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111B1 -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 Google Patents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111B1
KR101275111B1 KR1020130015340A KR20130015340A KR101275111B1 KR 101275111 B1 KR101275111 B1 KR 101275111B1 KR 1020130015340 A KR1020130015340 A KR 1020130015340A KR 20130015340 A KR20130015340 A KR 20130015340A KR 101275111 B1 KR101275111 B1 KR 101275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support
support
insulated
oute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수
임용호
Original Assignee
임용호
서광전기통신공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호, 서광전기통신공사(주) filed Critical 임용호
Priority to KR102013001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05Insulato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built-in electric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거나 편출 핀장주를 편출 내장주로 교체 또는 편출 내장주를 교체할 때 작업자가 특고압선의 사이에서 혼촉없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특고압선 간의 충분한 이격거리 및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직접활선 배전설비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한 형태는 절연가완목 및 내측과 외측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전주에 설치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키고 편출 핀장주의 외측전선을 외측전선 지지대에 이선하고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 이선 및 절연가완목 상승시키는 단계와; 전주에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하강시키고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핀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과 외측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철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Replacement method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of direct live wire for double insulation}
본 발명은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거나 편출 핀장주를 편출 내장주로 교체 또는 편출 내장주를 교체할 때 작업자가 특고압선의 사이에서 혼촉없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특고압선 간의 충분한 이격거리 및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직접활선 배전설비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의 상단부에 애자가 구비된 완금을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3상의 전선을 완금의 애자에 고정 및 절연하게 되고, 한국전력공사의 배전선로 공사현장에서 기설 전주의 전선 교체 및 지지부설, 각도주 변경을 위한 장주변경(핀장주-내장주 교체) 및 부식 완금(완철)교체, 가공지지대 교체시에는 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여 고압 전선을 가완목에 이선한 후, 가완목을 들어 올려 작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의 작업 과정중 애자에 전선을 지지할 때는 불가피하게 협소한 전선 사이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통상, 작업자는 활선버킷차량의 버킷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활선접촉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버킷을 1차 절연하고 상기 버킷을 지지하는 붐(boom)을 2차 절연하는 이중절연 구조를 가지며, 작업자 신체 접촉에 의한 선간 접촉 사고를 예방하고자 방호구를 설치하나, 상기 버킷과 붐이 절연되지 않으면 활선상태의 고압선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쪽 고압선이 절연이 파괴된 버킷이나 붐에 접촉할 때 또는 절연이 파괴된 방호구, 전선 노출 부위등이 작업자의 신체에 접촉할 때 고전압이 작업자를 통해 통전됨으로써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이렇게 활선버킷차량을 이중절연하더라도 상시 버킷이나 붐 또는 방호구는 외부의 환경이나 조건에 의해 절연파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 없는 것이므로 생명을 보호하기 위해 이중절연 작업공간확보가 작업자의 생명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한편, 편출 장주는 일반 장주에 비해 3상의 고압 전선이 모두 한 쪽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사이의 간격이 극히 협소할 수 밖에 없다. 보편적으로 편출 장주에서 전선 사이의 간격이 56cm 정도인데 비해, 작업자의 위팔사이 너비는 최대 58cm로써 전선의 사이로 작업자가 침투하는 것 조차도 어렵고, 전선 이선시 중량의 전선을 작업자가 계속적으로 들고 있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므로 통상 버킷에 전선을 올려 놓게 됨으로써 절연파괴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은 상당히 위험한 수위에 놓여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편출 핀장주와 편출 내장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출 핀장주(140) 및 편출 내장주(150)는 한쪽에 3상의 전선, 즉 내측전선(110)과 중간전선(120) 및 외측전선(130)이 모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 사이의 간격이 좁고, 작업자가 전선의 사이로 침투하여 전선 이선 및 장주 교체작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상당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측전선(110)과 외측전선(130)은 바깥쪽이 비어 있기 때문에 이중절연에 의한 공간확보가 이루어져 고압선의 접촉을 피하면서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나, 중간전선(120)의 경우에는 내측전선(110) 또는 외측전선(130)과의 간격이 좁아 이중절연에 의한 공간이 확보되지 못함으로써 항상 생명의 위험을 안고 작업을 수행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거나 편출 핀장주를 편출 내장주로 교체 또는 편출 내장주를 교체할 때 작업자가 특고압선의 사이에서 혼촉없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특고압선 간의 충분한 이격거리 및 이중절연에 의한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직접활선 배전설비의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의 한 형태는, 절연가완목 및 내측과 외측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전주에 설치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키고 편출 핀장주의 외측전선을 외측전선 지지대에 이선하고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 이선 및 절연가완목 상승시키는 단계와; 전주에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하강시키고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핀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과 외측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철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의 다른 형태는, 절연가완목 및 내측과 외측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전주에 설치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키고 편출 핀장주의 외측전선을 외측전선 지지대에 이선하고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 이선 및 절연가완목 상승시키는 단계와; 전주에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를 철수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하강시키고 전주에 신규 편출 내장주를 설치하는 단계와; 내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의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단계와; 외측전선 지지대를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과 외측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의 또다른 형태는, 절연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고 상기 절연가완목에 내측전선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상승시켜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의 내측전선을 내측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가완목에 외측전선 지지대를 설치하고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 측으로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의 외측전선을 이선후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의 사이를 벌려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단계와; 상기 확보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통해 편출 내장주의 중간전선을 절연가완목의 중간전선 지지대에 이선하고 다시 절연가완목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를 신규 편출 내장주로 교체하는 단계와;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키고 확보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통해 중간전선 지지대의 중간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단계와;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를 다시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후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를 철수하는 단계와;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의 내측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후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거나 편출 핀장주를 편출 내장주로 교체 또는 편출 내장주를 교체할 때 내측전선 또는 외측전선과 간격 또는 이중절연 작업공간 확보되지 않아 활선버킷차량에 탑승한 작업자가 혼촉 가능성이 높은 중간전선의 이선시 외측전선을 벌려 충분한 이격거리 및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고압선에 작업자가 접촉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특고압선의 활선상태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작업자가 신체접촉에 따른 어려움없이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편출 핀장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편출 내장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예를 나타낸 통상의 절연가완목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출 핀장주와 편출 핀장주 간의 교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편출 핀장주와 편출 내장주 간의 교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편출 내장주와 편출 내장주 간의 교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편출 핀장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편출 핀장주(140)는 전주(100)의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으로 편출되게 전주(100)에 설치되고, 3상의 전선, 즉 내측전선(110)과 외측전선(130) 및 중간전선(120) 모두 편출된 핀장주(140) 상에 집중되어 애자(140a)에 고정 및 절연된다.
도 2는 일반적인 편출 내장주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출 내장주(150) 역시 편출 핀장주(140)와 마찬가지로 좌측 또는 우측의 한쪽으로 편출되어 3상의 내측전선(110)과 외측전선(130) 및 중간전선(120)이 모두 편출된 내장주(150) 상에 집중되어 현수애자(150a)에 고정 및 절연되는 것으로서, 편출 핀장주(140) 및 편출 내장주(150) 모두 내측전선(110)과 중간전선(120), 및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공간이 극히 협소하여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편출 핀장주 및 편출 내장주를 교체함에 있어, 상기 중간전선(120)을 가완목에 이선할 때, 내측전선(110)과 중간전선(120)의 사이 또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의 사이에 이중절연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작업자가 특고압선의 접촉없이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용 예를 나타낸 통상의 절연가완목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절연가완목(160)은 수직절연완금(160a)과 수평절연완금(160b)을 연결하여 구성되고, 전주(100)에 고정 및 설치하기 위한 인양 방법은 통상의 와이어를 이용하거나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선 이선을 위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 3상의 전선 하부를 지지해주는 통상의 전선지지대, 즉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외측전선 지지대(170c)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170c)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지 않고,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외측전선 지지대(170c)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전선(130)이 절연가완목(160)의 상승시 외측전선(130)을 외측방향으로 벌어지게 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외측전선 지지대(170c)는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에 의해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됨이 없이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고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다. 이하, 활선버켓차량의 작업자가 전선과 혼촉없이 충분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편출 핀장주 및 편출 내장주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편출 핀장주와 편출 핀장주 간의 교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가완목 및 전선지지대 설치(제1 단계)- 외측전선 이선 및 전선간 작업공간 확보(제2 단계) -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 이선 및 절연가완목 상승(제3 단계) - 편출 핀장주 교체(제4 단계) - 절연가완목 하강 및 외측전선 이선(제5 단계) - 전선지지대 및 절연가완목 철수(제6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
전주(100)에 절연가완목(160)을 설치하고,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에 전선지지대, 즉 편출 핀장주(140)의 내측전선(110)과 외측전선(130) 및 중간전선(120)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외측전선 지지대(170c)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를 설치한다. 이때 외측전선 지지대(170c)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보다 높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또는 슬라이딩 패드가 내장된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를 마련하여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고, 볼트 또는 핀을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고수할 수 있다.
(제2 단계)
전주(100)에 설치된 절연가완목(160)과, 절연가완목(160)에 설치된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외측전선 지지대(170c)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를 통상의 와이어 인양 또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먼저, 외측전선(130)을 외측전선 지지대(170c)에 이선하고,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130)을 중간전선(120)으로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로 벌림으로써 전선 간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한다.
(제3 단계)
활선버킷차량의 작업자는 먼저, 전선 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내측전선(110)을 내측전선 지지대(170a)로 이선하고, 다시 제2 단계에 의해서 전선과의 혼촉없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으로 들어가 3상 중에 나머지 중간전선(120)을 절연가완목(160)의 중간전선 지지대(170b)로 이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중간전선(120)의 이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절연가완목(160)의 편출 핀장주(140)의 상부측으로 다시 상승시켜 편출 핀장주(140)의 교체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제4 단계)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140)와 절연가완목(160)의 전선 사이에 확보된 작업공간을 통해 활선버킷차량의 작업자는 기존 편출 핀장주(140)를 전주(100)로부터 분리하여 신규 편출 핀장주(140) 및 애자(140a)를 전주(100)에 교체 및 설치하게 된다.
(제5 단계)
절연가완목(160)을 다시 하강시킨다. 그런 다음 절연가완목(160)의 내측전선 지지대(170a)의 내측전선(110)을 신규 편출 핀장주(140)의 애자(140a)에 이선한 후, 혼촉없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에서 중간전선 지지대(170b)의 중간전선(120)을 신규 편출 핀장주(140)의 애자에 이선한다. 그리고,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다시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되게 한 다음 외측전선 지지대(170c)의 외측전선(130)을 신규 편출 핀장주(140)의 애자에 이선함으로써 편출 핀장주(140)의 신규 교체에 따른 3상의 전선 이선작업을 모두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제6 단계)
제5 단계에 의해 편출 핀장주(140)의 신규 교체에 따른 3상의 전선 이선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는 다시 절연가완목(160)으로부터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중간전선 지지대(170b) 및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모두 분리하고 절연가완목(160)을 전주(100)로부터 철수함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마치게 된다.
<제2 실시예 >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편출 핀장주와 편출 내장주 간의 교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가완목 및 전선지지대 설치(제1 단계)- 외측전선 이선 및 전선간 작업공간 확보(제2 단계) -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 이선 및 절연가완목 상승(제3 단계) - 기존 편출 핀장주 철수(제4 단계) - 절연가완목 하강 및 신규 편출 내장주 설치(제5 단계) -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 이선(제6 단계)- 외측전선 이선(제7 단계) - 전선지지대 및 절연가완목 철수(제8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
전주(100)에 절연가완목(160)을 설치하고,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에 전선지지대, 즉 편출 핀장주(140)의 내측전선(110)과 외측전선(130) 및 중간전선(120)의 하부를 지지해주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외측전선 지지대(170c)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를 설치한다. 이때 외측전선 지지대(170c)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보다 높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또는 슬라이딩 패드가 내장된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를 마련하여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고, 볼트 또는 핀을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고수할 수 있다.
(제2 단계)
전주(100)에 설치된 절연가완목(160)과, 절연가완목(160)에 설치된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외측전선 지지대(170c)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를 통상의 와이어 인양 또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먼저, 외측전선(130)을 외측전선 지지대(170c)에 이선하고,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130)을 중간전선(120)으로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로 벌림으로써 전선 간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한다.
(제3 단계)
활선버킷차량의 작업자는 먼저, 전선 간의 간섭을 받지 않는 내측전선(110)을 내측전선 지지대(170a)로 이선하고, 다시 제2 단계에 의해서 전선과의 혼촉없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으로 들어가 3상 중에 나머지 중간전선(120)을 절연가완목(160)의 중간전선 지지대(170b)로 이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중간전선(120)의 이선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절연가완목(160)의 편출 핀장주(140)의 상부측으로 다시 상승시켜 편출 핀장주(140)의 교체를 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제4 단계)
상기 제3 단계에 의해서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140)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전주(100)에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140)를 분리하여 철수하게 된다.
(제5 단계)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140)를 전주(100)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한 후에는 절연가완목(160)을 다시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140)의 위치보다 낮게 하강시킨 다음,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140)의 위치에 신규 편출 내장주(150)를 전주에 설치하게 된다.
(제6 단계)
절연가완목(160)의 내측전선 지지대(170a)의 내측전선(110)을 신규 편출 내장주(150)의 현수애자(150a)에 이선한 후, 혼촉없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에서 중간전선 지지대(170b)의 중간전선(120)을 신규 편출 내장주(150)의 현수애자(150a)에 이선한다.
(제7 단계)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다시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되게 한 다음 외측전선 지지대(170c)의 외측전선(130)을 신규 편출 내장주(150)의 현수애자(150a)에 이선함으로써 편출 핀장주(140)를 편출 내장주(150)로 교체함에 따른 3상의 전선 이선작업을 모두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제8 단계)
제7 단계에 의해 편출 핀장주(140)를 편출 내장주(150)로 교체함에 따른 3상의 전선 이선작업을 모두 마친 후에는 다시 절연가완목(160)으로부터 내측전선 지지대(170a)와 중간전선 지지대(170b) 및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모두 분리하고 절연가완목(160)을 전주(100)로부터 철수함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마치게 된다.
<제3 실시예 >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편출 내장주와 편출 내장주 간의 교체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절연가완목 및 내측전선 지지대 설치(제1 단계) - 절연가완목 설치 및 내측전선 이선(제2 단계) - 외측전선 이선 및 작업공간 확보(제3 단계) - 중간전선 이선 및 절연가완목 하강(제4 단계) - 편출 내장주 교체(제5 단계) - 절연가완목 상승 및 중간전선 이선(제6 단계) - 외측전선 이선 및 외측전선 지지대 철수(제7 단계) - 내측전선 이선, 및 전선지지대와 절연가완목 철수(제8 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
전주(100)에 절연가완목(160)을 설치하고,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에 전선지지대, 즉 편출 내장주(150)의 내측전선(110) 하부를 지지해주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를 설치한다.
(제2 단계)
전주(100)에 설치된 절연가완목(160)과, 절연가완목(160)에 설치된 내측전선 지지대(170a)를 통상의 와이어 인양 또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상승시킨다. 그런 다음 절연가완목(160)의 내측전선 지지대(170a)의 내측전선(110)을 신규 편출 내장주(150)의 현수애자(150a)에 이선한다.
(제3 단계)
편출 핀장주(140)의 외측전선(130) 하부를 지지해주는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외측전선 지지대(170c)는 내측전선 지지대(170a) 및 중간전선 지지대(170b)보다 높게 외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됨과 동시에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또는 슬라이딩 패드가 내장된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를 마련하여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고정할 수 있고, 볼트 또는 핀을 이용하여 이동위치를 고수할 수 있다. 외측전선(130)을 외측전선 지지대(170c)에 이선한 후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 상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130)을 중간전선(120)으로부터 충분한 이격거리로 벌림으로써 전선 간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한다.
(제4 단계)
전선과의 혼촉없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으로 들어가 중간전선(120)을 절연가완목(160)의 중간전선 지지대(170b)로 이선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며, 3상의 이선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절연가완목(160)을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150)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킨다.
(제5 단계)
상기 제5 단계에 의해서 기 설치된 편철 핀장주()를 교체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확보된 상태에서 전주(100)에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150)를 분리하여 철수한 다음, 신규 편출 내장주(150)로 교체한다.
(제6 단계)
절연가완목(160)을 다시 상승시킨 후, 전선과의 혼촉없이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중간전선(120)과 외측전선(130)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으로 들어가 중간전선(120)을 신규 설치된 편출 내장주(150)의 애자(150a)에 이선한 다음, 내측전선 지지대(170a)를 철수한다.
(제7 단계)
외측전선 지지대(170c)를 다시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의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되게 한 다음 외측전선 지지대(170c)의 외측전선(130)을 신규 편출 내장주(150)의 현수애자(150a)에 이선한 후, 외측전선 지지대(170c) 및 지지대 슬라이딩기구(180)를 절연가완목(160)의 수평절연완금(160b)으로부터 분리 및 철수한다.
(제8 단계)
절연가완목(160)의 내측전선 지지대(170a)의 내측전선(110)을 신규 편출 내장주(150)의 현수애자(150a)에 이선한 후, 내측전선 지지대(170a)를 절연가완목(160)으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절연가완목(160)을 전주(100)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함으로써 일련의 편출 내장주를 교체하는 작업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편출 핀장주를 교체하거나 편출 핀장주를 편출 내장주로 교체 또는 편출 내장주를 교체할 때 내측전선 또는 외측전선과 간격 또는 이중절연 작업공간이 극히 협소하여 활선버킷차량에 탑승한 작업자가 혼촉 가능성이 높은 중간전선의 이선시 외측전선을 벌려 충분한 이격거리 및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고압선에 작업자가 접촉함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특고압선의 활선상태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작업자가 신체접촉에 따른 어려움없이 보다 안전하게 효율적으로 작업에 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0: 전주 110: 내측전선
120: 중간전선 130: 외측전선
140: 편출 핀장주 140a: 애자
150: 편출 내장주 150a: 현수애자
160: 절연가완목 160a: 수직절연완금
160b: 수평절연완금 170a: 내측전선 지지대
170b: 중간전선 지지대 170c: 외측전선 지지대
180: 지지대 슬라이딩기구

Claims (3)

  1. 절연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고, 상기 절연가완목 상에 편출 핀장주의 내측전선과 외측전선 및 중간전선의 하부를 지지해줄 수 있는 내측전선 지지대와 외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설치하되,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는 내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보다 높게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와 외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키고, 외측전선을 외측전선 지지대에 이선후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의 사이를 벌려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편출 핀장주의 내측전선을 절연가완목의 내측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후 확보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에서 중간전선을 절연가완목의 중간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한 다음, 다시 절연가완목을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의 상부측으로 상승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를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한 후 신규 편출 핀장주를 전주에 설치 및 교체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절연가완목을 하강시켜 내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의 내측전선 및 중간전선을 신규 편출 핀장주 측으로 이선하고, 다시 외측전선 지지대를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핀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제5 단계와;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와 외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2. 절연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고, 상기 절연가완목 상에 편출 핀장주의 내측전선과 외측전선 및 중간전선의 하부를 지지해줄 수 있는 내측전선 지지대와 외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설치하되,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는 내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보다 높게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와 외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키고, 외측전선을 외측전선 지지대에 이선후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의 사이를 벌려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편출 핀장주의 내측전선을 절연가완목의 내측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후 확보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 사이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에서 중간전선을 절연가완목의 중간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한 다음, 다시 절연가완목을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의 상부측으로 상승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전주에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를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절연가완목을 다시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의 위치보다 낮게 하강시킨 후 기 설치된 편출 핀장주의 위치에 신규 편출 내장주를 설치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신규 편출 내장주에 내측전선 지지대의 내측전선을 이선한 후 확보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 간의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통해 중간전선 지지대의 중간전선을 이선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를 다시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제7 단계와;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와 외측전선 지지대 및 중간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3. 절연가완목을 전주에 설치하고, 상기 절연가완목 상에 내측전선 지지대를 설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절연가완목을 상승시켜 전주에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의 내측전선을 절연가완목의 내측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절연가완목에 외측전선 지지대를 설치하되, 내측전선 지지대보다 높게 외측방향으로 설치한 후 외측전선 지지대 측으로 편출 내장주의 외측전선을 이선하고, 외측전선 지지대를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중간전선과 외측전선의 사이를 벌려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 의해 확보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통해 편출 내장주의 중간전선을 절연가완목의 중간전선 지지대 측으로 이선후 절연가완목을 하강시키는 제4 단계와;
    상기 기 설치된 편출 내장주를 신규 편출 내장주로 교체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절연가완목을 상승시킨 후 중간전선과 외측전선 간의 확보된 이중절연 작업공간을 통해 중간전선 지지대의 중간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를 다시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외측전선 지지대의 외측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고, 상기 외측전선 지지대를 절연가완목으로부터 철수하는 제7 단계와;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의 내측전선을 신규 편출 내장주 측으로 이선하고, 상기 내측전선 지지대를 포함하는 절연가완목을 전주로부터 분리하여 철수하는 제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KR1020130015340A 2013-02-13 2013-02-13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KR101275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40A KR101275111B1 (ko) 2013-02-13 2013-02-13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40A KR101275111B1 (ko) 2013-02-13 2013-02-13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5111B1 true KR101275111B1 (ko) 2013-06-17

Family

ID=4886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340A KR101275111B1 (ko) 2013-02-13 2013-02-13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51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22B1 (ko)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5190811A1 (ko) * 2014-06-09 2015-12-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5190812A1 (ko) * 2014-06-09 2015-12-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210077927A (ko) * 2019-12-18 2021-06-28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20230121368A (ko) * 2022-02-11 2023-08-1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196A (ja) * 2001-06-11 2007-08-16 Daewon Electric Co Ltd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を利用した無停電配電工法
KR20070112594A (ko) * 2006-05-22 2007-11-27 합자회사 대광전기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20090039398A (ko) * 2007-10-18 2009-04-22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101106236B1 (ko) * 2011-06-28 2012-01-19 주식회사 지이플러스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196A (ja) * 2001-06-11 2007-08-16 Daewon Electric Co Ltd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を利用した無停電配電工法
KR20070112594A (ko) * 2006-05-22 2007-11-27 합자회사 대광전기 활선 전선로의 보수 및 교체작업을 위한 보조 가지지장치의설치공법 및 활선전선로의 보조가지지장치
KR20090039398A (ko) * 2007-10-18 2009-04-22 양희성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완금 및 전주 교체기구
KR101106236B1 (ko) * 2011-06-28 2012-01-19 주식회사 지이플러스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822B1 (ko)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473821B1 (ko) *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101473820B1 (ko) * 2014-01-20 2014-12-18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CN106463939A (zh) * 2014-01-20 2017-02-22 曙光电子通讯工程(株) 配电设备带电作业用辅助装置及利用此装置的配电设备带电作业方法
CN106463938A (zh) * 2014-01-20 2017-02-22 曙光电子通讯工程(株) 配电设备带电作业方法
CN106463941A (zh) * 2014-01-20 2017-02-22 曙光电子通讯工程(株) 配电设备带电作业方法
WO2015190811A1 (ko) * 2014-06-09 2015-12-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WO2015190812A1 (ko) * 2014-06-09 2015-12-17 서광전기통신공사(주)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KR20210077927A (ko) * 2019-12-18 2021-06-28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102650799B1 (ko) * 2019-12-18 2024-03-26 한국전력공사 배전설비 무정전작업용 보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배전설비 무정전작업방법
KR20230121368A (ko) * 2022-02-11 2023-08-1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KR102641637B1 (ko) 2022-02-11 2024-02-28 조덕승 간접 활선용 전선 인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111B1 (ko) 이중절연 공간확보를 위한 직접활선 배전설비 교체공법
KR101344289B1 (ko) 승강구동장치를 이용한 배전활선 장주 교체공법
KR102232560B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20130026849A (ko) 전선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전선 이선 방법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1106236B1 (ko) 활선 작업차를 이용한 활선 작업장치 및 작업공법
CN105396270A (zh) 一种电杆自动攀爬机构
CN101277002B (zh) 带电组立10kV双回配电线路砼杆施工方法
CN104852329A (zh) 一种高压架空线路保护套管施工工具
JP2015019482A (ja) 高所作業車および高所作業車による装柱工法
CN104078881B (zh) 带电更换中相耐张绝缘子专用工具
CN203071537U (zh) 地下敷设电缆正三角固定支架
CN103681142B (zh) 一种令克绝缘隔板
CN204424484U (zh) 防触电全绝缘接地保护装置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CN205882560U (zh) 配电带电作业地电位专用循环绳架装置
JP2017175833A (ja) 鳥害防止具の取付け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取付け治具
CN104113007A (zh) 35kV架空配电线路带电更换耐张绝缘子的作业方法
CN202616674U (zh) 带电维修及更换绝缘子作业工具
CN204696553U (zh) 一种车用绝缘横担
CN104505771A (zh) 架空地线提升器
JP4425171B2 (ja) 光通信ケーブルの吊線の接地
CN210764090U (zh) 一种便携式深沟电缆升降装置
CN103545754A (zh) 一种耐张横担双横担绝缘遮蔽罩
CN203833385U (zh) 新型接地线绕线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