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593B1 -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 Google Patents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593B1
KR100995593B1 KR1020080102372A KR20080102372A KR100995593B1 KR 100995593 B1 KR100995593 B1 KR 100995593B1 KR 1020080102372 A KR1020080102372 A KR 1020080102372A KR 20080102372 A KR20080102372 A KR 20080102372A KR 100995593 B1 KR100995593 B1 KR 100995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arrier
gas
switch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3364A (ko
Inventor
정영옥
Original Assignee
정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옥 filed Critical 정영옥
Priority to KR102008010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593B1/ko
Publication of KR2010004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55Features relating to the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 가스가 내부에 충진되는 개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전원단자와 각각 버스바를 통해 연결되며 그 내부에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이 구비되어 이동 전극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각각의 버스바를 통전 및 단전시키는 진공 차단부를 포함하는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애자와 진공 차단부를 지지하도록 절연 배리어가 설치되되, 상기 절연 배리어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모양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애자의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애자 안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진공 차단부가 안착되도록 진공 차단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배리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에 의하면, 개폐기 케이스 내부에 절연 배리어, 보조 배리어를 설치함으로써 전원인가측 애자의 전원단자와 부하측 애자의 전원단자 사이의 절연거리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개폐기 내부의 절연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개폐기, 절연 배리어, 질소 가스

Description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LOAD BREAK SWITCH HAVING INSULATION BARRIER FOR NON-SF6 GAS}
본 발명은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절연가스가 내부에 충진되며 내부에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배리어가 설치된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폐기는 22,000V 이상의 삼상 고전압의 전원을 공장 등의 산업시설로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개폐기는 동력발생장치 등의 부하로 연결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차단 및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쌍을 이룬 애자와 이 애자의 단부에 연결된 전원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애자의 일단부에 연결된 각 전원단자 간에 고압의 전원이 단속되면서 전원단자 간의 근접 또는 이격에 의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원단자는 고압의 기체로 이루어진 절연가스 또는 절연액체 중에 설치하는 것이 일반 적이다.
이러한 절연가스로는 SF6(육플루오린화 황) 등의 가스가 적용되고 있는데, 상기 SF6 가스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지구 온난화 예방을 위해 교토 의정서를 체결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수년 내에 교토 의정서에 협약된 내용대로 시행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SF6 가스는 사용하는 것이 불가해지므로 근래 들어서는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질소 등의 대체 가스를 적용한 개폐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체 가스는 절연성이 SF6 가스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개폐기 내의 전원인가 측 애자의 전원단자와 부하측 애자의 전원단자 사이의 절연거리를 증가시켜 적용하였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개폐기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기를 운반하거나 설치하는 작업 시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개폐기를 구성하는 개폐기 케이스 내부에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절연가스를 충진하면서도 개폐기 내부의 전원인가 측 애자의 전원단자와 부하측 애자의 전원단자 사이의 절연거리를 증가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개폐기의 외관 사이즈 증가를 방지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원단자 간에 절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폐기 케이스 내부에 절연 배리어를 설치한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는 절연 가스가 내부에 충진되는 개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전원단자와 각각 버스바를 통해 연결되며 그 내부에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이 구비되어 이동 전극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각각의 버스바를 통전 및 단전시키는 진공 차단부를 포함하는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애자와 진공 차단부를 지지하도록 절연 배리어가 설치되되, 상기 절연 배리어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모양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애자의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애자 안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진공 차단부가 안착되도록 진공 차단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배리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 차단부의 외주면에는 코루게이트 형상의 절연재가 부착되 고, 상기 절연재의 일부분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보조 절연재가 더 부착되며, 상기 절연재와 보조 절연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 배리어는 상기 개폐기 케이스의 내벽에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절연 배리어와 개폐기 케이스의 내벽 사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그 이격되는 공간에는 절연 가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 차단부와 절연 배리어 바닥 사이에는 상기 진공 차단부의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 측에 각각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은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자 중 부하 측 애자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제1 버스바는 상기 절연 배리어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을 개재하여 진공 차단부의 고정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애자 중 전원인가측 애자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제2 버스바는 상기 절연 배리어에 고정된 제2 브래킷을 개재하여 진공 차단부의 이동 전극에 연결되되, 상기 제2 버스바와 제2 브래킷 사이에는 제2 브래킷에 일단이 접하도록 스프링을 개재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제2 버스바 사이에는 제2 버스바와 연결되는 보조 버스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에 의하면, 개폐기 케이스 내부에 절연 배리어, 보조 배리어를 설치함으로써 전원인가측 애자의 전원단자와 부하측 애자의 전원단자 사이의 절연거리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개폐기 내부의 절연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절연가스에 의한 절연과 배리어에 의한 절연이 동시에 이루어져서 우수한 절연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진공 차단부에 절연재와 보조 절연재를 부착함으로써 전원인가 측 애자의 전원단자와 부하측 애자의 전원단자 사이의 스파크 발생을 더욱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효과들로 인해 개폐기 내부에 종래의 비 SF6가스보다 절연성은 떨어지지만 오존층 파괴지수가 작은 절연 가스가 충진되어도 개폐기의 외관 사이즈 증가를 방지하여 운반 또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는, 대개 22,000V이상의 삼상 고전압의 전원을 공장 등의 산업시설로 전달 및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는 개폐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단부에 상기 고전압의 전원을 차단 및 연결함이 가능하도록 전원단자가 구비되는 다수의 쌍을 이루는 애자(200,30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원 인가 측의 애자와 부하 측의 애자가 한 쌍을 이루며 이러한 쌍을 이루는 애자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세트 설치되어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다수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한 쌍의 애자(200,3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애자(200,300)의 단부에 구비된 전원단자(210,310) 간에 고압의 전원이 단속되면서 전원단자(210,310) 간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폐기 케이스 내부에는 절연가스 또는 절연액체가 충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절연가스 중 비 SF6가스(비 육플루오린화 황 가스)는 오존층 파괴지수가 일정 이상이 되어 오존층을 파괴하는 성질을 가지므로 근래 들어서는 그 사용이 점차적으로 제한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기 케이스(100) 내부에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절연가스를 충진시키며, 그 일례로는 질소 가스, 순수 공기(Pure air), 기타 0(zero)의 오존층 파괴지수를 가지는 가스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러한 가스는 일정 이상의 절연 성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애자의 전원단자(210,310) 사이에는 상기 전원인가 측의 전원단자(210)로부터 부하 측의 전원단자(310)로 전원 인가시나 차단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진공 차단부(40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진공 차단부(400)는 세라믹 등의 원통형 절연물로 감싸진 내부에 전극이 접촉하는 공간을 진공화시켜 진공 차단부(400) 내의 양측 전극이 통전되거나 차단되는 순간에 그 양측 전극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측 전극 중 고정 전극은 고정되어 이동이 불가한 상태를 가지며 다른 하나인 이동 전극은 좌우 이동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의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진공 차단부(400)의 주 구조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진공 차단부(400)의 외주면에 코루케이트 형상의 절연재(410)를 부착시킨다.
아울러, 상기 절연재(410)의 일부분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며 상기 절연재(410)와 일체를 이루는 보조 절연재(420)를 더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절연재(420)의 돌출 높이는 상기 한 쌍의 애자(200,300)의 전원단자(210,310) 사이의 가상의 직선 연결선을 차단하여 상기 전원단자(210,310)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좀 더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좀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기 케이스(100)의 상부 내벽에 근접할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상기 절연재(410)와 보조 절연재(420)는 절연성을 가지고 상기 진공 차단부(400)에 부착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례로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진공 차단부(400)는 내부의 양측 전극이 각각 제1, 제2 버스바(510,52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애자(300,200)의 전원단자(310,210)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 상기 제1 버스바(510)는 진공 차단부(400)의 고정 전극(470)과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제2 버스바(520)는 진공 차단부(400)의 이동 전극(480)과 연결되도록 하고, 구동기구(900)에 의해 상기 이동 전극(480)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애자의 전원단자 간에 전원이 통전되거나 차단되도록 하게 된다.
덧붙여, 상기 제1 버스바(510)는 부하 측 애자(300)의 전원단자(310)와 연결되고, 제2 버스바(520)는 전원인가 측 애자(200)의 전원단자(210)와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전극(470)과 연결되는 제1 버스바(510)는 다수회 절곡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버스바(510)와 진공 차단부(400)의 고정 전극(470) 사이에는 후술하는 보조 배리어(820)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는 제1 브래킷(610)이 개재되어 설치되는데, 이는 진공 차단부(400)를 보조 배리어(820)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킴과 더불어 상기 제1 버스바(510)와 상기 고정 전극 사이의 결 합을 좀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버스바(520)와 진공 차단부(400)의 이동 전극(480)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보조 배리어(820)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2 브래킷(620)이 개재되어 설치되는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차단부(400)를 견고하게 고정 결합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이동 전극의 좌우 이동시 급속한 속도로 고정 전극과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제1 브래킷(610)과 제2 브래킷(620)은 각각 'L'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진공 차단부(400)는 각각 제1, 제2 브래킷(610,620)의 상부 바디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1, 제2 브래킷(610,620)의 하부 바디는 절연 배리어(800)의 바닥면에 볼트 결합되어 고정된다.
자세하게, 상기 제2 브래킷(620)과 제2 버스바(520) 사이에는 제2 버스바(520)의 단부에 연결된 보조 버스바(530)가 개재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2 브래킷(620)과 보조 버스바(530) 사이에는 양단부가 각각 지지되도록 스프링(710)이 장착된다.
이러한 보조 버스바(530)는 개폐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는 스위치 조작장치(미도시)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링크 부재로 구성된 구동기구(900)에 의해 그 이동이 조절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보조 버스바(530)와 제2 버스바(520)는 플렉시블하게 굽힘이 가능한 특성을 갖고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배리어(800)의 바닥면에는 구동기구(900)의 작동 로드가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통공(8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811)을 관통하는 작동 로드는 그 표면 일부가 절연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진공 차단부(400) 내의 고정 전극(470)과 이동 전극(480) 사이에서 전원이 차단된 상태라면 상기 보조 버스바(530)의 단부는 도 2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반면, 전원이 연결된 상태이면 상기 보조 버스바(530)의 상기 단부는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진공 차단부(400)의 이동 전극이 고정 전극에 결합되어 통전되는 상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 차단부(400)의 이동 전극은 보조 버스바(530)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이동되도록 연결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710)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보조 버스바(530) 단부의 좌측으로의 이동 속도가 일정 감속되고, 이로 인해 상기 이동 전극이 급속도로 고정 전극에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는 상기 스프링(710)의 양단이 각각 제2 브래킷(620)과 보조 버스바(530)에 지지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제2 브래킷(610,620), 보조 버스바(530) 및 스프링(710) 등은 전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버스바(510)와 제1 브래 킷(610)의 구성과 상기 제2 버스바(520), 보조 버스바(530), 스프링(710), 제2 브래킷(620)로 이루어지는 구성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양측 구성과 개폐기 케이스(100), 개폐기 케이스(100) 내부의 기타 금속 구조물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폐기 케이스(100) 내부에 절연 배리어(800)를 설치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배리어(800)는 상기 개폐기 케이스(100)의 내벽에 설치된 지지대(110)에 볼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절연 배리어(800)는 개폐기 케이스(100) 내에서 애자(200,300) 및 진공 차단부(400) 등을 설치함이 용이하도록 상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에는 애자(200,300)와 진공 차단부(40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 배리어(800)의 상단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웃한 한 쌍의 애자 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애자(200,300)를 가리도록 상기 애자가 설치된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웃한 애자와의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또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애자의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애자 안착홈(810)이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 배리어(800)의 수용공간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진공 차단부(400)의 일부 분이 안착되도록 진공 차단부 안착홈(821)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보조 배리어(82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 배리어(800)와 개폐기 케이스(100)의 내벽 사이는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여 그 이격되는 공간에 질소 가스 등의 친환경 절연가스가 충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인가 측 애자(200)와 연결된 구성들과 상기 부하 측 애자(300)와 연결된 구성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들과 개폐기 케이스(100), 개폐기 케이스(100) 내부의 금속 구조물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전술한 절연가스와 절연 배리어(800), 보조 배리어(820) 등의 다중 절연 구조로 인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상기 절연 배리어(800)와 보조 배리어(820)는 절연성을 가지는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개폐기 케이스 110: 지지대
200, 300: 애자 210, 310: 전원단자
400: 진공 차단부 410: 절연재
420: 보조 절연재 470: 고정 전극
480: 이동 전극 510: 제1 버스바
520: 제2 버스바 530: 보조 버스바
610: 제1 브래킷 620: 제2 브래킷
710: 스프링 800: 절연 배리어
810: 애자 안착홈 811: 통공
820: 보조 배리어 821: 진공 차단부 안착홈
900: 구동 기구

Claims (6)

  1. 절연 가스가 내부에 충진되는 개폐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애자와, 상기 애자의 전원단자와 각각 버스바를 통해 연결되며 그 내부에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이 구비되어 이동 전극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각각의 버스바를 통전 및 단전시키는 진공 차단부를 포함하는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애자와 진공 차단부를 지지하도록 절연 배리어가 설치되되,
    상기 절연 배리어는,
    상측이 개구된 용기모양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상기 애자의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애자 안착홈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진공 차단부가 안착되도록 진공 차단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다수의 보조 배리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부의 외주면에는 코루게이트 형상의 절연재가 부착되고, 상기 절연재의 일부분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보조 절연재가 더 부착되며, 상 기 절연재와 보조 절연재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리어는 상기 개폐기 케이스의 내벽에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상태로 지지되고,
    상기 절연 배리어와 개폐기 케이스의 내벽 사이는 일정 거리 이격되어 그 이격되는 공간에는 절연 가스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차단부와 절연 배리어 바닥 사이에는 상기 진공 차단부의 고정 전극과 이동 전극 측에 각각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은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애자 중 부하 측 애자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제1 버스바는 상기 절연 배리어에 고정되는 제1 브래킷을 개재하여 진공 차단부의 고정 전극에 연결되고,
    상기 애자 중 전원인가측 애자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제2 버스바는 상기 절연 배리어에 고정된 제2 브래킷을 개재하여 진공 차단부의 이동 전극에 연결되되,
    상기 제2 버스바와 제2 브래킷 사이에는 제2 브래킷에 일단이 접하도록 스프링을 개재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제2 버스바 사이에는 제2 버스바와 연결되는 보조 버스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 SF6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KR1020080102372A 2008-10-20 2008-10-20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KR100995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72A KR100995593B1 (ko) 2008-10-20 2008-10-20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72A KR100995593B1 (ko) 2008-10-20 2008-10-20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64A KR20100043364A (ko) 2010-04-29
KR100995593B1 true KR100995593B1 (ko) 2010-11-22

Family

ID=4221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72A KR100995593B1 (ko) 2008-10-20 2008-10-20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469B1 (ko) * 2010-03-25 2012-01-31 진광 이 앤 씨 주식회사 가스절연 부하개폐기
EP4145479B1 (en) * 2021-09-01 2024-02-28 Abb Schweiz Ag An accessory device for a medium voltage vacuum conta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8-0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공용 개폐기
JP2007087644A (ja) 2005-09-20 2007-04-05 Energy Support Corp 開閉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87644A (ja) 2005-09-20 2007-04-05 Energy Support Corp 開閉器
KR200423104Y1 (ko) 2006-05-25 2006-08-0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공용 개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3364A (ko)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0506B (zh) 真空绝缘开关装置
JP5123372B2 (ja) 真空遮断器
TWI505589B (zh) Switchgear and switchgear assembly method
US9502868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CN201417899Y (zh) Sf6绝缘真空分界开关柜
JP6710811B2 (ja) 直流遮断器、および直流遮断器用の機械遮断装置
JP3164033B2 (ja) 母線の接続構造及び絶縁カバー
JP2003047113A (ja) 開閉装置
KR100995593B1 (ko) 비 sf6 가스용 절연 배리어를 가지는 부하 개폐기
US9355792B2 (en) Gas insulated switchgear
KR20130029784A (ko) 가스-절연 개폐기 조립 장치
CN102986100A (zh) 具有包括空气和屏栅的单相隔离的开关设备
US8462485B2 (en) Switchgear for undergrou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KR101247538B1 (ko) 고체절연 개폐장치
JP4902418B2 (ja) 遮断器のモールドフレーム
JP2908554B2 (ja) 真空遮断器
KR101157188B1 (ko) 고체절연 개폐장치
CN108346547B (zh) 使用具有多个杆的双重运动气体绝缘开关设备
KR100848123B1 (ko) 다기능 축소형 개폐장치
KR101706091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EP2849193B1 (en) Circuit breaker with compact contact structure
KR101622459B1 (ko) 고체 절연 개폐 장치
CN102763186A (zh) 真空阀及搭载有该真空阀的开关设备
KR10156358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KR200148130Y1 (ko) 고압차단기의 절연 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