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955A -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 Google Patents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955A
KR20080096955A KR1020070041928A KR20070041928A KR20080096955A KR 20080096955 A KR20080096955 A KR 20080096955A KR 1020070041928 A KR1020070041928 A KR 1020070041928A KR 20070041928 A KR20070041928 A KR 20070041928A KR 20080096955 A KR20080096955 A KR 20080096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ssembly
bushing
movable side
movable
fixed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이경한
임용규
Original Assignee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1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96955A/ko
Publication of KR20080096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2Housings or protective screen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가동측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가동측 바디와 고정측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측 바디로 이루어진 하우징 조립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크기가 작고 경량화되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가동측 바디와 고정측 바디가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 조립체를 구성하는 보조 부싱, 변류기, 진공차단기 등과 같은 각 구성 요소의 결합 및 분해가 간편한 동시에 내부와 외부에 장착되는 부품에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면 해당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하우징 조립체의 크기가 작고 경량화되어 작업성이 좋고, 제품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진공차단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공차단기가 외부의 충격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가공용 개폐기, 하우징 조립체, 가동측 바디, 고정측 바디

Description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SLIM BREAKER/SWITCH FOR OVERHEAD WIRES}
도 1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A선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가동측 바디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고정측 바디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가동용 개폐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조립체 110: 하우징
111: 메인 부싱 112: 보조 부싱
113: 변류기 114: 진공차단기
115: 작동기 115a: 직선 왕복 운동 부재
115b: 승강봉 200: 개폐 구동기
210: 구동수단 300,400: 하우징 조립체
310,410: 가동측 바디 311,411: 절연 연장부
312,412: 가동측 부싱 312a,412a: 가동측 구멍
313,413: 결합부 314,414: 볼트 구멍
315,316,415,416: 절연 패킹
302,420: 고정측 바디 321,421: 절연 연장부
322,422: 고정측 부싱 322a,422a: 고정측 구멍
323,423: 결합부 324,424: 볼트 구멍
본 발명은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가동측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가동측 바디와 고정측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측 바디로 이루어진 하우징 조립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분해조립이 간편하여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품의 크기가 작고 경량화되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용 개폐기는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 상에 발생하는 전류 혹은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고압 회로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는 회로 보호 장치이다.
도 1과 도 2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0100199호(출원일: 2003년 12월 30일)에 따른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100)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2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한 쌍의 메인 부싱(111)과 한 쌍의 보조 부싱(112)이 하우징(11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 내벽에 한 쌍의 전류 감지용 변류기(113)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1) 중 일측의 메인 부싱(111)과 연결되어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하는 진공차단기(114),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1) 중 나머지 타측의 메인 부싱(111)과 상기 진공차단기(11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차단기(114)를 개폐 작동하는 작동기(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기(115)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부싱(111) 중 나머지 타측의 메인 부싱(111)과 상기 진공차단기(114)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 왕복 운동 부재(115a)가 이 직선 왕복 운동 부재(115a)와 연결되는 승강봉(115b)이 승강 운동함에 따라서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상기 진공차단기(114)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 구동기(200)는 상기 작동기(115)의 승강봉(115b)을 승강 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링크 및 기어열로 구성되는 구동수단(210)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 변류기(113)에 의해 감지되는 고압 선로의 서지 전류를 도선을 통하여 상기 가공용 개폐기와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상기와 같이 감지된 서지 전류 혹은 서지 전압을 특정 기준치와의 대소를 비교하여 회로 개폐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서 상기 개폐 구동기(200)의 구동수단(210)이 상기 승강봉(115b)을 상승 혹은 하강시키면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에 설치된 상기 진공차단기(114)가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함으로써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를 서지 전류로부터 보호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 하우징 조립체(100)의 하우징(110)이 상기 메인 부싱(111)과 보조 부싱(112), 변류기(113) 등과 함께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성형 제조되므로, 이들 각 구성 요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부품이라도 고장이 나거나 파손되면 하우징 조립체(100)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진공차단기(114)와 작동기(115)의 조립 작업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도 1 및 도 2의 선출원 특허는 하우징을 폴리머 화합물로 제조한 절연물로 하우징을 형성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선출원 특허출원 이전에도 하우징(100)을 절연물 중 하나인 강화수지로 성형하여 사용한 실용신안등록 제0203808호 광전자식 개폐기(2000. 09. 07.자 등록)와 같이 하우징을 절연물로 성형하는 것은 일반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고, 더욱이 종래기술은 하우징을 소형화 한다고 하였으나, 실제로는 제품의 크기를 작게 만드는데 한계가 있고, 하우징에 결합되는 각각의 부품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대려 제품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과,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할 경우 부품을 일부분만 교체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한편, 선출원 특허의 제1,2부싱과 제1,2접속단자와 보조부싱 그리고, 접촉/차단부, 연결단자 및 작동부의 기술은 실용신안등록 제0203808호 광전자식 개폐기(2000. 09. 07.자 등록)와 실용신안등록 제0290546호 가공 개폐기 및 변압기용 폴리머 부싱(2002. 09. 16.자 등록)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로써, 각각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 원가가 높아지며,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게 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변류기가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문제가 발생시 변류기만을 별도로 교체하지 못하기 때문에 전체를 교체해야되고, 이로 인해서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동측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가동측 바디와 고정측 부싱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측 바디로 이루어진 하우징 조립체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제품의 크기가 작고 경량화되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동시공학(simultaneous engineering)적인 설계를 통해서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생산성을 개선 시키고, 각각의 부품이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기 때문에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업체가 경쟁력을 갖도록 한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차단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동시에 진공차단기에 고장이 발생시 부품의 교체가 간편하도록 한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우징 조립체의 가동측 부싱과 고정측 부싱의 외주면에 변류기를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변류기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특히 기존에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에 일체로 변류기가 설치되기 때문에 변류기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하우징 조립체 전체를 교체해야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변류기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동측 바디의 내부에 진공차단기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진공차단기 삽착부를 형성하여 진공차단기의 설치 및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로 구성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동측 부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측 부싱의 내부에 가동측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측 바디; 및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고정측 부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측 부싱의 내부에 고정측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이 상기 가동측 바디의 후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고정측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 구동기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개폐 구동기(200)와 작동원리는 비슷하거나 설치구조와 구동방식이 전혀 다른 형태의 개폐 구동기를 설치 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는 가동측 바디(310)와 고정측 바디(320)로 구분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의 가동측 바디(310)는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31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동측 부싱(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측 부싱(312)의 내부에 가동측 구멍(312a)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31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가동측 구멍(312a)에는 추후에 가동측 도전봉(미도시)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가동측 부싱(312)의 외주면에는 가동측 보조 부싱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가동측 바디(310)의 후면에는 결합부(3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313)는 상부면과 양측면이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후술할 고정측 바디(320)가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결합부(31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31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측 바디(320)와 함께 볼트(B)로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313)의 내측면에는 밀봉 절연 패킹(315)(316)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의 고정측 바디(320)는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32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고정측 부싱(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측 부싱(322)의 내부에 고정측 구멍(322a)이 수평방향으로 연장 되어 상기 고정측 바디(3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측 구멍(322a)에는 추후에 고정측 도전봉(미도시)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측 부싱(322)의 외주면에는 고정측 부조 부싱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고정측 바디(320)의 후면에는 결합부(323)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310)의 결합부(313)와 밀착 결합 되는데, 여기서, 상기 결합부(323)는 계단식으로 절곡되면서 정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31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결합부(32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324)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310)와 고정측 바디(320)가 볼트(B)로 고정된다.
상기 가동측 바디(310)와 고정측 바디(320)의 내부에는 진공차단기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차단기의 일측에는 진공차단기를 개폐시키는 승강기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 부싱(312)와 고정측 부싱(322)의 외주면에는 변류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발명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써, 하우징 조립체(400)의 가동측 바디(410)는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41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동측 부싱(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측 부싱(412)의 내부에 가동측 구멍(4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구멍(412a)의 후면에 진공차단기 삽착부(412b)가 형성되어 내측면에 진공차단기가 삽입 고정된다.
상기 가동측 구멍(412a)에는 추후에 가동측 도전봉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가동측 부싱(412)의 외주면에는 가동측 보조 부싱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가동측 바디(410)의 후면에는 결합부(413)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413)는 상부면과 양측면이 계단식으로 절곡되어 내측면으로 후술할 고정측 바디(420)가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며, 상기 결합부(41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41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측 바디(420)와 함께 볼트(B)로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413)의 내측면에는 밀봉 절연 패킹(415)(416)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 조립체(400)의 고정측 바디(420)는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42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고정측 부싱(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측 부싱(422)의 내부에 고정측 구멍(422a)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측 바디(4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고정측 구멍(422a)에는 추후에 고정측 도전봉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측 부싱(422)의 외주면에는 고정측 부조 부싱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고정측 바디(420)의 후면에는 결합부(423)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410)의 결합부(413)와 밀착 결합 되는데, 여기서, 상기 결합부(423)는 계단식으로 절곡되면서 정면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410)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결합부(423)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볼트 구멍(424)이 형성되어 상기 가동측 바디(410)와 고정측 바디(420)가 볼트(B)로 고정된다.
상기 가동측 바디(410)와 고정측 바디(420)의 내부에는 진공차단기가 설치되고, 상기 진공차단기의 일측에는 진공차단기를 개폐시키는 승강기가 설치되며, 상기 가동측 부싱(412)와 고정측 부싱(422)의 외주면에는 변류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동측 바디(410)의 내부에 진공차단기 삽착부(412b)를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되는 진공차단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는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개폐 구동기의 구동수단이 상기 승강기를 작동시켜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400)에 설치되는 상기 진공차단기가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를 접촉/차단함으로써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를 서지 전류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는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경량화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시키고, 하우징 조립체의 내부 설치되는 진공차단기와 외부에 설치되는 변루기 등의 부품이 완전분해가 가능하여 내부 부품에 문제가 발생시 신속한 부품의 교체로 고가의 부품들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가동측 바디와 고정측 바디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크기를 작고 경량화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 하우징 조립체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차단기와 외부에 설치되는 변류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제품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부품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유지 및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제품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은 모든 부품의 분해 조립이 간편하여 작업공정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가동측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진공차단기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Claims (6)

  1.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로 구성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300)가,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31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동측 부싱(3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측 부싱(312)의 내부에 가동측 구멍(312a)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측 바디(310); 및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32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고정측 부싱(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측 부싱(322)의 내부에 고정측 구멍(322a)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이 상기 가동측 바디(310)의 후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고정측 바디(3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바디(310)와 고정측 바디(320)가 결합되는 상부면과 양측면에는 계단식으로 절곡된 결합부(313)(3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313)(323)의 외주면에 복수의 볼트 구멍(314)(324)이 형성되어 볼트(B)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13)(323)의 내부에는 밀봉 절연 패킹(315)(316)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4. 고압 회로의 고압 선로가 관통하는 하우징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개폐 구동기로 구성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400)가,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41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가동측 부싱(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측 부싱(412)의 내부에 가동측 구멍(4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측 구멍(412a)의 후면에 진공차단기 삽착부(412b)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측 바디(410); 및
    후면과 하면이 개방되어 있고, 정면의 상측 외면에 정면의 상측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절연 연장부(421)가 일정길이 연장되어 다가 외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고정측 부싱(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측 부싱(422)의 내부에 고정측 구멍(422a)이 형성되어 있고, 후면이 상기 가동측 바 디(410)의 후면과 맞닿아 결합되는 고정측 바디(4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바디(410)와 고정측 바디(420)가 결합되는 상부면과 양측면에는 계단식으로 절곡된 결합부(413)(4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413)(423)의 외주면에 복수의 볼트 구멍(414)(424)이 형성되어 볼트(B)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413)(423)의 내부에는 밀봉 절연 패킹(415)(416)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전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1020070041928A 2007-04-30 2007-04-30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20080096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928A KR20080096955A (ko) 2007-04-30 2007-04-30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928A KR20080096955A (ko) 2007-04-30 2007-04-30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955A true KR20080096955A (ko) 2008-11-04

Family

ID=4028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928A KR20080096955A (ko) 2007-04-30 2007-04-30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69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5838B (zh) 带有吹弧装置的电气安装开关装置
CN103069527B (zh) 制造电路断路器极柱部件的方法
KR101010295B1 (ko) 진공 스위치기어
KR100764066B1 (ko) 가공용 개폐기
TWI430313B (zh) 真空式開關設備組合及系統
US8237076B2 (en) Vacuum switch
CN101740260A (zh) 真空开关设备
KR100864304B1 (ko)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US8653398B2 (en) Electrical device with a multi-chamber housing
CN103563194A (zh) 箱型真空断路器
CN201311874Y (zh) 户外交流真空断路器的绝缘支座及户外交流真空断路器
KR101091683B1 (ko)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KR200423104Y1 (ko) 가공용 개폐기
KR20080096955A (ko)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JP5087494B2 (ja) 固体絶縁スイッチギヤ
CN114503235A (zh) 具有真空灭弧室的断路器
KR100888541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CN102882148A (zh) 一种固体绝缘开关
JP6471253B2 (ja) タンク形真空遮断器
KR200391063Y1 (ko) 전압검출용 에폭시부싱
KR101510982B1 (ko) 진공 차단기
KR101123251B1 (ko) 에폭시몰드 절연 부하개폐기
KR100492755B1 (ko) 진공차단기의 절연장치
KR200203808Y1 (ko) 광전자식 개폐기
JP5020180B2 (ja) 真空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