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1486A -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 Google Patents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1486A
KR20230111486A KR1020220007407A KR20220007407A KR20230111486A KR 20230111486 A KR20230111486 A KR 20230111486A KR 1020220007407 A KR1020220007407 A KR 1020220007407A KR 20220007407 A KR20220007407 A KR 20220007407A KR 20230111486 A KR20230111486 A KR 20230111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switch
processing
sub
process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0515B1 (ko
Inventor
소병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0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051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0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개폐기의 설치개소를 단순화하여 작업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가 개시된다. 복수의 가공 개폐기가 전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 서브 완철와 제 2 서브 완철사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퍼선 설치 불필요등 선로 구성 단순화로 작업의 안전사고 예방 및 선로고장 감소를 이룰 수 있다.

Description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Overhead break switch for mounting on steel cross arms}
본 발명은 가공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장주 간소화를 위한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에 대한 것이다.
가공용 차단/개폐기란 전주에 설치되어 전기회로의 개폐나 접속상태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접촉/차단부와 상기 접촉/차단부를 동작시키는 작동부가 내장된 밀폐된 금속재의 하우징(미도시)이 마련된다.
하우징(미도시)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부를 수동으로 작동하기 위한 레버(미도시)가 설치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전선이 접속되는 단자를 감싸서 절연하기 위한 부싱(미도시)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는 하우징(미도시)을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접촉부가 접촉될 때 발생하는 아크를 소멸시키기 위한 SF6 가스가 주입된다.
그런데, 이러한 가공 개폐기 설치시 완철 하단에 위치하여 장주가 복잡하고, 활선작업시 안전사고 위험이 높으며 작업시간도 오래 걸린다. 또한, 전선과 개폐기간 접속부위가 많아(상별 4개소) 고장발생 요소가 많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3104호(등록일자: 2006년07월27일)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폐기의 설치개소를 단순화하여 작업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 용이성의 확보를 통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제시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폐기의 설치개소를 단순화하여 작업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를 제공한다.
복수의 가공 개폐기가 전주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 서브 완철와 제 2 서브 완철사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는 상기 제 1 서브 완철과 상기 제 2 서브 완철 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브 완철과 상기 제 2 서브 완철사이에 거치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와 상기 머리부는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는 상별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는, 내부에 개폐를 위한 진공 인터럽터; 상기 진공 인터럽터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를 수행하는 작동기; 상기 작동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및 상기 작동기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는,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를 동시에 온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는,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를 동시에 온이 되도록 하는 이동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자 형상이며, 각 가지의 상단부에 경사가 형성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의 양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퍼선 설치 불필요등 선로 구성 단순화로 작업의 안전사고 예방 및 선로고장 감소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시공 용이성 확보를 통한 작업자의 작업시간 단축으로 업무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동일 전주에 2개 이상의 기기 설치가 가능하여 건주 설치관련 민원 감소를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가 완철에 설치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와 작동기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가 전주에 설치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가 완철(110)에 설치되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완철(110)은 제 1 서브 완철(111a)과 제 2 서브 완철(111b)로 구성되며, 제 1 서브 완철(111a)과 제 2 서브 완철(111b)는 서로 일정 간격으로 전주(미도시)상에 배치된다.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는 상별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3상이면, a상을 위한 제 1 가공 개폐기(100a), b상을 위한 제 2 가공 개폐기(100b), c상을 위한 제 3 가공 개폐기(100c)가 각각 구성된다. 물론, 단상을 위해 2개의 가공 개폐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3상 이상을 위해 4개의 가공 개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는 제 1 서브 완철(111a)과 제 2 서브 완철(111b)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101), 다리부(10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서브 완철(111a)과 제 2 서브 완철(111b)사이에 거치되는 머리부(102)로 구성된다. 즉, T자 형상이 된다.
머리부(102)의 양단에는 고압 전력선(140), 고압 전력선(140)의 외주면을 감싸는 부싱(133)이 연결된다. 부싱(133)의 재질로는 절연재인 폴리머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물론, 머리부(102) 및/또는 다리부(101)의 외관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절연재질의 비철 금속,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내부면에 절연처리가 된 금속 재질도 사용될 수 있다.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를 완철(110)에 고정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볼팅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며, 와이어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접착제로는 실리콘, 에폭시, 에틸렌-초산비닐계, 폴리올레핀계, 스티렌블록공중합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를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150)가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150)는 제 1 내지 제 3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를 동시에 온할 수 있는 이동 부재(151), 이동 부재(15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15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 내지 100c)는 내부에 진공 인터럽터(210), 진공 인터럽터(210)를 작동시켜 개폐하는 작동기(240), 작동기(240)와 연결되는 연결부(220), 작동기(24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스위치(150)에 연결되며, 스위치(150)의 작동에 의해 온오프된다. 스위치(150)의 레버(152)에는 양단에 환형상이 형성되며, 이 양단에 와이어(201,202)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와이어(201,202)를 이용하여 스위치(150)를 온오프할 수 있다. 즉, 좌측 와이어(201)는 오프로 우측 와이어(202)는 온으로 사용할 수 있다.
부연하면, 점선 박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와이어(202)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기어(2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 부재(151)에 형성되는 나사산(253)에 치합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151)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단부에 경사가 형성되는 접촉부(254a,254b,254c)가 스위칭 단자(256)에 접촉된다. 물론, 스위칭 단자(256)는 전도성 재질의 막대바 2개가 일정한 틈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구조이다. 즉, 접촉부(254a,254b,254c)가 스위칭 단자(256)에 접촉하면 온(on) 상태이다.
이와 달리, 좌측 와이어(201)를 아래쪽으로 잡아당기면 기어(251)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 부재(151)가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접촉부(254a,254b,254c)가 스위칭 단자(256)로부터 이탈되면 오프(off) 상태가 된다.
이동 부재(151)는 "∈"자 형상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100b,100c)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100b,100c)는 작동기(240)를 동작시키는 모터(230), 모터(23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구동 회로(231)로 구성된다. 구동 회로(231)는 스위치(150)에 의해 온오프되며, 모터(230)에 전력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력은 배터리를 설치하여 공급받을 수 있으며, 또는 전주에서 상용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서플라이, 컨버터, 레귤레이터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작동기(240)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봉(310b), 봉(310b)을 잡아주는 브라켓(310a)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싱(133)의 내측에는 접속 단자(351)가 설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모터(232)와 작동기(240)의 결합 관계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힌지(461)의 말단에 제 2 기어(411b)가 설치되고, 이 제 2 기어(411b)와 치합되게 제 1 기어(411a)가 설치된다. 이 제 1 기어(411a)는 모터(231)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이 힌지(761)는 일정 각도로만 회전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이 돌출부에 봉(310b)이 볼팅 방식에 의해 연결되어 봉(310b)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310a)에는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연결 단자(351)가 지지테(461a)와 연결설치된다. 지지테(461a)과 연결판(481)사이 탄성부재(487)가 설치되고, 연결판(481)은 봉(310b)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힌지 연결판(483)과 체결조립된다. 직선 운동판(485)는 힌지 연결판(483)의 하측 우단부측 사이에 자신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단자(351)가 관통하게 결합된다.
물론, 도 4는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단순화한 것으로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이 생략된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음으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100b,100c)가 전주(510)에 설치되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100a,100b,100c)가 완철에 설치됨에 따라 접속점(521,522)이 각 상별로 2개 정도만 요구된다. 종래의 경우, 가공 개폐기가 전주의 하단에 설치됨에 따라 상별 4개가 필요한 것에 비해 2개가 줄어든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주(510)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존 완철에 상별로 부착가능한 가공개폐기가 설치될 수 있다. 선로 단순화에 따른 작업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고장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현수애자 및 관련 금구류 설치가 필요없어 자재비 및 노무비 절감이 가능하다. 1개의 전주에서 개폐기 및 변압기, 고압 인입선 등 동시 설치가능하다.
즉, 가공 개폐기를 완철에 설치하고, 그 밑에 변압기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공 개폐기를 완철에 설치하고, 고압 인입선을 그 밑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가공 개폐기를 2단으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완철이 전주상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 2단으로 가공 개폐기의 설치가 가능하다.
100a,100b,100c: 제 1 내지 제 3 가공 개폐기
101: 다리부 102: 머리부
110: 완철
111a: 제 1 서브 완철 111b: 제 2 서브 완철
133: 부싱
140: 전력선
150: 스위치
210: 진공 인터럽트 220: 연결부
230: 구동부
240: 작동기

Claims (9)

  1.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에 있어서,
    복수의 가공 개폐기(100a,100b,100c)가 전주(510)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 서브 완철(111a)와 제 2 서브 완철(111b) 사이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100a,100b,100c)는 상기 제 1 서브 완철(111a)과 상기 제 2 서브 완철(111b)사이에 삽입되는 다리부(101)와 상기 다리부(10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서브 완철(111a)과 상기 제 2 서브 완철(111b)사이에 거치되는 머리부(10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101)와 상기 머리부(102)는 T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100a,100b,100c)는 상별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100a,100b,100c)는,
    내부에 개폐를 위한 진공 인터럽터(210);
    상기 진공 인터럽터(210)를 작동시켜 상기 개폐를 수행하는 작동기(240);
    상기 작동기(240)와 연결되는 연결부(220); 및
    상기 작동기(240)를 동작시키는 구동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100a,100b,100c)를 동시에 온하도록 상기 구동부(230)에 연결되는 스위치(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150)는,
    복수의 상기 가공 개폐기(100a,100b,100c)를 동시에 온이 되도록 하는 이동 부재(151); 및
    상기 이동 부재(15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레버(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151)는 "∈"자 형상이며, 각 가지의 상단부에 경사가 형성되는 접촉부(254a,254b,254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52)의 양단에는 와이어(201,202)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KR1020220007407A 2022-01-18 2022-01-18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KR10265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07A KR102650515B1 (ko) 2022-01-18 2022-01-18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407A KR102650515B1 (ko) 2022-01-18 2022-01-18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486A true KR20230111486A (ko) 2023-07-25
KR102650515B1 KR102650515B1 (ko) 2024-03-25

Family

ID=8742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407A KR102650515B1 (ko) 2022-01-18 2022-01-18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05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8-0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공용 개폐기
KR20090006908U (ko) * 2008-01-03 2009-07-08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의 방호관
KR20140055244A (ko) * 2012-10-31 2014-05-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설계와 공사를 위한 3d 장주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2351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이디엔씨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KR20180116848A (ko) * 2017-04-18 2018-10-26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20190049036A (ko) * 2017-11-01 2019-05-09 한국전력공사 개폐기용 지지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8-0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공용 개폐기
KR20090006908U (ko) * 2008-01-03 2009-07-08 한국전력공사 특고압 컷아웃 스위치의 방호관
KR20140055244A (ko) * 2012-10-31 2014-05-0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배전 설계와 공사를 위한 3d 장주도 제작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42351A (ko) * 2014-06-11 2015-12-22 주식회사 이디엔씨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KR20180116848A (ko) * 2017-04-18 2018-10-26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20190049036A (ko) * 2017-11-01 2019-05-09 한국전력공사 개폐기용 지지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0515B1 (ko) 202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234B1 (ko) 스위치 기어 및 스위치 기어의 조작방법
US8237075B2 (en) Vacuum circuit breaker and gas-insulated switchgear using the same
CN101465236B (zh) 真空绝缘开关机构
CA3070495C (en) Circuit breaker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JP3431439B2 (ja) 絶縁開閉装置
KR20230111486A (ko)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AU2018310636B2 (en) Disconnector pole for gas insulated switchgear
KR0130538B1 (ko) 케이블말단을 가진 가스절연보호 스위칭장치
JP2011160637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KR19980042893U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CN2665900Y (zh) 户外高压真空断路器
CN217009039U (zh) 一种单相三工位开关设备
KR19980070230A (ko) 발전기 스위치
CN218866970U (zh) 隔离开关及其动侧装置
JP2000350318A (ja) ガス絶縁接地開閉器
JP3386282B2 (ja) 配電機器用ブッシングユニット
JP2023037055A (ja) 真空スイッチギヤ
KR20230127513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
KR100394031B1 (ko) 배전반용 전계완화 금구
KR200156759Y1 (ko) 배선용 차단기
JP3158396B2 (ja) 高圧開閉器
KR20130037931A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의 접지 개폐기의 컨택트
JPH04262329A (ja) ガス絶縁電気機器
JPH05328549A (ja) ガス絶縁電気機器
JPH0681374B2 (ja) ガス絶縁開閉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