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677B1 -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677B1
KR101709677B1 KR1020160073916A KR20160073916A KR101709677B1 KR 101709677 B1 KR101709677 B1 KR 101709677B1 KR 1020160073916 A KR1020160073916 A KR 1020160073916A KR 20160073916 A KR20160073916 A KR 20160073916A KR 101709677 B1 KR101709677 B1 KR 10170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support
extension
press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7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H02G7/125Damping spacers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 선로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본체,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출몰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연장대, 상기 제1 연장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 송전선이 고정되는 제1 금구,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관통공에서 출몰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제2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연장대, 상기 제2 연장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2 송전선이 고정되는 제2 금구,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는 각각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대 또는 상기 제2 연장대가 상기 스페이서본체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부재를 상기 제1 연장대 또는 상기 제2 연장대에서 분리시키는 가압이탈편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송전선과 제2 송전선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인장력의 작용으로 인해 둘 모두가 동시에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a spacer for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송전 선로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선로 철탑에는 송전 선로끼리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가 설치된다.
종래의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80879호(2009.1.30.공고)에 개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과 송전선파지부가 양쪽에 구비되는 집게가 서로 마주하도록 중앙부가 축핀으로 조립되어 상기 축핀을 기점으로 양쪽이 상대운동하면서 송전선을 파지 및 해지하는 한쌍의 클램핑부재와, 체결공이 구비되는 고정와 길이방향으로 길게 슬릿홈을 갖는 조립부가 양쪽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가 체결부재를 매개로 클램핑부재의 연장부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이드부재와, 양쪽에 스프링지지부와 핀구멍이 구비되는 축봉의 양단부가 가이드부재의 조립부에 조립되어 슬릿홈과 핀구멍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길이조정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조립부로 입출되는 길이조정부재에 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양단에 구비된 클램핑부재에 각각 송전선을 고정하고 클램핑부재의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설치되어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각 송전선에서 전달되는 진동 또는 흔들림을 완충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양측에 지지되는 송전선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견고히 고정된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에 의해 양측 모두의 송전선에 인장력이 가해져 둘 모두가 함께 단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전선이 바람에 의해 심하게 흔들릴 때 또는 설해가 쌓인 경우, 상대운동에 의해 송전선을 파지하는 클램핑부재를 별도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클램핑부재에서 송전선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측에 지지되는 송전선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서로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둘 모두의 송전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송전선의 고정을 견고히 하여 송전선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본체,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출몰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연장대, 상기 제1 연장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 송전선이 고정되는 제1 금구,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관통공에서 출몰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제2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연장대, 상기 제2 연장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2 송전선이 고정되는 제2 금구,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는 각각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대 또는 상기 제2 연장대가 상기 스페이서본체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부재를 상기 제1 연장대 또는 상기 제2 연장대에서 분리시키는 가압이탈편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이탈편은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의 내주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지지부재의 둘레에 위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본체는 상기 가압이탈편을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금구와 상기 제2 금구는 각각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이 안착되는 고정클램핑부재,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을 맞물어 고정하고,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회전클램핑부재,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와 상기 회전클램핑부재가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클램핑부재에서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누름부가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부에 의한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송전선 또는 제2 송전선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인장력이 발생되는 경우, 제1 지지대 또는 제2 지지대가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제1 지지대 또는 제2 지지대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를 분리시키는 형태로 스페이서본체에서 제1 지지대 또는 제2 지지대를 분리시킴으로써, 제1 송전선과 제2 송전선이 함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전선을 파지하는 제1 금구와 제2 송전선을 파지하는 제2 금구가 마치 빨래집게와 같이 회전하여 제1 송전선과 제2 송전선을 파지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1 금구와 제2 금구에는 설치 후 가압에 의해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제1 송전선과 제2 송전선을 견고히 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의 제1 금구 및 제2 금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의 스프링지지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의 측단면도로서, 스프링지지부재가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스페이서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페이서본체(110)는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스페이서본체(110)는 내부가 빈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본체(110)의 일측단에는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 관통공(111)이 형성되고, 스페이서본체(110)의 타측단에는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 관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본체(110)는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 간의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본체(110)의 내주에는 하기에 설명될 가압이탈편(155)이 가압되는 가압돌기(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돌기(113)는 제1 지지대(120)가 완충스프링(115)을 최대한 압축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지지대(120)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50)가 위치되는 부분과, 제2 지지대(160)에서 완충스프링(115)을 최대한 압축되도록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지지대(160)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50)가 위치되는 부분에 형성되거나, 스페이서본체(110)의 내주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돌기(113)는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가 스페이서본체(110)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점점 면적이 넓어지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제1 지지대(120), 제1 연장대(130), 및 제1 금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12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120)는 제1 관통공(111)에 삽입되어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출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대(120)에서 제1 관통공(111)으로 삽입된 부분의 끝단에는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제1 지지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에 걸쳐지는 동시에 하기에 설명될 완충스프링(115)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대(120)에는 스프링지지부재(150)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며는 하기에 설명될 가압이탈편(155)이 걸쳐지는 걸림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양측으로는 이탈편안착홈(151)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이탈편안착홈(151)에는 가압이탈편(155)이 안착되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중심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양측에 안착된 가압이탈편(155)의 사이에는 지지스프링(159)이 설치되어 가압이탈편(155)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둘레에 밀찰되도록 상호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탈편(155)은 걸림턱(157)과 가압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57)은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상부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되고, 제1 지지대(120)의 걸림홈(121)에 걸쳐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56)는 스프링지지부재(150)에 형성된 이탈편안착홈(151)에 가압이탈편(155)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프링지지부재(150)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56)는 스페이서본체(110)에 형성된 가압돌기(113)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지지부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20)가 가압되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주에 형성된 가압돌기(113)에 의해 가압부(156)가 가압되면서, 가압이탈편(155)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중심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가압이탈편(155)의 걸림턱(157)이 제1 지지대(120)의 내주에 형성된 걸림홈(121,161)에서 이탈됨으로써, 제1 지지대(120)에서 스프링지지부재(150)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대(120)에서 제1 관통공(111)으로 돌출되는 제1 지지대(12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20)에는 제1 지지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대(120)의 나사산에 제1 연장대(130)가 나사체결될 수 있으며, 제1 연장대(130)도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제1 지지대(12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내주에는 제1 지지대(12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장대(130)에 삽입홈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제1 송전선(210)을 파지하는 제1 금구(14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금구(140)는 고정클램핑부재(141), 회전클램핑부재(143), 가압스프링(미도시) 및 누름방지부재(14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클램핑부재(141)는 제1 연장대(130)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 송전선(210)의 일측을 감싸 지지하고, 회전클램핑부재(143)는 마치 빨래집게와 같이 고정클램핑부재(141)에 중앙 부분이 힌지핀(1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클램핑부재(141)가 지지하는 제1 송전선(210)의 타측을 감싸 지지하는 형태로 제1 송전선(210)을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클램핑부재(143)에서 힌지핀(145) 중심으로 고정클램핑부재(141)와 함께 제1 송전선(210)을 파지하는 반대방향이 회전클램핑부재(143)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누름부(144)가 될 수 있다.
한편, 회전클램핑부재(143)와 고정클램핑부재(141)의 사이에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클램핑부재(143)가 고정클램핑부재(141)에 맞닿아 제1 송전선(210)을 파지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클램핑부재(141)에서 회전클램핑부재(14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가압스프링은 일단이 회전클램핑부재(143)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클램핑부재(141)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144)에는 누름방지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방지체결공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방지부재(147)는 누름방지체결공에 나사체결되어 고정클램핑부재(141)에 끝단이 지지됨으로써, 누름부(144)의 가압에 따라 회전클램핑부재(14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클램핑부재(141)와 회전클램핑부재(143)에 의해 파지된 제1 송전선(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누름방지부재(147)는 볼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제2 지지대(160), 제2 연장대(170), 및 제2 금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대(160)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지지대(160)는 제2 관통공(112)에 삽입되어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출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대(160)에서 제2 관통공(112)으로 삽입된 부분의 끝단에는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제2 지지대(1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에 걸쳐지는 동시에 하기에 설명될 완충스프링(115)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대(160)에는 스프링지지부재(150)가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며, 하기에 설명될 가압이탈편(155)이 걸쳐지는 걸림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양측으로는 이탈편안착홈(151)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이탈편안착홈(151)에는 가압이탈편(155)이 안착되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중심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양측에 안착된 가압이탈편(155)의 사이에는 지지스프링(159)이 설치되어 가압이탈편(155)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둘레에 밀찰되도록 상호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이탈편(155)은 걸림턱(157)과 가압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57)은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상부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되고, 제2 지지대(160)의 걸림홈(161)에 걸쳐질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156)는 스프링지지부재(150)에 형성된 이탈편안착홈(151)에 가압이탈편(155)이 안착된 상태에서 스프링지지부재(150)의 둘레에 위치되도록 돌출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부(156)는 스페이서본체(110)에 형성된 가압돌기(113)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프링지지부재(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대(160)가 가압되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주에 형성된 가압돌기(113)에 의해 가압부(156)가 가압되면서, 가압이탈편(155)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중심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가압이탈편(155)의 걸림턱(157)이 제2 지지대(160)의 걸림홈(161)에서 이탈됨으로써, 제2 지지대(160)에서 스프링지지부재(150)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대(160)에서 제2 관통공(112)으로 돌출되는 제2 지지대(160)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대(160)에는 제2 지지대(1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 지지대(160)의 나사산에 제2 연장대(170)가 나사체결될 수 있으며, 제2 연장대(170)도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제2 지지대(16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삽입홈의 내주에는 제2 지지대(160)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장대(170)에 삽입홈이 형성된 반대방향의 끝단에는 제2 송전선(220)을 파지하는 제2 금구(18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금구(180)는 고정클램핑부재(181), 회전클램핑부재(183), 가압스프링(미도시) 및 누름방지부재(187)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클램핑부재(181)는 제2 연장대(170)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2 송전선(220)의 일측을 감싸 지지하고, 회전클램핑부재(183)는 마치 가위와 같이 고정클램핑부재(181)에 중앙 부분이 힌지핀(18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고정클램핑부재(181)가 지지하는 제2 송전선(220)의 타측을 감싸 지지하는 형태로 제2 송전선(220)을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클램핑부재(183)에서 힌지핀(185) 중심으로 고정클램핑부재(181)와 함께 제2 송전선(220)을 파지하는 반대방향이 회전클램핑부재(183)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누름부(184)가 될 수 있다.
한편, 회전클램핑부재(183)와 고정클램핑부재(181)의 사이에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회전클램핑부재(183)가 고정클램핑부재(181)에 맞닿아 제2 송전선(220)을 파지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클램핑부재(181)에서 회전클램핑부재(18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가압스프링은 일단이 회전클램핑부재(183)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클램핑부재(181)에 고정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누름부(184)에는 누름방지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누름방지체결공의 내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누름방지부재(187)는 누름방지체결공에 나사체결되어 고정클램핑부재(181)에 끝단이 지지됨으로써, 누름부(184)의 가압에 따라 회전클램핑부재(183)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클램핑부재(181)와 회전클램핑부재(183)에 의해 파지된 제2 송전선(2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누름방지부재(187)는 볼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완충스프링(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완충스프링(115)은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제1 지지대(120)의 끝단에 설치된 스프링지지부재(150)와 제2 지지대(160)의 끝단에 설치된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호 완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완충스프링(115)은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스페이서본체(110)의 제1 관통공(111)에 제1 지지대(120)를 삽입하고, 삽입된 제1 지지대(120)의 끝단에 스프링지지부재(150)를 결합하며, 스페이서본체(110)에서 노출되는 제1 지지대(120)의 끝단부분에는 제1 금구(140)가 결합된 제1 연장대(130)를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또한, 스페이서본체(110)의 제2 관통공(112)에 제2 지지대(160)를 삽입하고, 삽입된 제2 지지대(160)의 끝단에 스프링지지부재(150)를 결합하며, 스페이서본체(110)에서 노출되는 제2 지지대(160)의 끝단부분에는 제2 금구(180)가 결합된 제2 연장대(170)를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여기서,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에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지지부재(150)는 각 걸림홈(121,161)에 가압이탈편(155)의 걸림턱(157)이 걸쳐지는 형태로 결합된다.
한편,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에는 완충스프링(115)이 설치되고, 완충스프링(115)은 양단이 각각 제1 지지대(120)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50)와 제2 지지대(160)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를 상호 완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이 이격될 거릴 미리 설정하여 제1 연장대(130)와 제2 연장대(170)를 회전시키는 형태로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의 길이를 조정한다.
그리고, 제1 금구(140)의 누름부(144)를 가압하여 회전클램핑부재(143)가 고정클램핑부재(141)에서 회전하여 끝단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송전선(210)을 삽입하고, 누름부(144)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가압스프링에 의해 회전클램핑부재(143)가 회전하여 제1 송전선(210)을 파지한다.
그리고, 제1 송전선(210)이 회전클램핑부재(143)와 고정클램핑부재(141)의 사이에 파지된 상태에서 누름부(144)에 형성된 누름방지체결공에 누름방지부재(147)의 끝단이 고정클램핑부재(141)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누름방지부재(147)를 체결한다.
한편, 제1 금구(140)에 제1 송전선(210)이 고정되면, 제2 금구(180)의 누름부(184)를 가압하여 회전클램핑부재(183)가 고정클램핑부재(181)에서 회전하여 끝단의 사이가 벌어지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2 송전선(220)을 삽입하고, 누름부(184)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가압스프링에 의해 회전클램핑부재(183)가 회전하여 제2 송전선(220)을 파지한다.
그리고, 제2 송전선(220)이 회전클램핑부재(183)와 고정클램핑부재(181)의 사이에 파지된 상태에서 누름부(184)에 형성된 누름방지체결공에 누름방지부재(187)의 끝단이 고정클램핑부재(181)에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누름방지부재(187)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의 사이에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에 의해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의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송전선(210) 또는 제2 송전선(220)이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흔들릴 경우에는 제1 지지대(120) 또는 제2 지지대(160)가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출몰하고,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의 사이에 위치되는 완충스프링(115)에 의해 상호 완충되어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의 사이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전선(210) 또는 제2 송전선(220)이 과도한 인장력 즉, 외력에 의해 당겨질 때에는 제1 지지대(120) 또는 제2 지지대(160)가 가압되어 스페이서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스페이서본체(110)에 형성된 가압돌기(113)가 위치된 부분까지 제1 지지대(120)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50) 또는 제2 지지대(160)에 결합된 스프링지지부재(150)가 삽입된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부재(150)는 가압이탈편(155)의 가압부(156)가 가압돌기(113)에 의해 가압되어 스프링지지부재(150)의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가압이탈편(155)의 걸림턱(157)이 제1 지지대(120) 또는 제2 지지대(160)의 걸림홈(121,161)에서 이탈됨으로써, 제1 지지대(120) 또는 제2 지지대(160)에서 스프링지지부재(150)가 분리된다(도 5 참고).
이와 같이 스프링지지부재(150)가 제1 지지대(120) 또는 제2 지지대(160)에서 이탈됨으로써, 스페이서본체(110)에서 제1 지지대(120) 또는 제2 지지대(160)가 분리되기 때문에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스페이서에 의해 연결된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선전 중 어느 하나에 가해지는 당김력이 둘 모두에 가해져 제1 송전선(210) 및 제2 송전선(220)이 함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는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 중 어느 하나에 과도한 인장력이 발생할 때,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에서 스프링지지부재(150)를 분리시키는 형태로 서로의 연결을 분리시켜 둘 모두가 함께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가 완충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이 흔들릴 때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120)와 제2 지지대(160)에 제1 연장대(130) 및 제2 연장대(170)가 결합되어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이 제1 금구(140) 및 제2 금구(180)에 의해 결합되어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에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100)의 설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금구(140) 및 제2 금구(180)는 누름방지부재(147,187)에 의해 고정되어 제1 금구(140) 또는 제2 금구(180)에서 제1 송전선(210)과 제2 송전선(220)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110: 스페이서본체
111: 제1 관통공 112: 제2 관통공
113: 가압돌기 115: 완충스프링
120: 제1 지지대 121,161: 걸림홈
130: 제1 연장대 140: 제1 금구
141,181: 고정클램핑부재 143,183: 회전클램핑부재
144,184: 누름부 145,185: 힌지핀
147,187: 누름방지부재 150: 스프링지지부재
151: 이탈편안착홈 155: 가압이탈편
156: 가압부 157: 걸림턱
159: 지지스프링 160: 제2 지지대
170: 제2 연장대 180: 제2 금구
210: 제1 송전선 220: 제2 송전선

Claims (3)

  1. 내부가 빈 막대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단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과 타측단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본체,
    상기 제1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관통공에서 출몰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제1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연장대,
    상기 제1 연장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1 송전선이 고정되는 제1 금구,
    상기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관통공에서 출몰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에 나사체결되어 나사체결되는 방향에 따라 제2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연장대,
    상기 제2 연장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제2 송전선이 고정되는 제2 금구,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의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는 각각
    상기 스페이서본체의 내부로 삽입된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완충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연장대 또는 상기 제2 연장대가 상기 스페이서본체에서 이탈되도록 상기 스프링지지부재를 상기 제1 연장대 또는 상기 제2 연장대에서 분리시키는 가압이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이탈편은 상기 제1 연장대와 상기 제2 연장대의 내주에 삽입되어 걸쳐지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상기 스프링지지부재의 둘레에 위치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페이서본체는 상기 가압이탈편을 가압하여 상기 걸림턱의 걸림을 해제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구와 상기 제2 금구는 각각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이 안착되는 고정클램핑부재,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을 맞물어 고정하고,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가압하는 누름부를 포함하는 회전클램핑부재,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와 상기 회전클램핑부재가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에 맞물리도록 상기 회전클램핑부재에서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스프링, 및
    상기 누름부가 상기 고정클램핑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누름부에 의한 상기 제1 송전선 또는 상기 제2 송전선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누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20160073916A 2016-06-14 2016-06-14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170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916A KR101709677B1 (ko) 2016-06-14 2016-06-14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3916A KR101709677B1 (ko) 2016-06-14 2016-06-14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677B1 true KR101709677B1 (ko) 2017-02-23

Family

ID=5831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3916A KR101709677B1 (ko) 2016-06-14 2016-06-14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6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5996A (zh) * 2017-12-01 2018-03-27 绍兴大明电力设计院有限公司 可旋转阻尼式间隔棒
KR101878960B1 (ko) * 2018-03-30 2018-07-16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1979416B1 (ko) * 2018-07-31 2019-05-15 주식회사 광원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2180891B1 (ko) 2020-02-14 2020-11-19 (주)엠오유 배전 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22U (ja) * 1992-09-03 1994-04-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導体送電線の融雪線材巻付用拡張スペーサ
KR100880879B1 (ko) * 2008-10-24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322U (ja) * 1992-09-03 1994-04-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導体送電線の融雪線材巻付用拡張スペーサ
KR100880879B1 (ko) * 2008-10-24 2009-0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한 송전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0899184B1 (ko) * 2008-12-23 2009-05-27 (주)유진씨엔이 송전가공 선로형 상간 스페이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5996A (zh) * 2017-12-01 2018-03-27 绍兴大明电力设计院有限公司 可旋转阻尼式间隔棒
KR101878960B1 (ko) * 2018-03-30 2018-07-16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1979416B1 (ko) * 2018-07-31 2019-05-15 주식회사 광원 배전선로 스페이스 유지장치
KR102180891B1 (ko) 2020-02-14 2020-11-19 (주)엠오유 배전 케이블 스페이스 유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677B1 (ko)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US11721964B2 (en) Self-seating damper clamp
KR101974862B1 (ko) 전선 가이드 롤러
US5539961A (en) Spring-loaded wedge dead end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JP6852908B2 (ja) 活線振り分け工具用の張線器
UA124571C2 (uk) Ізолятор
JP2012253870A (ja) 架空配電線の装柱金具
CN116388099B (zh) 一种预绞式防舞绝缘间隔棒
KR101401582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20190000956U (ko) 클램프와 절연애자 체결기구
KR101844567B1 (ko)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CN112448314B (zh) 一种耐张绝缘子串带电更换装置
JP2015142399A (ja) 耐張クランプ
KR101831263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JP2011259588A (ja) 楔型引留クランプ取付方法及び構造
KR102005854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스페이서 장치
US2968077A (en) Wiring accessory
RU187237U1 (ru) Натяжной анкерный кронштейн
KR101723682B1 (ko) 배전선로용 지선밴드와 현수애자의 연결 장치
KR102527273B1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KR101844568B1 (ko)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16530455U (zh) 一种易于拆装组合的可调式线夹
JP3275609B2 (ja) 電線把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