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137B1 -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137B1
KR101834137B1 KR1020170137561A KR20170137561A KR101834137B1 KR 101834137 B1 KR101834137 B1 KR 101834137B1 KR 1020170137561 A KR1020170137561 A KR 1020170137561A KR 20170137561 A KR20170137561 A KR 20170137561A KR 101834137 B1 KR101834137 B1 KR 10183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metal plate
hook
hois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남
Original Assignee
배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광남 filed Critical 배광남
Priority to KR102017013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 B66C13/06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for minimising or preventing longitudinal or transverse swinging of loa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은 천장의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후크에 연결되어 금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에 장착되는 전자석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결합부; 및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결합부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고, 후크가 삽입되는 연결 고리부를 포함하되, 결합부가 자성을 가질 때, 금속 플레이트는 결합부에 부착되고 후크의 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결합부가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는 결합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은 호이스트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금속 플레이트에 연결하며, 호이스트에 장착되어 이동될 때 손상되지 않고, 호이스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적층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수납가능하며, 호이스트와 금속 플레이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중심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고, 금속 플레이트의 낙하를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ELECTROMAGNET FOR BEING MOUNTED TO HOIST}
본 발명은 전자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플레이트를 권상 및 권하시키는 호이스트에 장착되는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는 천장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권상 및 권하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호이스트의 몸체에는 와이어 드럼이 내장되고, 와이어 드럼에는 와이어가 감기며, 와이어의 일종단에는 후크가 설치된다. 와이어 드럼이 와이어를 풀거나 감아 후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중량물은 후크에 연결될 때, 호이스트에 의해 권상 및 권하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중량물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량물은 판 형상 또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호이스트의 후크에 연결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후크를 판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의 금속 중량물에 연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다. 이때, 별도의 구성은 스트랩 등의 형태로 이루어져 금속 중량물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금속 중량물의 중심이 고려된 상태에서, 호이스트의 후크는 금속 중량물에 대하여 위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판 형상 또는 막대 형상의 금속 중량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호이스트와 금속 중량물을 연결하는 데에 있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스트랩 등의 형태를 갖는 구성은 금속 중량물과 견고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금속 중량물의 표면을 손상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호이스트는 금속 중량물을 이동시키되, 금속 중량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면서도 금속 중량물과의 연결에 따른 시간을 낭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이스트를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금속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이스트에 장착되어 이동될 때 손상되지 않고, 호이스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적층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수납가능한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이스트와 금속 플레이트를 연결한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중심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 플레이트의 낙하를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은 천장의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후크에 연결되어 금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에 장착되는 전자석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결합부; 및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결합부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고, 후크가 삽입되는 연결 고리부를 포함하되, 결합부가 자성을 가질 때, 금속 플레이트는 결합부에 부착되고 후크의 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결합부가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는 결합부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자석은,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금속 플레이트의 복수 개의 지점들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지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그부는,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위치되는 지그 몸체부; 지그 몸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고리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지그 고정부들; 연결 고리부의 힌지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지그 몸체부의 측면들에 설치되고, 제 1 지그 와이어를 감은 복수 개의 제 1 지그 드럼부들; 및 제 1 지그 와이어의 일종단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제 1 지그 자성부를 포함하되, 지그 몸체부가 지그 고정부에 의해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고정되고, 제 1 지그 와이어가 제 1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1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에 위치될 때, 제 1 지그 자성부는 자성을 가져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제 1 지그 드럼부는 제 1 지그 와이어의 풀린 길이를 조절하여, 금속 플레이트가 연결 고리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 지그 자성부는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그부는, 연결 고리부와 연결되는 지그 몸체부의 측면들에 설치되고, 제 2 지그 와이어를 감은 복수 개의 제 2 지그 드럼부들; 및 제 2 지그 와이어의 일종단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제 2 지그 자성부를 포함하되, 제 2 지그 와이어가 제 2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2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에 위치될 때, 제 2 지그 자성부는 자성을 가져 자성을 갖는 제 1 지그 자성부와 함께 결합부 주위를 따라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제 2 지그 자성부는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가능할 수 있다.
또한, 지그부는, 각각 지그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며, 지그 몸체부가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 고리부와 함께 후크에 걸리는 한 쌍의 지그 지지부들을 더 포함하되, 연결 고리부는 지그 지지부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그부는, 지그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지그 자성부가 금속 중량물의 지점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린 지그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평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금속 플레이트의 일측이 금속 플레이트의 타측보다 하측에 위치될 때, 수평 제어부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측에 대응되는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린 지그 와이어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호이스트가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금속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2) 호이스트에 장착되어 이동될 때 손상되지 않고, 호이스트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적층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에서 수납가능하다.
(3) 호이스트를 중심으로 금속 플레이트의 회전이 방지된다.
(4) 금속 플레이트의 낙하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에서 지그부를 연결 고리부에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을 금속 플레이트에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은 결합부(101) 및 연결 고리부(102)를 포함하여, 호이스트(10)에 장착되고,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금속 플레이트(W)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금속을 의미하고, 철 등과 같은 자성을 갖는 자성체에 부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10)는 천장의 레일(1)에 설치되어 레일(1)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호이스트(10)에는 와이어(11)가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11)는 호이스트(10)로부터 풀리거나, 호이스트(10)에 감긴다. 또한, 와이어(11)의 일종단에는 후크(13)가 설치된다. 후크(13)는 풀리거나 감기는 와이어(11)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와이어(11)가 풀리면 후크(13)는 하향 이동하고, 와이어(11)가 감기면 후크(13)는 상향 이동한다. 이로 인해, 후크(13)에 연결되는 금속 플레이트(W)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상 및 권하될 수 있다. 호이스트(10)에는 컨트롤러(15)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러(15)는 호이스트(10)에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호이스트(10)는 컨트롤러(15)에 의해 와이어(11)를 감거나 풀도록 제어된다.
결합부(101)는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다. 결합부(101)에는 전류가 저장되고, 전자석이 포함된다. 저장된 전류가 전자석에 공급되면, 결합부(101)는 자성을 갖게 되고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될 수 있다. 반면에, 저장된 전류가 전자석에 공급되지 않으면, 결합부(101)는 자성을 갖지 않고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부(101)는 결합 몸체부(111), 자성 몸체부(113), 및 자성 제어부(115)를 포함한다.
결합 몸체부(111)는 전류를 저장한다. 여기서, 결합 몸체부(111)는 배터리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자성부(113)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결합 몸체부(111)의 하면에 설치된다. 자성부(113)는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때 자성을 갖고,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을 때 자성을 갖지 않는다. 자성부(113)는 자성을 가질 때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될수 있다.
자성 제어부(115)는 결합 몸체부(111)와 자성부(113) 사이에 위치되고, 결합 몸체부(111)와 자성부(113)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회전된다. 예를 들어, 자성 제어부(115)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자성부(113)는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분리되어,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지 않는다. 이때, 자성부(113)는 자성을 갖지 않는다. 한편, 자성 제어부(115)가 회전되어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자성부(113)는 결합 몸체부(111)와 연결되어,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때, 자성부(113)는 자성을 갖는다. 즉, 자성 제어부(115)는 자성부(113)가 자성을 갖거나 갖지 않도록 하는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한다.
연결 고리부(102)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결합부(102)의 상부, 특히 결합 몸체부(111)의 상부에 힌지 연결된다. 후크(13)는 연결 고리부(102)에 걸려, 결합부(101)는 호이스트(10)에 연결된다. 후크(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 결합부(101)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101)의 자성부(113)는 하측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되어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은 호이스트(10)에 연결되어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된다. 이때, 호이스트(10)의 후크(13)는 연결 고리부(102)에 걸린 상태이다. 결합부(101)에서 자성 제어부(115)의 조작을 통해 자성부(113)는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자성을 갖고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W)는 결합부(101)에 의해 부착되면, 호이스트(10)에 의해 권상 및 권하되어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금속 플레이트(W)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된 이후에, 결합부(101)에서 자성 제어부(115)의 조작을 통해 자성부(113)는 결합 몸체부(11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지 않아 자성을 갖지 않고 금속 플레이트(W)로부터 분리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은 호이스트(10)에 연결된 상태에서 결합부(101)의 선택적인 자성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W)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은 금속 플레이트(W)를 호이스트(10)에 연결하는 현저하게 감소된 시간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은 신속하게 용이하게 금속 플레이트(W)를 호이스트(10)에 연결한다.
또한,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에서 연결 고리부(102)는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결합부(101)에 힌지 연결되고, 호이스트(10)의 후크(13)에 걸린다. 연결 고리부(102)는 결합부(101)에서 회동하기에 결합부(10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의 손상은 현저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 고리부(102)는 결합부(101)에 수직하도록 위치되기도 하지만, 회동하여 결합부(101)에 포개지기도 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100)은 적층된 상태로 수납될 수 있어, 수납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에서 지그부(303)를 연결 고리부(302)에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3)을 금속 플레이트(W)에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은 결합부(301), 연결 고리부(302) 및 지그부(3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301) 및 연결 고리부(302)는 제 1 실시예의 결합부(101) 및 연결 고리부(102)와 동일한 구성이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지그부(303)는 제 1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지그부(303)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지그부(303)는 연결 고리부(302)의 안쪽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금속 플레이트(W)의 복수 개의 지점들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금속 플레이트(W)는 결합부(301) 및 지그부(303)에 부착된 상태에서, 호이스트(10)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지그부(303)는 지그 몸체부(331), 지그 고정부(332)들, 지그 드럼부(333)들, 지그 자성부(334)들, 지그 지지부(335)들 및 수평 제어부(336)를 포함한다.
지그 몸체부(331)는 연결 고리부(302)의 안쪽에 위치된다.
지그 고정부(332)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지그 몸체부(331)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지그 고정부(332)는 연결 고리부(302)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지그 고정부(332)는 지그 몸체부(331)를 연결 고리부(302)의 안쪽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또한, 호이스트(10)의 후크(13)는 연결 고리부(302)에 걸릴 때 지그 몸체부(331)의 상측에 위치된다.
지그 고정부(332)는 연결 고리부(302)에 분리가능하도록 고정되기에, 지그 고정부(332)의 길이는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고정부(33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3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3개의 부재들이 일직선을 이루도록 나사결합되고, 중앙에 위치된 부재가 회전되어 지그 고정부(332)의 길이는 증감된다. 한편, 지그 고정부(332)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연결 고리부(302)에 인접한 부재가 회전되어 지그 고정부(332)의 길이는 증감되기도 한다. 또한, 지그 고정부(332)는 실린더의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의 증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지그 드럼부(333)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지그 몸체부(331)의 측면들을 따라 설치된다. 지그 드럼부(333)는 지그 와이어(333a)를 감은 상태이다. 지그 와이어(333a)는 지그 드럼부(333)로부터 풀리기도 하고 지그 드럼부(333)에 감기기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지그 드럼부(333)들에서 연결 고리부(302)의 힌지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지그 몸체부(331)의 측면들에 설치된 지그 드럼부(333)들은 제 1 지그 드럼부라 하고, 제 1 지그 드럼부에 감긴 지그 와이어(333a)는 제 1 지그 와이어라고 한다. 또한, 연결 고리부(302)와 연결되는 지그 몸체부(331)들의 측면들에 설치된 지그 드럼부(333)들은 제 2 지그 드럼부라 하고, 제 2 지그 드럼부에 감긴 지그 와이어(333a)는 제 2 지그 와이어라고 한다.
지그 자성부(334)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각각 지그 와이어(333a)의 일종단에 연결되어 지그 드럼부(333)에 대응된다. 지그 자성부(334)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다. 또한, 지그 자성부(334)에는 조작부(334a)가 설치된다. 조작부(334a)가 눌러지면, 지그 자성부(334)는 자성을 갖는 반면에, 조작부(334a)가 눌러진 상태로부터 복원되면, 지그 자성부(334)는 자성을 갖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조작부(334a)는 조작되어, 지그 자성부(334)는 자성을 갖거나 갖지 않기도 한다.
지그 와이어(333a)가 지그 드럼부(333)로부터 풀려 지그 자성부(334)가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그 자성부(334)는 자성을 갖게 되면 금속 플레이트(W)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지그 자성부(334)는 금속 플레이트(W)에서 결합부(301) 주위를 따라 복수 개의 지점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제 1 지그 와이어가 제 1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1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되고 자성으로 인해 금속 플레이트(W)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지그 드럼부가 제 1 지그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린 제 1 지그 와이어의 길이가 증감되어, 금속 플레이트(W)는 연결 고리부(30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2 지그 와이어가 제 2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2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되고 자성으로 인해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되면, 제 2 지그 자성부는 제 1 지그 자성부와 조합하여 결합부(301) 주위를 따라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호이스트(10)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W)가 이동될 때, 결합부(301)가 금속 플레이트(W)로부터 분리되더라도, 금속 플레이트(W)는 낙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금속 플레이트(W)는 안전하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지그 자성부(334)는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성을 갖지 않으면 금속 플레이트(W)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지그 지지부(335)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지그 몸체부(331)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또한, 지그 지지부(335)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이격된다. 지그 몸체부(331)가 연결 고리부(302)의 안쪽에 위치될 때, 연결 고리부(302)는 지그 지지부(335)들 사이에 위치되고, 지그 지지부(335)들에 접촉된다. 후크(13)가 연결 고리부(302)에 걸릴 때, 후크(13)는 지그 지지부(335)들에도 걸린다. 이로 인해, 지그 고정부(332)가 연결 고리부(302)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지그 몸체부(331)는 지그 지지부(335)들에 의해 연결 고리부(302)의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수평 제어부(336)는 지그 몸체부(331)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그 몸체부(331)와 지그 지지부(335) 사이에 위치된다. 지그 자성부(334)가 결합부(301) 주위를 따라 금속 플레이트(W)의 복수 개의 지점들에 부착된 상태에서, 수평 제어부(336)는 지그 드럼부(333)로부터 풀린 지그 와이어(333a)의 길이를 조절하여, 금속 플레이트(W)를 수평 상태에 이르도록 한다. 수평 제어부(336)는 금속 플레이트(W)의 수평도를 측정하고, 금속 플레이트(W)의 수평도에 따라 지그 드럼부(333)로부터 폴린 지그 와이어(333a)의 길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금속 플레이트(W)가 연결 고리부(302)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금속 플레이트(W)의 일측이 금속 플레이트(W)의 타측보다 하측에 위치되는 경우, 수평 제어부(336)는 금속 플레이트(W)의 일측에 대응되는 지그 드럼부(333)를 제어한다. 이때, 금속 플레이트(W)의 일측에 대응되는 지그 드럼부(333)는 지그 와이어(333a)를 감아 풀린 지그 와이어(333a)의 길이를 감소시킨다. 이때, 금속 플레이트(W)의 타측에 대응되는 지그 드럼부(333)에 감긴 지그 와이어(333a)는 풀리기도 한다.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은 지그부(303)로 인해 금속 플레이트(W)와의 접촉 지점을 증가시킨다. 즉, 결합부(301) 및 결합부(301) 주위를 따라 위치되는 지그부(303)의 지그 자성부(334)들은 금속 플레이트(W)에 접촉되어 부착된다. 결합부(301)만이 금속 플레이트(W)에 접촉된 경우, 결합부(301)는 금속 플레이트(W)의 중심에 부착되어야 연결 고리부(302)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 1 지그 드럼부(333)가 연결 고리부(302)의 힌지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지그 몸체부(331)의 측면들에 설치된다. 제 1 지그 드럼부에는 제 1 지그 와이어가 감기고, 제 1 지그 와이어의 일종단에는 제 1 지그 자성부가 연결된다. 제 1 지그 와이어가 제 1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1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되고 자성으로 인해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지그 드럼부가 제 1 지그 와이어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린 제 1 지그 와이어의 길이가 증감되어, 금속 플레이트(W)는 연결 고리부(30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전자석(300)은 연결 고리부(302)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금속 플레이트(W)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 2 지그 드럼부(333)가 연결 고리부(302)와 연결되는 지그 몸체부(331)의 측면들에 설치된다. 제 2 지그 드럼부에는 제 2 지그 와이어가 감기고, 제 2 지그 와이어의 일종단에는 제 2 지그 자성부가 연결된다. 제 2 지그 와이어가 제 2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2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W)에 위치되고 자성으로 인해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되면, 제 2 지그 자성부는 제 1 지그 자성부와 함께 결합부(301) 주위를 따라 금속 플레이트(W)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은 금속 플레이트(W)가 호이스트에 의해 이동될 때 결합부(301)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지그부(303)의 지그 자성부(334)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W)의 낙하를 방지하고, 이에 따른 금속 플레이트(W)의 손상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에서 지그 자성부(334)는 지그 드럼부(333)에 연결된 지그 와이어(333a)에 연결된다. 지그 드럼부(333)로부터 풀린 지그 와이어(333a)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지그 와이어(333a)의 풀린 길이에 따른 지그 드럼부(333)로부터 지그 자성부(334)의 거리도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300)은 다양한 크기의 금속 플레이트(W)에 연결되어 다양한 크기의 금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101, 301: 결합부 111: 결합 몸체부
113: 자성부 115: 자성 제어부
102, 302: 연결 고리부 303: 지그부
331: 지그 몸체부 332: 지그 고정부
333: 지그 드럼부 333a: 지그 와이어
334: 지그 자성부 335: 지지 지지부
336: 수평 제어부

Claims (5)

  1. 천장의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후크에 연결되어 금속 플레이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호이스트에 장착되는 전자석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결합부;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결합부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고, 후크가 삽입되는 연결 고리부; 및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위치되어 고정되고, 금속 플레이트의 복수 개의 지점들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지그부를 포함하되,
    결합부가 자성을 가질 때, 금속 플레이트는 결합부에 부착되고 후크의 이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결합부가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는 결합부로부터 분리가능하며,
    지그부는,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위치되는 지그 몸체부;
    지그 몸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고리부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지그 고정부들;
    연결 고리부의 힌지축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지그 몸체부의 측면들에 설치되고, 제 1 지그 와이어를 감은 복수 개의 제 1 지그 드럼부들; 및
    제 1 지그 와이어의 일종단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제 1 지그 자성부를 포함하되,
    지그 몸체부가 지그 고정부에 의해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고정되고,
    제 1 지그 와이어가 제 1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1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에 위치될 때, 제 1 지그 자성부는 자성을 가져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제 1 지그 드럼부는 제 1 지그 와이어의 풀린 길이를 조절하여, 금속 플레이트가 연결 고리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 1 지그 자성부는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그부는,
    연결 고리부와 연결되는 지그 몸체부의 측면들에 설치되고, 제 2 지그 와이어를 감은 복수 개의 제 2 지그 드럼부들; 및
    제 2 지그 와이어의 일종단에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자성을 갖는 제 2 지그 자성부를 포함하되,
    제 2 지그 와이어가 제 2 지그 드럼부로부터 풀려 제 2 지그 자성부가 금속 플레이트에 위치될 때, 제 2 지그 자성부는 자성을 가져 자성을 갖는 제 1 지그 자성부와 함께 결합부 주위를 따라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되고,
    제 2 지그 자성부는 금속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성을 갖지 않을 때 금속 플레이트로부터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5. 제1항에 있어서, 지그부는,
    각각 지그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연장되고 상호 간에 이격되며, 지그 몸체부가 연결 고리부의 안쪽에 위치된 상태에서 연결 고리부와 함께 후크에 걸리는 한 쌍의 지그 지지부들을 더 포함하되,
    연결 고리부는 지그 지지부들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KR1020170137561A 2017-10-23 2017-10-23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KR10183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61A KR101834137B1 (ko) 2017-10-23 2017-10-23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61A KR101834137B1 (ko) 2017-10-23 2017-10-23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137B1 true KR101834137B1 (ko) 2018-03-05

Family

ID=6172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561A KR101834137B1 (ko) 2017-10-23 2017-10-23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1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190A (ko) * 2018-05-10 2019-11-20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WO2023063624A1 (ko) *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쉐코 전자석을 이용한 진회수 시스템, 구조물 및 방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29B1 (ko) * 2005-11-04 2007-01-16 (주)이지테크 마그네트를 이용한 금속편 이송용 크레인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29B1 (ko) * 2005-11-04 2007-01-16 (주)이지테크 마그네트를 이용한 금속편 이송용 크레인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9190A (ko) * 2018-05-10 2019-11-20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KR102486580B1 (ko) 2018-05-10 2023-01-10 세메스 주식회사 비히클
WO2023063624A1 (ko) * 2021-10-12 2023-04-20 주식회사 쉐코 전자석을 이용한 진회수 시스템, 구조물 및 방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137B1 (ko) 호이스트 장착용 전자석
US9738497B2 (en) Jib attachment/detachment mechanism
KR101685938B1 (ko) 케이블 드럼용 받침대
JP2009133139A (ja) 鉄塔組立・解体用デリック及びその撤去方法
KR20120056960A (ko) 케이블드럼 이송보조장치
JP5752184B2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JP3215594U (ja) 吊荷姿勢制御装置
TW200808642A (en) Crane
JP2010018355A (ja) ブーム起伏装置
JP2012246129A (ja) クレーンフック部における充電システム
KR101930745B1 (ko) 래들용 장치
JP6825774B2 (ja) アンローダ及びそのグラブバケットの交換方法
JP2014091598A (ja) 荷取り装置
KR101342537B1 (ko) 권양기
JP2018090372A (ja) クレーンによるワークの搬送方法
JP3412153B2 (ja) 巻上装置
JP2001254113A (ja) 鋼製壁への壁部材取付け方法
JP6642543B2 (ja) 吊り具
JPH10273289A (ja) クレーン吊り下げ式電動ホイスト装置
JP2017197375A (ja) 吊り具
CN217600174U (zh) 一种磁吸式上料架
CN213387463U (zh) 一种机械检验用设备吊起装置
CN208916654U (zh) 一种挡车石墩起吊装置
JP2002152936A (ja) 光ケーブル架設方法及びこの方法を使用する作業用車両
JP2007153555A (ja) 重量資材の吊下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