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23B1 -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 Google Patents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523B1
KR101786523B1 KR1020150143619A KR20150143619A KR101786523B1 KR 101786523 B1 KR101786523 B1 KR 101786523B1 KR 1020150143619 A KR1020150143619 A KR 1020150143619A KR 20150143619 A KR20150143619 A KR 20150143619A KR 101786523 B1 KR101786523 B1 KR 10178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opening
panel
single mol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929A (ko
Inventor
정홍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43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한 싱글 몰드가 구비되어 열반 공정시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는 전력기기들이 내장될 수 있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패널; 상기 제1,제2패널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고, 후방에는 원형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제2 싱글 몰드; 상기 제1,제2 싱글 몰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방 결합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싱글 몰드와 제2 싱글 몰드를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Panel Connecting Structure of Soild Insulated Switchgear}
본 발명은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가능한 싱글 몰드가 구비되어 열반 공정시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력을 22.9kV로 강하시켜 2차 변전소 또는 각 수용가로 공급하게 된다.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어지며 특고압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공급된다. 이때 특고압수용가 수배전반(수전설비)의 선로 구분, 분기 및 변압기 1차측 보호를 목적으로 개폐장치(Switchgear)가 사용된다.
이러한 개폐장치로 고체절연 개폐장치(SIS: Soild Insulated Switchgear)와 가스절연 개폐장치(GIS: Gas Insulated Switchgear)가 사용된다.
여기서, 고체절연 개폐장치는 도시, 주거단지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전력을 분배해 주고, 전력계통에 발생되는 서지나 사고발생시 차단기 작동 후 안전을 위하여 신속한 개폐를 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타 건전계통으로부터 정전구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정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과거에는 SF6과 같은 가스를 사용하여 절연 및 소호를 하도록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지구 온난화 방지 등의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에폭시 몰드 등을 활용한 고체절연 개폐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패널간 회로의 열반공정(연결 및 배열 공정)이 나타나 있다. 도 1a는 패널간 열반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이고, 도 1b는 패널간 열반공정이 이루어진 후의 상태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체절연 개폐장치는 사용환경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복합적인 전력기기들이 포함된 다수 개의 패널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고체절연 개폐장치는 전원이 입력되는 부분으로서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단로기/접지스위치(DS/ES; Disconnect Switch / Earth Switch),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피뢰기(LA; Lightning Arrester)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메인패널, 계기용변압변류기(MOF; Metering Out Fit)가 설치되는 MOF 패널,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단로기/접지스위치(DS/ES)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PT 패널, 전원이 분배되는 부분으로서 차단기(CB), 단로기/접지스위치(DS/ES), 변류기(CT), 피뢰기(LA)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피더(Feeder) 패널, 모선이 설치되는 버스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는 패널간 열반 공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단로기(2), 접지스위치(3), 차단기(4) 등이 내장된 제1패널(1)과 모선(11)들로 구성된 제2패널(10)이 도시되어 있다.
제1패널(1)에는 차단기(4)에 연결되는 제1 싱글몰드(5)가 돌출되어 있고, 제2패널(10)에는 모선(11)에 연결되는 제2 싱글몰드(12)가 돌출되어 있다. 제1 싱글몰드(5)와 제2 싱글몰드(12)는 버스바(6)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제1 싱글몰드(5)와 제2 싱글몰드(12) 사이의 거리를 D1, 버스바의 몰드연결축 중심간 길이를 D2라고 한다면 D1은 D2의 공차범위 이내에 있어야 조립이 가능하다.
도 2에는 차단기(4)의 진공인터럽터 몰드(4a)와 제1 싱글몰드(5)의 결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싱글몰드(5)의 후방에 형성된 플랜지부(5a)가 진공인터럽터 몰드(4a)의 플랜지부(4b)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제1 싱글몰드(5)는 진공인터럽터 몰드(4a)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제1 싱글몰드(5)는 차단기(4)에 고정적으로 설치됨에 따라, 차후 열반공정에 있어서 공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버스바(6)의 연결이 불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패널을 비롯한 각종 부품은 가공성 및 조립성을 위해서 공차가 존재하게 되는데, 제품을 조립 시, 이러한 공차들이 중첩되다 보면, 두 MOLD가 기준거리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만약, 패널 최종 설치장소에서 열반작업을 수행하던 중 이런 문제가 발견된다면 실제 현장에서 설치하기 어려우며, 출하전 검사에서 이런 문제가 발견된다면, 패널 안의 여러 부품들을 해체후 다시 조립하여 기준거리 내에 들어오게끔 조정을 해주어야 하며, 이러한 작업에는 많이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한 작업 수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전 가능한 싱글 몰드가 구비되어 열반 공정시 연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는 전력기기들이 내장될 수 있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패널; 상기 제1,제2패널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고, 후방에는 원형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제2 싱글 몰드; 상기 제1,제2 싱글 몰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방 결합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싱글 몰드와 제2 싱글 몰드를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결합부의 후면에는 결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 플랜지의 전면부에는 상기 후방 결합부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전면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나사결합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에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 싱글 몰드의 전방에 돌출 형성되는 전방 결합부에 상기 버스바의 다리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제2 플랜지와 상기 후방 결합부 사이에는 고정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절연 개폐장치에 의하면 차단기 등의 전력기기에 연결되는 싱글 몰드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열반 공정시 작업공차가 있더라도 연결 부품 전체를 해체할 필요없이 싱글 몰드만 회전시켜 버스바를 연결함도록 함으로써 열반 공정을 완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패널이다. 도 1a는 패널간 열반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상태이고, 도 1b는 패널간 열반공정이 이루어진 후의 상태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가 차단기에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차단기와 싱글 몰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진공인터럽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서 싱글 몰드의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싱글 몰드와 부스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열반 공정 작업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있어서 차단기와 싱글 몰드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차단기와 싱글 몰드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진공인터럽터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3에서 싱글 몰드의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싱글 몰드와 부스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는 전력기기들이 내장될 수 있는 제1패널(20); 상기 제1패널(2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패널(30); 상기 제1,제2패널(20,3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24a,34);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24a,34)에 결합되고, 후방에는 원형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결합부(44,64)가 구비되는 제1,제2 싱글 몰드(40,60); 상기 제1,제2 싱글 몰드(40,6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방 결합부(44,64)를 감싸면서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24a,34)에 결합되는 제1,제2 플랜지(50,55); 및 상기 제1 싱글 몰드(40)와 제2 싱글 몰드(60)를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폐장치(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수 개의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장치(100)는 고체절연 개폐장치 또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일 수 있다. 또한, 고체절연 개폐장치는 전원이 입력되는 부분으로서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단로기/접지스위치(DS/ES; Disconnect Switch / Earth Switch),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피뢰기(LA; Lightning Arrester)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메인패널, 계기용변압변류기(MOF; Metering Out Fit)가 설치되는 MOF 패널, 계기용 변압기(Potential Transformer), 단로기/접지스위치(DS/ES)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PT 패널, 전원이 분배되는 부분으로서 차단기(CB), 단로기/접지스위치(DS/ES), 변류기(CT), 피뢰기(LA)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피더(Feeder) 패널, 모선이 설치되는 버스 패널 중의 일부 또는 복수 개가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실시예 중에서 본 실시예는 인접한 패널 사이의 회로 연결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2개의 패널로 구성된 개폐장치(100)에 대해서 도시하였다.
먼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제1패널(20)과 제2패널(30)은 배전반과 같이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개별적인 유닛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패널(20)과 제2패널(30)의 내부를 보여주기 위하여 전면 도어나 측면판을 제외한 기본 골격만 나타내었다. 제1패널(20)과 제2패널(30)의 상부에는 각각 인양을 위한 인양고리(29,39)들이 구비될 수 있다.
제1패널(20)의 내부에는 유지 보수를 위해 선로를 차단하는 단로기(DS, 21), 접지상태를 만들 수 있는 접지스위치(ES,22), 사고 전류 발생시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선로를 끊거나 연결할 수 있는 차단기(CB, 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제2패널(30)의 내부에는 상,하부를 연결하는 부스바(3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요약하면, 제1패널(20)은 전력기기들이 내장될 수 있으며, 제2패널(30)은 제1패널(20)에서 나오는 선로의 방향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하여 배치되는 선로 구성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전력기기들 중의 하나로 차단기(23)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회로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는 차단기(23)는 가동부 몰드(미도시), 베이스 몰드(미도시), 진공인터럽터 몰드(24)가 직렬로 결합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몰드의 내부에는 전류가 전도될 수 있는 도체(미도시)가 내장되고 연결되어 있다.
도 4에는 진공인터럽터 몰드(24)와 제1 싱글 몰드(40)의 부분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진공인터럽터 몰드(24)의 전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도 6a 및 도 6b는 싱글 몰드(40,60)의 전방 사시도 및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진공인터럽터 몰드(24)는 양단부에 플랜지(24b)가 형성되는 관의 형태로 형성되는 제1 기기 몰드 하우징(24a), 제1 기기 몰드 하우징(24a)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인터럽터 접속도체(24c)가 나타나 있다. 제1 기기 몰드 하우징(24a)의 플랜지(24b) 부분에는 도넛 형태의 결합홈(24d)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기기 몰드 하우징(24a)의 플랜지(24b) 부분에는 각 모서리에 결합홀(24e)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싱글 몰드(40)가 차단기(23), 보다 정확하게는 진공인터럽터 몰드(24)의 결합홈(24d)에 결합된다.
제1 싱글 몰드(40)는 벤딩 형성되는 제1 도체(45)와, 상기 제1 도체(45)를 감싸는 제1 몰드 하우징(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도체(45)는 알루미늄 등 전도성이 우수하고 연성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도체(45)는 관 또는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도체(45)의 전단부(45a)와 후단부(45b)는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체(45)의 후단부(45b)는 진공인터럽터 몰드(24)의 접속도체(24c)에 맞물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몰드 하우징(41)은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도체(45)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몰드 하우징(41)은 전단에 형성되는 전방 결합부(42), 중간에 형성되는 라인(line)부(43), 후방에 원형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결합부(44)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결합부(42)는 버스바(70)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도록 원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결합부(42)의 단부에는 제1 도체(45)의 전단부(45a)가 노출된다.
라인부(43)는 제1 도체(45)를 따라 적절하게 벤딩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라인부(43)는 계단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결합부(44)는 대략적으로 원판형 플랜지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결합부(44)의 후면에는 진공인터럽터 몰드(24)의 결합홈(24d)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도넛 형태의 결합돌기부(4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결합부(44)의 후단에는 제1 도체(45)의 후단부(45b)가 외부로 노출된다.
제1 몰드 하우징(41)은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반도전성(半導電性)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제1 싱글 몰드(40)가 진공인터럽터 몰드(24)에 결합될 때, 밀봉될 수 있도록 제1 몰드 하우징(41)의 결합돌기부(44a)와 진공인터럽터 몰드(24)의 결합홈(24d) 사이에 밀봉 부재(25)가 구비될 수 있다. 밀봉 부재(25)는 실리콘 등의 밀착성과 유연성 및 방습성 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싱글 몰드(4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1 플랜지(50)가 마련된다. 제1 플랜지(50)는 후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50)의 전면부(51)에는 관통홀(52)이 형성된다. 관통홀(52)을 통해 제1 싱글 몰드(40)의 전방 결합부(42)와 라인부(43) 및 후방 결합부(44)의 일부가 노출된다. 이때, 관통홀(52)의 내경은 후방 결합부(44)의 외주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방 결합부(44)는 제1 플랜지(50)의 전면부(51)에 걸려 지지를 받을 수 있다.
제1 플랜지(50)의 전면부(51)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수단은 전면부(51)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나사결합홀(5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결합홀(53)의 위치는 진공인터럽터 몰드(24)의 결합홀(24e)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50)는 나사결합홀(53) 및 결합홀(24e)에 체결되는 나사(56)에 의해 진공인터럽터 몰드(2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랜지(50)는 제1 싱글 몰드(40)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1 플랜지(50)의 전면부(51)에는 표시부(54)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54)에는 각 회로의 상별로 기준위치를 정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등의 목적으로 각종 기준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
제2패널(30)에는 선로 구성부품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2 기기 몰드 하우징(34)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기기 몰드 하우징(34)에 제2 싱글 몰드(60)와 제2 플랜지(55)가 설치된다. 제2패널(30)에 구비되는 제2 싱글 몰드(60)와 제2 플랜지(55)는 제1 싱글 몰드(40)와 제1 플랜지(5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싱글 몰드와 부스바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나타나 있고, 도 8에는 도 7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버스바(70)는 대략적으로 'H'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버스바(70)는 제1 싱글 몰드(40)와 제2 싱글 몰드(60)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중심부에 배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버스바 도체(71)와 버스바 도체(71)를 감싸며 외형을 이루는 버스바 몰드 하우징(7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버스바 몰드 하우징(72)의 양측에 형성되는 다리부(73)에는 삽입홀(74)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74)은 양단부 쪽이 중심부 쪽보다 넓게 형성된다. 삽입홀(74)의 각 단부는 제1 싱글 몰드(40)의 전방 결합부(42)가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는 버스바(70)가 제1 싱글 몰드(40) 및 제2 싱글 몰드(60)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버스바(70)의 다리부(73)의 일단이 제1 싱글 몰드(40)의 전방 결합부(42) 및 제2 싱글 몰드(60)의 전방 결합부(6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제1 도체(45)와 버스바 도체(71)는 스터드 볼트 등의 체결수단(80)에 의해 고정된다. 제1 싱글 몰드(40), 제2 싱글 몰드(60)가 버스바(70)와 연결됨에 따라 전류는 제1 싱글 몰드(40) 및 버스바(70)를 거쳐 제2 싱글 몰드(60)로 흐를 수 있으며 역방향도 가능하다.
버스바(70)의 다리부(73)의 타단에는 다른 전력기기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절연성을 위해 절연플러그(85)가 구비될 수 있다. 절연플러그(85)는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고 다리부(73)의 타단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의 작용 방법이 나타나 있다.
제1 싱글 몰드(40)와 제2 싱글 몰드(60)에 버스바(70)를 끼우는 공정에 있어서, 버스바(70)의 길이가 제1 싱글 몰드(40)의 전방 결합부(42)와 제2 싱글 몰드(60)의 전방 결합부(62)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나사(56)를 약간 풀어내어 제1 싱글 몰드(40) 및 제2 싱글 몰드(60)를 각각 움직일 수 있도록 한 후, 제1 싱글 몰드(40)와 제2 싱글 몰드(60)를 회전시켜 간격이 버스바(70)의 길이와 일치하도록 조정한 수 나사(56)를 체결하여 고정한 후 버스바(7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에 의하면 제1 싱글 몰드(40) 및 제2 싱글 몰드(6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열반 공정시 버스바(70)의 길이가 공차에 벗어나 어긋나게 되더라도 제1 싱글 몰드(40)와 제2 싱글 몰드(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열반 공정을 완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스바(70) 제품 자체를 교체하거나 폐기하게 되는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의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50)와 제1 싱글 몰드(40)의 후방 결합부(44)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부재(9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재(90)에는 후방 결합부(44)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조금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결합부홀(91)이 형성되어 후방 결합부(44)가 마찰을 일으키며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고정부재(90)는 제1 싱글 몰드(40)를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결합부홀(91)과 후방 결합부(44) 사이에 윤활제가 첨가되거나 베어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제1패널 21 단로기
22 접지스위치 23 차단기
24 진공인터럽터 몰드 24a 제1 기기 몰드 하우징
24b 플랜지 24c 접속도체
24d 결합홈 24e 결합홀
25 밀봉 부재 29,39 인양고리
30 제2패널 31 부스바
40 제1 싱글 몰드 41 제1 몰드 하우징
42 전방 결합부 43 라인부
44 후방 결합부 44a 결합돌기부
45 제1 도체 45a 전단부
45b 후단부 50 제1 플랜지
51 전면부 52 관통홀
53 나사결합홀 54 표시부
55 제2 플랜지 56 나사
60 제2 싱글 몰드 62 전방 결합부
70 버스바 71 버스바 도체
72 버스바 몰드 하우징 73 다리부
74 삽입홀 80 체결수단
85 절연플러그 90 고정부재
91 결합부홀

Claims (8)

  1. 전력기기들이 내장될 수 있는 제1패널;
    상기 제1패널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패널;
    상기 제1,제2패널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고, 후방에는 원형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는 후방 결합부가 구비되고, 중간에는 계단형으로 벤딩 형성되는 라인부가 구비되고, 전방에는 원뿔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 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제2 싱글 몰드;
    후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후방 결합부의 외주면보다 작은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제2 싱글 몰드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후방 결합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1,제2 기기 몰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 싱글 몰드와 제2 싱글 몰드를 연결하는 버스바;를 포함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결합부의 후면에는 결합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전면부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나사결합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에는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결합부에 상기 버스바의 다리부가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 플랜지와 상기 후방 결합부 사이에는 고정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KR1020150143619A 2015-10-14 2015-10-14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KR101786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619A KR101786523B1 (ko) 2015-10-14 2015-10-14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619A KR101786523B1 (ko) 2015-10-14 2015-10-14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929A KR20170043929A (ko) 2017-04-24
KR101786523B1 true KR101786523B1 (ko) 2017-10-18

Family

ID=5870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619A KR101786523B1 (ko) 2015-10-14 2015-10-14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5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64Y1 (ko) * 2018-05-18 2023-02-06 엘에스일렉트릭(주)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791A (ja) * 2006-05-11 2007-11-22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固体絶縁断路器を利用した固体絶縁スイッチギア
KR101157188B1 (ko) * 2011-02-23 2012-06-20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고체절연 개폐장치
KR101301963B1 (ko) * 2013-07-09 2013-08-30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접지 안정성이 강화된 열반용 부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6791A (ja) * 2006-05-11 2007-11-22 Ls Industrial Systems Co Ltd 固体絶縁断路器を利用した固体絶縁スイッチギア
KR101157188B1 (ko) * 2011-02-23 2012-06-20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고체절연 개폐장치
KR101301963B1 (ko) * 2013-07-09 2013-08-30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접지 안정성이 강화된 열반용 부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929A (ko) 201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3102B2 (en) Function component upper part for a component construction system
US7830648B2 (en) Tap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n electrical busway and switchgea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WO2017024931A1 (zh) 快速插拔电缆分支箱
CN106159787A (zh) 一种封闭式气体绝缘开关柜
KR101301963B1 (ko) 접지 안정성이 강화된 열반용 부싱
CN102388514B (zh) 连接气体绝缘开关柜与空气绝缘开关柜的套管
KR101786523B1 (ko) 개폐장치의 싱글 몰드 구조
US9502160B2 (en) Corona-free cap assembly
KR101013587B1 (ko) 절연단자소켓 및 절연단자소켓을 구비한 배전반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N217769264U (zh) 一种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
KR101013585B1 (ko) 절연모선 및 절연모선을 구비한 배전반
KR101748725B1 (ko) 개폐장치
KR101338254B1 (ko) 특고압 수배전반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KR101013582B1 (ko) 도어 개폐 완충기를 구비한 배전반
KR101633768B1 (ko) 배전자동화용 고체절연 부하개폐기
CN210379998U (zh) 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分相主母线用可拆断口装置
KR20140134078A (ko) 지상 및 지중 겸용 에폭시몰딩 절연형 다회로 부하개폐기 및 차단기
US20230411935A1 (en) Configurable electrical bypass switching apparatus
CN216451132U (zh) 一种母线导体及气体绝缘金属封闭开关设备及电力系统
RU2710918C2 (ru) Комплекс адаптаци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кад-10
KR200496464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KR20170128864A (ko) 일체형 특고압 수전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