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351A -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 Google Patents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351A
KR20150142351A KR1020140070990A KR20140070990A KR20150142351A KR 20150142351 A KR20150142351 A KR 20150142351A KR 1020140070990 A KR1020140070990 A KR 1020140070990A KR 20140070990 A KR20140070990 A KR 20140070990A KR 20150142351 A KR20150142351 A KR 20150142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restraining
iron
pedestal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000B1 (ko
Inventor
송환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디엔씨
송환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디엔씨, 송환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디엔씨
Priority to KR1020140070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00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는: 받침대; 받침대에 결합되고, 받침대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받침대에 결합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 및 리프터에 결합되어 리프터에 의해 승강되고, 완철을 구속하는 구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CROSSARM LIFTING APPARATUS FOR LIVE LINE WORK AND LIVE LINE JOB METHOD}
본 발명은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을 용이하게 이동하여 완철주상이설 또는 장주변경을 할 수 있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계통은 발전, 송전 및 배전으로 나누어진다. 배전(Electric power distribution)은 전력을 수용가에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주에는 배선 기구가 설치된다. 배선 기구에는 완철, 애자 등을 포함한다. 완철은 전주의 상측에 전주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완철에는 절연물질로 형성된 애자가 설치된다. 애자는 전선에 연결되어 전선을 지지한다.
전주에 설치된 완철을 장주변경(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 하기 위해서는 전주에 가완철을 설치하여 전선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하고 기존의 완철에 장주변경(핀장주를 내장주로로 변경)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장주 변경을 위해 각종 활선공기구를 활용하여 활선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가완철 및 와이어통이 전주에 설치되고, 가완철을 철거하는 작업이 공중에서 이루어지므로, 보조 인력 및 보조 장치가 필요했다. 또한, 활선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활선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여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선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 시간이 증가하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편법 시공을 할 수 있다. 편법 시공으로 인하여 정전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있고, 장기간의 작업으로 인하여 통행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57382호(2004. 07. 02 공개, 발명의 명칭: 조류둥지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용 전주내 점프선 연결방법 및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주에 설치된 완철을 용이하게 이동시키므로, 활선상태에서 완철주상이설 및 장주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 및 상기 리프터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터에 의해 승강되고, 완철을 구속하는 구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장치는,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완철을 지지하는 서포터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완철을 상기 서포터부에 구속하는 구속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 클램프는 상기 서포터부에 복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 클램프는, 상기 서포터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완철을 구속하는 구속 후크; 및 상기 서포터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 후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구속 후크를 구속하는 구속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 후크는, 상기 서포터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로드부; 상기 회전 로드부의 상단부에 "ㄱ" 형태로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 핀이 삽입되는 걸림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전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주에 결합되는 이동 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링장치는, 상기 구속장치에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링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링부재가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주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전주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 및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밴드를 구속하거나 풀어주는 밴드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구속부는,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밴드가 압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밴드 압착부; 상기 밴드 압착부에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에 접촉되어 상기 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전주에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형태의 접촉면부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접촉면부 반대 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가 지지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고정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고정 리브에 결합되도록 결합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리브와 상기 결합 리브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에는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속장치가 결합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활선 바스켓 차량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 공법은: 전주에 고정된 받침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의 이동 로드가 상승되고, 전주에 설치된 핀장주용 완철이 상기 리프터의 상부에 연결되는 구속장치에 지지 및 구속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상기 이동 로드가 하강되어 상기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키는 단계; 전주에 내장주용 완철이 설치되는 단계; 및 인장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당겨 상기 내장주용 완철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주용 완철은 상기 핀장주용 완철이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 공법은: 전주에 고정된 받침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의 이동 로드가 상승되고, 전주에 설치된 복수의 내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구속장치로 지지 및 구속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상기 이동 로드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 내장주용 완철이 하강되어 상기 하부 내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공간에 개폐기 또는 분단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선 공법은: 전주에 고정된 받침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의 이동 로드가 상승되고, 전주에 설치된 복수의 핀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핀장주용 완철을 구속장치로 지지 및 구속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상기 이동 로드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 핀장주용 완철이 하강되어 상기 하부 핀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공간에 개폐기 또는 분단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프트가 승강됨에 따라 완철이 이동되므로, 전주에 설치된 완철을 용이하게 주상이설 및 장주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링장치가 리프트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완철이 쉽게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도울 수 있으며, 또한, 완철이 이동될 때에 전선의 하중에 의해 리프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통장주(핀장주)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내장주(3상 하향시공)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내장주(상하단 3상 하향시공)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장주에서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구속장치와 이동 링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받침대와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상승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상승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하강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하강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이 설치되는 위치에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이 설치되는 위치에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한 상태에서 인장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내장주용 완철 측으로 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주용 완철에 전선이 설치되고,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전주에서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주용 완철에 전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의 리프트가 상승하여 복수 내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의 리프트가 상승하여 복수 내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의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설치 공간에 개폐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의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설치 공간에 개폐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통장주(핀장주)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내장주(3상 하향시공)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 내장주(상하단 3상 하향시공)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주(10)에는 전선(20)을 지지하도록 완철(30)이 설치된다. 전선(20)의 설치 형태에 따라 장주의 형태가 다양하게 적용된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전주(10)의 일측에 핀장주용 완철(30)이 설치되고, 핀장주용 완철(30)의 상부에 애자(50)가 설치되며, 애자(50)가 전선(20)의 하부에서 전선(20)을 지지하는 형태를 핀장주라고 한다. 도 2와 같이 전주(10)의 양측에 내장주용 완철(40)이 설치되고, 완철(40)의 양측에 애자(60)가 설치되고, 애자(60)가 전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선(20)에 연결되는 형태를 내장주라고 한다. 내장주에는 도 2와 같이 3상의 전선(20)이 같은 높이에 설치되는 단일 내장주와, 도 3과 같이 3상의 전선(20)이 복수의 높이에 설치되는 복수 내장주로 구분된다. 단일 내장주의 경우 하나의 완철(40)이 설치되고, 복수 내장주의 경우에는 복수의 완철(40)이 높이가 다르게 설치된다.
완철(30,40)이 노후화됨에 따라 새로운 완철(35,45)로 교체하기 위해 완철 교체 작업이 수행된다. 또한, 완철(30)을 기준으로 일측 전선(20)과 타측 전선(20)의 각도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한다. 완철 교체 작업과 장주 변경 작업시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가 적용된다. 또한, 복수 내장주에서 하부의 완철(40)을 아래로 이동시켜 완철(40) 사이의 간격을 넓힌 후 완철(40) 사이에 개폐기(60) 또는 분기단을 설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장주에서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구속장치와 이동 링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는 받침대(110), 고정장치(120), 리프터(130), 구속장치(140)를 포함한다.
받침대(110)는 전주(10)에 접촉되게 설치된다. 받침대(110)는 바디(111)와 받침부(115)를 포함한다.
바디(11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바디(111)에는 전주(10)에 접촉도록 라운드진 형태의 접촉면부(112)가 형성된다. 접촉면부(112)는 전주(10)의 외주면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접촉면부(112)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므로, 받침대(110)의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받침대(110)가 전주(10)에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디(111)에는 고정 리브(11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고정 리브(113)는 아래에서 설명할 리프터(130)가 바디(111)에 결합되도록 한다. 고정 리브(113)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받침부(115)는 바디(111)의 접촉면부(112) 반대 측에 바디(111)와 수직하게 형성된다. 받침부(115)에는 리프터(130)가 지지된다. 받침부(115)에는 리프터(130)의 하단부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위치 고정부(116)가 형성된다. 위치 고정부(116)는 홀 형태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는 받침대(110)를 전주(10)에 고정시킨다. 고정장치(120)는 받침대(110)를 전주(10)에 고정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고정장치(12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리프터(130)는 받침대(110)에 결합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터(130)에는 활선 바스켓 차량(미도시)의 유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을 이용하여 리프터(130)를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리프터(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보조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나아가, 활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리프터(130)는 실린더(131), 이동 로드(136) 및 유압 호스(138)를 포함한다.
실린더(131)는 받침대(110)의 받침부(115)에 설치된다. 실린더(131)의 하단부에는 받침대(110)의 위치 고정부(116)에 결합되도록 위치 고정 돌기(132)가 형성된다. 실린더(131)의 위치 고정 돌기(132)가 받침대(110)의 위치 고정부(116)에 결합되므로, 리프터(130)에 전선(20)과 완철(30,40)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실린더(131)가 받침부에서 미끄러지거나 위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프터(130)의 실린더(131)에는 바디(111)의 고정 리브(113)에 결합되도록 결합 리브(13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결합 리브(133)에는 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리프터(130)의 결합 리브(133)가 바디(111)의 고정 리브(113)에 대응된 상태에서 체결부재(134)를 홀에 체결하면, 리프터(130)가 바디(111)에 안정되게 결합된다.
이동 로드(136)는 실린더(1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로드(136)의 상단부에는 구속장치(140)가 결합된다. 구속장치(140)는 완철(30,40)을 하측에서 지지하여 완철(30,40)을 들어올린다. 따라서, 구속장치(140)는 이동 로드(136)에 의해 승강되므로, 전주(10)에서 완철(30,40)을 용이하게 들어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유압 호스(138)는 실린더(131)에 연결되어 활선 바스켓 차량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다. 유압 호스(138)가 활선 바스켓 차량으로부터 실린더(131)로 유압이 공급되게 하므로,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을 이용하여 리프터(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시 보조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작업자가 편법 시공을 하는 것을 억제하고, 정전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장치(140)는 리프터(130)에 결합되어 리프터(130)에 의해 승강된다. 구속장치(140)는 완철(30,40)을 구속한다. 구속장치(140)가 완철(30,40)을 구속하므로, 리프터(130)와 구속장치(140)에 의해 완철(30,40)이 상승되거나 하강될 때에 완철(30,40)이 구속장치(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속장치(140)는 완철(30,40)을 하부에서 지지하므로, 전선(20)이 구속장치(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속장치(140)는 서포터부(141) 및 구속 클램프(144)를 포함한다.
서포터부(141)는 리프터(1300의 단부에 결합되고, 완철(30,40)을 지지한다. 서포터부(141)의 양측에는 돌기부(142)가 형성된다.
구속 클램프(144)는 서포터부(141)에 결합되고, 완철(30,40)을 서포터부(141)에 구속한다. 구속 클램프(144)가 완철(30,40)을 구속하므로, 완철(30,40)이 구속장치(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 클램프(144)는 서포터부(141)에 복수 배치된다. 구속 클램프(144)가 서포터부(141)에 복수 배치되므로, 완철(30,40)의 복수 부분이 구속 클램프(144)에 의해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완철(30,40)이 구속장치(140)에 안정되게 구속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2개의 구속 클램프(144)가 서포터부(141)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구속 클램프(14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속 클램프(144)는 구속 후크(145) 및 구속 핀(147)을 포함한다.
구속 후크(145)는 서포터부(141)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구속 후크(145)는 서포터부(141)의 일측 돌기부(142)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구속 후크(145)는 완철(30,40)의 양측과 상측에 대향되어 완철(30)을 구속한다.
구속 후크(145)는 돌기부(142)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봉 형태로 형성되는 회전 로드부(145a)와, 회전 로드부(145a)의 상단부에 "ㄱ" 형태로 형성되는 구속부(145b)와, 구속부(145b)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구속 핀(147)이 삽입되는 걸림홀부(145c)를 포함한다. 회전 로드부(145a)가 봉 형태로 형성되므로, 돌기부(142)에서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속부(145b)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완철(30,40)이 안정되게 구속될 수 있다. 걸림홀부(145c)에 구속 핀(147)이 삽입되므로, 활선 작업시 구속 클램프(144)가 상승되거나 서포터부(14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속장치(140)의 서포터부(141)에 결합되고, 전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전주(10)에 결합되는 이동 링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링장치(150)가 전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구속장치(140)가 전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에 구속장치(140)가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전주(10)에서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동 링장치(150)가 구속장치(140)를 구속하여 전주(10)에서 일정 거리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완철(30,40)이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구속장치(1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터(130)가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에서 전선(20)을 지지하므로,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리프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링장치(150)는 힌지부(151), 한 쌍의 링부재(153) 및 결합부재(155)를 포함한다.
힌지부(151)는 구속장치(140)에 결합된다. 이때, 힌지부(151)는 구속장치(140)의 서포터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링부재(153)는 힌지부(15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주(10)를 둘러싸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링부재(153)의 일측 단부에는 힌지부(151)가 삽입되도록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링부재(153)의 타측 단부에는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된다. 한 쌍의 링부재(153)는 힌지부(151)를 중심으로 회전됨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무라질 수 있다. 결합부재(155)는 한 쌍의 링부재(153)가 전주(10)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한 쌍의 링부재(153)를 결합시킨다. 결합부재(155)는 한 쌍의 링부재(153)의 결합홀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결합된다. 한 쌍의 링부재(153)가 벌어지거나 오무라질 수 있으므로, 이동 링장치(150)가 전주(10)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동 링장치(150)는 링부재(153)에 설치되어 전주(10)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러부(157)가 전주(10)에 구름 접촉되도록 설치되므로, 이동 링장치(150)가 전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링부재(153)의 내측면에는 마찰 패드부(159)가 설치된다. 전주(10)에는 이동 제한부(160)가 설치된다. 이동 제한부(160)는 원형 밴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동 링장치(150)가 이동됨에 따라 이동 제한부(160)에 도달되면, 마찰 패드부(159)가 이동 제한부(160)에 마찰됨에 따라 이동 링장치(150)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작업자가 이동 제한부(160)를 보고 리프터(1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받침대와 고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장치(120)는 고정 밴드(121)와 밴드 구속부(123)를 포함한다. 고정 밴드(121)는 받침대(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받침대(110)를 전주(10)에 밀착 고정시킨다. 고정 밴드(121)는 신축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형성된다. 밴드 구속부(123)는 받침대(110)의 타측에 결합되어 고정 밴드(121)를 구속하거나 풀어준다. 고정 밴드(121)가 전주(10)에 감긴 상태에서 고정 밴드(121)를 당기면, 고정 밴드(121)가 밴드 구속부(123)에서 빠지지 않도록 밴드 구속부(123)에 끼워진다.
밴드 구속부(123)는 밴드 압착부(124), 기어부(125) 및 스토퍼(126)를 포함한다.
밴드 압착부(124)는 받침대(1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정 밴드(121)가 압착된 상태로 끼워진다. 밴드 압착부(124)는 고정 밴드(121)를 압착하여 고정 밴드(121)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기어부(125)는 밴드 압착부(124)에 형성된다. 이때, 기어부(125)는 밴드 압착부(124)에 일체로 형성되어 밴드 압착부(124)와 함께 회전된다.
스토퍼(126)는 받침대(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토퍼(126)는 탄성부재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스토퍼(126)는 기어부(125)에 접촉되어 기어부(125)가 일방향(고정 밴드(121)가 전주(10)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밴드(121)가 밴드 압착부(124)에 끼워진 상태에서 당겨지면, 고정 밴드(121)가 밴드 압착부(124)를 회전시킨다. 밴드 압착부(124)가 회전됨에 따라 기어부(125)가 회전되고, 스토퍼(126)는 기어부(125)에 접촉되어 기어부(125)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기어부(125)는 스토퍼(126)에 걸리도록 설치되므로, 고정 밴드(121)가 당겨지는 방향으로는 회전되는 반면, 고정 밴드(121)가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활선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핀장주에서 내장주로 직접활선 장주 변경 또는 2단선로에서 상단선로에 개폐기(60: 도 20 참조)나 분기단 설치시 직접활선 완철주상이설 작업이 수행된다. 활선 작업시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적용된다.
먼저, 핀장주에서 내장주로 장주변경시의 활선 작업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장주에서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상승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상승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하강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에서 리프트가 하강하여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완철이 설치되는 위치에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이 설치되는 위치에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한 상태에서 인장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내장주용 완철 측으로 당기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주용 완철에 전선이 설치되고,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를 전주에서 해체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주용 완철에 전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전주(10)에는 핀장주용 완철(30)이 설치되어 있다. 핀장주용 완철(30)은 전주(10)의 한 쪽에만 설치된다.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가 전주(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고정 밴드(121)가 전주(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후 고정 밴드(121)의 단부가 밴드 구속부(123)에 끼워진다. 고정 밴드(121)의 단부가 잡아당겨지면, 고정 밴드(121)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밴드 구속부(123)에 구속된다. 고정 밴드(121)가 전주(10)에 팽팽하게 감김에 따라 받침대(110)가 전주(1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링부재(153)가 힌지부(151)를 중심으로 벌어지도록 회전된다. 벌어진 링부재(153)의 내측에 전주(10)가 위치된 후 링부재(153)가 힌지부(151)를 중심으로 오무라들도록 회전된다. 링부재(153)의 결합홀에 결합부재(155)가 결합됨에 따라 링부재(153)가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된다. 이때, 롤러부(157)가 전주(10)와 접촉된다. 이처럼, 이동 링장치(150)가 전주(10)에 설치됨에 따라 구속장치(140)가 전주(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속된다.
리프터(130)의 유압 호스(138)가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 장치(미도시)에 연결된다.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 장치가 구동됨에 따라 리프터(130)의 실린더(131)에 유압이 공급된다. 이동 로드(136)가 유압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구속장치(140)가 상승된다. 구속장치(140)의 서포터부(141)가 완철(30)의 하부에 접촉되면, 실린더(131)에 유압 공급이 정지된다.
구속 클램프(144)가 조작됨에 따라 핀장주용 완철(30)이 구속장치(140)에 구속된다. 즉, 구속 후크(145)가 작업자에 의해 상승된 후 회전된다. 이때, 구속 후크(145)는 회전 로드부(145a)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구속부(145b)는 상측에 위치된다. 구속 후크(145)가 하강되면, 구속 후크(145)의 걸림홀부(145c)에 구속 핀(147)이 삽입된다. 구속 후크(145)가 도 4와 같이 구속 핀(147)에 삽입됨에 따라 구속 후크(145)와 서포터부(141) 사이에 완철(30)이 구속된다. 따라서, 핀장주용 완철(30)이 구속장치(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터(130)의 이동 로드(136)가 상승됨에 따라 구속장치(140)의 서포터부(141)에 핀장주용 완철(30)이 지지되고, 구속장치(140)의 구속 클램프(144)가 조작됨에 따라 핀장주용 완철(30)이 구속장치(140)에 구속된다(도 8 및 도 9 참조).
구속장치(140)가 핀장주용 완철(30)을 구속하도록 조작된 후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 장치가 구동된다. 실린더(131)에서 이동 로드(136)가 하강됨에 따라 구속장치(140) 및 이동 링장치(150)가 하강된다(도 11 및 도 12 참조). 이때, 이동 링장치(150)가 전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구속장치(140)가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31)와 이동 로드(136)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선(20)의 하중이 실린더(131)와 이동 로드(136)에 작용하더라도 실린더(131)와 이동 로드(13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장주용 완철(30)이 일정한 높이로 하강된 후 실린더(131)에 유압 공급이 정지된다.
핀장주용 완철(30)이 일정한 높이 하강된 후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40)을 전주(10)에 설치한다. 이때, 내장주용 완철(40)은 하강된 핀장주용 완철(30)이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된다(도 12 및 도 13 참조).
내장주용 완철(35)이 설치된 후 인장기를 이용하여 전선(20)을 내장주용 완철(40) 측으로 잡아당긴다(도 14 참조). 전선(20)이 내장주용 완철(10) 측으로 잡아당겨지면, 내장주용 완철(10) 사이 구간의 일부 전선은 전주(10)의 하측으로 늘어지게 된다. 이때,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가 전선(20)을 하측으로 하강시킨 상태에서 인장기가 전선(20)을 잡아당기므로, 전선(20)을 잡아당기기 위해 요구되는 힘이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즉, 전선(20)이 하측으로 하강되면 전주(10) 양측의 전선(20)이 하측으로 처지므로, 처진 전선(20)을 인장기로 잡아당기면 인장력이 상대적으로 적게 소요된다. 따라서, 전선(20)을 보다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인장기에 의해 전선(20)이 당겨진 후 당겨진 전선(20)의 굴곡부에 부싱이 설치되고, 부싱이 내장주용 완철(40)의 현수애자(60)에 연결된다(도 15 및 도 16 참조). 이때, 전선(20)이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40)의 현수애자(50)에 대응된 후 현수애자(60)에 고정되어 내장주로 설치된다.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40)이 내장주로 신설 된 후 기존의 핀장주 완철(30)을 전선(20)으로부터 분리한 후 내장주용 완철(40)에 고정된 내장주와 연결하여 하향시공을 시행한다. 다음으로,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30)을 고정장치(120)로부터 분리시킨다.
장주변경이 완료되면,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가 전주(10)에서 해체된다.
이와 같이,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가 전선(20)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핀장주용 완철(30)을 내장주용 완철(40)로 변경하므로, 핀장주에서 내장주로 장주 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장주 변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장주 변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활선 작업이 간단해지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활선 작업이 편법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핀장주용 완철(30)이 전주(10)를 따라 이동될 때에 이동 링장치(150)가 리프터(13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므로, 리프터(130)가 수직한 상태에서 전선(20)을 지지한다. 따라서,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리프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폐기나 분기단를 설치하기 위한 활선완철주상이설 작업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의 리프트가 상승하여 복수 내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의 리프트가 상승하여 복수 내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구속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의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설치 공간에 개폐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하부의 내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설치 공간에 개폐기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전주(10)에 복수의 내장주용 완철(40)이 높이가 다르게 설치된 경우, 전주(10)에 개폐기(60)나 분기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내장주용 완철(40) 사이의 간격을 넓혀 설치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또한, 전주(10)에 복수의 핀장주용 완철(30)이 높이가 다르게 설치된 경우, 전주(10)에 개폐기(60)나 분기단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핀장주용 완철(30) 사이의 간격을 넓혀 설치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도 17 내지 도 22에는 내장주용 완철 사이에 개폐기나 분기단이 설치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개폐기나 분기단이 핀장주용 완철 사이에 설치되는 경우와 유사하므로, 아래에서는 개폐기나 분기단이 내장주용 완철 또는 핀장주용 완철 사이에 설치되는 것에 관해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
전주(10)에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가 설치된다(도 17 및 도 18 참조).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0)가 전주(10)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술한 장주변경시의 활선 작업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구속장치(140)가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을 구속하도록 조작된 후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 장치를 구동시킨다. 실린더(131)에서 이동 로드(136)가 하강됨에 따라 구속장치(140) 및 이동 링장치(150)가 하강된다(도 19 및 도 20 참조). 이때, 이동 링장치(150)가 전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므로, 구속장치(140)가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131)와 이동 로드(136)가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선(20)의 하중이 실린더(131)와 이동 로드(136)에 작용하더라도 실린더(131)와 이동 로드(136)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장주용 완철(40)이 하강됨에 따라 내장주용 완철(40)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구속장치(140)가 내장주용 완철(40)의 일측을 지지한 상태에서 내장주용 완철(40)을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핀장주용 완철(30)이 하강됨에 따라 핀장주용 완철(30)에 작용하는 하중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므로, 구속장치(140)가 핀장주용 완철(30)을 지지한 상태에서 핀장주용 완철(30)을 원활하게 하강시킬 수 있다.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이 일정한 높이로 하강된 후 실린더(131)에 유압 공급을 정지시킨다.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이 일정한 높이 하강된 후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이 전주(10)에 고정된다. 이때, 하강된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과 상측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상측 핀장주용 완철(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어 설치 공간이 형성된다.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을 하강시킴에 따라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 사이의 간격을 넓히므로,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을 상승시켜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작업에 비해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의 이동에 필요한 힘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활선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전주(10)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의 상측에 개폐기(60)나 분단기를 설치한다(도 21 및 도 22 참조). 전주(10)에 개폐기(60)나 분단기가 설치된 후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10)가 전주(10)에서 해체된다.
이와 같이,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가 전선(20)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개폐기(60)나 분단기를 설치하므로, 개폐기(60)나 분단기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장주 교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개폐기(60)나 분단기의 설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므로, 활선 작업이 간단해지고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활선 작업이 편법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전 또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장주용 완철(40) 또는 핀장주용 완철(30)이 전주(10)를 따라 이동될 때에 이동 링장치(150)가 리프터(13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므로, 리프터(130)가 수직한 상태에서 전선(20)을 지지한다. 따라서, 전선(20)의 하중에 의해 리프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주 20: 전선
30,40: 완철 50: 엘피애자
60: 현수애자 100: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10: 받침대 111: 바디
112: 접촉면부 113: 고정 리브
115: 받침부 116: 위치 고정부
120: 고정장치 121: 고정 밴드
123: 밴드 구속부 124: 밴드 압착부
125: 기어부 126: 스토퍼
130: 리프터 131: 실린더
132: 위치 고정 돌기 133: 결합 리브
134: 체결부재 136: 이동 로드
138: 유압 호스 140: 구속장치
141: 서포터부 142: 돌기부
144: 구속 클램프 145: 구속 후크
145a: 회전 로드부 145b: 구속부
145c: 걸림홀부 147: 구속 핀
150: 이동 링장치 151: 힌지부
153: 링부재 155: 결합부재
157: 롤러부 159: 이동 제한부

Claims (18)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를 전주에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고,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 및
    상기 리프터에 결합되어 상기 리프터에 의해 승강되고, 완철을 구속하는 구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장치는,
    상기 리프터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완철을 지지하는 서포터부; 및
    상기 서포터부에 결합되고, 상기 완철을 상기 서포터부에 구속하는 구속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클램프는 상기 서포터부에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클램프는,
    상기 서포터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완철을 구속하는 구속 후크; 및
    상기 서포터부에 고정되고, 상기 구속 후크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구속 후크를 구속하는 구속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후크는,
    상기 서포터부에 승강 및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로드부;
    상기 회전 로드부의 상단부에 "ㄱ" 형태로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구속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구속 핀이 삽입되는 걸림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전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전주에 결합되는 이동 링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링장치는,
    상기 구속장치에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링부재; 및
    한 쌍의 상기 링부재가 상기 전주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주에 구름 접촉되는 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를 전주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 밴드; 및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 밴드를 구속하거나 풀어주는 밴드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구속부는,
    상기 받침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 밴드가 압착된 상태로 끼워지는 밴드 압착부;
    상기 밴드 압착부에 형성되는 기어부; 및
    상기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어부에 접촉되어 상기 기어부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전주에 접촉되도록 라운드진 형태의 접촉면부가 형성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접촉면부 반대 측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가 지지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고정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고정 리브에 결합되도록 결합 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 리브와 상기 결합 리브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에는 활선 바스켓 차량의 유압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속장치가 결합되는 이동 로드; 및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어 상기 활선 바스켓 차량으로부터 유압을 공급받는 유압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15. 전주에 고정된 받침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의 이동 로드가 상승되고, 전주에 설치된 핀장주용 완철이 상기 리프터의 상부에 연결되는 구속장치에 지지 및 구속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상기 이동 로드가 하강되어 상기 핀장주용 완철을 하강시키는 단계;
    전주에 내장주용 완철이 설치되는 단계; 및
    인장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당겨 상기 내장주용 완철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공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주용 완철은 상기 핀장주용 완철이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공법.
  17. 전주에 고정된 받침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의 이동 로드가 상승되고, 전주에 설치된 복수의 내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내장주용 완철을 구속장치로 지지 및 구속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상기 이동 로드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 내장주용 완철이 하강되어 상기 하부 내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공간에 개폐기 또는 분단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공법.
  18. 전주에 고정된 받침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프터의 이동 로드가 상승되고, 전주에 설치된 복수의 핀장주용 완철 중에서 하부 핀장주용 완철을 구속장치로 지지 및 구속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상기 이동 로드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하부 핀장주용 완철이 하강되어 상기 하부 핀장주용 완철의 상측에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 공간에 개폐기 또는 분단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공법.
KR1020140070990A 2014-06-11 2014-06-11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KR10159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90A KR101593000B1 (ko) 2014-06-11 2014-06-11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90A KR101593000B1 (ko) 2014-06-11 2014-06-11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51A true KR20150142351A (ko) 2015-12-22
KR101593000B1 KR101593000B1 (ko) 2016-02-11

Family

ID=5508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90A KR101593000B1 (ko) 2014-06-11 2014-06-11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0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79B1 (ko) * 2018-01-22 2018-07-10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고정용 애자 장치
KR102439413B1 (ko) * 2021-12-27 2022-09-07 (주)윤앤영이앤씨 변압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전주 고정장치
KR20230111486A (ko) * 2022-01-18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472B1 (ko) 2019-06-14 2020-02-20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2358795B1 (ko) 2020-04-29 2022-02-08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US11843229B2 (en) * 2021-11-25 2023-12-12 Robert Seekell Line lif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679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거림 수목 클라이밍 기구
KR20120088500A (ko) * 2011-01-31 2012-08-08 임용호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20120007774U (ko) * 2012-09-15 2012-11-13 박주식 전주취부형 유압식 완금승강기
KR20130121398A (ko) * 2012-04-27 2013-11-06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5679A (ko) * 2008-08-28 2010-03-10 주식회사 거림 수목 클라이밍 기구
KR20120088500A (ko) * 2011-01-31 2012-08-08 임용호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자주식 가완목 시설장비
KR20130121398A (ko) * 2012-04-27 2013-11-06 서광전기통신공사(주)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20120007774U (ko) * 2012-09-15 2012-11-13 박주식 전주취부형 유압식 완금승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479B1 (ko) * 2018-01-22 2018-07-10 (주)유일테크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 고정용 애자 장치
KR102439413B1 (ko) * 2021-12-27 2022-09-07 (주)윤앤영이앤씨 변압기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전주 고정장치
KR20230111486A (ko) * 2022-01-18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000B1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000B1 (ko) 활선 작업용 완철 승강장치 및 활선 공법
KR102232560B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1873421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공간확장형 기계화 작업장치
KR101757195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US9021644B2 (en) Method for replacing sloped cables, and temporary hanger for replacing sloped cables
KR100407547B1 (ko) 엘피애자용 전선 연선롤러 및 이를 이용한 전선 배선공법
KR102246336B1 (ko) 가공배전선 연결클램프를 갖춘 가공배전선 지지설비
KR102372310B1 (ko) 간접활선용 완철을 이용한 간접활선 작업방법
KR101906769B1 (ko) 배전선로용 엘피애자 교체장치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CN112440787A (zh) 用于电动运行的车辆的充电站
KR101081367B1 (ko) 통신 케이블용 조가선의 간격 조정 및 유지 지그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US20140305742A1 (en) Elevator
JP5065814B2 (ja) 電線張替工法
US8789811B2 (en) Wire puller
KR20170049034A (ko) 배전반의 차단기용 리프터
JP5850218B2 (ja) クレーンフック部における充電システム
KR102241911B1 (ko) 전선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교체 방법
KR101834137B1 (ko)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KR101484698B1 (ko) 중량물 교체용 인양장치
CN109346996A (zh) 一种电力施工紧线装置及紧线方法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KR20130011045A (ko) 쉬브의 와이어 로프 탈선방지장치
KR200379712Y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밴드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