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786Y1 -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 Google Patents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786Y1
KR200252786Y1 KR2020010017461U KR20010017461U KR200252786Y1 KR 200252786 Y1 KR200252786 Y1 KR 200252786Y1 KR 2020010017461 U KR2020010017461 U KR 2020010017461U KR 20010017461 U KR20010017461 U KR 20010017461U KR 200252786 Y1 KR200252786 Y1 KR 200252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haft
pole
clamp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7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786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 구 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전선 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할 수 있게 한 전선이선기구 관한 것으로,
완금에 고정키 위한 지지판과 고정볼트로 되는 완금고정수단과, 전선이선용 롤러와 아암체로 된 전선이선수단과, 전선이선수단을 완금고정수단에 축설하여 회전아암체가 회전 신축자재되게 하기 위한 아암고정구, 축봉과 축파이프, 축지지용 클램프, 위치고정구로 되는 축회전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구성하여,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지 않은 무정전으로 전주의 배전공사를 실시할 수 있게 한것이다.

Description

전주내 전선이선기구{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각 전주에 설치되는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신, 구 전선간의 바이패스에 의한 순차적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전선 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할 수 있게 한 전선이선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도 9의 도시와 같이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기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바켓트럭 및 활선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바이패스케이블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전기용량이 5,000KW를 초과하는 배전선로는 기존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작업시에 기존 케이블 공법용 케이블의 허용용량이 5,000KW이하이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용량을 5,000KW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타 배전선로로 전력부하를 절체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고, 효과적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한 전주에 상하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는 상단 배전선로의 작업을 현행 무정전 공법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한 배전공사에는 많은 공사인력이 필요하고, 50m로 규격화되어 있는 바이패스케이블을 200∼300m 구간에 설치하기 위해 대단히 위험한 특별고압의접속점을 많이 만들게 되어 접속불량과 접속점의 방호장치등을 사용하여야 되고, 설치와 철거를 자주 반복하므로서 많은 인건비의 낭비와 바이패스 케이블의 손상이 가속되어 안전을 더욱 위협하는 위험물이 되고, 안전사고나 불시 정전사고가 난다면 고가의 비용으로 전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 반하고 더 많은 민원과 경제적 손실 및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리한 부하 절체작업으로 불안한 배전선로 계통운영과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의 상단선로는 무정전공법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저,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 및 전선연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교체 및 이설전선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신구 전선간의 전기의 분리 연결에 의해 별도의 바이패스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가 끊기지 않는 무정전으로 신구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여 전력부하 절체작업없이 2회선 이상의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과 또한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을 변압기 교체시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신기술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공사가 가능하게 하며 공사중이더라도 바이패스 케이블로 인한 보행자의 보행이나 차량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무정배전공법 실시설명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인류주 및 내장주용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
도 3 은 본 고안의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
도 4 는 본 고안의 완금연장용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
도 5 는 본 고안의 LP애자용 전선연선기구의 실시예도
도 6 운 본 고안의 전선간격 유지구의 실시예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고안에 의한 전선이선설명도로서,
도 7a는 현수애자의 전선이선 설명도
도 7b는 LP애자의 전선이선 설명도
도 7c는 보조아암에 의한 전선이선 설명도
도 7d는 전선연선기구에 의한 전선연선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의 전선이선기구의 전선이완 설명도
도 9 는 종래 무정전 배전공법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완금 2 : 현수애자
3 : LP애자 10 : 완금고정수단
11, 11' : 지지판 11b : 위치고정구 안전핀
11s : 위치고정구 지지수단 12 : 고정볼트
20 : 전선이선수단 21, 21' : 롤러
22, 22' : 활선장선기용 고리 23, 23' : 아암체
24 : 높이조절용 클램프 30 : 축회전수단
31 : 아암고정구 31c : 아암고정용 클램프
32 : 축봉 33 : 축파이프
33s : 축파이프 스플라인 34 : 축봉 고정용 클램프
35 : 위치고정구 35s : 위치고정구의 스플라인
35c, 35c' : 플랜지 고정나사구멍 35f : 플랜지
36 : 축지지부 37 : 스토퍼
38 : 축봉 39 : 클램프
39p : 패드 40 : 완금연장수단
41 : 완금용 지지판 42 : 삽입구
43 : 연장아암 44 : 활선장선기용 고리
45, 45' : 완금고정용 핀 46 : LP애자용 구멍
60 : 상부지지수단 61, 61' : 지지브라켓
*62 : 상부롤러 63 : 손잡이
64 : 결합홈 65 : 수직롤러
66 : 수직지지수단 70 : 애자결합수단
71 : 패드 72 : 나사상 조임클램프
80 : 개폐수단 81 : L자형 롤러지지구
82 : 세로롤러 83 : 록킹부
84 : 하측롤러 90 : 간격봉
91 : 연선롤러 92 : 전선클램프
93 : 플라스틱 볼트 94 : 전선
이하, 전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기술수단을 첨부도면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무정전공법에 의한 배전공법은 도 1 의 도시와 같이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 바이패스 케이블공법, 공사용 개폐기공법을 사용하지 않고 전선이선기구만을 사용하는 신기술이다.
전주내에서 전선을 이선키 위한 기구는, 완금에 고정키 위한 지지판과 고정볼트로 되는 완금고정수단과, 전선이선용 롤러와 아암체로 된 전선이선수단과, 전선이선수단을 완금고정수단에 축설하여 아암체가 회전 신축자재되게 하기 위한 아암고정구, 축봉과 축파이프, 축지지용클램프, 위치고정구로 되는 축회전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선이선기구를 그 용도별로 구체적으로 보면,
도 2 는 현수애자가 설치된 인류주 및 내장주에 설치할 목적으로 된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이다.
완금고정수단(10)의 ㄷ자형 지지판(11)(1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그 하측에 고정볼트(12)를 나사삽입한다.
전선이선수단(2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2단으로 형성된 절연재질의 아암체(23)(23') 상단에 일측부가 전개가능한 롤러(21)(21')를 설치하고, 상하아암체(23)(23')의 연결부는 높이조절용 클램프(24)로 결합 형성하고, 높이 조절 클램프(24) 측면에 활선장선기용 고리(22)(22')를 형성한다.
축회전수단(30)은, 클램프(31c)가 형성된 원통체상의 아암고정구(31) 양측에 각각 축봉(32)과, 내부면에 스플라인(33s)이 형성된 축파이프(33)를 용착 형성하고, 이를 지지판(11)(11')의 상부에 결합 형성된 축지지용 클램프(34)에 삽입되게하되, 축파이프(33)측에는 외주면에 스플라인(35s)과 플랜지(35f)가 형성된 위치고정구(35)를 삽입되게 하고, 지지판(11)의 측면에 위치고정구 지지수단(11s)과 위치고정구 안전핀(11b)이 설치된 것이다.
도 3 은 핀장주에 사용될 목적의 전선이선용 기구의 실시예이다.
완금고정수단(10)의 ㄷ자형 지지판(11)을 일측으로만 형성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축회전수단(30)은 축지지부(36)에 스토퍼(37)에 의해 일정구간 회전가능한 스프링이 내장된 축봉(38)을 삽입하여 그 선단에 절연재질의 아암체(23) 결합용 패드(39p)가 부착된 클램프(39)를 장착한다.
도 4 는 전선이선기구를 완금 외측에서 사용하기 위해 완금을 외측으로 연장하는 보조아암으로 된 전선이선기구의 실시예도이다.
그 완금연장수단(40)은 완금용 지지판(41)과 삽입구(42) 및 완금고정용 핀(45)(45')으로 된 결합부와, 활선 장선기용 고리(44)와 LP애자용 구멍(46)이 형성된 절연재질의 연장아암(43)으로 되어 있다.
도 5 는 LP애자용 전선연선기구의 실시예도이다.
전후에 지지브라켓(61)(6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상부롤러(62), 상부에는 손잡이(63)가 설치된 상부지지수단(60)과,
전기한 후측 지지브라켓(61')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축설되고 같은 방향으로 수직롤러(65)가 축설된 수직지지수단(66)과,
수직지지수단(66)과 동축상으로 회전하며 애자의 상부에 결합되게 한 반원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절연재질의 패드(71)와, 나사상 조임클램프(72)를 갖는 애자결합수단(70)과,
애자결합수단(70)의 외측에 L자형 롤러지지구(81)를 수평방향으로 축설하여 회동시 세로롤러(82)는 그 선단의 스프링이 내장된 록킹부(83)에 의해 전측 지지브라켓(61)의 결합홈(64)에 끼워지게 하고, 하측롤러(84)는 패드(71)의 상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게 한 개폐수단(8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6 은 신구전선간의 간격유지기구의 실시예도이다.
간격봉(90)의 일측에는 개방이 가능한 연선롤러(91)를 형성하고, 일측은 전선클램프(92)와 간격봉과 경사각을 갖는 플라스틱 볼트(93)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전선이선기구를 공정별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선이선설치기구의 설치공정은, 각 전주의 장주형태에 따라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한다.
예컨데, 현수애자(2)가 설치되어 그 현수애자(2)에 전선이 연결된 인류주 및 내장주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류주 및 내장주용 전선이선기구를 완금고정수단(10)의 지지판(11)(11')을 완금(1)에 끼워 고정볼트(12)로 고정하되,
축회전수단(30)에 의해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작업에 필요각도를 맞추는데 클램프(34)에 지지된 축봉(32) 및 축파이프(33)를 축점으로 회전시킨 후, 축파이프(33)의 내면에 형성된 축 파이프 스플라인(33s)에 대하여 위치고정구의 스플라인(35s)와 플랜지(35f)가 형성된 위치고정구(35)를 끼우므로서 서로 맞물려 고정되므로서, 소정의 필요한 위치에서 고정시키고, 상하아암체(23)(23')의 길이(높이)조정은 하부 아암체(23')는 아암고정용 클램프(31c)로 고정하고, 상부아암체(23)는 높이조절클램프(24)로 조정하여 고정하는 것이며,
인류주 및 내장주의 중간에 설치되며, 완금(1)에 LP애자(3)를 설치하여 전선이 걸쳐서 통과되게 한, 핀장주에는 도 3의 도시와 같은 핀장주용 전선이선기구를 역시 그 완금고정수단(10)인 지지판(11)과 고정볼트(12)에 의해 완금에 고정한다.
또 전선의 위치나 작업여건에 따라 전기한 전기이선기구를 완금의 외측에 설치할 필요가 있을 시에는 완금의 끝단부에 도 4 의 도시와 같은 완금연장수단(40)을 그 완금용 지지판(41) 및 삽입구(42) 및 완금고정용 핀(45)(45')에 의해 완금과 결합하여 그 연장아암(43) 완금(1)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게 하여 이에 전선이선기구를 장착하므로서 전선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선이선기구가 설치완료된 후, 실시하는 전선이선공정은, 인류주 및 내장주의 현수애자(2)에서 데드앤드 클램프를 풀어 철거할 전선은 활선장선기용 고리(22)(22')에 활선용 장선기를 걸어서 이선하고, 점퍼선은 절연연선롤러(21)(21')에 끼운 후, 도 7a의 도시와 같이 철거 및 이설할 전선이 전주내의 타위치로 옮겨진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축봉(32)과 클램프(34)가 서로 고정 또는 분리가능하므로 위치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길이 조정이 가능하여 완금의 넓이가 약간 다르더라도 적용 가능하며, 그 축회전수단(30)과 기존의 현수애자(2)와의 거리에 따라 회전아암수단의 아암체(23)에 형성된 점퍼아암고정용 클램프(24)와 아암고정용 클램프(31c)에 의해 두 아암체(23)(23')의 삽입길이를 이동시킨 후 고정시키므로서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다.
또 핀장주의 경우 도 7b의 도시와 같이 LP애자의 측부에 고정된 전선이선기구의 아암체(23') 상단의 전개 가능한 롤러(21)에 의해 그 롤러(21)(21') 내측으로 전선을 수용되게 한 후 LP애자의 바인드를 풀고 그 축회전수단(30)을 타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LP애자위에 거치되어 있던 전선이 타측으로 이동되면서 새전선의 설치공간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전주에 설치된 3선의 전선중 중앙의 전선이 위치하는 쪽은 작업공간이 협소하게 되어 작업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외측전선을 완금의 외측으로 옮길 필요가 있다.
이때에는 도 7c의 도시와 같이 완금의 끝단에 완금연장수단(40)을 그 지지판(41) 및 삽입구(42)에 의해 결합하여 그 연장아암(43)이 완금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한 후, 이에 전선이선수단을 전기한 완금설치시와 동일하게 설치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외측의 전선을 완금 외측으로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전선이선이 완료된 후 활선인 철거전선에 활선방호커버등을 씌우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나 변압기등이 있으면, 점퍼용 바이패스케이블이나 COS용 바이패스 케이블을 사용하여 철거할 전선을 이선할 수 있도록 바이패스 연결하고, 활선 방호커버를 설치한다.
활선 방호공정이 완료된 후, 전선이 이선되어 확보된 핀장주 LP애자 상부의 전선설치공간에 도 5의 도시와 같은 전선연선기구와 안전로프 및 배전용 텐쇼너와 원치등을 사용하여 새로운 전선을 설치하는 연선작업을 하는 것인데,
전선연선기구를 LP애자에 설치할 시에는 먼저 하부의 애자결합수단(70)인 패드(71)를 후측의 축점을 중심으로 벌려 LP애자의 상부홈에 끼운 후 다시 패드(71)를 오무리고 그 전면의 조임클램프(72)를 조여줌으로서 전선연결롤러가 LP애자의 상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인데, 패드(71)를 절연재의 연질플라스틱재로 구성하므로서 전선의 전류를 차단할 수 있으며, 결합시 LP애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P애자의 상부에 설치된 전선연선롤러에 대하여 먼저 개폐수단(80)인 L자형 롤러지지구(81)를 좌우로 벌려 그 내부공간이 개방되게 한 상태에서 설치코저 하는 전선을 그 내부에 내입시키고, 애자결합수단(70)으로 LP애자 상부에 결합하고, 다시 L자형 롤러지지구(81)를 내측으로 회동시켜 L자형 롤러지지구(81)의 세로롤러(82)의 상부를 전측 지지브라켓(61)의 결합홈(64)에 끼움으로서 그 스프링력으로 록킹 지지되어 도 7d의 도시와 같이 전선이 각 롤러의 사이에 갇히는 동시에 L자형 롤러지지구(81)의 하측롤러(84)가 그 축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상부로 돌출상승되면서 지렛대식으로 전선(94)을 상부로 상승시켜 받쳐주게 된다.
그러므로 전선이 LP애자로부터 이격되면서 롤러에 면접되므로 그 이동이 부드럽고 자유롭게 되어 전선의 연선이나 긴선을 위해 전선을 이동시킬 때 그 작업이 편리하고 용이하며 전선이나 애자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연선 작업시에 전선은 장력이 조절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연선작업 도중에 신구전선간에 간격이 불규칙하여 간격이 좁은 부분과 필요개소마다 합선등의 위험이있는 곳에는 도 6의 도시와 같은 전선간격유지구에 의해 전선클램프(92)는 구전선에 걸어서 조여서 고정시키고, 새전선은 연선롤러(91)에 끼워 간격봉(90)만큼의 전선간격이 유지되게 하므로서 안전한 작업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선된 전선을 현수애자 쪽에서 적당한 장력으로 당기는 긴선작업을 하여 각 현수애자의 데드엔드크램프에 전선을 고정하고, 핀장주의 LP애자는 전선연선기구를 제거하고, 다시 바인딩을 하여 전선설치공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새로운 전선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아직 전류가 살아 있는 활선상태인 철거전선과 새로운 전선을 서로 연결하여 바이패스시킨 후 그사이에 분기선로나 변압기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를 새로운 설치전선에 연결하여 무정전으로 전력공급을 하면서 점퍼용 바이패스케이블과 COS용 바이패스 케이블을 제거한다.
이와같이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철거할 전선을 전원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전기를 차단하는 무정전 전기 분리공정이 완료된다.
전기가 차단된 철거전선은 전기가 통하지 않으므로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며, 도 8의 도시와 같이 전선이선기구의 아암몸체(23)를 클램프(24)를 풀어 하강시키므로서 전선의 긴장상태를 완화시킨 후, 새롭게 활선상태인 신설전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안전로프와 배전용 텐쇼너 윈치등에 의해 안전하고 용이한 철거가 가능하다.
전선 철거가 완료되면 전주에 설치되어 있던 전선이선기구들을 철거하므로서 무정전상태의 전선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변경공사작업이 모두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전주내의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활선상태에서 교체및 이설할 전선을 옮기고 그 자리에 새전선을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이 필요없이 전류를 바이패스되게 하므로서 무정전상태에서 전선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과 경과지변경공사를 매우 안전하면서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시공을 하기 위한 대용량 배전선로의 부하 절체작업을 무리하게 하지 않아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을 할 수 있고, 특히 2단 이상의 배전선로 상단선로에 대한 무정전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전력품질의 향상 뿐만 아니라 변압기 교체작업시에만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을 필요시에만 적용할 수 있게 되어 획기적으로 공사비가 절감되면서도 보행자나 통과차량에 대하여 케이블 설치로 인한 지장을 주지 않아 민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완금에 고정키 위한 지지판(11)(11')과 고정볼트(12)로 되는 완금고정수단(10)과,
    전선이선용 롤러(21)(21')와 아암체(23)(23')로 된 전선이선수단(20)과,
    전선이선수단(20)을 완금고정수단(10)에 축설하여 아암체(23)(23')가 회전 신축자재되게 하기 위한 아암고정구(31), 축봉(32)과 축파이프(33), 축지지용 클램프(34), 위치고정구(35)로 되는 축회전수단(3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완금고정수단(10)의 지지판(11)(1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그 지지판(11)(11')의 하측에 고정볼트(12)를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전선이선수단(20)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2단의 절연재질의 아암체(23)(23')가 상단에 일측부가 전개가능한 롤러(21)(21')를 설치하고, 상하 아암체(23)(23')의 연결부에는 높이 조절용 클램프(24)를 결합형성하며, 높이조절용 클램프(24)의 측면에는 활선장선기용 고리(22)(22')를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축회전수단(30)은, 클램프(31c)가 형성된 원통체상의 아암고정구(31) 양측에 각각 축봉(32)과, 내주면에 스플라인(33c)이 형성된 축파이프(33)를 용착하고, 이를 지지판(11)(11')의 상부에 결합 형성된 축지지용 클램프(34)에 삽입되게 하되, 축파이프(33)측에는 외주면에 스플라인(35s)과 플랜지(35f)가 형성된 위치고정구(35)를 삽입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완금고정수단(10)의 지지판(11)을, 일측으로만 형성하고, 그 상부에 형성된 축회전수단(30)은 축지지부(36)에 스토퍼(37)에 의해 일정구간 회전가능한 스프링이 내장된 축봉(38)을 삽입하여 그 선단에 절연재질의 아암체(23) 결합용 패드(39p)가 부착된 클램프(39)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2020010017461U 2001-06-12 2001-06-12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200252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61U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06-12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461U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06-12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587A Division KR100355492B1 (ko) 2001-06-11 2001-06-11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786Y1 true KR200252786Y1 (ko) 2001-11-16

Family

ID=73081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461U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06-12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786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76B1 (ko) * 2002-01-10 2003-11-28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825228B1 (ko) 2008-02-04 2008-04-25 견금자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919521B1 (ko) * 2007-08-16 2009-10-01 양희성 이선용 롤러 기구
KR100920514B1 (ko) 2007-12-04 2009-10-08 한국원자력연구원 활선로봇용 클램핑 작업 툴
KR102196649B1 (ko) 2020-06-09 2020-12-31 대원전기 주식회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50344B1 (ko) * 2020-11-27 2021-05-11 주식회사 만양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한 피뢰기 체결용 브라켓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376B1 (ko) * 2002-01-10 2003-11-28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919521B1 (ko) * 2007-08-16 2009-10-01 양희성 이선용 롤러 기구
KR100920514B1 (ko) 2007-12-04 2009-10-08 한국원자력연구원 활선로봇용 클램핑 작업 툴
KR100825228B1 (ko) 2008-02-04 2008-04-25 견금자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196649B1 (ko) 2020-06-09 2020-12-31 대원전기 주식회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50344B1 (ko) * 2020-11-27 2021-05-11 주식회사 만양 간접활선 방식을 적용한 피뢰기 체결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850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2232560B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JP6778879B2 (ja) 絶縁活線張線器とバイパスジャンパーケーブルを用いて電柱径間内電線を分離して死線状態で区間内作業を行う無停電配電工法
CN101803134A (zh) 能安装到悬臂的机械臂
KR101757195B1 (ko) 무정전 배전공사에 이용하는 고정식 가완목 장치 및 공법
KR101631916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857774B1 (ko) 배전선로용 전주의 무정전 컷팅 교체공법에 적용되는 폴클램프 장치
KR101043557B1 (ko) 전선과 완철의 임시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 시공을 위한 크로스암 홀더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KR101864309B1 (ko)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20120010370A (ko)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540991B1 (ko) 활선 상태에서 배전선로 교체 방법이 적용된 배전선로 교체 장치
KR101831428B1 (ko) 송전전용 특고압 가공 전선의 철탑고정식 완철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CN105514868A (zh) 一种熔丝具上引线绝缘固定支架
KR20100036065A (ko)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의 교체시공방법
KR102173377B1 (ko) 전선이선장치를 이용한 내장주 교체 무정전공법
KR101704613B1 (ko)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장치
KR20200009445A (ko) 바이패스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전선 이선 방법
KR100558607B1 (ko) 단상 및 3상 배전선로용 무정전 선로공법 및 그전선이선기구
KR102173378B1 (ko) 무정전공법용 전선이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