보수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지중송전선 접속부(420)와 지중송전선(100)의 지중송전선 접속구(110), 1차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와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의 1차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810),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지중배전선 접속부(520)와 지중배전선(200)의 지중배전선 접속구(210),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와 2차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1120),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와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820),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와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의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020),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와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의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910),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와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2차측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110)는 항상 접속된 상태로 유지된다.
변압기(30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정상 송, 배전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가 변압기(3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310)에 접속되고,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가 변압기(3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1차측 개폐기(600)와 2차측 개폐기(700)는 차단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지중송전선(100)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기가 지중송전선 접속구(110)와 지중송전선 접속부(420) 및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 및 변압기(3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310)를 통해 변압기(300)의 입력단에 입력되고, 변압기(300)에 의하여 변압(강압)된 가정용 전기 또는 산업시설용 전기는 변압기(3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32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와 지중배전선 접속부(520)를 통해 지중배전선(200)로 흐르게 되어 정상적인 송, 배전이 이루어진다.
변압기(300)의 교체 등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1차측 개폐기(600)와 2차측 개폐기(700)는 차단 상태로 유지하면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 변압기(1200)의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에 각각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320)와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420)를 접속하고,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310)와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410)를 각각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와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에 접속한다.
이때, 1차측 개폐기(600)와 2차측 개폐기(700)는 차단 상태로 유지되어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1차측 정션케이블(1300),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은 비활선 상태이므로 감전사고 등의 위험 없이 접속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지중송전선(100)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기를 이동식 변압기(1200)에 의해 가정용 전기 또는 산업시설용 전기로 변압(강압)하여 지중배전선(200)을 통해 배전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1차측 차단기(600)와 2차측 차단기(700)를 접속 상태로 전환시켜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과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이 1차측 차단기(600)를 통해 접속되고,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이 2차측 개폐기(700)를 통하여 접속되게 한다.
다음, 캐비닛(10)의 장착판(12)에 설치되는 스위치(미도시)를 탈락방향으로 조작하면, 구동모터(1510)의 모터축(1520)이 탈락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축(1520)의 좌측 암나사부(1521)에 수나사부(1531)가 맞물려 있는 구동스크루(1530)가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1521)와 수나사부(1531)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탈락방향(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모터축(1520)의 우측 암나사부(1522)에 수나사부(1542)가 맞물려 있는 구동스크루(1540)가 왼나사로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부(1522)와 수나사부(1541)의 나사작용에 의하여 탈락방향(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동스크루(1530, 1540)가 탈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구동스크루(1530, 1540)에 결합되어 있는 연결대(1550, 1560)가 탈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연결대(1550, 1560)에 결합되어 있는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가 탈착방향(각각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가 각각 변압기(3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서 탈락하게 된다(도 13 참조).
이때,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를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로부터 탈락시키는 작업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하지 않고, 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탈락수단(1500)이 수행하게 되므로 감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지중송전선(100)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기가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 1차측 개폐기(600),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 및 1차측 정션케이블(1300)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1200)의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에 입력되고, 이동식 변압기(1200)에 의하여 변압(강압)된 가정용 전기 또는 산업시설용 전기가 2차측 정션케이블(1400),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 2차측 개폐기(700),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 및 지중배전선 접속부(520) 및 지중배전선(200)을 통해 배전된다.
이 상태에서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가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서 탈락된 변압기(300)를 교체 또는 보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송전선(100)과 지중배전선(200)은 계속하여 무정전상태(활선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무정전 상태로 변압기(300)의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변압기(300)의 교체 또는 보수 작업이 완료되고, 변압기(300)가 다시 장착되면, 캐비닛(10)의 장착판(12)에 설치된 스위치(미도시)를 접속방향으로 조작하면, 구동모터(1510)의 모터축(1520)이 접속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술한 탈락작동시와 역방향 작동에 의하여 구동스크루(1530, 1540)와 연결대(1550, 1560) 및 1차측 복합접속구(400) 및 2차측 복합접속구(500)가 접속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가 각각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 접속된다.
이후, 1차측 개폐기(600)와 2차측 개폐기(700)를 탈락상태로 전환시켜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1차측 정션케이블(1300),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이 비활선 상태로 되도록 한 다음, 1차측 정션케이블(1300)과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을 분리한다.
이때 1차측 정션케이블(1300)과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을 분리함에 있어서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1차측 정션케이블(1300),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이 비활선 상태이므로 감전사고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지중송전선(100)을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기가 지중송전선 접속구(110)와 지중송전선 접속부(420) 및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 및 변압기(3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310)를 통해 변압기(300)의 입력단에 입력되고, 변압기(300)에 의하여 변압(강압)된 가정용 전기 또는 산업시설용 전기는 변압기(3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32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와 지중배전선 접속부(520)를 통해 지중배전선(200)으로 흐르게 되어 다시 정상적인 송, 배전 상태로 복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캐비닛 100 : 지중송전선
110 : 지중송전선 접속구 200 : 지중배전선
210 : 지중배전선 접속구 300 : 변압기
310 : 변압기 1차측 단자 320 : 변압기 2차측 단자
400 : 1차측 복합접속구 410 :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
420 : 지중송전선 접속부 430 :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
500 : 2차측 복합접속구 510 :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
520 : 지중배전선 접속부 530 :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
600 : 1차측 개폐기 700 : 2차측 개폐기
800 :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810 :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
820 :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
900 :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910 :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
920 :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
1000 :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1010 :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
1020 :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
1100 :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1110 :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
1120 :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
1200 : 이동식 변압기 1210 :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
1220 :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 1300 : 1차측 정션케이블
1310 :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
1320 :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
1400 : 2차측 정션케이블 1410 :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
1420 :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
1500 : 탈착수단 1510 : 구동모터
1520 : 모터축 1530, 1540 : 구동스크루
1550, 1560 : 연결대

Claims (1)

  1. 지상에 설치되는 변압기 캐비닛(10)과; 상기 변압기 캐비닛(10) 내에 설치되며, 지중송전선(100)이 연결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지중배전선(200)이 연결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320)가 구비된 변압기(300)와; 상기 변압기 1차측 단자(31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1차측 단자 접속부(410)와 지중송전선 접속부(420) 및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가 구비된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상기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변압기 2차측 단자 접속부(510)와 지중배전선 접속부(520) 및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가 구비된 2차측 복합접속구(500)와; 상기 변압기(300)의 양측에 설치되며 각각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와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와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가 구비된 1차측 개폐기(600)와 2차측 개폐기(700)와;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와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를 연결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과,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에 연결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에 연결되는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와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를 연결하는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와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를 가지는 이동식 변압기(1200)와;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과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를 연결하는 1차측 정션케이블(1300)과;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과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를 연결하는 2차측 정션케이블(1400); 및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를 각각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에 대하여 탈착시키는 탈착수단(1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캐비닛(10)은 지면에 안착되는 바닥판(12)과, 상기 바닥판(12)에서 상방으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변압기(300)와 1차측 개폐기(500) 및, 2차측 개폐기(600)가 장착되는 장착판(13) 및 천장판(14)을 가지며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변압기(300)의 변압기 1차측 단자(310)와 변압기 2차측 단자(320)는 통상적인 부싱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지중송전선(100)에는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지중송전선 접속부(420)에 접속되는 지중송전선 접속구(110)가 구비되며,
    상기 지중배전선(200)에는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지중배전선 접속부(520)에 접속되는 지중배전선 접속구(210)가 구비되고,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800)의 양단에는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의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접속부(430)에 접속되는 1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810)와,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입력단자(610)에 접속되는 1차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820)가 구비되며,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900)의 양단에는 상기 1차측 개폐기(600)의 1차측 개폐기 출력단자(620)에 접속되는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910)와,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1300)에 접속하기 위한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가 구비되고,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1000)의 양단에는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1400)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와,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입력단자(710)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020)가 구비되며,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1100)의 양단에는 상기 2차측 개폐기(700)의 2차측 개폐기 출력단자(720)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개폐기 접속구(1110)와, 상기 2차측 복합접속구(500)의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접속부(530)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변압기 접속구(1120)가 구비되고,
    상기 1차측 정션케이블(1300)의 양단에는 상기 1차측 바이패스 출력케이블 정션 접속구(920)에 접속하기 위한 1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310)와, 상기 이동식 변압기(1200)의 이동식 변압기 1차측 단자(1210)에 접속되는 1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320)가 구비되며,
    상기 2차측 정션케이블(1400)의 양단에는 상기 2차측 바이패스 입력케이블 정션 접속구(1010)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정션케이블 바이패스 접속구(1410)와, 상기 이동식 변압기(1200)의 이동식 변압기 2차측 단자(1220)에 접속하기 위한 2차측 정션케이블 이동식 변압기 접속구(1420)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수단(1500)은 상기 캐비닛(10)의 천장판(14) 하면에 장착되며 내주면 양측에 서로 나선방향을 달리하는 암나사부(1521, 1522)를 가지는 중공형 모터축(1520)이 구비된 구동모터(1510)와; 상기 암나사부(1521, 1522)에 맞물리는 수나사부(1531, 1541)를 가지는 한 쌍의 구동스크루(1530, 1540)와; 상기 구동스크루(1530, 1540)에 각각 상단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1차측 복합접속구(400)와 2차측 복합접속구(500)에 결합되는 연결대(1550, 15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20140168355A 2014-11-28 2014-11-28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497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8355A KR101497340B1 (ko) 2014-11-28 2014-11-28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8355A KR101497340B1 (ko) 2014-11-28 2014-11-28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340B1 true KR101497340B1 (ko) 2015-03-03

Family

ID=5302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8355A KR101497340B1 (ko) 2014-11-28 2014-11-28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3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16B1 (ko) * 2015-12-11 2016-07-15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794297B1 (ko) 2017-02-09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877902B1 (ko) * 2017-07-10 2018-07-12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033U (ko) * 1986-10-17 1988-05-02
KR200303386Y1 (ko) * 2002-10-30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지상기기 연결용 엘보케이블
KR20030011192A (ko) * 2001-07-27 2003-02-07 정둘경 저압 무정전 위상변환 바이패스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033U (ko) * 1986-10-17 1988-05-02
KR20030011192A (ko) * 2001-07-27 2003-02-07 정둘경 저압 무정전 위상변환 바이패스 장치
KR200303386Y1 (ko) * 2002-10-30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지상기기 연결용 엘보케이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16B1 (ko) * 2015-12-11 2016-07-15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794297B1 (ko) 2017-02-09 2017-12-01 삼성기술감리 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1877902B1 (ko) * 2017-07-10 2018-07-12 견금자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10602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employing a ups
WO2017024931A1 (zh) 快速插拔电缆分支箱
US9450359B2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lug-in units to a busway
US9007745B1 (en) Configurable electrical load center
US9966207B1 (en) Motorized high voltage in-line disconnect switch with communication system controls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0769335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변압기 교체용 1차측 접속장치
KR101640016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US7377807B2 (en) Modular power distribution apparatus using cables with guarded connectors
KR100893534B1 (ko)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CN101366156B (zh) 具有单独可隔离的功能区的配电系统
KR10263532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조작장치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RU2648685C1 (ru) Комплектн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ружной установки
KR100894881B1 (ko) 고압수용가용 지상개폐기의 무정전 교체방법과 그 바이패스접속장치
JP2009130941A (ja) 電力外部入出力装置
KR20080041785A (ko) 지중 배전선로 상의 지상변압기를 무정전 공법에 의해 부하개폐기를 구비한 지상 변압기로의 교체방법
KR101786523B1 (ko)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KR101794297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127631B1 (ko) 부싱 교체 구조를 가지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
KR200312391Y1 (ko)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CN215579307U (zh) 配电箱与发电机快速连接装置
KR20130063275A (ko) 무정전 변압기용 연결 단자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변압기 연결방법
US20180366929A1 (en) Electrical unit adapted to quick install an electrical outlet, breaker box without direct attachment of electrical cab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