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649B1 -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 Google Patents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649B1
KR102196649B1 KR1020200069607A KR20200069607A KR102196649B1 KR 102196649 B1 KR102196649 B1 KR 102196649B1 KR 1020200069607 A KR1020200069607 A KR 1020200069607A KR 20200069607 A KR20200069607 A KR 20200069607A KR 102196649 B1 KR102196649 B1 KR 102196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ller
live wire
bucket
lift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9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rollers or b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배전선로에서 간접 활선 작업중 전선을 안전하게 이선 시키기 위한 리프트 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파이프의 상단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평 이동되는 이동롤러 유닛을 갖는 양측 한 쌍의 수평 이동바가 형성되되, 절연파이프를 이용하여 활선 버켓의 윈치에 장착 및 상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활선 버켓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전선로 내 광범위한 위치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 이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교체 등의 안전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 수평 이동바의 간접 활선작업으로 접이 및 전개는 물론, 그 수평 이동바에 장착되어 전선의 구속이 가능한 이동롤러 유닛의 이동까지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Roller movable insulated lift arm for indirect live wir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배전선로에서 간접 활선 작업중 전선을 안전하게 이선 시키기 위한 리프트 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 내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장주 변경작업을 비롯하여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 교체작업 등을 무정전 상태로 수행함에 있어, 작업자로 하여금 전선과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간편하게 전선을 상하좌우로 이선이 가능하게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기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바켓트럭 및 활선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직접활선작업으로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완철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직업활선작업으로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전기용량이 5,000KW를 초과하는 배전선로는 기존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작업시에 기존 케이블 공법용 케이블의 허용용량이 5,000KW이하이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용량을 5,000KW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타 배전선로로 전력부하를 절체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고, 효과적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한 전주에 상하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는 상단 배전선로의 작업을 현행 무정전 공법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등록 제20-0252786호에서와 같이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전선교체 및 이설전선 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가며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선 이선기구는 그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여 제작이 매우 곤란하면서도 암체가 회동하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만 전선의 분리 및 연결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인바, 활선의 이선 범위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는 등 비교적 충분한 안전 작업공간의 확보를 요하는 완철 및 전주교체 과정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는 불가능하고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선 이선기구는 완철에 설치되어 활선을 롤러에 고정하기 위해 부득이 직접 활선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등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활선 버켓에 이선 기구들을 설치하여 직접 활선으로 전선을 이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나, 작업 환경이 간접 활선작업으로 바뀌면서 각각의 이선에 필요한 기구들에 대하여 간접 활선공구들을 이용할 수 없으므로 매우 위험한 작업이 되거나 작업 자체가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등록 제10-1946206호(전주에 설치되는 간접활선작업용 리프트 암), 특허출원등록 제10-1955155호(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를 제안하여, 안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의 이선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 암 및 인상장치는 그 설치 구조가 전주에 설치 사용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작업 반경이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부득이 작업자가 전선과 근접하여야 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또한, 종래의 리프트 암 및 인상장치는 전선을 파지 고정하기 위한 롤러 구조가 고정 또는 수동 조작을 통해 이동시켜야 하는 것인바, 이 또한 부득이 작업자가 전선과 근접하여야 하는 안전상의 문제가 노출되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52786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946206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9551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절연파이프의 상단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수평 이동되는 이동롤러 유닛을 갖는 양측 한 쌍의 수평 이동바가 형성되되, 절연파이프를 이용하여 활선 버켓의 윈치에 장착 및 상하 승강 작동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활선 버켓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배전선로 내 광범위한 위치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선 이선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이에 따른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교체 등의 안전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양측 수평 이동바의 간접 활선작업으로 접이 및 전개는 물론, 그 수평 이동바에 장착되어 전선의 구속이 가능한 이동롤러 유닛의 이동까지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직상의 절연파이프;
상기 절연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양측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좌우 수평 이동력을 가지며, 각각에는 길이 방향으로 랙크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수평 이동바;
상기 절연파이프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바가 수평 관통되며, 그 수평 이동바의 수평 이동을 단속하는 이동바 구동부; 및
상기 이동바 구동부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단에는 상부 절연롤러가 형성된 절연 연장대; 및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에 형성되며, 자체 구동력에 의해 수평 이동바를 따라 수평 이동되며, 수평 절연롤러가 형성된 복수의 이동롤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은,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가 관통되는 이동 하우징;
상기 이동 하우징에 폭 방향 길이로 축설되며, 상기 수평 이동바의 랙크와 치합되는 롤러 구동기어;
상기 이동 하우징의 내측에서 상부 및 하부에 축설되어 각각의 수평 이동바를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 가이드롤러; 및
상기 이동 하우징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 구동기어와 결합되어 그 롤러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롤러 동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전주로부터 핀장주를 철거하고 현수애자와 데드엔드클램프가 설치되는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하는 완철 변경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완철 하부로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상기 데드엔드클램프에 장선기를 설치하고, 이동롤러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면서 장선기의 전선클립으로 전선을 파지 고정하고, 장선기를 조작 및 전선의 적정 이도를 조정하는 긴선공정;
간접활선용 피박기로 전선을 피박 하고, 전선 벤딩기로 전선을 벤딩하여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여 고정하며, 점퍼선을 구성 및 커버를 취부하고 테이핑 마감하는 장주 변경공정; 및
장선기를 철거 및 전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 또는 전선 복귀공정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의 롤러 조작부를 조작 및 동력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하여 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연장대의 상부 절연롤러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 및 가공지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는 할입주 신설공정;
신설한 할입주에 완철 및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신설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한 할입주의 완철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신설된 할입주의 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 또는 전선 복귀공정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의 롤러 조작부를 조작 및 동력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하여 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전주를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연장대의 상부 절연롤러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 및 가공지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기설치된 전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를 설치하는 전주 교체공정;
기설치된 전주의 장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에 완철 및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안착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 또는 전선 복귀공정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의 롤러 조작부를 조작 및 동력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하여 되며,
또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완철을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의 수평 절연롤러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
전주로부터 기존 완철을 철거하고, 기존 완철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을 설치 및 LP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안착시키는 전선 복귀공정;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 및
전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 또는 전선 복귀공정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의 롤러 조작부를 조작 및 동력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은, 절연파이프를 이용하여 활선 버켓의 위치에 장착 및 그 윈치 작동에 의해 상하 승강 작동하게 구성된 것인바, 활선 버켓의 자유로운 위치 변경 및 승강 작동에 따라 작업 위치의 용이한 조절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교체 등의 무정전 공법 과정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전선의 이선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으로 수평 이동바의 좌우 전개 조절은 물론, 수평 이동바로부터 이동롤러 유닛의 좌우 이동까지 가능한 것인바, 간접 활선작업 과정에서 안정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구동부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구동부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바 동력부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롤러 유닛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롤러 유닛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장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수평 이동바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이동롤러 유닛 작동상태도.
도 11 내지 도 21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 실시예도.
도 22 내지 도 28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할입주를 신설 실시예도.
도 29 내지 도 34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전주 교체 실시예도.
도 35 내지 도 40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에서의 장주 교체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은 절연파이프(100)와, 수평 이동바(200)(200')와, 이동바 구동부(300)와 절연 연장대(400)와, 이동롤러 유닛(500)(500')로 구성된다.
먼저, 절연파이프(100)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절연 재질로 된 사각 관체 형태를 이루며 수직 길이를 이루어 통상의 활선 버켓에 형성되는 윈치(도면중 미도시함)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절연파이프(100)에는 그 하단에 활선 버켓의 윈치에 장착함에 있어 그 윈치의 와이어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공(110)이 관통 구성된다.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이동바 구동부(300) 작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어 확장 또는 축소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절연파이프(100)의 상단으로부터 소정 이격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수평 이동바(200)(200')는 양측 평행한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은 절연체로 된 사각 관체 형태를 이루며, 각각의 저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랙크(210)(210')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이동바 구동부(300)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절연파이프(10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을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이동바 구동부(30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먼저, 구동부 하우징(310)이 구성된 것으로, 구동부 하우징(310)은 좌우로 관통되는 사각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절연파이프(100)의 상단에 고정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부 하우징(310)은 그 내부가 격벽(311)을 통해 폭 방향 양측으로 구획되는 양측의 구동공간(312)(312')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그 각각의 구동공간(312)(312')에 상기 한 쌍의 수평 이동바(200)(200')가 각각 관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바 구동부(300)에는 양측 한 쌍의 이동바 구동기어(320)(320')가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바 구동기어(320)(320')는 상기 각각의 구동공간(312)(312') 내측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축설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이동바 구동기어(320)(320')는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의 랙크(210)(210')와 각각 치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이동바 구동기어(320)(320')가 회전시 랙크(210)(210') 치합력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가 각각 수평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바 구동부(300)에는 수평바 가이드롤러(330)(330')가 구성된 것으로, 수평바 가이드롤러(330)(330')는 상기 각각의 구동공간(312)(312') 상부 및 하부에 복수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가 수평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바 구동부(300)에는 상기 각각의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양측 한 쌍의 이동바 동력부(340)(340')가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이동바 동력부(340)(340')는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각각은 각각의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와 결합되어 그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이동바 동력부(340)(340')는 먼저, 동력부 하우징(341)이 구성된 것으로, 동력부 하우징(341)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이동바 동력부(340)(340')에는 웜휠(342)이 구성된 것으로, 웜휠(342)은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내측에 수평 축설되는 한편, 상기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와 구동축(342a)을 연결되어 동일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바 동력부(340)(340')에는 동력축(343)이 구성된 것으로, 동력축(343)은 그 일측이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내측에서 상기 웜휠(342)과 치합되는 웜(343a)이 형성되며, 그 타측이 동력부 하우징(3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의 암 조작부(343b)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이동바 동력부(340)(340')는 상기 암 조작부(343b) 조작에 의해 동력축(343)을 회전시 그 동력축(343)의 웜(343a)과 치합된 웜휠(3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342a)으로 연결된 이동바 구동기어(320)(320')가 회전 및 랙크(210)(210') 이동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이동바 동력부(340)(340')는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에 해당하게 양측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각각의 구동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의 각각 구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의 외측에서 그 구동부 하우징(310)과 간섭없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구동축(342a)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우징 고정공(313)이 관통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고정공(313)에 삽탈되어 동력부 하우징(341)의 고정 및 회전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덱스 플런져(341a)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인덱스 플런져(341a)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돌출되는 고정핀이 구성되어 그 고정핀의 인출 및 인입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인덱스 플런져(341a)를 복수개 구성시에는 복수의 인덱스 플런져(341a)가 모두 인출될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인덱스 플런져(341a)가 하우징 고정공(313)에 삽입 고정시 동력부 하우징(341)이 구동부 하우징(310)에 고정되어 동력축(343)의 회전만으로 구동축(342a)을 회전시키고, 인덱스 플런져(341a)가 하우징 고정공(313)으로부터 이탈시 동력부 하우징(341)이 구동부 하우징(310)과 분리되어 그 동력부 하우징(341)의 수동 회전에 의해 구동축(342a)이 360°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수평 이동바(200)(200')의 수동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절연 연장대(400)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절연파이프(100)를 수직으로 연장 형성하되, 상기 이동바 구동부(300) 즉, 구동부 하우징(3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연장되게 구성된다.
또한, 절연 연장대(400)의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상부 절연롤러(401)가 구성된다.
상기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에 복수 형성되며, 각각에는 수평 절연롤러(501)가 형성되어 전선을 장악하는 한편, 자체 구동력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좌우 이동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먼저 이동 하우징(510)이 구성된 것으로, 이동 하우징(510)은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가 관통되는 사각 함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에는 롤러 구동기어(520)가 구성된 것으로, 롤러 구동기어(520)는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내측 하부에서 폭 방향으로 축설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롤러 구동기어(520)는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의 랙크(210)(210')와 각각 치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롤러 구동기어(520)가 회전시 랙크(210)(210') 치합력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수평 이동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에는 하우징 가이드롤러(530)가 구성된 것으로, 하우징 가이드롤러(530)는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내측 상부 및 하부에 복수 구성되어 이동 하우징(510)이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하게 구성된다.
또한, 이동롤러 유닛(500)(500')에는 상기 롤러 구동기어(5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롤러 동력부(540)가 구성된다.
이때,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롤러 구동기어(520)와 결합되어 그 롤러 구동기어(520)의 회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롤러 동력부(540)는 먼저, 동력부 하우징(541)이 구성된 것으로, 동력부 하우징(541)은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롤러 동력부(540)에는 웜휠(542)이 구성된 것으로, 웜휠(542)은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 수평 축설되는 한편, 상기 롤러 구동기어(520)와 구동축(542a)을 연결되어 동일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또한, 롤러 동력부(540)에는 동력축(543)이 구성된 것으로, 동력축(543)은 그 일측이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서 상기 웜휠(542)과 치합되는 웜(543a)이 형성되며, 그 타측이 동력부 하우징(5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리 형태의 롤러 조작부(543b)를 이루게 구성된다.
즉,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롤러 조작부(543b) 조작에 의해 동력축(543)을 회전시 그 동력축(543)의 웜(543a)과 치합된 웜휠(5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롤러 구동기어(520)가 회전 및 랙크(210)(210') 치합력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롤러 동력부(540)는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구성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수평 이동바(200)(200')에서 각각 이동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은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외측에서 그 이동 하우징(510)과 간섭없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이동 하우징(510)에는 상기 구동축(542a)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우징 고정공(511)이 관통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고정공(511)에 삽탈되어 동력부 하우징(541)의 고정 및 회전을 단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덱스 플런져(541a)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인덱스 플런져(541a)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돌출되는 고정핀이 구성되어 그 고정핀의 인출 및 인입 상태의 고정이 가능한 것이면 될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인덱스 플런져(541a)를 복수개 구성시에는 복수의 인덱스 플런져(541a)가 모두 인출될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즉, 인덱스 플런져(541a)가 하우징 고정공(511)에 삽입 고정시 동력부 하우징(541)이 이동 하우징(510)에 고정되어 동력축(543)의 회전만으로 구동축(542a)을 회전시키고, 인덱스 플런져(541a)가 하우징 고정공(511)으로부터 이탈시 동력부 하우징(541)이 이동 하우징(510)과 분리되어 그 동력부 하우징(541)의 수동 회전에 의해 구동축(542a)이 360°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동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절연 연장대(400)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절연롤러(401) 및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형성되는 수평 절연롤러(501)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상하좌우 롤러가 배치되며, 상부 몸체가 개폐레버 작동에 의해 상하 개폐되어 전선의 진출이 가능하게 하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81079호 "활선 개폐용 절연 연선 롤러"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교체 등의 무정전 공법 과정에서 전선(활선)을 이선하여 충분한 사선작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을 완철로부터 승강 및 좌우 이동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은 도 8을 참조하여 통상의 활선 작업에 사용되는 활선 버켓(50)에 장착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절연파이프(1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100)는 활선 버켓(50)의 윈치(51)에 장착하되, 절연파이프(1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110)에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111)으로 연결 고정한다.
이후,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활선용 롤러 이동식 리프트 암(1)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 위치로 이동 및 수평 절연롤러(501)의 개폐 작동을 통해 전선(20)을 장악하게 된다.
이후, 장악된 전선(20)을 이선하되, 이는,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수평 이동바(200)(200')를 통해 좌우 이선하되, 이동바 구동부(300) 작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이동바 구동부(300)의 이동바 동력부(340)(340')를 조작하되, 암 조작부(343b) 조작에 의해 동력축(343)을 회전시키게 되면, 웜(343a)의 회전력이 웜휠(342)로 전달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구동축(342a)으로 연결된 이동바 구동기어(320)(3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그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와 치합된 수평 이동바(200)(200')의 랙크(210)(210')에 의해 그 수평 이동바(200)(200')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는 각각의 이동바 구동부(300) 작동에 의해 각각 구동 가능한 것인바, 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 작동을 통해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안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좌우 확장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이선하는 과정에서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장악되는 전선의 미세한 위치 조절 및 이선이 가능하게 하되, 이는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이동바(200)(200')로부터 좌우 수평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도 10을 참조하여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은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롤러 조작부(543b) 조작에 의해 동력축(543)을 회전시키게 되면, 웜(543a)의 회전력이 웜휠(542)로 전달되게 되는 것인바, 이에 구동축(542a)으로 연결된 롤러 구동기어(5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때 그 롤러 구동기어(520)는 치합된 수평 이동바(200)(200')의 랙크(210)(2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해 각각 구동 가능한 것인바, 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선택 작동을 통해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 조절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안전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이동바(200)(200')의 외측 방향으로 좌우 이동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은 이동바 구동부(300) 작동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 및 롤러 동력부(540) 작동에 의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에 의해 전선(20)을 안전한 이격 거리로 이선 및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이동바 동력부(340)(340') 및 롤러 동력부(540)의 암 조작부(343b)와 롤러 조작부(543b)의 조작은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때 활선작업용스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은 물론,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등록 제10-2021001호, 특허등록 제10-1963537호, 특허등록 제10-1963539호 플라이어 스틱이나, 특허등록 제10-2028010호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은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장주 변경,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완철 교체 등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에,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 실시예 1
도 11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기 위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110)과, 전선 장악공정(S120)과, 전선 분리공정(S130)과, 전선 이선공정(S140)과, 완철 변경공정(S150)과, 전선 복귀공정(S160)과, 긴선공정(S170)과, 장주 변경공정(S180)과, 철거공정(S19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110)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활선 버켓(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1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100)는 활선 버켓(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1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1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1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1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이동바(200)(200')를 핀장주(30) 근접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을 인상시 수평 이동바(200)(200')는 주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된 상태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이동바(200)(2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되, 이는,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형성된 롤러 동력부(540) 조작을 통해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이동바(200)(200')에서 좌우 위치 조절하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130)을 수행하되,
이는, 통상 핀장주의 LP애자(35)에 안착 설치되는 전선(20)은 그 LP애자(35)와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도면중 미도시함)으로 고정된 것인바, 이에 그 바인드를 컷팅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그 LP애자(35)와 전선(20)을 분리하게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1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13을 참조하여 LP애자(35)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 조절을 통한 확장에 의해 가능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이동바 구동부(3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이동바 동력부(340)(340')의 동력축(343)을 회전 조절하되, 바람직하게 그 이동은 배전선로의 선로 방향 직각으로 벌어지는 확장 이동을 통해 전선(20)을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장주의 근방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수평 이동바(200)(2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를 동력축(343)의 암 조작부(343b)를 걸어 회전 조절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완철 변경공정(S150)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선(20)이 안전하게 이선된 상태에서 기존의 핀장주(30)를 철거하고,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31)을 교체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교체된 내장주용 완철(31)에는 현수애자(41) 및 데드엔드클램프(42)를 설치하면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160)을 수행하되,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전선 이선공정(S140)에서와 같이 인상 및 확장된 리프트 암(1)을 새로 설치된 내장주용 완철(31)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상 시키되, 내장주용 완철(31) 하부로 하강시키고, 연속하여 수평 이동바(200)(200')를 수축 조절하여 전선(20)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되, 이는,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이선공정(S14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긴선공정(S170)을 수행하되,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먼저, 상기와 같이 신설된 내장주용 완철(31) 또는 데드엔드클램프(42)에 장선기(43)를 설치하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장선기(43)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장선기는 물론,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특허출원등록 제10-1984829호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웜 기어식 장선기" 또는 특허출원 제10-2020-0043904호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의 적용을 통한 간접활선 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설치된 장선기(43)를 이용하여 전선(20)을 파지 고정하되,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장선기(43)를 조작하여 전선클립으로 전선(20)을 고정하고, 전선(20)의 적정 이도를 조정한다.
이후, 장주 변경공정(S180)을 수행하되,
이는, 먼저, 간접활선용 피박기로 전선을 피박 하고, 피박된 전선을 전선 벤딩기로 벤딩한 후,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이와 함께 점퍼선을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점퍼선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장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점퍼선의 구성은 먼저, 도 17을 참조하여 전선(20)을 그대로 사용하여 점퍼선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전선(20)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시에는 전선(20)의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에 물리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 및 벤딩하여 전선(20)을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데드엔드클램프(42)에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사이 전선(20)에 대하여 점퍼선(44)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드엔드클램프(42)가 체결된 위치는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42a)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하면 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점퍼선의 구성은 도 18을 참조하여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과 별도의 전선(20')를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과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시에는 먼저,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20)에 대하여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을 연결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피박한다.
이후, 그 피박된 전선(20)에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의 케이블 헤드를 결합하여 임시로 바이패스 연결하면 된다.
그리고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 내측의 전선(20)을 절단하여 분리하고 적절한 길이의 별도 전선(20') 양단을 절단된 전선(20)과 슬리브(45) 압축 연결하여 전선(20')에 대하여 점퍼선(44)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시로 연결된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는 철거하고, 전선(20)과 전선(20')의 연결된 위치는 슬리브용 커버(45a)를 이용하여 취부 및 테이핑 마감하면 된다.
또한,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상기 바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을 연결하기 위해 전선(20)의 피박된 위치는 테이핑 또는 슬리브용 커버 등을 통해 마감하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점퍼선(44)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별도 전선(20')을 이용하여 기존 전선(20)과 연결하여 구성함은, 양측의 데드엔드클램프(42)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20)에 대하여 비교적 짧거나 그 점퍼선 구성에 적합하지 못할시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 점퍼선의 구성은 도 19를 참조하여 별도의 전선(20')를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점퍼선을 구성시에는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20)에 대하여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피박한다.
이후, 그 피박된 전선(20)의 위치에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으로 별도의 전선(20')을 슬리브(45)를 이용하여 압축 연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의 외측으로는 전선(20)과 분리되는 전선(20')을 이용한 바이패스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선(20')로 바이패스 된 양측 데드엔드클램프(42) 사이의 전선(20)은 절단하여 분리함으로 전선(20')에 대하여 점퍼선(44)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별도 전선(20')을 이용한 점퍼선(44)의 구성시 그 전선(20')이 연결된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감할 수 있다.
이는, 일예로 도 20을 참조하여 데드엔드클램프(42)와 근접시에는 테드엔트클램프용 커버(42a)로 취부 및 테이핑 마감하고, 도 21을 참조하여 데드엔드클램프(42)와 이격시에는 슬리브용 커버(45a)로 취부 및 테이핑 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의 마감은 현장 상황 및 선로 상황 등 다양한 여건에 따라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전선(20)의 피박시 적용되는 피박기는 본 발명 출원이에 의해 안출된 특허출원등록 제10-1977011호" 간접활선용 자동 개폐 피박기" 등의 적용을 통한 간접활선 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19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점퍼선(44)이 구성된 상태에서 전선(20)을 잡고 있는 장선기(43)를 철거하며, 이후, 연속하여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장선기(43)의 철거와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의 개방은 전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또는 경간분리 공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활선상태로는 장주 일측만 긴선작업을 수행하고 전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 내측은 사선상태로 다른 일측의 긴선작업을 수행하여 장주 변경공정 작업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2
도 22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기 위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2를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210)과, 전선 장악공정(S220)과, 전선 이선공정(S230)과, 할입주 신설공정(S240)과, 완철 신설공정(S250)과, 전선 복귀공정(S260)과, 전선 고정공정(S270)과, 철거공정(S28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210)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활선 버켓(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1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100)는 활선 버켓(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1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1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1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2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이동바(200)(200')를 전주(10)와 전주(10) 사이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을 인상시 수평 이동바(200)(200')는 주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된 상태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이동바(200)(2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되, 이는,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형성된 롤러 동력부(540) 조작을 통해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이동바(200)(200')에서 좌우 위치 조절하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선(20)의 장악과 함께 전주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공지선(21)을 장악하되,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절연 연장대(4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절연롤러(401) 개방 및 가공지선(21)을 진입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230)을 수행하되,
이는, 도 2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 조절을 통한 확장에 의해 가능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이동바 구동부(3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이동바 동력부(340)(340')의 동력축(343)을 회전 조절하되, 바람직하게 그 이동은 배전선로의 선로 방향 직각으로 벌어지는 확장 이동을 통해 전선(20)을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전주(10)와 전주(10) 사이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수평 이동바(200)(2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를 동력축(343)의 암 조작부(343b)를 걸어 회전 조절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할입주 신설공정(S2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25를 참조하여 전주(10)와 전주(10) 사이에 형성된 안전한 작업 공간에 가공지선 지지대(15)를 갖는 할입주(11)를 신설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신설되는 할입주(11)는 통상의 전주를 신설하는 건주공사와 같이 전주 상단을 방호하여 건주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접지근가를 이용한 지지 등을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완철 신설공정(S25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할입주(11)에는 전선(20)이 지나가는 위치에 대하여 완철(31)과 애자를 설치하면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26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 전선 이선공정(S230)에서와 같이 인상 및 확장된 리프트 암(1)을 다시 완철(31)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강시키고, 필요에 따라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그 전선(20)을 완철(31)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부 절연롤러(401)에 장악된 가공지선(21) 또한 할입주(11)의 가공지선 지지대(15)에는 가공지선(21)을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이선공정(S23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27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위치된 전선(20) 및 가공지선(21)을 고정하되, 먼저, 전선(20)은 애자에 고정하면 되고, 가공지선(21)은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할입주(11)을 신설하는 과정에서 그 전선(20)을 연결하기 위해 할입주(11)에 설치되는 장주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핀장주 또는 내장주의 구성 가능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핀장주를 구성시에는 완철 신설공정(S250)에서 완철(31)에 설치되는 애자를 완철(31) 상부에 LP애자(35)를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상기 전선(20)을 LP애자(35)의 상부에 안착시키면 된다.
그리고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상기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 및 가공지선(21)을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할입주(11)에 설치되는 장주를 내장주로 구성시에는,
도 27을 참조하여 완철 신설공정(S250)에선 완철(31)에 설치되는 애자를 완철(31)을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현수애자(41)로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완철(31)에 위치되는 전선(20)을 그 완철(31)의 하부로 이동시키면 된다.
그리고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상기 전선(20)을 현수애자(41)에 연결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현수애자(41)에 연결 고정하는 과정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내장주의 구성과 같이 무정전 상태로 완철(31)을 중심으로 양측의 전선(20)을 데드엔드클램프(42)를 이용하여 현수애자(41)에 고정하고 점퍼선(44)을 구성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점퍼선(44)의 구성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일예로 상기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서와 같이 그 전선(20)을 직접 사용하여 구성하거나, 파이패스 점퍼케이블(44a)을 이용하여 바이패스 및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연결 구성하거나, 별도의 전선(20')을 이용하여 전선(20)에 직접 연결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280)을 수행하되,
이는, 도 28을 참조하여 먼저, 전선(20)을 장악하고 있는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하여 각각의 전선을 분리하고, 연속하여 상부 절연롤러(401)를 개방하여 가공지선(21)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 및 상부 절연롤러(401)의 개방은 전선 및 가공지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할입주를 신설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3
도 29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노후 전주를 교체하기 위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9를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310)과, 전선 장악공정(S320)과, 전선 분리공정(S330)과, 전선 이선공정(S340)과, 전주 교체공정(S350)과, 완철 교체공정(S360)과, 전선 복귀공정(S370)과, 전선 고정공정(S380)과, 철거공정(S39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310)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활선 버켓(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1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100)는 활선 버켓(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1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1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1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3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이동바(200)(200')를 교체 하고자 하는 전주(10) 근방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을 인상시 수평 이동바(200)(200')는 주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된 상태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이동바(200)(2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되, 이는,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형성된 롤러 동력부(540) 조작을 통해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이동바(200)(200')에서 좌우 위치 조절하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343)의 암 조작부(3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선(20)의 장악과 함께 전주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공지선(21)을 장악하되, 이는,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절연 연장대(40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절연롤러(401) 개방 및 가공지선(21)을 진입시켜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330)을 수행하되,
이는, 통상 핀장주의 LP애자(35)에 안착 설치되는 전선(20)은 그 LP애자(35)와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도면중 미도시함)으로 고정된 것인바, 이에 그 바인드를 컷팅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그 LP애자(35)와 전선(20)을 분리하게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3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LP애자(35)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 조절을 통한 확장에 의해 가능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이동바 구동부(3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이동바 동력부(340)(340')의 동력축(343)을 회전 조절하되, 바람직하게 그 이동은 배전선로의 선로 방향 직각으로 벌어지는 확장 이동을 통해 전선(20)을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전주(10)와 전주(10) 사이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수평 이동바(200)(2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를 동력축(343)의 암 조작부(343b)를 걸어 회전 조절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주 교체공정(S35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2를 참조하여 통상의 전주 교체와 같이 교체하고자 하는 장주를 철거하되, 이때에는 기존의 완철 및 애자 등 장주 전체를 함께 철거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기존 전주(10)가 철거된 위치에 가공지선 지지대(15)를 갖는 신설 전주(10')를 신설하되, 이는, 통상의 전주를 신설하는 건주공사와 같이 전주 상단을 방호하여 건주작업을 수행함은 물론, 접지근가를 이용한 지지 등을 수행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완철 교체공정(36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철거된 전주(10)로부터 완철(31) 및 LP애자(35)를 철거하고, 그 철거할 완철(31) 및 LP애자(35)를 신설 설치된 전주(10')에 설치하면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37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3을 참조하여 상기 전선 이선공정(S340)에서와 같이 인상 및 확장된 리프트 암(1)을 다시 핀장주(30)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강시키고, 필요에 따라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그 전선(20)을 LP애자(35)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부 절연롤러(401)에 장악된 가공지선(21) 또한 신설 전주(10')의 가공지선 지지대(15)에는 가공지선(21)을 위치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이선공정(S34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38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위치된 전선(20) 및 가공지선(21)을 고정하되, 먼저, 전선(20)은 LP애자(35)에 고정하면 되고, 가공지선(21)은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 및 가공지선(21)을 가공지선 지지대(1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39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4를 참조하여 먼저, 전선(20)을 장악하고 있는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하여 각각의 전선을 분리하고, 연속하여 상부 절연롤러(401)를 개방하여 가공지선(21)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 및 상부 절연롤러(401)의 개방은 전선 및 가공지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주를 교체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 실시예 4
도 35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노후 완철을 교체하기 위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도 35를 참조하여 리프트 암 장착공정(S410)과, 전선 장악공정(S420)과, 전선 분리공정(S430)과, 전선 이선공정(S440)과, 완철 교체공정(S450)과, 전선 복귀공정(S460)과, 전선 고정공정(S470)과, 철거공정(S480)을 수행하여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리프트 암 장착공정(S410)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통상의 활선작업에 사용되는 활선 버켓(50)에 장착하는 공정으로, 이는, 절연파이프(100)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즉, 절연파이프(100)는 활선 버켓(50)에 장착되는 윈치(51)에 수직 장착하며, 이때 그 절연파이프(100)의 하단에 형성된 와이어 연결공(110)에는 윈치(51)의 와이어(52)를 별도의 와이어 고정핀(111)으로 연결 고정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와이어(52)를 권취시 리프트 암(1)이 상부로 인상되고, 와이어(52)를 권해시 리프트 암(1)이 하강 작동하게 된다.
이후, 전선 장악공정(S420)을 수행하되,
이는, 본 발명 리프트 암(1)을 이선 하고자 하는 전선(20)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리프트 암(1)의 수평 이동바(200)(200')를 핀장주(30) 근접 전선(20)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을 인상시 수평 이동바(200)(200')는 주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수축된 상태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평 이동바(200)(200')를 이동시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전선(20)과 근접하게 이동시키고, 필요에 따라 그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하되, 이는,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형성된 롤러 동력부(540) 조작을 통해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수평 이동바(200)(200')에서 좌우 위치 조절하여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동력축(543)의 롤러 조작부(543b)를 걸어 회전 조절하여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에 형성된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에 전선을 장악하되, 이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 및 전선(20)을 진입시켜 장악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전선 분리공정(S430)을 수행하되,
이는, 통상 핀장주의 LP애자(35)에 안착 설치되는 전선(20)은 그 LP애자(35)와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도면중 미도시함)으로 고정된 것인바, 이에 그 바인드를 컷팅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그 LP애자(35)와 전선(20)을 분리하게 된다.
이후, 전선 이선공정(S44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7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LP애자(35)로부터 분리된 전선을 안전한 거리로 이선하면 되는 것으로, 그 이선은 윈치(51) 작동을 통해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인상시켜 배전선로 상부로 1차 이선시킨다.
이후, 연속하여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 조절을 통한 확장에 의해 가능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이동바 구동부(3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바(200)(200')의 좌우 이동은 상기와 같이 이동바 동력부(340)(340')의 동력축(343)을 회전 조절하되, 바람직하게 그 이동은 배전선로의 선로 방향 직각으로 벌어지는 확장 이동을 통해 전선(20)을 안전 거리로 2차 이선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전선(20)의 인상 및 확장을 통해 장주의 근방에 안전한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수평 이동바(200)(200')의 이동 조절은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를 동력축(343)의 암 조작부(343b)를 걸어 회전 조절함으로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후, 완철 교체공정(S450)을 수행하되,
이는, 먼저, 도 38을 참조하여 전선(20)이 안전하게 이선된 상태에서 전주(10)에 기설치된 완철(31)을 철거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기존의 노후된 LP애자(35) 또한 함께 철거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기존 완철(31)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31')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그 새로운 완철(31')에는 LP애자(35) 또한 함께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460)을 수행하되,
이는, 도 39를 참조하여 상기 전선 이선공정(S440)에서와 같이 인상 및 확장된 리프트 암(1)을 다시 신설된 완철(31') 위치로 복귀시키면 되는 것으로, 먼저 인상된 리프트 암(1)을 하강시키고, 필요에 따라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미세한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그 전선(20)을 LP애자(35)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리프트 암(1)의 하강과 수평 이동바(200)(200')의 축소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이동 조절은 상기 전선 이선공정(S440) 과정에서의 반대 작동을 통해 가능한 것인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전선 고정공정(S470)을 수행하되,
이는, 상기와 같이 위치된 전선(20)을 고정하되, 전선(20)은 LP애자(35)에 고정하면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선(20)을 LP애자(3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바인드레스커버 또는 바인드로 체결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철거공정(S480)을 수행하되,
이는, 도 40을 참조하여 먼저, 전선(20)을 장악하고 있는 수평 절연롤러(501)를 개방하여 각각의 전선을 분리하고, 연속하여 활선 버켓(50)을 이동 및 윈치(51)를 작동하여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철거하면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철거 과정에서 상기 수평 절연롤러(501)의 개방은 전선 및 가공지선의 장악과 같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존 완철을 교체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철을 교체하는 공법에서는 실질적으로 완철(31)에 설치되는 전선(20)의 이선 및 복귀 고정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 공간의 확보 등을 위한 작업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가공지선(21)도 함께 이선 및 복귀 고정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은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장주 변경과, 할입주 신설과, 전주 교체와, 완철 교체 등의 안전하고 편리한 무정전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10,10' : 전주 11 : 할입주
15 : 가공지선 지지대 20 : 전선
21 : 가공지선 30 : 핀장주
31,31' : 완철 35 : LP애자
40 : 내장주용 완철 41 : 현수애자
42 : 데드엔드클램프 42a :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
43 : 장선기 44 : 점퍼선
44a :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45 : 슬리브
45a : 슬리브용 커버
50 : 활선 버켓 51 : 윈치
52 : 와이어
100 : 절연파이프 110 : 와이어 연결공
111 : 와이어 고정핀
200,200' : 수평 이동바 210,210' : 랙크
300 : 이동바 구동부 310 : 구동부 하우징
311 : 격벽 312,312' : 구동공간
313 : 하우징 고정공 320,320' : 이동바 구동기어
330,330' : 수평바 가이드롤러 340,340' : 이동바 동력부
341 : 동력부 하우징 341a : 인덱스 플런져
342 : 웜휠 342a : 구동축
343 : 동력축 343a : 웜
343b : 암 조작부
400 : 절연 연장대 401 : 상부 절연롤러
500,500 : 이동롤러 유닛 501 : 수평 절연롤러
510 : 이동 하우징 511 : 하우징 고정공
520 : 롤러 구동기어 530 : 하우징 가이드롤러
540 : 롤러 동력부 541 : 동력부 하우징
541a : 인덱스 플런져 542 : 웜휠
542a : 구동축 543 : 동력축
543a : 웜 543b : 롤러 조작부

Claims (20)

  1. 수직상의 절연파이프(100);
    상기 절연파이프(100)의 상단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며, 양측 한 쌍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좌우 수평 이동력을 가지며, 각각에는 길이 방향으로 랙크(210)(210')가 형성된 양측 한 쌍의 수평 이동바(200)(200');
    상기 절연파이프(100)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가 수평 관통되며, 그 수평 이동바(200)(200')의 수평 이동을 단속하는 이동바 구동부(300); 및
    상기 이동바 구동부(300)의 상단에서 수직으로 입설되며, 상단에는 상부 절연롤러(401)가 형성된 절연 연장대(400); 및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에 형성되며, 자체 구동력에 의해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수평 이동되며, 수평 절연롤러(501)가 형성된 복수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이동롤러 유닛(500)(500')은,
    상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가 관통되는 이동 하우징(510);
    상기 이동 하우징(510)에 폭 방향 길이로 축설되며, 상기 수평 이동바(200)(200')의 랙크(210)(210')와 치합되는 롤러 구동기어(520);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내측에서 상부 및 하부에 축설되어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이동을 안내하는 하우징 가이드롤러(530); 및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폭 방향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롤러 구동기어(520)와 결합되어 그 롤러 구동기어(5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롤러 동력부(5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파이프(100)에는,
    하단에 윈치의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 연결공(11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 구동부(300)는,
    상기 절연파이프(100)의 상단에 고정 형성되며, 내부에는 폭 방향 양측을 격벽(311)을 통해 양측의 구동공간(312)(312')을 이루게 구획되며, 각각의 구동공간(312)(312')에 상기 양측의 수평 이동바(200)(200')가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절연 연장대(400)가 입설되는 구동부 하우징(310);
    상기 각각의 구동공간(312)(312')에서 폭 방향 길이로 축설되며,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의 랙크(210)(210')와 치합되는 이동바 구동기어(320)(320');
    상기 각각의 구동공간(312)(312')에서 상부 및 하부에 축설되어 각각의 수평 이동바(200)(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의 수평바 가이드롤러(330)(330'); 및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와 결합되어 그 이동바 구동기어(320)(320')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양측 한 쌍의 이동바 동력부(340)(3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바 동력부(340)(340')는,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력부 하우징(341);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내측에 수평 축설 및 상기 이동바 구동기어(320)(320')가 구동축(342a)으로 연결 결합되는 웜휠(342);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내측에서 상기 웜휠(342)과 치합되는 웜(343a)이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암 조작부(343b)가 형성된 동력축(343)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은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구동부 하우징(310)에는 상기 구동축(342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우징 고정공(313)을 더 형성하고,
    상기 동력부 하우징(341)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고정공(313)에 삽탈되어 동력부 하우징(341)의 고정 및 회전을 단속하는 인덱스 플런져(341a)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동력부(540)는,
    이동 하우징(5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동력부 하우징(541);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 수평 축설 및 상기 롤러 구동기어(520)가 구동축(542a)으로 연결 결합되는 웜휠(542);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내측에서 상기 웜휠(542)과 치합되는 웜(543a)이 형성되며,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롤러 조작부(543b)가 형성된 동력축(543)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은 상기 이동 하우징(510)의 외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상기 이동 하우징(510)에는 상기 구동축(542a)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우징 고정공(511)을 더 형성하고,
    상기 동력부 하우징(541)의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 고정공(511)에 삽탈되어 동력부 하우징(541)의 고정 및 회전을 단속하는 인덱스 플런져(541a)가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9.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110);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120);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13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140);
    전주로부터 핀장주를 철거하고 현수애자와 데드엔드클램프가 설치되는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하는 완철 변경공정(S15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완철 하부로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160);
    상기 데드엔드클램프에 장선기를 설치하고,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면서 장선기의 전선클립으로 전선을 파지 고정하고, 장선기를 조작 및 전선의 적정 이도를 조정하는 긴선공정(S170);
    간접활선용 피박기로 전선을 피박 하고, 전선 벤딩기로 전선을 벤딩하여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여 고정하며, 점퍼선을 구성 및 커버를 취부하고 테이핑 마감하는 장주 변경공정(S180); 및
    장선기를 철거 및 전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190)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S120) 또는 전선 복귀공정(S160)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의 롤러 조작부(543b)를 조작 및 동력축(5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주 변경공정(S180)에서 점퍼선의 구성은,
    전선의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에 물리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 및 벤딩하여 전선을 데드엔드클램프에 체결하되,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의 사이 전선의 위치가 점퍼선을 구성하고,
    상기 데드엔드클램프가 체결된 위치는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주 변경공정(S180)에서 점퍼선의 구성은,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에 대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자 하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하고,
    양측 피박된 전선에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양단을 케이블 헤드로 연결하고, 양측 데드엔드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은 절단 분리하여 적정한 길이의 별도 전선을 슬리브로 압축 연결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
    상기 바이패스 점퍼케이블의 철거 및 슬리브용 커버를 이용하여 연결 위치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장주 변경공정(S180)에서 점퍼선의 구성은,
    양측 데드엔드클램프의 외측에 위치되는 전선에 대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자 하는 위치를 간접활선용 피박기를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피박하고,
    양측 피박된 전선에 적정한 길이의 별도 전선 양단을 슬리브로 압축 연결하고, 양측 데드엔드클램프 사이에 위치되는 전선은 절단 분리하여 점퍼선을 구성하고,
    상기 슬리브가 압축된 위치는 데드엔드클램프용 커버 또는 슬리브용 커버를 취부 및 테이핑하여 마감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3. 제 9항에 있어서,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또는 경간분리 공법을 수행하기 위한 경우, 활선상태로는 장주 일측만 긴선작업을 수행하고 전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 내측은 사선상태로 다른 일측의 긴선작업을 수행하여 장주 변경공정 작업을 완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4.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210);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연장대(400)의 상부 절연롤러(401)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22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 및 가공지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230);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는 할입주 신설공정(S240);
    신설한 할입주에 완철 및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신설공정(S25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한 할입주의 완철 위치로 이동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260);
    신설된 할입주의 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S270);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280)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S220) 또는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의 롤러 조작부(543b)를 조작 및 동력축(5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 신설공정(S250)에서는,
    완철의 상부에 LP애자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전선을 신설한 할입주의 LP애자에 안착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며,
    상기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신설된 할입주의 LP애자에 전선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철 신설공정(S250)에서는,
    완철의 양측에 현수애자를 설치하고,
    상기 전선 복귀공정(S260)에서는,
    전선을 완철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전선 고정공정(S270)에서는,
    상기 완철을 중심으로 양측 전선을 데드엔드클램프를 이용하여 현수애자에 고정하고 점퍼선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7.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전주를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310);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고, 절연 연장대(400)의 상부 절연롤러(401)에 가공지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320);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33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 및 가공지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340);
    기설치된 전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를 설치하는 전주 교체공정(S350);
    철거된 전주의 장주를 철거하고, 신설 전주에 완철 및 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S36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안착시키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이동 위치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370);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전선을 고정하고, 가공지선을 가공지선 지지대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S380); 및
    전선 및 가공지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390)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S320) 또는 전선 복귀공정(S370)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의 롤러 조작부(543b)를 조작 및 동력축(5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8. 무정전 배전선로 공사에서 기설치된 완철을 교체하기 위한 무정전 공법에 있어서,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활선 버켓에 장착하는 리프트 암 장착공정(S410);
    활선 버켓을 이동 및 윈치를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동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전선(특고압전력선) 위치로 이동 및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수평 절연롤러(501)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장악공정(S420);
    전선이 장악된 상태에서 LP애자에 고정된 바인드 또는 바인드레스커버를 제거하여 전선을 분리하는 전선 분리공정(S43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상부로 이동 및 전선을 인상시키고,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이동 확장시켜 전선을 장주로부터 안전한 위치로 분리하는 전선 이선공정(S440);
    전주로부터 기존 완철을 철거하고, 기존 완철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을 설치 및 LP애자를 설치하는 완철 교체공정(S450);
    윈치 작동하여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1)을 하강 및 확장된 수평 이동바(200)(200')를 좌우로 수축 조절하여 전선을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안착시키는 전선 복귀공정(S460);
    신설된 완철의 LP애자에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 고정공정(S470); 및
    전선으로부터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분리 및 철거하는 철거공정(S480)을 수행하되,
    상기 전선 장악공정(S420) 또는 전선 복귀공정(S460)에서는,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이동롤러 유닛(500)(500')의 좌우 이동을 통해 전선의 미세 위치를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각각의 롤러 동력부(540)의 롤러 조작부(543b)를 조작 및 동력축(5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수평 이동바(200)(200')를 따라 좌우 이동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19. 제 9항, 제 14항, 제 17항,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선의 위치 및 이동에 따라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조작해야 하는 경우,
    수평 이동바(200)(200')의 확장 또는 수축 조절은 이동바 구동부(300)로 구동 조절하되,
    안전거리가 확보된 원거리에서 회전 기능 그립 올 클램프 스틱을 이용하여 양측 이동바 동력부(340)(340')의 암 조작부(343b)를 조작 및 동력축(34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켜 좌우로 벌어지는 확장 또는 서로 좁혀지는 축소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을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20. 삭제
KR1020200069607A 2020-06-09 2020-06-09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196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07A KR102196649B1 (ko) 2020-06-09 2020-06-09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607A KR102196649B1 (ko) 2020-06-09 2020-06-09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649B1 true KR102196649B1 (ko) 2020-12-31

Family

ID=7408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607A KR102196649B1 (ko) 2020-06-09 2020-06-09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6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9578A (zh) * 2021-09-02 2021-11-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高压输电线路中更换整串的导线提线器
CN114725829A (zh) * 2022-04-07 2022-07-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方法
CN114744544A (zh) * 2022-04-07 2022-07-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工具
KR20230112187A (ko) 2022-01-19 2023-07-27 한국전력공사 공사용개폐기 설치 리프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11-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JP2010118264A (ja) * 2008-11-13 2010-05-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引下線用コネクタ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101754811B1 (ko) * 2017-01-16 2017-07-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101946206B1 (ko) 2018-08-20 2019-02-11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에 설치되는 간접활선작업용 리프트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안전 이격공법
KR101955155B1 (ko)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786Y1 (ko) 2001-06-12 2001-11-16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JP2010118264A (ja) * 2008-11-13 2010-05-27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引下線用コネクタ
KR20130024565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이선 장치
KR101754811B1 (ko) * 2017-01-16 2017-07-06 제룡산업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선슬리브의 절연커버
KR101955155B1 (ko)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KR101946206B1 (ko) 2018-08-20 2019-02-11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에 설치되는 간접활선작업용 리프트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안전 이격공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29578A (zh) * 2021-09-02 2021-11-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供电公司 一种高压输电线路中更换整串的导线提线器
KR20230112187A (ko) 2022-01-19 2023-07-27 한국전력공사 공사용개폐기 설치 리프트
CN114725829A (zh) * 2022-04-07 2022-07-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方法
CN114744544A (zh) * 2022-04-07 2022-07-12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工具
CN114744544B (zh) * 2022-04-07 2024-04-1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工具
CN114725829B (zh) * 2022-04-07 2024-04-16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永康市供电公司 一种双回线路三角排列直线杆改耐张杆带电作业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649B1 (ko)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32560B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1955155B1 (ko)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KR101344289B1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AU2017202498B2 (en) Boom mountable robotic arm
AU703965B2 (en) Boom-mountable robotic arm
CN100380758C (zh) 电线杆内的换线装置和非掉电的配电方法
US10658822B2 (en) Remote manipulator for manipulating live multiple sub-conductors in a single phase bundle
CN100367589C (zh) 电力线绞线辊子及其操作方法
AU2007353299C1 (en) Boom mountable robotic arm
JP6778879B2 (ja) 絶縁活線張線器とバイパスジャンパーケーブルを用いて電柱径間内電線を分離して死線状態で区間内作業を行う無停電配電工法
KR20150087786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JP2003018731A (ja) 伸縮式電柱、ケーブル架設方法
CN205412109U (zh) 一种电杆自动攀爬机构
CN105129627A (zh) 电杆支撑的折叠式吊臂装置
CN107370079A (zh) 一种连接并勾线夹引线的带电作业方法
CN116181393A (zh) 综采液压支架回撤工艺
KR101275111B1 (ko)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EP3573200A1 (en) Rotating conductor holder
JP2008282733A (ja) 接地棒操作装置
KR200252786Y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CN209161144U (zh) 一种重型电缆敷设装置
CN213906101U (zh) 一种线缆穿线辅助装置
CN105972316A (zh) 一种带有伸缩性孔式桥架
JPH1111891A (ja) ブームの伸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