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557B1 -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 Google Patents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557B1
KR101043557B1 KR1020100004268A KR20100004268A KR101043557B1 KR 101043557 B1 KR101043557 B1 KR 101043557B1 KR 1020100004268 A KR1020100004268 A KR 1020100004268A KR 20100004268 A KR20100004268 A KR 20100004268A KR 101043557 B1 KR101043557 B1 KR 10104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ole
wires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5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1/00Power supply lines for contact with collector on vehicle
    • B60M1/12Trolley lines; Accessories therefor
    • B60M1/2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suspending trolley wires, e.g. from buildings
    • B60M1/23Arrangements for suspending trolley wires from catenary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의 전주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 전선과 완철에 대한 이설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무정전인 상태로 전주를 교체 시공하기 위한 크로스암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관 형태로 된 절곡 형상의 홀더아암과, 그 홀더아암의 일측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폴클램프와, 홀더아암의 타측단에 고정되는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판과, 회전판의 저면에 이격 고정되는 확장지지구와, 확장지지구에 체결되는 완철클램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크로스암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절연 폴과 크로스 암을 이용한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크로스 암이 전주로부터 고정 상태인 완철 또는 완철을 전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완철에 대하여 정확한 각도와 폭 그리고 길이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이고, 각 부분별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공중 또는 지상에서 체결 설치하거나 공중 또는 지상에서 분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Crossarm holder applied in uninterupted method for replacement of utility pole without temporary move of wire and crossarm}
본 발명은 가공 배전선로의 전주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 완철에 대한 임시이설을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무정전인 상태로 전주를 교체 시공하기 위한 크로스암 홀더(Crossarm holde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횡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홀더아암과 절연 폴에 장착하기 위한 폴클램프와, 완철에 장착하기 위한 완철클램프와, 완철클램프의 폭 조절을 위한 확장지지구의 결합체로 된 크로스암 홀더에 대한 것이다.
현행 가공 배전선로를 유지 보수함에 있어 차량 충돌 등으로 인한 전주의 파괴 또는 노후한 전주를 교체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이러한 경우 철거 전주의 인근에 새로운 전주를 세우고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으로 철거 전주에 설치된 완철과 전선 등을 새로운 전주에 이설하는 방법으로 작업이 이루어진다. 즉, 콘크리트에 의해 수직 길이방향으로 양생된 콘크리트 전주의 경우 차량 등의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충돌부위에 부분 파손이 발생하거나 전주 자체가 꺾이는 등의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며, 콘크리트 재질의 내구 연한을 넘기는 경우에는 급속하게 노후하므로 이와 같은 전주의 경우 역시 새로운 전주로 교체 시공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전주를 교체하고자 할 때 철거될 전주 인근에 신설전주를 건주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교체될 전주가 철거된 그 자리에 신설전주를 건주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때는 전주교체 활선공법이나 전기한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하여 가지지장치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이나 바이패스 케이블을 이용한 임시송전공법을 적용하여 시공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815836호와 같은 폴 클램프 및 폴 크러셔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콘크리트 전주의 무정전 커팅 교체 시공법을 제안한 바 있고, 2009년 특허출원 제114283호와 같은 폴 클램프와 절연 폴에 의한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법을 안출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폴 클램프를 이용한 전주 커팅 교체 시공법과 상기와 같은 폴 클램프와 절연 폴에 의한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법은 물론 종래의 가지지장치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이나 바이패스 케이블을 이용한 임시송전공법 모두 기존전주로부터 전선과 완철을 임시로 가이설한 후 신설전주로 재이설하거나, 컷팅된 기존전주로부터 신설전주로 이설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기존 저주를 재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고, 통상적으로 전주 상에는 각종 전선과 애자 및 이들을 전주 상에 고정시키는 완철이 설치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와 같은 완철을 기존전주로부터 가이설한 상태에서 재차 전선과 완철을 신설전주로 이설하는 작업은 매우 위험할 뿐더러 활선 상태이므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소지를 갖고 있는 것이며, 모든 완철에 대한 해체와 재설치를 하는 과정에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됨은 물론 많은 수의 작업자가 동원되는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어,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10년 특허출원 제4267호와 같이 전선과 완철을 임시이선하지 않고 시공할 수 있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을 제안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기존의 이설식 전주교체공법이 갖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선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에 적용된 완철 홀더는 다양한 작업 현장의 상황에 따라 가변성이 크게 떨어져 체결 각도의 변경이나 폭 또는 길이의 조정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현장 상황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완철 홀더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인 것이다.
즉, 기존 배전선로의 전주 상에 설치되는 완철은 설치 작업자 또는 체결수단에 따라 설치 폭이 전주마다 서로 다를 수 있고, 완철에 대하여 고정 설치되는 애자 및 전선의 위치에 따라 클램핑되어야 할 부분이 변경되어야 할 것이며, 오거크레인의 접근성에 따라 절연 폴에 장착된 완철 홀더에 대한 장착 각도의 조정이 필요한 것이고, 다단 선로인 경우에는 상,하 위치하는 완철 홀더에 대한 장착 각도의 조정이나 기타 작업 효율성의 측면에서 체결 각도나 폭 또는 길이의 조절이 매우 절실한 것이다.
이에, 기존의 완철 홀더는 단순히 절연 폴과 완철을 고정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전기한 바와 같은 각도의 조절이나 폭 조절 및 길이의 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작업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이중관 형태로 된 절곡 형상의 홀더아암과, 그 홀더아암의 일측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폴클램프와, 홀더아암의 타측단에 고정되는 각도조절을 위한 회전판과, 회전판의 저면에 이격 고정되는 확장지지구와, 확장지지구에 체결되는 완철클램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크로스암 홀더를 구비함으로써,
홀더아암에 의해서는 횡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폴클램프에 의해서는 절연 폴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회전판에 의해서는 완철에 대한 홀더아암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확장지지구에 의해서는 완철의 폭에 따른 완철클램프 간의 이격 폭이 조절되게 하며, 완철클램프에 의해서는 전주에 설치된 완철과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전선과 완철을 임시이선하지 않고 무정전 전주교체를 수행하는 동안 상기의 완철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크로스암 홀더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에 장착되는 절연 폴과 전주 상의 완철을 서로 체결 고정하여 전선과 완철을 임시이선하지 않고 무정전 전주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 크로스암 홀더에 있어서, 상기의 크로스암 홀더는 일단이 하향 절곡되어진 홀더아암과 홀더아암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폴클램프와 홀더아암의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확장지지구와 상기 확장지지구에 체결되는 완철클램프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연 폴과 크로스 암을 이용하여 전선과 완철을 임시이선하지 않고 안전하게 고정시켜 무정전 전주교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크로스 암이 전주로부터 고정 상태인 완철 또는 완철을 전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완철에 대하여 정확한 각도와 폭 그리고 길이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매우 향상되는 것이고, 각 부분별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여 현장 여건에 따라 공중 또는 지상에서 체결 설치하거나 공중 또는 지상에서 분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다단선로의 경우 완철에 대한 높이 차 또는 설치 각도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성 역시 매우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를 이용한 전선 임시이선이 없는 전주교체 공법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폴클램프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홀더아암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홀더아암 작동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각도 조절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각도 조절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확장지지구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확장지지구 작동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완철클램프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다단선로에 대한 사용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다단선로에 대한 각도 조절상태의 사용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를 이용한 전선 임시이선이 없는 전주교체 공법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H)는 오거크레인(100)의 붐(Boom) 단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절연 폴(110)과 전주(130) 상의 완철(120)을 클램핑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의 오거크레인(100)을 교체하고자 하는 전주 인접지로 이동시킨 후 절연 폴(110)과 완철(120)을 상기의 크로스암 홀더(H)로 체결 장착한 상태에서 교체하고자 할 전주로부터 완철(120)을 분리시킨 후 오거크레인(100)의 작동을 통해 상기의 완철(120)이 교체하고자 하는 전주로부터 완전히 이격 분리되게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기존전주를 제거한 후 신설전주를 세워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절연 폴(110)과 크로스암 홀더(H)에 의해 공중 고정된 상태인 기존의 완철(120)을 상기 신설전주로 바로 이설함에 따라 완철에 대한 전선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H)는, 비이설식 무정전 전주교체를 위한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장치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H)는, 전선 및 애자 등을 포함하고 있는 완철(120)의 하중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아암(10)과, 그 홀더아암(10)을 절연 폴(110)에 장착하기 위한 폴클램프(20) 및 상기의 완철(120)에 직접 클램핑되는 완철클램프(40)(40')와, 상기 완철클램프(40)(40')를 홀더아암(10)의 하단에 장착하기 위한 확장지지구(30)(30')의 결합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홀더아암(10)은 이중관체로 만들어져 있어 횡방향으로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고 있고, 폴클램프(20)는 홀더아암(10)으로부터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면서도 절연 폴(110)에 대하여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또한 확장지지구(30)(30')는 양측으로 출몰되는 체결축(31)(31')을 갖고 있어 이에 의해 완철(120)의 설치 폭에 따라 완철클램프(40)(40')의 체결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결합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완철클램프(40)(40')는 전주(130) 상의 완철(1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확장지지구(30)(30')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H)는 상기 홀더아암(10)으로부터 상기의 확장지지구(30)(30')가 수평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도록 하여 체결 위치나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의 가변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크로스암 홀더(H)의 각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4의 도시와 같이, 전기한 폴클램프(20)는 홀더아암(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임시로 체결되거나 분리 가능한 결합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폴클램프(20) 자체는 평면상 반원형으로 된 체결판(21)(21')이 분할 상태로 서로 대향되어 있는 것인데, 이들 체결판(21)(21')의 일측 마주하는 끝단에는 힌지핀(22)에 의해 서로 회전 개폐되도록 결합되어 있고 이들 체결판(21)(21')의 타측 마주하는 끝단에는 별도의 체결고정구(23)에 의해 분할된 체결판(21)(21')을 서로 결속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체결판(21)(21') 중 외향 회전 전개가 가능한 것을 펼쳐 내부가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의 폴클램프(20)를 절연 폴(110)에 장착한 후 체결고정구(23)를 이용하여 절연 폴(110)과 폴클램프(20)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폴클램프(20)와 홀더아암(10)은 분리 가능한 결합구조를 갖고 있는 것인데, 상기 폴클램프(20)의 일측 체결판(21)(21')에는 수평면을 갖는 안내판(25)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안내판(25)의 양측에는 안내관(24)을 수직으로 돌출 형성하며, 상기의 홀더아암(10)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안내판(25)과 대응 밀착되는 장착판(18)을 형성하고 그 장착판(18)의 양측에는 상기 안내관(24)과 회피되면서도 수직으로는 일치하는 중심공을 갖는 끼움관(17)을 돌출 형성함에 따라 이들 폴클램프(20)의 안내판(25)과 홀더아암(10)의 장착판(18)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직으로 서로 일치하는 안내관(24)과 끼움관(17)으로 별도의 고정핀(26)을 삽입 형성함에 따라 이들 홀더아암(10)과 폴클램프(20)의 상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홀더아암(10)과 폴클램프(20)의 결합 및 분리의 구성은 현장 여건에 따라 이들을 지상에서 미리 체결시켜 공중으로 이동시키거나 공중에서 홀더아암(10)과 폴클램프(20)를 직접 체결 장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암 홀더(H)의 홀더아암(10)을 단면 도시한 것으로서, 도 6은 이와 같은 홀더아암(1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작동 상태 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의 홀더아암(10)은 폴클램프(20)와 체결되는 측의 수평관(11)과 완철(120)에 체결되는 측의 절곡관(12)의 이중 결합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절곡관(12)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홀더아암(10)의 내측을 향하여 별도의 회전나사축(13)이 삽입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의 수평관(11) 내측에는 수평으로의 안내관(14)이 고정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관(14)의 끝단에는 나사캡(15)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의 회전나사축(13)이 그 나사캡(15)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의 회전나사축(13)은 절곡관(12)의 내측으로부터 유동하지는 않으나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인데, 상기 절곡관(12)의 내측에 베어링고정판(16)을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의 회전나사축(13)을 베어링고정판(16)에 끼워 조립하면 상기의 회전나사축(13)은 내장된 베어링(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을 통해 자유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관(11)과 절곡관(12) 및 회전나사축(13)과 나사캡(15)의 결합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진 회전나사축(13)을 강제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나사축(13)은 나사캡(15)과의 나사 결합구조로 인해 절곡관(12)이 수평관(11)으로부터 근접되거나 이격되는 유동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는 홀더아암(10)에 대한 횡방향으로의 길이 조절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기의 홀더아암(10) 하단에 별도의 확장지지구(30)(30')가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확장지지구(30)(30')는 완철클램프(40)(40')가 장착되는 부분인데, 이 확장지지구(30)(30')는 홀더아암(10)의 하단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홀더아암(10)의 하단에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슬릿공(51)(51')이 형성된 체결판(50)을 고정 형성하고, 그 체결판(50)의 하측에는 상기 슬릿공(51)(51')과 대응하는 나사공(52)(52')이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회전판(53)을 위치시키되, 이들 체결판(50)과 회전판(53)은 슬릿공(51)(51')의 상측으로부터 하향 체결되는 별도의 체결볼트(54)(54')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53)의 저면에는 전기의 확장지지구(30)(30')가 서로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결국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회전판(53)의 회전을 통해 홀더아암(10)에 대한 확장지지구(30)(30')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체결볼트(54)(54')를 느슨하게 풀면 체결판(50)으로부터 회전판(53)이 슬릿공(51)(51')으로 인해 소폭으로의 회전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회전 유동구조로 인해 상기의 회전판(53)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한 상태에서 체결볼트(54)(54')를 견고하게 조여 각도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홀더아암(10)으로부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확장지지구(30)(30')는 오거크레인과 완철과의 대향 각도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등 다양한 현장 상황에 따라 필요할 것이므로 더욱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H)에서의 확장지지구(30)(30')에 대한 전체 단면 및 요부 확대 단면 작동도로서, 상기의 확장지지구(30)(30')는 홀더아암(10)의 하단에 장착되는 고정몸체(32)와 그 고정몸체(32)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출몰 작동되는 체결축(31)(31')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몸체(32)는 홀더아암(10)의 하단 저면에 직접 고정되거나 전기한 바와 같은 회전판(53)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체결축(31)(31')은 완철클램프(40)(4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완철클램프(40)(40')가 체결축(31)(31')에 고정된 상태에서 체결축(31)(31')에 대한 출몰 작동이 이루어지면 결국 상기 완철클램프(40)(40')에 대한 폭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체결축(31)(31')은 고정몸체(32)의 측부 내측에 형성된 조절안내관(34)과 나사 결합된 상태의 조절나사축(33)과 고정된 상태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나사축(33)은 상기의 체결축(31)(31')으로부터 유동하지는 않으나 자유 회전은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다양한 베어링 결합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체결축(31)(31')의 일측 끝단으로 노출된 상태의 조절나사축(3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의 조절나사축(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절안내관(34)을 따라 조절나사축(33)이 고정몸체(32)의 내측으로 삽입되거나 외향 돌출됨에 따라 결국 상기 체결축(31)(31')에 대한 고정몸체(32)로부터의 출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양측으로 출몰되는 체결축(31)(31')을 갖는 고정몸체(32)를 홀더아암(10)에 대하여 나란하게 2개체를 고정 설치하는 경우 이들 2개체에 의한 확장지지구(30)(30')로부터 4방향의 체결축(31)(31')이 형성될 것이므로 이들 체결축(31)(31')을 이용하여 4개체의 완철클램프(40)(40')를 결합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나란한 2개의 완철클램프(40)(40')를 하나의 완철(120)에 끼워 고정하고 나머지 2개의 완철클램프(40)(40')를 또 다른 완철(120)에 끼워 고정하면 통상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2개체의 완철(120)에 대한 2점 지지방식의 고정구조가 완성되므로 매우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완철(120)을 고정 및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크로스암 홀더(H)을 형성하기 위한 완철클램프(40)(40')의 전체 사시도로서, 상기 완철클램프(40)(40')는 내부가 사각 형태로 된 끼움틀(41)을 구비하고 그 끼움틀(41)의 일측은 개방시켜 그 개방부에 선단이 상기의 끼움틀(41)과 힌지 결합된 별도의 개폐판(44)을 결합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틀(41)의 하부에는 끼움틀(41)의 내측으로부터 상,하 승강되는 가압판(42)을 나사 결합하여 된 것이고, 상기 개폐판(44)에는 외면으로부터 승강 가능한 걸림핀(45)을 결합 형성하여 끼움틀(41)의 하부 일측으로 상향 돌출 형성된 걸림턱(46)에 상기의 걸림핀(45)이 안치되면서 개폐판(44)의 외향 전개가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거나 상기의 걸림핀(45)을 상승시켜 걸림턱(46)으로부터 이탈되게 하면 상기의 개폐판(44)이 외향 회전되면서 끼움틀(41)의 일측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완철클램프(40)(40')를 완철(120)에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걸림핀(45)을 들어올려 개폐판(44)을 들어올린 후 개방된 끼움틀(31)의 내측으로 완철(120)이 위치하도록 한 후, 상기의 개폐판(44)을 하향 회전시켜 걸림핀(45)의 하단이 걸림턱(46)에 계지되게 하여 끼움틀(41)과 완철(120)이 서로 임의 분리되지 않게 한 상태에서, 끼움틀(41) 하부의 가압판(42)을 상측으로 회전 상승시켜 가압판(42)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그 끼움틀(41)과 완철(120)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끼움틀(41)은 상측의 결속구(43)에 의해 확장지지구(30)(30')의 체결축(31)(31') 상에 견고하게 체결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끼움틀(41) 상부 외면에 형성된 별도의 결속구(43)는 완철클램프(40)(40')를 확장지지구(30)(30')의 체결축(31)(31')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상기의 결속구(43)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개폐가능한 클램핑 수단을 적용하면 될 것이므로 그 결속구(4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결속구(43)와 끼움틀(41)은 상호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에 의해 이들을 결합 형성함에 따라 결속구(43)를 확장지지구(30)(30')에 고정한 상태에서 하부 끼움틀(41)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이상적일 것이다.
이에 따라,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폴클래프(20)를 이용하여 홀더아암(10)을 오거크레인(100)에 장착된 절연 폴(1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완철클램프(40)(40')를 이용하여 전주(130) 상의 완철(120)을 견고하게 상호 고정시키면 전선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기의 완철(120)이 다단선로와 같이 단일 전주(130)에 대하여 상,하로 이중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의 절연 폴(110)에 대하여 2개체의 크로스암 홀더(H)을 장착하여 이들 상,하의 완철(120)을 동시에 임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크로스암 홀더(H)는 홀더아암(10) 자체의 길이 가변 및 회전판(53)에 의한 각도 조절은 물론 완철클램프(40)(40') 자체의 회전 구조로 인해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한 가변 실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상호 간의 견고한 체결구조로 인하여 전주가 교체될 때까지 공중에서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다단선로의 경우에서 상,하로 위치하는 완철(120)이 동일한 각도로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도 13의 도시와 같이 폴클램프(20)와 절연 폴(110) 간의 각도 조정 및 홀더아암(10)과 확장지지구(30)(30')에 의한 미세 각도 조정을 통해 완철(120)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 그대로 기존전주(130)로부터 분리시켜 신설전주에 그대로 재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홀더아암 11 : 수평관
12 : 절곡관 13 : 회전나사축
14 : 안내관 15 : 나사캡
16 : 베어링고정판 17 : 끼움관
18 : 장착판
20 : 폴클램프 21,21' : 체결판
22 : 힌지핀 23 : 체결고정구
24 : 안내관 25 : 안내판
26 : 고정핀
30,30' : 확장지지구 31,31' : 체결축
32 : 고정몸체 33 : 조절나사축
34 : 조절안내관
40,40' : 완철클램프 41 : 끼움틀
42 : 가압판 43 : 결속구
44 : 개폐판 45 : 걸림핀
46 : 걸림턱
50 : 체결판 51,51' : 슬릿공
52,52' : 나사공 53 : 회전판
54,54' : 체결볼트
H : 크로스암 홀더
100 : 오거크레인 110 : 절연 폴
120 : 완철 130 : 전주

Claims (10)

  1. 오거크레인(100)에 장착되는 절연 폴(110)과 전주(130) 상의 완철(120)을 서로 체결 고정하여 전선과 완철에 대한 임시이선이 없이 무정전 전주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한 크로스암 홀더(H)에 있어서,
    상기의 크로스암 홀더(H)는, 일단이 하향 절곡되어진 홀더아암(10)과; 홀더아암(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폴클램프(20)와; 홀더아암(10)의 타측 끝단에 위치하는 확장지지구(30)(30')와; 상기 확장지지구(30)(30')에 체결되는 완철클램프(40)(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홀더아암(10)은, 절연 폴(110)을 향하는 수평관(11)과 완철(120)을 향하는 절곡관(12)으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절곡관(12)의 일측은 수평관(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수평관(11)으로부터 출몰되며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평관(11)의 내측에는 일측 끝단이 절곡관(12)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 회전나사축(13)을 나사 결합 형성하고, 상기 회전나사축(13)은 절곡관(12)의 내측으로부터 자유회전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회전나사축(1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절곡관(12)이 수평관(11)으로부터 근접 유동하거나 이격 유동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3. 제 2항에 있어서,
    수평관(11)의 내측에는 수평의 안내관(14)을 고정 형성하고 그 안내관(14)의 끝단에는 나사캡(15)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나사캡(15)에 회전나사축(13)이 결합되게 하고, 절곡관(12)의 내측에는 베어링고정판(16)을 고정 형성하여 베어링고정판(16)의 중앙부로부터 회전나사축(13)이 자유 회전되도록 삽입 고정함에 따라, 회전나사축(13)의 회전을 통해 절곡관(12)이 수평관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폴클램프(20)는, 반원형의 체결판(21)(21')을 서로 대향 형성하여 이들 체결판(21)(21')의 일측은 힌지핀(22)에 의해 전개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고, 상기 체결판(21)(21')의 타측은 체결고정구(23)에 의해 결속 및 분리되게 하되, 일측 체결판(21)은 전기한 홀더아암(10)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5. 제 1항에 있어서,
    홀더아암(10)는 일측 끝단에 양측으로 끼움관(17)이 돌출된 장착판(18)을 형성하고, 폴클램프(20)는 일측 끝단에 양측으로 안내관(24)이 돌출된 안내판(25)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판(18)과 안내판(25)의 밀착 상태에서 수직으로 일치하는 끼움관(17)과 안내관(24)에 별도의 고정핀(26)을 삽입하여 홀더아암(10) 및 폴클램프(20)에 대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6. 제 1항에 있어서,
    확장지지구(30)(30')는 장방형 고정몸체(32)와 그 고정몸체(32)의 양측 내부로부터 출몰 유동하는 체결축(31)(31')으로 구성하되, 상기 체결축(31)(31')의 내측에는 일측 끝단이 체결축(31)(31')으로부터 노출되도록 한 조절나사축(33)이 체결축(31)(31')으로부터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 형성하고, 상기 조절나사축(33)은 고정몸체(32)에 양단 내측으로부터 고정된 조절안내관(34) 내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조절나사축(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체결축(31)(31')이 고정몸체(32)로부터 출몰 유동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7. 제 6항에 있어서,
    확장지지구(30)(30')는, 홀더아암(10)의 끝단으로부터 2개체가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이격 형성하고, 그 확장지지구(30)(30')의 양측으로는 체결축(31)(31')을 각기 돌출 형성하여, 상기의 완철클램프(40)(40')는 4개체가 이격된 확장지지구(30)(30')의 체결축(31)(31')에 대하여 각기 고정됨에 따라 서로 나란한 완철(120)에 대한 안정된 2점 지지구조가 실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8. 제 1항에 있어서,
    완철클램프(40)(40')는, 사각틀체로 된 끼움틀(41)과 그 끼움틀(41)의 저면으로부터 나사 체결되어 끼움틀(41)의 내측으로 승강되는 가압판(42)을 갖고, 끼움틀(41)의 상부에는 개폐 결속이 가능한 결속구(43)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끼움틀(41)과 가압판(42)에 의해서는 완철(120)이 삽입 고정되게 하고 상기 결속구(43)에 의해서는 완철클램프(40)(40')가 확장지지구(30)(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9. 제 8항에 있어서,
    끼움틀(41)은 일측을 개방하여 그 개방부에 선단이 끼움틀(41)과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44)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개폐판(44)의 외측 중앙에는 승강 가능한 걸림핀(45)을 결합 형성하고, 걸림핀(45)의 하단과 상응하는 끼움틀(41)의 하부 일측에는 걸림턱(46)을 상향 돌출 형성하여, 상기 걸림핀(45)의 상승시 개폐판(44)이 외향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10. 제 1항에 있어서,
    홀더아암(10)의 일측 끝단에는 별도의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의 슬릿공(51)(51')이 형성된 체결판(50)을 고정 형성하고, 그 체결판(50)의 하측에는 저면에 확장지지구(30)(30')가 고정 형성되고 상면에는 중앙으로부터 방사상으로의 나사공(52)(52')을 갖는 회전판(53)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의 회전판(53)은 체결판(50)의 슬릿공(51)으로부터 나사공(52)(52')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4)(54')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체결판(50)과 상호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KR1020100004268A 2010-01-18 2010-01-18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KR10104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268A KR101043557B1 (ko) 2010-01-18 2010-01-18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268A KR101043557B1 (ko) 2010-01-18 2010-01-18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557B1 true KR101043557B1 (ko) 2011-06-22

Family

ID=4440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268A KR101043557B1 (ko) 2010-01-18 2010-01-18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55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42Y1 (ko) 2013-11-21 2014-04-08 주식회사 성지산업 교통 신호등 고정용 연결구
KR101412759B1 (ko) 2014-02-28 2014-06-30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154kV, 345kV 가공송전선로 공중이설장치
CN104538888B (zh) * 2014-12-03 2017-03-29 国家电网公司 一种配网线路直线杆横担带电更换方法
CN110107142A (zh) * 2019-05-22 2019-08-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州市供电公司 一种电杆加固预警装置
KR102173377B1 (ko) 2020-06-10 2020-11-03 김정호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KR102173378B1 (ko) 2020-06-10 2020-11-03 김정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KR102173375B1 (ko) 2020-03-30 2020-11-03 김정호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CN113580058A (zh) * 2021-07-20 2021-11-02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防风线夹的快速更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311U (ko) 1985-11-14 1987-05-29
JPH0366516U (ko) * 1989-10-31 1991-06-27
JPH0428717U (ko) * 1990-06-28 1992-03-06
KR100815836B1 (ko) 2007-12-28 2008-03-24 대원전기 주식회사 폴 클램프 및 폴 크러셔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콘크리트전주의 무정전 커팅 교체 시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311U (ko) 1985-11-14 1987-05-29
JPH0366516U (ko) * 1989-10-31 1991-06-27
JPH0428717U (ko) * 1990-06-28 1992-03-06
KR100815836B1 (ko) 2007-12-28 2008-03-24 대원전기 주식회사 폴 클램프 및 폴 크러셔를 이용한 배전선로용 콘크리트전주의 무정전 커팅 교체 시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42Y1 (ko) 2013-11-21 2014-04-08 주식회사 성지산업 교통 신호등 고정용 연결구
KR101412759B1 (ko) 2014-02-28 2014-06-30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154kV, 345kV 가공송전선로 공중이설장치
CN104538888B (zh) * 2014-12-03 2017-03-29 国家电网公司 一种配网线路直线杆横担带电更换方法
CN110107142A (zh) * 2019-05-22 2019-08-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莱州市供电公司 一种电杆加固预警装置
KR102173375B1 (ko) 2020-03-30 2020-11-03 김정호 배전선로용 전선이선장치 및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KR102173377B1 (ko) 2020-06-10 2020-11-03 김정호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KR102173378B1 (ko) 2020-06-10 2020-11-03 김정호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CN113580058A (zh) * 2021-07-20 2021-11-02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防风线夹的快速更换装置
CN113580058B (zh) * 2021-07-20 2022-07-05 合肥工业大学 一种用于防风线夹的快速更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3557B1 (ko)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CN203747356U (zh) 一种应用于电缆隧道的全方位转动支架
MXPA03011498A (es) Dispositivo para cambiar alambres dentro de postes electricos y metodo de distribucion de energia sin fallas de energia.
KR101757195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0857774B1 (ko)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폴클램프 장치
CN105977890A (zh) 一种孔径可调的悬挂线夹
KR101579183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전신주 교체 방법이 적용된 가공배전선로 교체 장치
KR20160142227A (ko) 배전선로용 쇄클
KR101864309B1 (ko)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20230013795A (ko) 가변형 가지지크리트 구조체
KR101540991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이 적용된 배전선로 교체 장치
CN116345370B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电缆架设桥架结构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100737981B1 (ko) 케이블 선로 가변기능을 갖는 배전탑
CN102996585A (zh) 用于变压器安装副杆上的抱箍及变压器台架装配方法
CN103683096A (zh) 多向放线滑车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20190095831A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이동식 가완목 2 장치 및 공법
KR101043559B1 (ko) 절연 폴과 완철 홀더를 이용한 전선 가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
CN205141528U (zh) 一种三角钢固定架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857775B1 (ko)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폴크러셔 장치
AU2015249876B2 (en) Temporary transfer bus
CN210224859U (zh) 一种电力施工工程用电缆分类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