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558Y1 -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 Google Patents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558Y1
KR200423558Y1 KR2020060014072U KR20060014072U KR200423558Y1 KR 200423558 Y1 KR200423558 Y1 KR 200423558Y1 KR 2020060014072 U KR2020060014072 U KR 2020060014072U KR 20060014072 U KR20060014072 U KR 20060014072U KR 200423558 Y1 KR200423558 Y1 KR 200423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voltage sensing
r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0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복
김영진
Original Assignee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0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01F27/402Association of measuring or prot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링 형상의 본체 내부에 가공용 개폐기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코일과 상기 가공용 개폐기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 링이 서로 절연 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예컨대 전주 등에 설치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종래의 변류기와 종래의 전압 감지 링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고압 선로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변류기, 가공용 개폐기, 폴리머 부싱

Description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CURRENT TRANSFORMER FOR SENSING A SURGE CURRENT AND VOLTAGE}
도 1은 종래의 전압 감지 링과 변류기가 가공용 개폐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 예.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가공용 개폐기 11: 하우징 조립체
12: 폴리머 부싱 13: 고압 선로
14: 변류기 15: 전압 감지 링
20: 본체 21: 내경부
22: 외경부 23: 요부
23a: 격벽 22a,22b,22c: 고정부
24: 전압 감지 링 25: 전류 감지용 코일
26: 절연체
본 고안은 변류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전류 감지용 코일과 전압 감지 링을 일체로 형성한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 등에 설치되는 가공용 개폐기는 고압 선로 상에 발생하는 전류 혹은 전압을 감지하여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회로의 개폐 상태를 변경하며, 상기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을 구비한다.
도 1은 전주에 설치되는 통상의 가공용 개폐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통상의 가공용 개폐기(10)는 고압 회로 개폐 장치를 내장하는 하우징 조립체(11)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11)의 양단에 연결되는 폴리머 부싱(12), 상기 폴리머 부싱(12)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조립체(11) 내부의 고압 회로 개폐 장치와 연결되는 고압 선로(13), 상기 하우징 조립체(11)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13)의 전류를 감지하도록 상기 하우징 조립체(11)의 일측에 장착되는 변류기(14), 및 상기 고압 선로(13)의 전압을 감지하도록 상기 폴리머 부싱(12)의 내부 에 장착되는 전압 감지 링(15)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공용 개폐기(10)는 상기 변류기(14)에 의해 감지되는 고압 선로(13)의 전류 혹은 상기 전압 감지 링(15)에 의해 감지되는 고압 선로(13)의 전압을 도선을 통하여 상기 가공용 개폐기(10)와 연결되는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하고, 상기 컨트롤 박스에서 상기와 같이 감지된 전류 혹은 전압을 특정 기준치와의 대소를 비교하여 회로 개폐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 조립체(11)에 내장된 고압 회로 개폐 장치를 개폐 작동하여 경보를 발함으로서 전주 등에 설치되는 고압 선로를 과전류나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때, 상기 변류기(14)는 관통형 변류기로서 링 형상의 본체 내부에 코일이 권취되어 있고, 상기 링 형상의 본체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13)에서 유기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전압 감지 링(15)은 절연체 역할을 하는 상기 폴리머 부싱(1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폴리머 부싱(12)을 관통하는 고압 선로(13)에서 유기되는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로 전달하는데, 이때 폴리머 부싱(12)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전압 감지 링(15)은 외부로 전선이 인출되기 위해서 폴리머 부싱(12)의 일측에 구멍이 천공되고, 천공된 구멍에 전선과 연결되는 볼트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변류기(14)와 전압 감지 링(15)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고압 선로(13)의 전류와 전압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류기(14)와 전압 감지 링(15)의 조립 및 배선 작업을 각각 별도로 진행해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가공용 개폐기(10)의 조립 작업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전압 감지 링(15)을 하우징 조립체(11)의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폴리머 부싱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그 조립 및 배선 작업이 더욱 곤란해 진다.
또한, 상기 전압 감지 링(15)이 설치되어 있는 폴리머 부싱(12)이 파괴되거나 손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압 감지 링(15)과 고압 선로(13)의 절연 상태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므로, 상기 전압 감지 링(15) 자체가 파손되거나 더 나아가 상기 가공용 개폐기(10)의 파손 및 고압 회로의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에서는 상기 전압 감지 링(15)이 하우징 조립체(11)의 일측 외부에 연결된 폴리머 부싱(1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선출원 공개특허 제2005-0070541호 가공용 폴리머 절연 차단/개폐기의 경우 변류기(제1,2감지부(131,135)가 하우징(110)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압 감지 링(15)이 제1,2부싱(111,131)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데, 도면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없지만 현재 제1,2부싱(111,131)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제1,2부싱(111,131)의 외주연에는 보조부싱(141)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선출원 특허의 경우 제1,2부싱(111,131)의 내부에 전압 감지 링이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2부싱(111,131)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품의 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제1,2부싱(111,131)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제1,2부싱(111,1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2접속단자(121,125)와 전압 감지 링이 도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력설비의 오동작 및 측정제어설비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제1,2부싱(111,131)의 내부에 형성되는 전압 감지 링은 외부로 전선이 연결되기 위해서 상기 제1,2부싱(111,131)의 일측에 구멍을 천공하여 전선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번거로움과 상기 제1,2부싱(111,131)에 연결된 전선이 다시 하우징(110)의 인출선(132)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링 형상의 본체 내부에 가공용 개폐기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코일과 상기 가공용 개폐기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 링이 서로 절연 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변류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시켜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변류기의 제품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전류 감지용 코일과 전압 감지 링의 배선을 간편하게 처리하여 별도의 배선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변류기의 내부를 에폭시 수지로 충진시켜 제조 및 조립공정을 단축시켜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는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에 상면이 개방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내경부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의 요부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압 감지 링; 상기 본체의 요부 안에서 상기 전압 감지 링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류 감지용 코일; 및 상기 본체의 요부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과 전류 감지용 코일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를 밀봉하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는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에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상면까지 돌출된 격벽이 있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내경부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의 요부에 돌출된 격벽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압 감지 링; 상기 본체의 요부에 돌출된 격벽 바깥쪽에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류 감지용 코일; 및 상기 본체의 요부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과 전류 감지용 코일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를 밀봉하는 절연체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20)는 링 형상으로서 내경부(21)와 외경부(22) 사이에 상면이 개방된 요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외경부(22)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22a,22b,22c)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부(22a,22b,22c)에는 상기 본체(20)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하우징 조립체(11)와 나사 결합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압 감지 링(24)은 상기 내경부(21)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압 감지 링(24)의 도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연결된다.
전류 감지용 코일(25)은 상기 본체(20)의 요부(23) 안에서 상기 전압 감지 링(24)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류 감지용 코일(25)의 도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연결된다.
절연체(26)는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24)과 전류 감지용 코일(25)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20)를 밀봉한다.
상기 절연체(26)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하우징 조립체(11)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공용 개폐기(10)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13)의 전류 혹은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컨트롤 박스가 자기제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전압 감지 링(24)의 도선과 상기 전류 감지용 코일(25)의 도선은 상기 절연체(26)에 의해 그 선단이 상기 본체(20) 내부에서 절연, 고정된 상태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는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비교해 볼 때, 도 1의 요부(23)에 격벽(23a)이 돌출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면, 본체(20)는 링 형상으로서 내경부(21)와 외경부(22) 사이에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상면까지 돌출된 격벽(23a)이 있는 요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20)의 외경부(22)에는 그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22a,22b,22c)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부(22a,22b,22c)에는 상기 본체(20)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하우징 조립체(11)와 나사 결합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전압 감지 링(24)은 상기 내경부(21)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돌출된 격벽(23a)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압 감지 링(24)의 도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연결된다.
전류 감지용 코일(25)은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돌출된 격벽(23a) 바깥쪽에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된다.
상기 전류 감지용 코일(25)의 도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연결된다.
절연체(26)는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24)과 상기 전류 감지용 코일(25)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20)를 밀봉한다.
상기 절연체(26)는 에폭시 수지 등과 같은 절연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도 역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하우징 조립체(11)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가공용 개폐기(10)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13)의 전류 혹은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컨트롤 박스(도시하지 않음)로 인가시킴으로써 상기 컨트롤 박스가 사기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전압 감지 링(24)의 도선과 상기 전류 감지용 코일(25)의 도선은 상기 절연체(26)에 의해 그 선단이 상기 본체(20) 내부에서 절연, 고정된 상태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공용 개폐기(10)의 개폐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박스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는 링 형상의 본체 내부에 가공용 개폐기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의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코일과 상기 가공용 개폐기를 관통하는 고압 선로의 전압을 감지하기 위한 전압 감지 링이 서로 절연 처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전주 등에 설치되는 가공용 개폐기에 종래의 변류기와 종래의 전압 감지 링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간편하게 고압 선로에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압을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변류기를 소형화 및 경량화시켜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은 전류 감지용 코일과 전압 감지 링의 배선 구조가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본 고안의 변류기는 유지보수 비용이 별도로 소요되지 않으며, 전류 및 전압을 감지하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2)

  1. 내경부(21)와 외경부(22) 사이에 상면이 개방된 요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22)의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22a,22b,22c)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본체(20)와;
    상기 내경부(21)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압 감지 링(24);
    상기 본체(20)의 요부(23) 안에서 상기 전압 감지 링(24)과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류 감지용 코일(25); 및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24)과 전류 감지용 코일(25)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20)를 밀봉하는 절연체(2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2. 내경부(21)와 외경부(22) 사이에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으로부터 상면까지 돌출된 격벽(23a)이 있는 요부(23)가 형성되어 있고, 외경부(22)의 테두리를 따라서 특정 간격으로 복수의 고정부(22a,22b,22c)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링 형상의 본체(20)와;
    상기 내경부(21)의 안쪽 면에 맞닿도록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돌출된 격벽(23a) 안쪽에 끼워져 고정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압 감지 링(24);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돌출된 격벽(23a) 바깥쪽에 배치되고 도선이 연결되는 전류 감지용 코일(25); 및
    상기 본체(20)의 요부(23)에 충전되어 상기 전압 감지 링(24)과 전류 감지용 코일(25)을 서로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면이 개방된 상기 본체(20)를 밀봉하는 절연체(26)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KR2020060014072U 2006-05-25 2006-05-25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KR200423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72U KR200423558Y1 (ko) 2006-05-25 2006-05-25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072U KR200423558Y1 (ko) 2006-05-25 2006-05-25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558Y1 true KR200423558Y1 (ko) 2006-08-08

Family

ID=41772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072U KR200423558Y1 (ko) 2006-05-25 2006-05-25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55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04B1 (ko) * 2007-04-30 2008-10-20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101100512B1 (ko) 2009-10-26 2011-1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모듈 테스트 장치에서의 전류 측정 모듈
KR101269617B1 (ko) 2012-12-20 2013-06-05 (주)신성건축사사무소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구비한 지상용 개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304B1 (ko) * 2007-04-30 2008-10-20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KR101100512B1 (ko) 2009-10-26 2011-12-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 반도체 모듈 테스트 장치에서의 전류 측정 모듈
KR101269617B1 (ko) 2012-12-20 2013-06-05 (주)신성건축사사무소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구비한 지상용 개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4066B1 (ko) 가공용 개폐기
WO2009139521A1 (en) Clamp type current sensor with rogowski coil
KR200423558Y1 (ko)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
CN1395755A (zh) 各极分别带有一电流测量装置的多极低压断路器
KR101269617B1 (ko) 전류 및 전압 감지 겸용 변류기를 구비한 지상용 개폐기
KR100406891B1 (ko) 절연가스 봉입 폐쇄 배전반간의 모선접속장치
US20150301087A1 (en) Differential current measuring module
US20100309591A1 (en) Impedance-based current sensor
EP3559963B1 (en) Combined instrument transformer for hv applications.
KR100864304B1 (ko) 슬림형 가공용 개폐기
CN1957432B (zh) 开关
CN204303473U (zh) 具有验电功能的绝缘子及变电站
KR200423104Y1 (ko) 가공용 개폐기
CN103901258A (zh) 一种支撑绝缘子式的感应高压传感器
CN201435341Y (zh) 一种真空断路器及其固封极柱
CN102522253A (zh) 一种改进的真空断路器极柱
CN102914376A (zh) 等电位测温装置
EP2850624B1 (en) Transformer with bushing compartment
KR20210092791A (ko) 개폐장치용 변류기 모듈 및 상응하는 개폐장치
CN107887793B (zh) 一种基于集成分立式Rogowski线圈的触头盒
CN215342278U (zh) 一种电子式电压互感器
KR200439071Y1 (ko) 영상변류기의 고정구조체
CN216051911U (zh) 一种电子式电压互感器
CN215868955U (zh) 一种插拔式电流互感器
CN203881837U (zh) 一种支撑绝缘子式的感应高压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