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1333B1 -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1333B1
KR102311333B1 KR1020210026865A KR20210026865A KR102311333B1 KR 102311333 B1 KR102311333 B1 KR 102311333B1 KR 1020210026865 A KR1020210026865 A KR 1020210026865A KR 20210026865 A KR20210026865 A KR 20210026865A KR 102311333 B1 KR102311333 B1 KR 10231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upport body
extension
insulat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구
Original Assignee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1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주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체결홀부구가 구비되는 제1연장대; 상기 지지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부가 구비되는 제2연장대; 상기 지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거치시키는 제1결합링; 상기 제1결합링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거치시키는 제2결합링; 상기 제1결합링과 상기 제2결합링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기 전주의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지지본체를 상기 전주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링; 한 쌍의 상기 고정링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전주에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애자; 및 상기 애자를 상기 체결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Single-type built-in steel arm assembly that facilitates the change of the location of insulator in th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철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본체와 전주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본체로부터 복수 개의 연장대가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애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애자를 연장대에 설치할 때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애자를 연장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애자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증설이나 교체 시에 애자의 위치가 변경되어야 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고,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 조립체가 있다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일형 내장 완철 부재가 길이가 짧아서 긴 것을 교체해 주어야 하는 일도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모든 부재를 다 해체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길이를 좌우로 연장시켜 줄 수 있고, 조립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손상된 부재가 있는 경우 해당 부재만 교체해 주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한 완철조립체의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 조립체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완철 조립체는, 전주에 고정되는 단일형 내장 완철 부재로 형성되며, 단일형 내장 완철 부재의 상부면에는 레일 부위가 형성되어 애자 부위를 가진 타 부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애자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하부면에는 단일형 내장 완철 부재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타 선형부재가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타 부재 수용부위를 포함하는 연장 부재 결합부를 포함하며, 단일형 내장 완철 부재는 단일형 내장 완철 부재의 중앙 부위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관통구인 전주 결합 관통구와 체결되는 전주 결합 볼트부에 의해 전주 주위의 완철연결부와 결합하여 전주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완철부 본체부와, 완철부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레일 부위와 결합 되도록 형성되며, 배전선로를 고정시키는 애자 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레일 결합 애자부와, 완철부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타 부재 수용부위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완철부 본체부의 좌우에서 완철부 본체부의 길이를 연장시켜주는 연장 부재로 형성되는 완철부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4253호(2007년 01월 25일 공고, 발명의 명칭 :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완철조립체는, 완철조립체와 전주를 연결하는 연결구조가 복잡하여 완철조립체를 전주에 설치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렵고,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없으며, 애자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체결부재를 체결 또는 해체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자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완철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본체와 전주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본체로부터 복수 개의 연장대가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애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애자를 연장대에 설치할 때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애자를 연장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애자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공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주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체결홀부구가 구비되는 제1연장대; 상기 지지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부가 구비되는 제2연장대; 상기 지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거치시키는 제1결합링; 상기 제1결합링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거치시키는 제2결합링; 상기 제1결합링과 상기 제2결합링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기 전주의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지지본체를 상기 전주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링; 한 쌍의 상기 고정링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전주에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애자; 및 상기 애자를 상기 체결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상기 연장대를 상기 지지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삽입유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결합작동을 상기 삽입유지부의 해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삽입유지부는, 상기 제1연장대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본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후크; 상기 제2연장대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본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후크;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연장대 및 상기 제2연장대를 상기 지지본체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 사이에 개재되는 돌출스프링; 및 상기 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에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해제구동부는,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가 상기 제1연장대 또는 상기 제2연장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장대 또는 상기 제2연장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축; 및 상기 슬라이딩축의 단부와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걸림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4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는, 복수 개의 연장대가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본체를 전주 상단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면서 전주를 복수 개의 결합링에 삽입하고, 복수 개의 결합링 사이에 구비되는 고정링을 전주에 형성되는 안착홈부에 안착시켜 지지본체와 전주를 연결할 수 있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지지본체를 전주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완철조립체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는, 지지본체를 전주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조작하여 고정링을 전주에 고정시키면 결합부의 결합작동을 연장대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해제작동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연동부가 구비되므로 지지본체를 전주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지지본체로부터 복수 개의 연장대가 돌출되어 작업자는 연장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체결홀부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홀부에 애자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는, 애자를 연장대에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는 착탈부가 구비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애자를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착탈부를 조작하여 애자를 연장대로부터 손쉽게 분리하여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의 삽입유지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의 연도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의 삽입유지부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의 연도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는, 중공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주(1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기어박스(16)가 구비되는 지지본체(14)와, 지지본체(14)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체결홀부(19)구가 구비되는 제1연장대(17)와, 지지본체(14)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체결홀부(19)가 구비되는 제2연장대(18)와, 지지본체(14)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주(10)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본체(14)를 거치시키는 제1결합링(32)과, 제1결합링(32)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본체(14)의 일면에 형성되고, 전주(10)의 상단이 삽입되어 지지본체(14)를 거치시키는 제2결합링(34)과, 제1결합링(32)과 제2결합링(34)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전주(10)의 안착홈부(12)에 안착되면서 지지본체(14)를 전주(10)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링(36)과, 한 쌍의 고정링(36)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링(36)을 전주(10)에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38)와, 복수 개의 체결홀부(19)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홀부(19)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애자(50)와, 애자(50)를 체결홀부(1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54)와, 한 쌍의 연장대를 지지본체(14)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삽입유지부(70)와, 결합부(38)의 결합작동을 삽입유지부(70)의 해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완철조립체를 전주(10)에 설치할 때에 지지본체(14)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링(32)과 제2결합링(34)을 관통하도록 전주(10)의 상단을 제1결합링(32)과 제2결합링(34)에 삽입하고, 제1결합링(32)과 제2결합링(34) 사이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링(36)을 지지본체(14)의 중앙부 측으로 회전시키면 한 쌍의 고정링(36)이 전주(1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안착홈부(12)에 삽입되어 지지본체(14)가 전부에 거치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에는 결합부(38)가 구비되므로 결합부(38)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가 연결되면서 별도의 결합링이 형성되므로 지지본체(14)는 제1결합링(32), 제2결합링(34) 및 고정링(36)에 의해 전주(10)에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본체(14) 내부에는 제1연장대(17) 및 제2연장대(18)가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로 시공 현장으로 이동되고, 삽입유지부(70)의 작동에 의해 구속된 상태가 유지되는 제1연장대(17) 및 제2연장대(18)는 고정링(36)이 체결될 때에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의 구속상태가 해제되어 지지본체(14) 외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의 삽입유지부(70)는, 제1연장대(17) 내측 단부로부터 지지본체(14)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후크(72)와, 제2연장대(18) 내측 단부로부터 지지본체(14)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후크(74)와, 제1후크(72)와 제2후크(74)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제1연장대(17) 및 제2연장대(18)를 지지본체(14)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 사이에 개재되는 돌출스프링(74a)과,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에 가압력이 제공되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를 이격시키면서 제1후크(72)와 제2후크(74)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구동부(76)를 포함한다.
따라서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에 가압력이 제공되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가 슬라이딩축(77)을 따라 하강하면서 제2후크(74) 또는 제1후크(72)와 이격되어 제1후크(72)와 제2후크(74)의 걸림결합 상태가 해제되고,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되었던 돌출스프링(74a)이 팽창되면서 제1연장대(17) 및 제2연장대(18)를 지지본체(14) 외측으로 돌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해제구동부(76)는,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가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축(77)과, 슬라이딩축(77)의 단부와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 사이에 개재되어 제1후크(72)와 제2후크(74)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걸림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4탄성부재(78)를 포함한다.
슬라이딩축(77)은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 배면에 수직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슬라이딩축(77)의 상단 및 하단에는 원판 모양의 스토퍼가 형성되며,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와 스토퍼 사이에 제4탄성부재(78)가 개재되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축(77)이 설치되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 중 다른 하나는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에 일체로 고정되거 설치되므로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축(77)에 설치되는 후크가 하측으로 가압되어 이동되면 다른 후크와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는 돌출스프링(74a)이 팽창되면서 지지본체(14)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한 쌍의 고정링(36)을 지지본체(14)의 중앙부 측으로 회전시키면 연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제1연장대(17) 및 제2연장대(18)가 지지본체(14) 외측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결합부(38)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전주(10)의 안착홈부(12)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링(36)이 서로 연결되어 지지본체(14)를 전주(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결합부(38)는, 한 쌍의 고정링(36) 중 어느 하나의 고정링(36)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결합후크(38a)와, 한 쌍의 고정링(36) 중 다른 하나의 고정링(36)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후크(38a)가 삽입되는 결합홈부(38b)와, 결합홈부(38b) 내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결합후크(38a)와 걸림결합되는 후크부재(38c)와, 후크부재(38c)를 결합홈부(38b)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38d)와, 후크부재(38c)를 후퇴시키면서 후크부재(38c)와 결합후크(38a)의 걸림결합을 해제시키는 분리부(39)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가 서로 밀착되게 회전시키면 결합후크(38a)가 결합홈부(38b)에 삽입되면서 후크부재(38c)를 후퇴시키고, 결합후크(38a)의 삽입이 완료되면 압축되었던 제1탄성부재(38d)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후크부재(38c)를 결합홈부(38b) 내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결합후크(38a)와 후크부재(38c)를 걸림결합시키면서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를 연결하게 된다.
이후에, 고정링(36)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킬 때에는 작업자가 분리부(39)를 조작하여 후크부재(38c)를 후퇴시키므로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가 서로 분리되면서 지지본체(14)를 전주(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분리부(39)는, 후크부재(38c)의 배면으로부터 고정링(36) 외측으로 연장되는 분리와이어(39a)와, 분리와이어(39a)의 단부에 설치되는 분리레버(39b)를 포함하므로 작업자가 분리레버(39b)를 잡고 분리와이어(39a)를 고정링(36) 외측으로 당기면 제1탄성부재(38d)가 압축되면서 후크부재(38c)가 후퇴되므로 후크부재(38c)와 결합후크(38a) 사이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한 쌍의 고정링(36) 단부가 서로 분리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결합후크(38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링(36)의 단부로부터 단차지게 돌출되므로 안착홈부(12)가 끊어진 부분에 결합후크(38a)가 안착되고, 결합후크(38a)가 돌출되는 고정링(36)과 대향되게 배치되는 다른 고정링(36)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부(38b)에 결합후크(38a)가 삽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가 지지본체(14) 외측으로 연장된 후에는 돌출스프링(74a)이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를 지지본체(14) 외측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제1연장대(17)와 제2연장대(18)가 지지본체(14)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주(10)에 지지본체(14)가 고정되고, 지지본체(14)로부터 제1연장대(17) 및 제2연장대(18)가 돌출되면 작업자는 애자(50)를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홀부(19) 중 어느 하나의 체결홀부(19)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애자(50) 일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축(52)이 형성되고, 연결축(52)의 단부에는 착탈부(54) 및 해제부(56)가 구비되어 애자(50)를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착탈부(54)는, 연결축(52)의 상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걸림후크(54a)와, 한 쌍의 걸림후크(54a)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걸림후크(54a)를 연결축(52)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54b)와, 한 쌍의 걸림후크(54a)를 연결축(52) 내측으로 동시에 후퇴시켜 연결축(52)이 체결홀부(19)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해제부(56)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결합축을 체결홀부(19)에 가압하면서 삽입하면 체결홀부(19)의 테두리에 의해 한 쌍의 걸림후크(54a)가 연결축(5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연결축(52)이 체결홀부(19)에 삽입되는 작동이 이루어지고, 연결축(52)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탄성부재(54b)의 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걸림후크(54a)가 연결축(52)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의 상면에 한 쌍의 걸림후크(54a)가 걸림결합되면서 연결축(52)과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의 걸림결합을 이루게 된다.
연결축(52)의 중앙부에는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의 저면에 밀착되어 연결축(52)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해제부(56)는, 한 쌍의 걸림후크(54a) 배면에 연결되고, 연결축(52)의 상면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한 쌍의 해제와이어(56a)와, 한 쌍의 해제와이어(56a)가 동시에 연결되어 연결축(52)에 상면에 안착되는 해제레버(56b)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해제레버(56b)를 연결축(52) 상측으로 당기면 한 쌍의 해제와이어(56a)가 동시에 당겨지면서 한 쌍의 걸림후크(54a)가 연결축(52) 내부로 삽입되면서 연결축(52)과 제1연장대(17) 또는 제2연장대(18)의 걸림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동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링(36) 중 어느 하나의 고정링(36)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부를 이루고, 고정링(36)과 같이 회전되는 연동축(82)과, 연동축(82)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기어(84)와, 제1기어(84)와 스플라인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면서 연동축(82)의 동력 전달방향으로 측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제2기어(86)와, 제2기어(86)의 회전축을 이루고,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 측으로 기어박스(16)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승강축(87)과, 승강축(87)에 설치되는 피니언부재(88)와, 피니언부재(88)와 기어연결되고, 기어박스(16) 내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 측으로 하강 또는 상승되는 랙부재(89)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고정링(36)을 회전시켜 결합작업을 진행하면 연동축(82), 제1기어(84), 제2기어(86), 승강축(87)을 따라 고정링(36)의 회전운동이 피니언부재(88)의 회전운동으로 전달되고, 피니언부재(88)에 랙 앤 피니언 방식으로 기어연결되는 랙부재(89)가 하강하면서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 중 어느 하나가 슬라이딩축(77)을 따라 하강하면서 제1후크(72) 또는 제2후크(74) 중 다른 하나의 후크와 이격되면서 걸림결합이 해제된다.
이로써, 완철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본체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손쉽게 고정시킬 수 있고, 지지본체와 전주를 연결함과 동시에 지지본체로부터 복수 개의 연장대가 돌출되므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 애자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애자를 연장대에 설치할 때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애자를 연장대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어 애자의 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완철조립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전주 12 : 안착홈부
14 : 지지본체 16 : 기어박스
17 : 제1연장대 18 : 제2연장대
19 : 체결홀부 32 : 제1결합링
34 : 제2결합링 36 : 고정링
38 : 결합부 50 : 애자
52 : 연결축 54 : 착탈부
56 : 해제부 70 : 삽입유지부
72 : 제1후크 74 : 제2후크
76 : 해제구동부 80 : 연동부
82 : 연동축 84 : 제1기어
86 : 제2기어 87 : 승강축
88 : 피니언부재 89 : 랙부재

Claims (4)

  1. 중공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주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중앙부에 기어박스가 구비되는 지지본체;
    상기 지지본체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체결홀부구가 구비되는 제1연장대;
    상기 지지본체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부가 구비되는 제2연장대;
    상기 지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거치시키는 제1결합링;
    상기 제1결합링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본체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주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본체를 거치시키는 제2결합링;
    상기 제1결합링과 상기 제2결합링 사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기 전주의 안착홈부에 안착되면서 상기 지지본체를 상기 전주에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링;
    한 쌍의 상기 고정링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고정링을 상기 전주에 밀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부;
    복수 개의 상기 체결홀부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애자; 및
    상기 애자를 상기 체결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연장대를 상기 지지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삽입유지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결합작동을 상기 삽입유지부의 해제작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지부는,
    상기 제1연장대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본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후크;
    상기 제2연장대 내측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본체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후크;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연장대 및 상기 제2연장대를 상기 지지본체 외측 방향으로 돌출시키도록 상기 제1연장대와 상기 제2연장대 사이에 개재되는 돌출스프링; 및
    상기 연동부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에 가압력이 제공되면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해제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구동부는,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가 상기 제1연장대 또는 상기 제2연장대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제1연장대 또는 상기 제2연장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축; 및
    상기 슬라이딩축의 단부와 상기 제1후크 또는 상기 제2후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후크와 상기 제2후크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걸림결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4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KR1020210026865A 2021-02-26 2021-02-26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KR10231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65A KR102311333B1 (ko) 2021-02-26 2021-02-26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865A KR102311333B1 (ko) 2021-02-26 2021-02-26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1333B1 true KR102311333B1 (ko) 2021-10-13

Family

ID=78150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865A KR102311333B1 (ko) 2021-02-26 2021-02-26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13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0487A (zh) * 2023-09-21 2023-10-27 国网山西省电力公司长治供电公司 一种横担及用于线路在线监测的装置
KR102657726B1 (ko) * 2023-10-16 2024-04-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42B1 (ko) * 2014-12-12 2015-03-04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절연 애자 완금 구조
KR101932122B1 (ko) * 2018-03-27 2018-12-24 대한기술단(주)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완금 장치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542B1 (ko) * 2014-12-12 2015-03-04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절연 애자 완금 구조
KR101932122B1 (ko) * 2018-03-27 2018-12-24 대한기술단(주)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완금 장치
KR101955155B1 (ko) * 2018-07-11 2019-03-06 대원전기 주식회사 배전선로용 간접활선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50487A (zh) * 2023-09-21 2023-10-27 国网山西省电力公司长治供电公司 一种横担及用于线路在线监测的装置
CN116950487B (zh) * 2023-09-21 2023-11-21 国网山西省电力公司长治供电公司 一种横担及用于线路在线监测的装置
KR102657726B1 (ko) * 2023-10-16 2024-04-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완철 연장암 및 이를 이용한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 간접 활선작업 안전거리 확보공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1333B1 (ko) 배전선로내 애자의 위치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JP6238538B2 (ja) 別のキャビネットに機械的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及び/又はキャビネット間の角度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を有するスピーカキャビネット
JP6852908B2 (ja)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KR102073864B1 (ko) 다기능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CN113690829B (zh) 一种35千伏双回复合绝缘横担直线钢管杆结构
KR101709677B1 (ko)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JP6364308B2 (ja) 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装置、アーム部材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アーム部材の取り外し方法
CN111889909B (zh) 一种钢结构预埋地脚螺栓成型焊接工艺
CN110994485B (zh) 电缆固定夹具
KR101304519B1 (ko) 트랙터용 써레 장착대
KR20050051622A (ko) 암반굴삭기의 일체형 파일 클램프
CN115411679A (zh) 一种便于检修的机电安装用的电缆限位装置
JP4651683B2 (ja) 立軸ポンプの原動機架台
KR101545685B1 (ko) 송배전선로 절연애자
CN112171150A (zh) 用于装配式建筑构件的连接结构
CN203789827U (zh) 一种马桶盖板的拆装机构
BR112021001989A2 (pt) cadeia de ferramentas e método para fixação concêntrica e troca de caixa de engrenagem e componentes internos de gerador
CN203055717U (zh) 箱型固定式金属封闭开关柜的机械闭锁装置联锁机构
CN214196930U (zh) 绝缘挂钩
CN2401294Y (zh) 滑动水口
JP2008269880A (ja) レバー装置
CN219873327U (zh) 一种侧挂式辅助装配机构
CN114301022B (zh) 一种施工现场电缆支架及其使用方法
CN215790700U (zh) 一种水泥电杆离心用骨架连接结构
CN215646063U (zh) 一种自锁式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