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104Y1 - 가공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가공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104Y1
KR200423104Y1 KR2020060014070U KR20060014070U KR200423104Y1 KR 200423104 Y1 KR200423104 Y1 KR 200423104Y1 KR 2020060014070 U KR2020060014070 U KR 2020060014070U KR 20060014070 U KR20060014070 U KR 20060014070U KR 200423104 Y1 KR200423104 Y1 KR 2004231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urrent transformer
vacuum interrupter
bush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복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1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1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1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1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resin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6Insulators having evacuated or gas-filled sp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조립체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에 결합되는 메인 부싱과 보조 부싱, 변류기, 진공인터럽터가 모두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특히 상기 변류기는 고압 선로의 전류와 전압을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메인 부싱과 보조 부싱, 변류기, 진공인터럽터 등과 같은 각 구성 요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품에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면 해당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제품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사용하므로 고압 선로의 전류와 전압을 모두 감지하여 부하 혹은 무 부하와 상관없이 항상 상기 고압 선로의 활선 혹은 사선 상태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가공용 개폐기, 하우징 조립체

Description

가공용 개폐기{BREAKER/SWITCH FOR OVERHEAD WIRES}
도 1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A선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공용 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공용 개폐기의 부분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은 5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메인 부싱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인터럽터의 절연 커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조립체 110: 하우징
111: 메인 부싱 112: 보조 부싱
113: 변류기 114: 진공인터럽터
115: 작동기 115a: 직선 왕복 운동 부재
115b: 승강봉 200: 개폐 구동기
210: 구동수단
300: 하우징 조립체 310: 제1 하우징
311,321: 플랜지 312,322: 변류기 연결부
313,323: 도선 구멍 314,324: 관통구멍
315,325: 볼트 구멍 316,326: 플랜지 안착부
320: 제2 하우징 330: 메인 부싱
331: 플랜지 332: 연장부
333: 접속단자 340: 보조 부싱
350: 변류기 351: 본체
351a: 내경부 351b: 외경부
351c: 요부 351b1,351b2,351b3: 고정부
351d: 전압 감지 링 351e: 전류 감지용 코일
351f: 절연체 360: 진공인터럽터
361: 진공인터럽터 몸체 362: 절연 패킹
362a: 걸림턱 363: 절연 커버
370: 작동기
본 고안은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하우징 조립체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결합되는 메인 부싱, 변류기, 진공인터럽터가 모두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된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용 개폐기는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 상에 발생하는 전류 혹은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고압 회로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는 회로 보호 장치이다.
도 1과 도 2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100199호(출원일: 2003년 12월 30일)에 따른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10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한 쌍의 메인 부싱(111)과 한 쌍의 보조 부싱(112)이 하우징(1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 내벽에 한 쌍의 전류 감지용 변류기(1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1) 중 일측의 메인 부싱(111)과 연결되어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하는 진공인터럽터(114),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1) 중 나머지 타측의 메인 부싱(111)과 상기 진공인터럽터(1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인터럽터(114)를 개폐 작동하는 작동기(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115)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1) 중 나머지 타측의 메인 부싱(111)과 상기 진공인터럽터(114)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 왕복 운동 부재(115a)가 이 직선 왕복 운동 부재(115a)와 연결되는 승강봉(115b)이 승강 운동함에 따라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기 진공인터럽터(114)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 구동기(200)는 상기 작동기(115)의 승강봉(115b)을 승강 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링크 및 기어열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 변류기(113)에 의해 감지되는 고압 선로의 서지 전류를 도선을 통하여 상기 가공용 개폐기와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상기와 같이 감지된 서지 전류 혹은 서지 전압을 특정 기준치와의 대소를 비교하여 회로 개폐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서 상기 개폐 구동기(200)의 구동수단(210)이 상기 승강봉(115b)을 상승 혹은 하강시키면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에 설치된 상기 진공인터럽터(114)가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함으로써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를 서지 전류로부터 보호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의 하우징(110)이 상기 메인 부싱(111)과 보조 부싱(112), 변류기(113) 등과 함께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성형 제조되므로, 이들 각 구성 요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품이 라도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면 하우징 조립체(100)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진공인터럽터(114)와 작동기(115)의 조립 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의 선출원 특허는 하우징을 폴리머 화합물로 제조한 절연물로 하우징을 형성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선출원 특허출원 이전에도 하우징(100)을 절연물 중 하나인 강화수지로 성형하여 사용한 실용신안등록 제0203808호 광전자식 개페기(2000. 09. 07.자 등록)와 같이 하우징을 절연물로 성형하는 것은 일반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고, 더욱이 종래기술은 하우징을 소형화 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제품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데 한계가 있고, 하우징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품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대려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과,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할 경우 부품을 일부분만 교체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한편, 선출원 특허의 제1,2부싱과 제1,2접속단자와 보조부싱 그리고, 접촉/차단부, 연결단자 및 작동부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0203808호 광전자식 개폐기(2000. 09. 07.자 등록)와 실용신안등록 제0290546호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2002. 09. 16.자 등록)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로써, 각각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원가가 높아지며,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인터럽터(접촉/차단기)의 경우 도체로 이루어진 진공인터럽터의 외주연에 절연물로 이루어진 절연 커버를 일체로 몰딩하여 사용하는데, 진공인터럽터의 전기적인 불량이나 절연커버가 파손될 경우 진공인터럽터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번거로움과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우징 조립체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메인 부싱과 보조 부싱, 변류기, 진공인터럽터가 모두 분리 가능한 구조로 된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조립체와 하우징에 조립되는 각각의 부품을 동시공학(simultaneous engineering)적인 설계를 통해서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생산성을 개선 시키고, 각각의 부품을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면서 제조업체가 경쟁력을 갖도록 한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류 및 전압감지 겸용 변류기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가공용 개폐기의 설치 구조를 간편하게 하면서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진공인터럽터의 외주연에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절연패킹과 절연커버로 이루어진 진공인터럽터를 형성하여 진공인터럽터 몸체 의 전기적인 불량이나 절연커버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교체가 필요한 부품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로 구성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플랜지와 변류기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플랜지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고, 상기 변류기 연결부와 통하는 도선 구멍이 일측 벽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각 변류기 연결부를 관통하면서 상기 각 변류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부싱; 상기 메인 부싱의 외주면에 삽착되어 고정되는 보조 부싱; 상기 보조 부싱이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각 변류기 연결부에 나사 결합되는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부싱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밀착 고정되는 진공인터럽터;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부싱과 상기 진공인터럽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인터럽터를 개폐 작동하는 작동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는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에 상면이 개방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 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내경부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의 요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압 감지 링; 상기 본체의 요부 안에서 상기 전압 감지 링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류 감지용 코일; 및 상기 본체의 요부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과 전류 감지용 코일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를 밀봉하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상기 진공인터럽터는 상기 작동기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고압 선로를 개폐하는 진공인터럽터 몸체와; 상기 진공인터럽터 몸체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삽착되는 절연 패킹; 및 상기 절연 패킹이 삽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터 몸체를 커버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부싱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에 밀착 고정되는 절연 커버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패킹은 상기 절연 커버와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경사진 환형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30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 구동기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폐 구동기(200)와 작동원리는 비슷하지만 설치구조와 구동방식이 전혀 다른 형태의 개폐 구동기를 설치 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3과 도 11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에는 작동기(370)가 설치되어 진공인터럽터(360)를 작동시켜 전원을 인가 및 차단 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기(370)는 직선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인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 메인 부싱(330), 보조 부싱(340),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350), 진공인터럽터(360), 및 상기한 작동기(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310,320)은 각각 일측과 타측에 각각 플랜지(311,321)와 변류기 연결부(312,322)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플랜지(311,32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이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를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게 성형함으로써, 하우징(310)(320)에 조립되는 각각의 부품들의 조립 및 유지부수가 간편하도록 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메인 부싱(330), 보조 부싱(340),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350), 진공인터럽터(360) 등이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기 때문에 하우징 조립체(300)의 크기를 소형화하여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작업공정이 간편하다는 특징도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310,320)은 각각 상기 변류기 연결부(312,322)와 통하는 도선 구멍(313,323)이 일측 벽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류기 연결부(312)(322)의 내측 중앙에는 관통구멍(314)(3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314)(324)의 외주연에 복수의 볼트 구멍(315)(3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314)(324)의 내측 벽면에 플랜지 안착부(316)(326)가 형성되어 메인 부싱(330)의 일측에 형성된 플랜지(331)가 밀착되어 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메인 부싱(330)은 플랜지(331)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332)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관통구멍(314)(324)을 관통하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절연을 위한 누설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메인 부싱(330)은 변류기 연결부(312)(322)에 형성된 볼트구멍(315)(325)에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부싱(330)의 내부에는 접속단자(333)가 일체로 형성되어 후술할 진공인터럽터(360)와 연결된다.
상기 보조 부싱(340)은 상기 메인 부싱(330)의 외주면에 삽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350)는 상기 보조 부싱(340)이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각 변류기 연결부(312,322)에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변류기(350)의 본체(351)는 링 형상으로서 내경부(351a)와 외경부(351b) 사이에 상면이 개방된 요부(35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51)의 외경부(351b)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 의 고정부(351b1,351b2,351b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부(351b1,351b2,351b3)에는 상기 본체(351)를 상기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변류기 연결부(312,322)와 나사 결합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351)의 전압 감지 링(351d)은 상기 내경부(351a)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351)의 요부(351c)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310,320)의 각 상기 변류기 연결부(312,322)와 통하는 도선 구멍(313,323)에 끼워지는 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압 감지 링(351d)의 도선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351)의 전류 감지용 코일(351e)은 상기 본체(351)의 요부(351c) 안에서 상기 전압 감지 링(351d)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310,320)의 각 상기 변류기 연결부(312,322)와 통하는 도선 구멍(313,323)에 끼워지는 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류 감지용 코일(351e)의 도선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된다.
상기 본체(351)의 절연체(351f)는 상기 본체(351)의 요부(351c)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351d)과 전류 감지용 코일(351f)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 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351)를 밀봉한다.
상기 절연체(351f)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류기(350)는 전압 감지용 링(351d)과 전류 감지용 코일(351f)을 일체로 제작하여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유지보수가 간편한 특징이 있다.
상기 진공인터럽터(360)는 상기 제1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부싱(330)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310)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진공인터럽터(360)는 상기 작동기(37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고압 선로를 개폐하는 진공인터럽터 몸체(361)와; 상기 진공인터럽터 몸체(361)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삽착되는 절연 패킹(362); 및 상기 절연 패킹(362)이 삽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터 몸체(361)를 커버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부싱(330)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310)에 밀착 고정되는 절연 커버(363)로 구성된다.
상기 절연 패킹(362)은 상기 절연 커버(363)와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경사진 환형 걸림턱(36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인터럽터(360)는 전기적인 불량이나 부품의 파손될 경우, 또는 절연 커버(363)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절연커버가 진공인터럽터에 일체로 몰딩 형성된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번거로움과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보안 할 수 있는 특징이 있 다.
상기 작동기(370)는 도 3 내지 도 10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320)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부싱(330)과 상기 진공인터럽터(36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인터럽터(360)를 개폐 작동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가공용 개폐기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개폐 구동기의 구동수단이 상기 작동기(370)를 작동시켜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에 설치된 상기 진공인터럽터(360)가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함으로써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를 서지 전류로부터 보호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우징이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메인 부싱 과 보조 부싱, 변류기, 진공인터럽터 등과 같은 각 구성 요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품에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면 해당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제품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사용하므로 고압 선로의 전류와 전압을 모두 감지하여 상기 고압 선로의 운전 상태를 정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진공인터럽터의 외주연에 절연 패킹과 절연 커버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진공인터럽터가 전기적으로 불량이 나거나, 또는 절연 커버가 파손될 경우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6)

  1.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로 구성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플랜지(311)(321)와 변류기 연결부(312)(322)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플랜지(311)(321)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고, 상기 변류기 연결부(312)(322)와 통하는 도선 구멍(313)(323)이 일측 벽체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하우징(310)(320)과;
    상기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각 변류기 연결부(312)(322)를 관통하면서 상기 각 변류기 연결부(312)(322)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부싱(330);
    상기 메인 부싱(330)의 외주면에 삽착되어 고정되는 보조 부싱(340);
    상기 보조 부싱(340)이 관통하는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310)과 제2 하우징(320)의 각 변류기 연결부(312)(322)에 나사 결합되는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350);
    상기 제1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부싱(330)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310)에 밀착 고정되는 진공인터럽터(360); 및
    상기 제2 하우징(320)에 나사 결합되는 메인 부싱(330)과 상기 진공인터럽터 (360)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인터럽터(360)를 개폐 작동하는 작동기(37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변류기 연결부(312)(322) 내측중앙에 관통구멍(314)(3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314)(324)의 외주연에 복수의 볼트 구멍(315)(3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314)(324)의 내측 벽면에 플랜지 안착부(316)(3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개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부싱(330)은 플랜지 안착부(316)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플랜지(33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331)의 전방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332)가 일정길이 연장되었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접속단자(33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개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350)는
    내경부(351a)와 외경부(351b) 사이에 상면이 개방된 요부(351c)가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351b)의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351b1,351b2,351bc)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본체(351)와;
    상기 내경부(351a)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351)의 요부(351c)에 끼 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압 감지 링(351d);
    상기 본체(351)의 요부(351c) 안에서 상기 전압 감지 링(351d)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류 감지용 코일(351e); 및
    상기 본체(351)의 요부(351c)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351d)과 전류 감지용 코일(351e)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를 밀봉하는 절연체(351f)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개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인터럽터(360)는
    상기 작동기(370)의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고압 선로를 개폐하는 진공인터럽터 몸체(361)와;
    상기 진공인터럽터 몸체(361)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삽착되는 절연 패킹(362); 및
    상기 절연 패킹(362)이 삽착되어 있는 진공인터럽터 몸체(361)를 커버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310)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 부싱(330)과 대면하도록 상기 제1 하우징(310)에 밀착 고정되는 절연 커버(36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개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패킹(362)은 상기 절연 커버(363)와의 접촉면에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외주면에 다수의 경사진 환형 걸림턱(36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용 개폐기.
KR2020060014070U 2006-05-25 2006-05-25 가공용 개폐기 KR2004231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70U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5-25 가공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70U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5-25 가공용 개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904A Division KR100764066B1 (ko) 2006-05-25 2006-05-25 가공용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104Y1 true KR200423104Y1 (ko) 2006-08-02

Family

ID=4177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70U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5-25 가공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10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04B1 (ko) * 2007-04-30 2008-10-20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100995593B1 (ko) 2008-10-20 2010-11-22 정영옥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KR20230111486A (ko) 2022-01-18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04B1 (ko) * 2007-04-30 2008-10-20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100995593B1 (ko) 2008-10-20 2010-11-22 정영옥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KR20230111486A (ko) 2022-01-18 2023-07-25 한국전력공사 완철 거치형 가공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066B1 (ko) 가공용 개폐기
CA2849012C (en) Modular solid dielectric switchgear
KR100864304B1 (ko)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200423104Y1 (ko) 가공용 개폐기
KR101269617B1 (ko)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구비한 지상용 개폐기
KR101091683B1 (ko)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CN1957432B (zh) 开关
CN201893279U (zh) 断路器极柱及其绝缘筒
KR100431252B1 (ko)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
KR100888541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KR200423558Y1 (ko)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CN2924765Y (zh) 真空断路器全封闭式极柱
CN109416265B (zh) 用于高压测量技术的测量变换器
CN205723327U (zh) 高压真空断路器用一体化高性能绝缘筒
CN209298028U (zh) 一种直流接触器
KR100502436B1 (ko) 가공용 가스개폐기 폴리머부싱
EP2850624B1 (en) Transformer with bushing compartment
KR200296588Y1 (ko) 가공용 가스개폐기 폴리머부싱
CN107808797B (zh) 户外组合式固封极柱
KR101147869B1 (ko) 아크 소호 진공밸브를 구비한 개폐장치
KR20080096955A (ko)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200391063Y1 (ko) 전압검출용 에폭시부싱
CN215342278U (zh) 一种电子式电压互感器
KR200401662Y1 (ko) 차단기
CN216051911U (zh) 一种电子式电压互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