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726B1 -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726B1
KR102657726B1 KR1020230137787A KR20230137787A KR102657726B1 KR 102657726 B1 KR102657726 B1 KR 102657726B1 KR 1020230137787 A KR1020230137787 A KR 1020230137787A KR 20230137787 A KR20230137787 A KR 20230137787A KR 102657726 B1 KR102657726 B1 KR 10265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indirect live
live wire
wir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7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7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 및 그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여 무정전 배전공사를 간접 활선작업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을 연장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며, 또한, 상하 1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에 대하여 완철의 연장 및 전선의 이동을 통해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작업자가 배전선로 간접 활선작업시 안전한 진입 및 안전한 작업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1회선 이상 배전선로 및 그 상단 배전선로의 장주 변경, 완철 교체, 현수애자 교체, LP애자 교체, 이도 조정, LA 설치 및 철거,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방호구 설치 및 철거, 점퍼선 교체, 전선 교체, 선로 기별 점검, 개폐기 설치 및 철거 등의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A cross arm extension arm for indirect live wires and a method for securing a safe distance for indirect live wire work using the same, and an indirect live wire uninterruptible distribution method based on a method for securing a safe distance for indirect live wire work}
본 발명은 활선상태의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 및 그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여 무정전 배전공사를 간접 활선작업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에 대하여 충분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 및 그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1회선 이상 배전선로 및 그 상단 배전선로의 장주 변경, 완철 교체, 현수애자 교체, LP애자 교체, 이도 조정, LA 설치 및 철거,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방호구 설치 및 철거, 점퍼선 교체, 전선 교체, 선로 기별 점검, 개폐기 설치 및 철거 등을 간접 활선작업으로 간편하고 안전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기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바켓트럭 및 활선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직접활선작업으로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완금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직접 활선작업으로 바이패스케이블 등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전기용량이 5,000KW를 초과하는 배전선로는 기존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작업시에 기존 케이블 공법용 케이블의 허용용량이 5,000KW이하이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용량을 5,000KW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타 배전선로로 전력부하를 절체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고, 효과적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자에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활선작업용스틱 등의 절연공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작업을 하는 간접활선작업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간접활선작업은 배전선로의 1회선 작업에는 매우 유용할 수 있으나, 상하 1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의 경우 그 상부의 배전선로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간접 활선작업 안전 이격거리가 확보되지 않아 마땅한 작업 방법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정전작업을 하거나 공사비가 3~10배 까지 소요될 뿐만아니라 공법용 공사용 개폐기 사고가 빈번한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하여 무정전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3606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61405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325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을 연장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하 1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에 대하여 완철의 연장 및 전선의 이동을 통해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작업자가 배전선로 간접 활선작업시 안전한 진입 및 안전한 작업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1회선 이상 배전선로 및 그 상단 배전선로의 장주 변경, 완철 교체, 현수애자 교체, LP애자 교체, 이도 조정, LA 설치 및 철거,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방호구 설치 및 철거, 점퍼선 교체, 전선 교체, 선로 기별 점검, 개폐기 설치 및 철거 등의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전방으로 개방되며, 전주의 완철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관체 형태의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장착공이 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를 완철에 체결 고정력을 부여하는 장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장착수단은,
전후 길이를 이루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중간부에는 사방으로 스페이서가 형성되고, 후단 중앙에는 가이드핀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스프링 지지핀이 형성되고, 스프링 지지핀의 후방측에는 수평 장공 형태의 레버 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판;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수용 및 전후 슬라이딩 작동되며, 선단에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전방측 중간부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핀이 관통되는 수평 장공 형태의 스프링 안내홈이 관통 형성 및 상기 스프링 지지핀에 스프링 탄설되어 전방 이동력을 가지며,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수용 안내되는 가이드핀 안내홈이 형성된 작동판;
폭방향 양측 한 쌍으로 이루고 각각은 후방이 상기 지지의 전방에 축 결합되어 회동 작동 및 개방스프링으로 탄설되어 전방이 벌어지는 탄력을 가지며, 서로 대항되는 전방에는 핀 고정홈이 형성되고, 서로 대항되는 후방에는 상기 작동판의 걸림돌부가 걸림되는 후방 확장형 단차를 이루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된 체결구; 및
상기 지지판의 레버 가이드공을 관통 및 작동판에 결합되어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간접활선 작업으로 작동판의 후방 이동력을 부여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또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하되,
활선작업용스틱을 포함한 완철 연장을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하고 활선버켓을 사용하여 배전선로로 이동하는 작업 준비공정;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 일측 또는 양측에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결합하여 완철을 연장하는 완철 연장공정;
배전선로의 전선을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으로 옮겨 간접 활선작업을 위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에 옮겨 놓은 배전선로의 전선을 완철에 옮겨 복귀하는 전선 복귀 공정; 및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철거하는 마무리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또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활선 작업을 수행하되,
활선작업용스틱을 포함한 완철 연장을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하고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배전선로로 이동하는 작업 준비공정;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 일측 또는 양측에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결합하여 완철을 연장하는 완철 연장공정;
배전선로의 전선을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으로 옮겨 간접 활선작업을 위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되면 작업자가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하는 본 작업 공정;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에 옮겨 놓은 배전선로의 전선을 완철에 옮겨 복귀하는 전선 복귀 공정; 및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철거하는 마무리 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완철의 연장을 통해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배전선로의 안전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하 1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에 대하여 완철의 연장 및 전선의 이동을 통해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1회선 이상 배전선로 및 그 상단 배전선로로 진입하여 장주 변경, 완철 교체, 현수애자 교체, LP애자 교체, 이도 조정, LA 설치 및 철거,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방호구 설치 및 철거, 점퍼선 교체, 전선 교체, 선로 기별 점검, 개폐기 설치 및 철거 등의 안전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1 실시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1 실시예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2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2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3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3 실시예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장착수단 요부 결합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장착수단 요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요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장착수단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전체 공정 순서도.
도 15 내지 도 2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또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전체 공정을 나타낸 간략도.
도 2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전체 공정 순서도.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장주변경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핀장주 완철교체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28 내지 도 3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현수애자 교체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32 내지 도 3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 교체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35 내지 도 38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이도조정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39 및 도 4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LA 설치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LA 철거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43 내지 도 45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1회선 이상 배전선로의 할입주 신설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46 내지 도 49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1회선 이상 배전선로의 전주교체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50 내지 도 5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방호구 설치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53 및 도 5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방호구 철거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55 내지 도 57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점퍼선 교체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58 및 도 59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 교체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6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선로 기별 점검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61 내지 도 6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 설치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64 내지 도 66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의 본 작업 공정 중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 철거 작업에 대한 실시예도.
도 67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에서의 장주 형태를 나타낸 간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1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1 실시예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2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2 실시예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3 실시예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제3 실시예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장착수단 요부 결합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장착수단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은 결합부(100)와, 연장부(200)와, 장착수단(300)으로 구성된다.
먼저, 결합부(1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구성함에 있어, 전주의 완철의 단부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결합부(100)는 완철에 결합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관체 형태를 이루되, 바람직하게는 사각 관체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2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결합부(100)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결합 구성을 통해 연장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연장부(200)는 통상의 완철과 같이 사각 관체 형태를 이루며, 중간부에는 LP애자 또는 현수애자를 설치하기 위한 볼쇄클 등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장착공(210)이 수직 또는 수평 상으로 관통 구성된다.
상기 장착수단(30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결합부(100)에 형성되어 그 결합부(100)를 완철에 결합시 체결력을 부여하여 안정적인 장착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장착수단(300)은 먼저, 지지판(310)이 구성된 것으로, 지지판(310)은 전후 길이를 이루는 판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판(310)은 후술하는 결합부(10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라 단일 또는 대칭 이격되는 한 쌍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지지판(310)에는 그 표면에 사방으로 스페이서(311)가 돌출 구성되고, 그리고 지지판(310)에는 그 후단 중앙에는 가이드핀(312)이 돌출 구성되며, 중간부에는 스프링 지지핀(313)이 돌출 형성되고, 스프링 지지핀(313)의 후방측에는 전후 방향 수평 장공 형태의 레버 가이드공(314)이 관통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판(310)을 한 쌍으로 구성시에는 상기 스페이서(311)와 가이드핀(312)과 스프링 지지핀(313)을 통해 이격 되도록 연결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착수단(300)에는 상기 지지판(310)을 가이드로 하여 작동판(320)이 구성된 것으로, 작동판(320)은 상기 스페이서(311)의 사이에 수용되어 전후 슬라이딩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판(320)에는 그 선단에 후술하는 체결구(330)(330')의 전개를 단속하기 위한 걸림돌부(321)가 돌출 구성된다.
그리고 작동판(320)에는 전방측 중간부에는 후방에 상기 스프링 지지핀(313)이 관통되는 수평 장공 형태의 스프링 안내홈(322)이 관통 구성된 것으로, 그 스프링 안내홈(322)에는 스프링(323)이 스프링 지지핀(313)과의 사이에 탄설되어, 작동판(320)의 전방 이동력을 가지게 한다.
그리고 작동판(320)에는 후단에 상기 가이드핀(312)이 수용 안내되도록 가이드핀 안내홈(324)이 후방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작동판(320)의 안정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장착수단(300)에는 상기 작동판(320)의 슬라이딩 단속에 의해 전개 또는 접이 작동하여 완철에 체결력을 부여하는 폭방향 양측 한 쌍의 체결구(330)(330')가 구성된다.
`이때, 각각의 체결구(330)(330')는 그 후방이 상기 지지판(310)의 전방측에 축(331) 결합되어 폭 방향 서로 반대 방향 회동 작동되게 구성되며, 각각은 개방스프링(332)이 탄설되어 전방이 전개되는 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체결구(330)(330')에는 서로 대항되는 전방에는 반원홈 형태의 핀 고정홈(333)이 형성되고, 서로 대항되는 후방에는 상기 작동판(320)의 걸림돌부(321)가 걸림되는 걸림홈(334)이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걸림홈(334)은 단차를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전방은 좁고 후방은 넓은 단차를 이루어 작동판(320)의 걸림돌부(321)가 걸림홈(334)의 전방에 위치시 개방스프링(332)을 압축하여 체결구(330)(330') 전방이 접힘 및 핀 고정홈(333)이 닫히고, 걸림홈(334)의 후방에 위치시 개방스프링(332) 탄력에 의해 체결구(330)(330') 전방이 전개 및 핀 고정홈(333)이 개방되게 구성된다.
또한, 장착수단(300)에는 상기 작동판(320)의 슬라이딩 이동을 단속하는 작동레버(340)가 구성된다.
이때, 작동레버(340)는 상기 지지판(310)의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 및 작동판(32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또한, 장착수단(300)에는 상기 지지판(310)을 가이드로 하여 작동판(320)이 구성된 것으로, 작동판(320)은 상기 스페이서(311)의 사이에 수용되어 전후 슬라이딩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작동레버(340)는 돌출 구성되어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장착수단(300)은 도 10을 참조하여 작동레버(340)를 후방으로 후퇴시 작동판(320)이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작동판(320)의 걸림돌부(321)가 걸림홈(334)의 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체결구(330)(330')가 개방스프링(332) 탄성에 의해 축(331)을 중심으로 회동 및 전방을 전개하여 핀 고정홈(333)을 개방하게 되며, 이때 작동레버(340)의 후퇴력을 해제하게 되면 단차 구성된 걸림홈(334)의 단턱에 걸림 되게 된다.
이후, 개방된 핀 고정홈(333)에 통상의 완철에 설치된 완철 고정용 볼트나 애자의 고정핀, 볼쇄클 고정 핀(코터핀) 등을 핀 고정홈(333)에 수용 및 핀 고정홈(333)을 눌러주게 되면, 체결구(330)(330')가 소정 벌어짐과 동시에 작동판(320)이 스프링(323)의 복귀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및 걸림돌부(321)가 걸림홈(334)의 내측으로 삽입되게 되며, 이때 핀 고정홈(333)을 폐쇄하여 완철 고정용 볼트나 애자의 고정핀, 볼쇄클 고정 핀(코터핀) 등을 걸어 체결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은 상기 결합부(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배전선로의 핀장주 또는 내장주 또는 단일형 내장 완철 등 다양한 연장 적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100)는 배전선로의 핀장주의 완철에 적용 가능한 핀장주용 결합부(11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핀장주용 결합부(110)는 먼저, 핀장주용 완철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완철 삽입공간(111)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져 완철 삽입공간(111)으로 완철의 진출이 가능하도록 완철 안내홈(112)이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측면에는 중간부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핀장주용 완철에 부수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핀(도면중 미도시함) 등이 수용되도록 따내어진 한 쌍의 고정핀 안내홈(113)이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핀 안내홈(113)을 중심으로 양측 측면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 및 하방으로 소정 경사를 이루어 핀장주용 결합부(110)를 설치시 상기와 같이 부수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핀에 걸 수 있도록 핀 걸이부(114)가 구성된다.
그리고 저면에는 상기 완철 삽입공간(111)과 연통되도록 공구 등의 진입이 가능한 작업공(115)이 관통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측면에는 상기 장착수단(300)을 구성하기 위한 장착수단 하우징(116)이 더 구성된 것으로, 이때, 장착수단 하우징(116)은 전방으로 개방되고 선단에는 상기 고정핀 안내홈(113)과 대응되는 고정핀 유도홈(117)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지지판(310)의 레버 가이드공(314)과 대응되도록 레버 관통장공(118)이 관통 구성된다.
이에, 장착수단(300)은 상기 체결구(330)(330')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판(310)이 장착수단 하우징(116)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개방스프링(332)의 일단이 체결구(330)(330')의 후방에 탄설되고 타단이 장착수단 하우징(116)의 측면에 지지되어 체결구(330)(330')가 벌어지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0)는 상기 레버 관통장공(118)과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하도록 작동판(320)에 고정 장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결합부(100)의 구성을 핀장주용 결합부(110)로 구성시에는 도 11을 참조하여 핀장주용 완철(21a)에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핀(25)을 수평으로 관통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핀장주용 결합부(110)를 통해 핀장주용 완철(21a)에 결합하되, 상기 핀 걸이부(114)로 고정핀(25) 상부를 걸어 지지시킨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된 완철 안내홈(112)에 핀장주용 완철(21a)이 수용되도록 수평 결합하면 된다.
이에, 고정핀(25)은 고정핀 안내홈(113)에 삽입 걸림되고, 핀장주용 완철(21a)의 단부는 완철 삽입공간(111)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이때 상부에 따내어진 완철 안내홈(112)을 통해 LP애자(52)와 간섭이 방지되게 되며, 이러한 핀장주용 결합부(110)를 통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핀장주용 완철(21a)에 결합 가능하며, 이렇게 결합시 연장부(200)가 수평 돌출되어 핀장주용 완철(21a)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핀장주용 결합부(110)가 결합시 장착수단(300)의 체결 고정은 전술한바와 같이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작동레버(340)의 조작으로 체결구(330)(330')의 전개 또는 접이 작동을 통해 고정핀(25)을 체결구(330)(330')에 걸어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100)는 배전선로의 내장주의 완철에 적용 가능한 내장주용 결합부(12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내장주용 결합부(120)는 먼저, 내장주용 완철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중공되고 전방으로 개방되는 완철 삽입공간(121)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져 내장주용 완철에 현수애자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쇄클(도면중 미도시함)의 코터핀이 가이드되는 한 상의 핀 가이드홈(122)이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측면에는 중간부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장주용 완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볼트(도면중 미도시함) 등이 수용되도록 따내어진 한 쌍의 볼트 안내홈(123)이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 측면에는 상기 장착수단(300)을 구성하기 위한 장착수단 하우징(125)이 더 구성된 것으로, 이때, 장착수단 하우징(125)은 전방으로 개방되고 선단에는 상기 볼트 안내홈(123)과 대응되는 볼트 유도홈(126)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지지판(310)의 레버 가이드공(314)과 대응되도록 레버 관통장공(127)이 관통 구성된다.
그리고 타측 측면에는 통상의 절곡 형성된 볼쇄클의 내측에 통과하여 삽입 설치가 가능하도록 경사 보강부(128)가 돌출 구성된다.
이에, 장착수단(300)은 상기 체결구(330)(330')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판(310)이 장착수단 하우징(125)의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개방스프링(332)의 일단이 체결구(330)(330')의 후방에 탄설되고 타단이 장착수단 하우징(125)의 측면에 지지되어 체결구(330)(330')가 벌어지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0)는 상기 레버 관통장공(127)과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하도록 작동판(320)에 고정 장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결합부(100)의 구성을 내장주용 결합부(120)로 구성시에는 도 12를 참조하여 내장주용 결합부(120)를 통해 내장주용 완철(21b)에 결합하되, 내장주용 완철(21b)의 단부가 내장주용 결합부(120)의 완철 삽입공간(121)에 수평 삽입시키면 된다.
이때, 내장주용 결합부(120)는 그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핀 가이드홈(122)에 볼쇄클(26)의 코터핀(26a)이 수용 가이드 되며, 타측 측면에 형성된 경사 보강부(128)는 볼쇄클(26)의 내측으로 삽입 지지되고, 양측의 내장주용 완철(21b)을 연결하는 M볼트(27)는 볼트 안내홈(123) 및 볼트 유도홈(126)에 수용되는 것으로, 볼쇄클(26) 및 M볼트(27)와 간섭 없이 설치 가능하게 된다.
이에, 내장주용 결합부(120)를 통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내장주용 완철(21b)에 결합 가능하며, 이렇게 결합시 연장부(200)가 수평 돌출되어 내장주용 완철(21b)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내장주용 결합부(120)가 결합시 장착수단(300)의 체결 고정은 전술한바와 같이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작동레버(340)의 조작으로 체결구(330)(330')의 전개 또는 접이 작동을 통해 코터핀(26a)을 체결구(330)(330')에 걸어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부(100)는 배전선로의 단일형 내장 완철에 적용 가능한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는 먼저, 단일형 내장 완철에 삽입 가능하도록 그 단일형 내장 완철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면 및 하부면 중앙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져 단일형 내장 완철에 현수애자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되는 볼쇄클(도면중 미도시함)의 코터핀이 가이드되는 한 상의 핀 가이드홈(13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면에는 상기 핀 가이드홈(131)의 후방으로 상기 레버 가이드공(314)과 대응되는 레버 관통장공(132)이 관통 구성된다.
이에, 장착수단(300)은 상기 체결구(330)(330')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지지판(310)이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의 내측 상부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개방스프링(332)의 일단이 체결구(330)(330')의 후방에 탄설되고 타단이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의 측면에 지지되어 체결구(330)(330')가 벌어지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340)는 상기 레버 관통장공(132)과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하도록 작동판(320)에 고정 장착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결합부(100)의 구성을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로 구성시에는 도 13을 참조하여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를 통해 단일형 내장 완철(21c)에 결합하되, 그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를 단일형 내장 완철(21c)의 단부에 수평 삽입시키면 된다.
이때,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는 그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 핀 가이드홈(131)에 볼쇄클(26)의 코터핀(26a)이 수용 가이드 된다.
이에,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를 통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단일형 내장 완철(21c)에 결합 가능하며, 이렇게 결합시 연장부(200)가 수평 돌출되어 단일형 내장 완철(21c)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가 결합시 장착수단(300)의 체결 고정은 전술한바와 같이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한 작동레버(340)의 조작으로 체결구(330)(330')의 전개 또는 접이 작동을 통해 코터핀(26a)을 체결구(330)(330')에 걸어 체결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를 이용한 연장시 상기 작동레버(340)가 하부를 향하게 한 상태에서 연장 작업을 수행함으로, 활선작업용스틱의 조작이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은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하여 된다.
도 1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 순서도이다.
도 1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은,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활선 작업을 수행하되, 작업 준비공정(S110)과, 완철 연장공정(S120)과,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130)과, 전선 복귀공정(S140)과, 마무리 공정(S150)을 수행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의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먼저, 작업 준비공정(S11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에 필요한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 및 배전선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80)을 포함한 완철 연장에 필요한 활선용 완철 연장암(1)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배전선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완철 연장공정(S12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전주(10)에 형성된 배전선로의 완철(20)을 연장하게 된다.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활선작업용스틱(80) 및 활선작업 장비 등을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20) 일측에 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완철(20)의 일측이 연장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배전선로의 완철(20)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그 장주의 종류에 따라 핀장주 또는 내장주 또는 단일형 내장주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13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배전선로의 전선(30)을 옮겨 배전선로에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이는, 도 17을 참조하여 활선작업용스틱(80) 등을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완철(20)에 고정된 전선(30)을 분리 및 활선용 완철 연장암(1)으로 옮겨 고정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옮겨진 기존의 전선(30) 위치에는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되게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14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에 옮겨 놓은 배전선로의 전선(30)을 완철(20)에 옮겨 복귀하면 된다.
이는, 도 19를 참조하여 활선작업용스틱(80) 및 활선작업 장비 등을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에 고정된 전선(30)을 분리하고 완철(20)로 옮겨 고정하면 된다.
이후, 마무리 공정(S15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선(30)이 복귀된 상태에서 활선작업용스틱(80)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에서는 배전선로에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에서는 상기에서 수행한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130)을 통해 옮겨진 배전선로의 전선(30) 위치에는 통상의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작업을 위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되게 되는 것인바, 도 18을 참조하여 그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통해 배전선로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일예로 장주 변경, 완철 교체, 현수애자 교체, LP애자 교체, 이도 조정, LA 설치 및 철거,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방호구 설치 및 철거, 점퍼선 교체, 전선 교체, 선로 기별 점검, 개폐기 설치 및 철거 등 다양한 작업을 간접 활선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살펴보면,
도 2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나타낸 전체 공정 순서도이다.
도 2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활선 작업을 수행하되, 작업 준비공정(S210)과, 완철 연장공정(S220)과,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230)과, 본 작업 공정(S240)과, 전선 복귀공정(S250)과, 마무리 공정(S260)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작업 준비공정(S21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작업에 필요한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 및 배전선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80)을 포함한 완철 연장에 필요한 활선용 완철 연장암(1)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배전선로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완철 연장공정(S22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전주(10)에 형성된 배전선로의 완철(20)을 연장하게 된다.
이는, 도 16을 참조하여 활선작업용스틱(80) 및 활선작업 장비 등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20) 일측에 활선용 완철 연장암(1)을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이에 완철(20)의 일측이 연장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배전선로의 완철(20)은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그 장주의 종류에 따라 핀장주 또는 내장주 또는 단일형 내장주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후,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23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배전선로의 전선(30)을 옮겨 배전선로에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게 된다.
이는, 도 17을 참조하여 활선작업용스틱(80) 등을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완철(20)에 고정된 전선(30)을 분리 및 활선용 완철 연장암(1)으로 옮겨 고정하면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옮겨진 기존의 전선(30) 위치에는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되게 된다.
이후, 본 작업 공정(S24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1회선 이상 배전선로에서의 본 작업은 작업자는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확보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로 이격 상태에서 진입하고 활선작업용스틱(80)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배전선로에 대한 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후, 전선 복귀공정(S25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와 같이 본 작업이 완료되면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에 옮겨 놓은 배전선로의 전선(30)을 완철(20)에 옮겨 복귀하면 된다.
이는, 도 19를 참조하여 활선작업용스틱(80) 및 활선작업 장비 등을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에 고정된 전선(30)을 분리하고 완철(20)로 옮겨 고정하면 된다.
이후, 마무리 공정(S26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도 20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전선(30)이 복귀된 상태에서 활선작업용스틱(80)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1)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에서는 상하 1회선 이상 배전선로에 대한 작업을 수행시 배전선로에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 및 그 확보된 안전거리에 이격 상태로 활선버켓(70)이 진입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으로 작업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에서는 상기와 본 작업 공정(S240)에서의 작업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작업이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장주 변경, 완철 교체, 현수애자 교체, LP애자 교체, 이도 조정, LA 설치 및 철거, 할입주 신설, 전주 교체, 방호구 설치 및 철거, 점퍼선 교체, 전선 교체, 선로 기별 점검, 개폐기 설치 및 철거 등 다양한 작업을 간접 활선작업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에, 그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장주 변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장주 변경 작업은,
도 22 내지 도 24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31)을 LP애자(52)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와 같이 전선(31)을 분리시 그 분리되는 전선(31)은 통상의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 등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할 것이다.
이후,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주(10)에 설치된 핀장주용 완철(21a)을 철거하고, 그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21b)을 교체 설치하면 된다.
이후, 분리된 전선(31)을 내장주용 완철(21b)에 설치하되, 이는 설치된 내장주용 완철(21b)의 양측에 통상의 장선기(도면중 미도시함)를 내장주용 완철(21b)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전선(31)을 장선기로 잡아 내장주용 완철(21b)에 형성된 현수애자(51)에 전선(31)을 고정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장주 변경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핀장주의 경우 완철을 새로운 완철로 교체하는 완철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완철 교체 작업은,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31)을 LP애자로(52)로 부터 분리 및 기존의 완철(21)로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와 같이 전선(31)을 분리시 그 분리되는 전선(31)은 통상의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 등을 사용하여 분리 가능할 것이다.
이후,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전주(10)에 설치된 기존의 완철(21)을 철거하고, 그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완철(21')을 교체 설치하면 된다.
이후, 분리된 전선(31)을 새로운 완철(21')에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LP애자(52)에 전선을 안착 및 고정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현수애자를 교체하는 현수애자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현수애자 교체 작업은,
도 28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21)에 장선기(60)를 설치하되, 장선기(60)는 전선(31)의 길이 방향으로 완철(21)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하고, 그 설치된 장선기(60)를 이용하여 전선(31)을 잡아 고정한다.
이후, 현수애자(51)를 철거하되, 장선기(60)를 이용하여 전선(31)을 당겨줌으로 완철(21)과 전선(31)을 연결하고 있는 현수애자(51)에 가해진 장력을 해제 즉, 무장력 상태로 만들면 된다.
이후, 현수애자(51)를 교체하되, 기존의 현수애자(51)를 완철(21)과 전선(31)으로부터 분리 및 철거하고, 그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현수애자(51')를 연결하면 된다.
이후, 전선(31)을 당기고 있는 장선기(60)를 풀어 전선(31)에 장력이 가해지게 한 후, 장선기(60)를 완철(21)과 전선(31)으로부터 분리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현수애자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를 교체하는 LP애자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LP애자 교체 작업은,
도 32 내지 도 34를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31)을 기설된 LP애자로(52)로 부터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와 같이 전선(31)을 분리시 그 분리되는 전선(31)은 통상의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 등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할 것이다.
이후,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완철(21)에 설치된 기설된 LP애자(52)를 분리 철거하고, 그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LP애자(52')을 교체 설치하면 된다.
이후, 분리된 전선(31)을 새로운 LP애자(52')에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새로운 LP애자(52')에 전선을 안착 및 고정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 이도를 조정하는 이도 조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도 조정 작업은,
도 35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21) 양측에 장선기(60)를 설치하고, 그 장선기(60)를 이용하여 양측의 전선(31)을 잡아 고정하면 된다.
이후, 장선기(60)를 조작하여 전선을 당기거나 풀어주면서 전선(31)의 적정 이도를 조정한다.
이후, 전선(31)의 데드엔드클램프(31a)를 분리 및 그 분리된 데드엔드클램프(31a)를 이도가 조정된 전선(31)의 위치에 재설치하여 연결한다.
이후, 전선(31)을 당기고 있는 장선기(60)를 풀어 이도가 조정된 전선(31)에 장력이 가해지게 한 후, 장선기(60)를 완철(21)과 전선(31)으로부터 분리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이도 조정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LA(피뢰기)를 신설하는 LA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LA 설치 작업은,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21)에 LA(53)를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설치되는 LA(53)는 활선버켓(70)의 윈치를 등을 사용하여 상부로부터 인하하여 완철(21)에 근접 및 활선작업용스틱(80) 등을 이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설치 가능하게 된다.
이후, 설치된 LA(53)의 접지선(53a)을 전주 접지선(53c)에 연결하되, LA(53)로부터 인출되는 접지선(53a)을 전주(10)에 설치되어 있는 전주 접지선(53c)의 접지단자에 연결 설치하면 된다.
이후, 설치된 LA(53)의 1차측 리드선(53b)을 연결하되, 전선(31)에 대하여 1차측 리드선(53b)이 접속될 지점에 대하여 피박을 수행하고, 그 피박된 위치에 1차측 리드선(53b)을 압축 접속시키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LA 설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LA(피뢰기)를 철거하는 LA 철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LA 철거 작업은,
도 41 및 도 42를 참조하여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21)에 기설치된 기존 LA(53)와 전선(31)을 연결하고 있는 1차측 리드선(53b)을 분리하되, 활선작업용스틱(80)의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절단 분리하면 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21)에 기설치된 기존 LA(53)의 전주 접지선(53c)을 연결하고 있는 접지선(53a)을 분리하되, 활선작업용스틱(80)의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절단 분리하면 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21)에 기설치된 기존 LA(53)를 철거하되, 완철(21)에 고정된 볼트 또는 너트를 풀어 기존 LA(53)를 설치한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의 고정력을 해제 및 활선버켓(70)의 윈치를 등을 사용하여 인상 및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LA철거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여 기존 1회선 이상 배전선로를 설치하는 할입주 신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할입주 신설 작업은,
도 43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31)과 가공지선(32)을 분리하되, 통상의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 등을 이용하여 전선(31) 및 가공지선(32)을 상부로 인상 등을 통해 안전한 위치로 옮기면 된다.
이후, 통상의 전주를 신설하는 건주공사와 같이 전주(10)와 전주(10) 사이에 할입주(11)를 신설하면 된다.
이후, 신설된 할입주(11)로 상기에서 인상된 전선(31) 및 가공지선(32)을 장주 및 가공지선 지지대에 안착 설치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1회선 이상 배전선로의 할입주 신설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1회선 이상 배전선로의 전주를 교체하는 전주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주 교체 작업은,
도 46 내지 도 49를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통상의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 등을 이용하여 전선(30)을 안전한 위치로 옮기면 된다.
이후, 전선(30)(31)이 분리된 전주(10)를 철거하고, 통상의 전주를 신설하는 건주공사와 같이 새로운 신설 전주(10')를 신설하면 된다.
이후, 신설된 신설 전주(10')로 상기에서 인상된 하단 배전선로의 전선(30)과,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31) 및 가공지선(32)을 안착 설치하고 기존 철거될 전주(10)를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1회선 이상 배전선로의 전주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방호관 및 방호용 절연 커버 등을 포함하는 방호구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방호구 설치 작업은,
도 50 내지 도 52를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통상의 방호구 삽입기(55a)를 설치하거나 활선스틱에 선단공구를 사용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방호구 삽입기(55a)를 방호하고자 하는 전선(31)에 설치 장착하면 된다.
이후, 방호구(55)를 설치하되, 방호구(55)의 일단을 방호구 삽입기(55a)에 결합 및 그 방호구 삽입기(55a)를 조작하여 방호구(55)의 선단부터 전선(31)을 감싸 설치하면 된다.
또한, 방호구(55)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완철(21)에 설치되는 LP애자에는 활선작업용스틱 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통상의 방호용 절연 커버(55')도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방호구(55)의 설치가 완료되면 설치된 방호구 삽입기(55a)를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방호구 설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설치된 방호관 및 방호용 절연 커버 등을 포함하는 방호구 철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방호구 철거 작업은,
도 53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통상의 활선작업용스틱(80) 등을 이용하여 방호구(55) 및 방호용 절연 커버(55')를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방호구 철거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점퍼선을 교체하는 점퍼선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점퍼선 교체 작업은,
도 55 내지 도 57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를 설치하되,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을 이용하여 전주(10)를 중심으로 상단 배전선로의 양측 전선(31)을 바이패스 연결하면 된다.
이후, 양측의 전선(31)을 연결하고 있는 기존 점퍼선(56)을 분리 철거하면 된다.
이후, 기존 점퍼선(56)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점퍼선(56')을 연결 설치하고,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을 분리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점퍼선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을 교체하는 전선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전선 교체 작업은,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52) 또는 현수애자로 부터 구 전선(31)을 분리하면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에서는 LP애자(52) 분리상태로 설명한다.
이후, 분리된 구 전선을 이선하되, 통상의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 등을 이용하여 분리 가능할 것이다.
이후, 구 전선(31)이 분리된 위치에 설치 전선(31')을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통상의 연선 작업 및 긴선 작업을 통해 상기 LP애자(52)에 설치 전선(31')을 설치 고정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 교체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를 점검하는 선로 기별 점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선로 기별 점검 작업은,
도 60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상단 배전선로에 대한 선로 기별 점검을 수행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선로의 점검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장주의 상태나, 각종 애자의 상태, 전선의 이도 상태, LA 상태, COS 상태, 점퍼선 상태 등 상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다양한 점검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선로 기별 점검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 설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개폐기 설치 작업은,
도 61 내지 도 63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을 설치하되,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을 이용하여 전주(10)를 중심으로 상단 배전선로 양측 전선(31)을 바이패스 연결하면 된다.
이후, 양측의 전선(31)을 연결하고 있는 기존 점퍼선(56)을 분리하고 개폐기(58)을 설치 및 개폐기 케이블(58a)를 이용하여 각각의 양측 전선(31)과 연결하면 된다.
이후, 설치된 개폐기(58)를 투입하고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을 분리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 설치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 철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개폐기 철거 작업은,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먼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70)을 이용하여 상단 배전선로 진입한다.
이후, 전주(10)를 중심으로 양측의 전선(31)을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된다.
이후, 개폐기(58)를 차단 및 전주(10)로부터 철거하면 된다.
이후, 양측의 전선(31)은 새로운 점퍼선(56')으로 연결하고, 바이패스 점퍼케이블(56a)를 양측의 전선(31)로부터 분리 철거하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본 작업 공정(S240)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단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전하게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 철거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면중 미도시 되었지만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을 수행함에 있어, 상하단 배전선로에 형성되는 완철(21)은 그 완철(21)이 전주(10)에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통상의 단완철 또는 겹완철 또는 단일형 내장완철 등 다양한 완철로 구성시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67을 참조하여 완철(21)이 전주에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보통장주(a) 또는 창출장주(b) 또는 편출장주(c) 등 다양한 장주 형태에 적용하되, 장주에 따라 통상의 핀장주 또는 인류주 및 내장주로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은, 상하 1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에 대한 작업을 수행시 배전선로에 대하여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에서 간접 활선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특히 보다 간편하고 신속한 간접 활선작업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 : 전주 신설 전주 : 10'
11 : 할입주
20 : 완철 21 : 완철
21' : 새로운 완철 21a : 핀장주용 완철
21b : 내장주용 완철 22c : 단일형 내장 완철
25 : 고정핀 26 : 볼쇄클
26a : 코터핀 27 : M볼트
30 : 전선 31 : 전선
31a : 데드엔드클램프 32 : 가공지선
40 : 간접활선용 절연 보조암 51 : 현수애자
51' : 새로운 현수애자 52 : LP애자
52' : 새로운 LP애자 53 : LA
53a : 접지선 53b : 1차측 리드선
53c : 전주 접지선
55 : 방호구 55a : 방호구 삽입기
56 : 점퍼선 56a : 바이패스 점퍼케이블
56' : 새로운 점퍼선 58 : 개폐기
58a : 개폐기 케이블 60 : 장선기
70 : 활선버켓 80 : 활선작업용스틱
100 : 결합부 110 : 핀장주용 결합부
111 : 완철 삽입공간 112 : 완철 안내홈
113 : 고정핀 안내홈 114 : 핀 걸이부
115 : 작업공 116 : 장착수단 하우징
117 : 고정핀 유도홈 118 : 레버 관통장공
120 : 내장주용 결합부 121 : 완철 삽입공간
122 : 핀 가이드홈 123 : 볼트 안내홈
125 : 장착수단 하우징 126 : 볼트 유도홈
127 : 레버 관통장공 128 : 경사 보강부
130 :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 131 : 핀 가이드홈
132 : 레버 관통장공
200 : 연장부 210 : 장착공
300 : 장착수단 310 : 지지판
311 : 스페이서 312 : 가이드핀
313 : 스프링 지지핀 314 : 레버 가이드공
320 : 작동판 321 : 걸림돌부
322 : 스프링 안내홈 323 : 스프링
324 : 가이드핀 안내홈 330,330' : 체결구
331 : 축 332 : 개방스프링
333 : 핀 고정홈 334 : 걸림홈
340 : 작동레버
S110 : 작업 준비공정 S120 : 완철 연장공정
S130 :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 S140 : 전선 복귀 공정
S150 : 마무리 공정
S210 : 작업 준비공정 S220 : 완철 연장공정
S230 :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 S240 : 본 작업 공정
S250 : 전선 복귀 공정 S260 : 마무리 공정

Claims (23)

  1. 전방으로 개방되며, 전주의 완철 단부에 결합하기 위한 관체 형태의 결합부(100);
    상기 결합부(100)의 후단에 연장 형성되며, 복수의 장착공(210)이 형성된 연장부(200); 및
    상기 결합부(100)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100)를 완철에 체결 고정력을 부여하는 장착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장착수단(300)은,
    전후 길이를 이루는 판체 형태로 구성되며, 중간부에는 사방으로 스페이서(311)가 형성되고, 후단 중앙에는 가이드핀(312)이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스프링 지지핀(313)이 형성되고, 스프링 지지핀(313)의 후방측에는 수평 장공 형태의 레버 가이드공(314)이 형성된 지지판(310);
    상기 스페이서(311) 사이에 수용 및 전후 슬라이딩 작동되며, 선단에는 걸림돌부(321)가 돌출 형성되고, 전방측 중간부에는 상기 스프링 지지핀(313)이 관통되는 수평 장공 형태의 스프링 안내홈(322)이 관통 형성 및 상기 스프링 지지핀(313)에 스프링(323) 탄설되어 전방 이동력을 가지며,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핀(312)이 수용 안내되는 가이드핀 안내홈(324)이 형성된 작동판(320);
    폭방향 양측 한 쌍으로 이루고 각각은 후방이 상기 지지판(310)의 전방에 축(331) 결합되어 회동 작동 및 개방스프링(332)으로 탄설되어 전방이 벌어지는 탄력을 가지며, 서로 대항되는 전방에는 핀 고정홈(333)이 형성되고, 서로 대항되는 후방에는 상기 작동판(320)의 걸림돌부(321)가 걸림되는 후방 확장형 단차를 이루는 걸림홈(334)이 각각 형성된 체결구(330)(330'); 및
    상기 지지판(310)의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 및 작동판(320)에 결합되어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간접활선 작업으로 작동판(320)의 후방 이동력을 부여하는 작동레버(34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배전선로의 핀장주의 완철에 적용 가능한 핀장주용 결합부(110)로 구성하되,
    전방으로 개방되어 핀장주용 완철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완철 삽입공간(111)을 이루게 구성하고,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져 완철의 진출을 안내하는 완철 안내홈(112)이 더 형성되며,
    양측 측면 중간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진 한 쌍의 고정핀 안내홈(113)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 안내홈(113)을 중심으로 상부는 전방으로 돌출 및 하방 경사를 이루는 핀 걸이부(114)가 더 형성되며,
    저면에는 상기 완철 삽입공간(111)과 연통되는 작업공(115)이 더 형성되고,
    일측 측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선단에는 상기 고정핀 안내홈(113)과 대응되는 고정핀 유도홈(117)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레버 가이드공(314)과 대응되는 레버 관통장공(118)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수단(300)이 장착되는 장착수단 하우징(11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장착수단(300)은,
    상기 체결구(330)(330')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310)이 장착수단 하우징(115)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개방스프링(332)이 장착수단 하우징(115) 내측에 탄설되며, 작동레버(340)가 레버 관통장공(118)과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하여 작동판(320)에 고정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배전선로의 내장주의 완철에 적용 가능한 내장주용 결합부(120)로 구성하되,
    전방으로 개방되어 내장주용 완철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완철 삽입공간(121)을 이루게 구성하고,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진 핀 가이드홈(122)이 더 형성되며,
    양측 측면의 선단 중간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진 한 쌍의 볼트 안내홈(123)이 더 형성되고,
    일측 측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고 선단에는 상기 볼트 안내홈(123)과 대응되는 볼트 유도홈(126)이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레버 가이드공(314)과 대응되는 레버 관통장공(127)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수단(300)이 장착되는 장착수단 하우징(125)이 더 형성되며,
    타측 측면에는 측면에는 볼쇄클의 사이에 통과 삽입 설치되는 경사 보강부(128)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장착수단(300)은,
    상기 체결구(330)(330')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310)이 장착수단 하우징(125)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개방스프링(332)이 장착수단 하우징(125) 내측에 탄설되며, 작동레버(340)가 레버 관통장공(127)과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하여 작동판(320)에 고정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00)는,
    배전선로의 단일형 내장 완철에 적용 가능한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로 구성하되,
    단일 내장주용 완철의 내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단일 내장주용 완철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하고,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전방으로 개방되도록 따내어져 핀 가이드홈(131)이 더 형성되며,
    상부면에는 상기 핀 가이드홈(131)의 후방으로 상기 레버 가이드공(314)과 대응되는 레버 관통장공(132)이 더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장착수단(300)은,
    상기 체결구(330)(330')가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310)이 단일 내장주용 결합부(130)의 내측 상부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개방스프링(332)이 결합부(100) 내측에 탄설되며, 작동레버(340)가 레버 관통장공(132)과 레버 가이드공(314)을 관통하여 작동판(320)에 고정 장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하되,
    활선작업용스틱을 포함한 완철 연장을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하고 활선버켓을 사용하여 배전선로로 이동하는 작업 준비공정(S110);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 일측 또는 양측에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결합하여 완철을 연장하는 완철 연장공정(S120);
    배전선로의 전선을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으로 옮겨 간접 활선작업을 위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130);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에 옮겨 놓은 배전선로의 전선을 완철에 옮겨 복귀하는 전선 복귀 공정(S140); 및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철거하는 마무리 공정(S150)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하여 상하 1회선 이상 특고압 배전선로의 간접활선 작업을 수행하되,
    활선작업용스틱을 포함한 완철 연장을 위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휴대하고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배전선로로 이동하는 작업 준비공정(S220);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 활선작업으로 배전선로의 완철 일측 또는 양측에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결합하여 완철을 연장하는 완철 연장공정(S220);
    배전선로의 전선을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으로 옮겨 간접 활선작업을 위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를 확보하는 작업 안전거리 확보공정(S230);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되면 작업자가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을 수행하는 본 작업 공정(S240);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에 옮겨 놓은 배전선로의 전선을 완철에 옮겨 복귀하는 전선 복귀 공정(S250); 및
    활선작업용스틱 및 활선작업 장비를 사용하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등의 활선작업 장비를 철거하는 마무리 공정(S260)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핀장주를 내장주로 변경하는 장주 변경 작업을 수행하되,
    장주 변경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로부터 전선을 분리하고,
    기존의 핀장주용 완철을 철거 및 새로운 내장주용 완철을 설치하며,
    설치된 내장주용 완철의 양측에 장선기를 설치하여 전선을 장선기에 근접 및 양측을 장선기로 잡아 고정하고,
    현수애자에 연결 고정 및 장선기를 철거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을 새로운 완철로 교체하는 완철 교체 작업을 수행하되,
    완철 교체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을 기존의 완철로부터 분리하고,
    기존의 완철을 철거 및 새로운 완철을 설치하며,
    설치된 새로운 완철에 전선을 안착 및 설치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현수애자를 교체하는 현수애자 교체 작업을 수행하되,
    현수애자 교체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에 장선기를 설치 및 그 장선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 고정하고,
    설치된 장선기를 당겨 현수애자를 무장력 상태로 만들며,
    무장력 상태에서 완철로부터 기존의 현수애자를 철거하고,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현수애자를 설치하고,
    장선기를 풀어 전선에 가해진 장력을 풀어주고 장선기를 철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를 교체하는 LP애자 교체 작업을 수행하되,
    LP애자 교체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에 고정된 전선을 분리하고,
    완철에 고정된 기존의 LP애자를 완철로부터 분리 철거하며,
    철거된 기존의 LP애자 위치에 새로운 LP애자를 설치하고,
    새로운 LP애자의 상부에 전선을 안착 및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 이도를 조정하는 이도 조정 작업을 수행하되,
    이도 조정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완철에 장선기를 설치 및 그 장선기를 이용하여 전선을 잡아 고정하고,
    장선기를 조작하여 고정된 전선을 당기거나 풀어주면서 이도를 조정하며,
    이도가 조정된 전선의 데드엔드클램프를 분리 및 이도가 조정된 위치에 재설치하여 이도가 조정된 전선을 연결 고정하고,
    장선기를 풀어 전선에 가해진 장력을 풀어주고 장선기를 철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LA(피뢰기)를 설치하는 LA 설치 작업을 수행하되,
    LA 설치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에 LA를 설치하고,
    설치된 LA의 접지선을 전주 접지선에 연결하며,
    설치된 LA와 전선을 1차측 리드선으로 연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LA(피뢰기)를 철거하는 LA 철거 작업을 수행하되,
    LA 철거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 LA의 1차측 리드선을 분리하고,
    기설치된 기존 LA와 전선을 연결하고 있는 기존 LA의 접지선을 분리하며,
    완철로부터 기존 LA의 고정력을 해제 및 완철로부터 분리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여 기존 1회선 이상 배전선로를 설치하는 할입주 신설 작업을 수행하되,
    할입주 신설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 및 가공지선을 분리하여 안전한 위치로 옮기고,
    전주와 전주 사이에 할입주를 신설하며,
    신설된 할입주에 가공지선 지지대와 장주를 설치하며,
    신설된 할입주의 장주 및 가공지선 지지대에 전선을 안착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1회선 이상 배전선로의 전주를 교체하는 전주 교체 작업을 수행하되,
    전주 교체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사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 및 가공지선을 분리하여 안전한 위치로 옮기고,
    새로운 신설 전주를 설치하고,
    상단 전선을 신설 전주에 완철을 설치하여 연결 고정하고,
    하단 배전선로의 전선을 분리하여 신설 전주의 안전한 위치로 옮기며,
    기존의 전주를 철거한 후에 전선을 신설 전주에 연결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방호구를 설치하는 방호구 설치 작업을 수행하되,
    방호구 설치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에 방호구 작업기구를 설치하거나 활선스틱에 선단공구를 설치하고,
    설치된 방호구 작업기구 또는 선단공구를 통해 방호구를 전선을 감싸 설치하며,
    사용한 방호구 작업기구 또는 선단공구를 철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방호구를 철거하는 방호구 철거 작업을 수행하되,
    방호구 철거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활선작업용스틱 등을 이용하여 간접활선 작업으로 방호구를 철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점퍼선을 교체하는 점퍼선 교체 작업을 수행하되,
    점퍼선 교체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전주를 중심으로 상단 배전선로의 양측 전선을 바이패스 점퍼케이블로 연결하고,
    양측의 전선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기존 점퍼선을 분리 철거하며,
    기존 점퍼선이 철거된 위치에 새로운 점퍼선을 설치 연결고, 바이패스 점퍼케이블을 철거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1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전선을 교체하는 전선 교체 작업을 수행하되,
    전선 교체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의 LP애자 또는 현수애자로부터 구 전선을 분리하고,
    분리된 구 전선을 간접활선용 리프트 암을 이용하여 이선하며,
    구 전선이 분리된 LP애자 또는 현수애자에 설치 전선을 설치 및 고정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2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를 점검하는 선로 기별 점검 작업을 수행하되,
    선로 기별 점검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상단 배전선로를 점검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2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에 개폐기를 설치하는 개폐기 설치 작업을 수행하되,
    개폐기 설치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전주를 중심으로 상단 배전선로의 양측 전선을 바이패스 점퍼케이블로 연결하고,
    양측의 전선을 연결 고정하고 있는 기존 점퍼선을 분리하며,
    개폐기를 전주에 설치한 후, 개폐기를 투입하고,
    바이패스 점퍼케이블을 철거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2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 작업 공정(S240)은,
    기존 상단 배전선로의 개폐기를 철거하는 개폐기 철거 작업을 수행하되,
    개폐기 철거 작업은,
    하단 배전선로의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활선버켓을 이용하여 진입 및 전주를 중심으로 상단 배전선로의 양측 전선을 바이패스 점퍼케이블로 연결하고,
    개폐기를 전주에서 철거하며,
    양측에 새로운 점퍼선을 연결하고,
    바이패스 점퍼케이블을 철거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23. 제 6항에 있어서,
    작업하고자 하는 상하단 배전선로는,
    완철이 전주에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단완철 또는 겹완철 또는 단일형 내장완철이며,
    완철이 전주에 설치되는 위치 및 장주 방법에 따라 보통장주 또는 창출장주 또는 편출장주 형태로 핀장주 또는 인류주 및 내장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을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0230137787A 2023-10-16 2023-10-16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265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787A KR102657726B1 (ko) 2023-10-16 2023-10-16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7787A KR102657726B1 (ko) 2023-10-16 2023-10-16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726B1 true KR102657726B1 (ko) 2024-04-17

Family

ID=90876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7787A KR102657726B1 (ko) 2023-10-16 2023-10-16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72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105A (ko) * 2005-11-14 2007-05-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기존 경완금 및 내장주용 단완금 겸용 전선 이선용연장아암
KR20100036065A (ko) 2008-09-29 2010-04-07 (주)동성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의 교체시공방법
KR101943076B1 (ko) * 2018-07-13 2019-01-28 노상도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2161405B1 (ko)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311333B1 (ko) * 2021-02-26 2021-10-13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KR20210134149A (ko) * 2020-04-29 2021-11-09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1105A (ko) * 2005-11-14 2007-05-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기존 경완금 및 내장주용 단완금 겸용 전선 이선용연장아암
KR20100036065A (ko) 2008-09-29 2010-04-07 (주)동성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의 교체시공방법
KR101943076B1 (ko) * 2018-07-13 2019-01-28 노상도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2161405B1 (ko)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20210134149A (ko) * 2020-04-29 2021-11-09 가나상공(주)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2232560B1 (ko) 2020-10-20 2021-03-29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311333B1 (ko) * 2021-02-26 2021-10-13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560B1 (ko)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KR102249164B1 (ko) 간접활선용 절연 애자클립 및 이를 이용한 lp애자, 현수애자, cos,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
US7387294B2 (en) Electric wire changing device for wire replacing works on electric poles and power distributing method without cutting off power supply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US4478312A (en) System and portable cage for servicing power transmission lines
CA2537218C (en) Live conductor stringing and splicing method and apparatus
AU2002304197A1 (en)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20230013795A (ko) 가변형 가지지크리트 구조체
KR102196649B1 (ko) 활선 버켓 장착형 간접 활선용 롤러 이동식 절연 리프트 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공법
US10748728B2 (en) Boom mountable breaker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2240478B1 (ko) 간접활선용 애자클립 및 이를 이용한 lp 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KR102657726B1 (ko)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KR100479320B1 (ko)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KR100355492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JP7194913B2 (ja) 電線仮支持具
US9882359B2 (en) Temporary transfer bus
KR101767344B1 (ko) 고소작업차용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견인고정장치
CA2874903C (en) By-pass system for overhead power lines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043559B1 (ko) 절연 폴과 완철 홀더를 이용한 전선 가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
KR102413386B1 (ko)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KR102631026B1 (ko) 바이패스 케이블 고정장치
AU613848B2 (en) Support for detachable junction between cables
CN215600817U (zh) 顶吊轨道式可移动配电箱
KR101810615B1 (ko) 특고압 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