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1582B1 -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1582B1
KR101401582B1 KR1020140025135A KR20140025135A KR101401582B1 KR 101401582 B1 KR101401582 B1 KR 101401582B1 KR 1020140025135 A KR1020140025135 A KR 1020140025135A KR 20140025135 A KR20140025135 A KR 20140025135A KR 101401582 B1 KR101401582 B1 KR 10140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ain body
light weight
light guid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Priority to KR102014002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경완금의 위치 조절시, 경완금을 견인기구로 견인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경완금을 고정하고 있는 벨트의 나사를 풀어도 경완금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경완금의 위치 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위치 조절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경완금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도 작업자가 경완금을 직접 들어올리지 않고 견인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위치 조절작업 후에는 경완금을 상방으로 당겨 지지함으로써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있어서, 아래쪽(중력방향)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원기둥 형상의 전신주와, 전신주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탄성 압착되고,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애자를 구비한 경완금과, 양단에 형성된 홀들이 나사 결합되면서, 경완금을 조여 전신주에 경완금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경완금에 제공하는 벨트와,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어 경완금을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Electric Pole for Moving Position of Electric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를 견고히 고정하면서 배전선로의 위치를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또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 작업시 배전선로용 전신주에 설치된 경완금을 견인기구로 들어올려 위치조절 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위치 조절 후에는 견인기구로 경완금을 위로 당겨 지지함으로써 경완금의 설치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주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과 통전하는 전선을 지지하면서 가정이나 회사 등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전선을 안내한다.
그런데 전선은 비교적 고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절연체인 전신주를 통해 누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전신주와 전선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절연체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한다. 이러한 절연체를 애자라고 한다.
도 1은 종래의 전신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신주용 경완금(120)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서 선S-S에 대한 전신주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애자(123)는 경완금(120)에 고정되고, 경완금(120)은 벨트(125,126)를 매개로 전신주(110)에 고정된다.
상술한 경완금(120)은 제1 벨트(125)를 매개로 전신주(110)에 고정되는 외팔보 형태의 수평 지지대(121)와, 제2 벨트(126)를 매개로 전신주(110)에 고정되고 수평 지지대(121)의 아래쪽(중력방향) 처짐을 막는 받침 지지대(122)를 가진다.
애자(123)는 경완금(120)의 수평 지지대(121) 위에 고정되고, 배전선로(130)는 애자(123)에 고정되므로 전신주(110)와 직접 맞닿지 않고 전신주(110)의 일 지점에 정확히 고정 배치된다.
수평 지지대(121)는 애자(123)에 고정된 배전선로(130)의 무게로 인하여 아래쪽으로 처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는데, 받침 지지대(122)는 수평 지지대(121)와 제2 벨트(126)와 나사(131,133) 결합 되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된다.
제1 벨트(125)는 일단부(1251)와 타단부(1252)를 힌지(127) 결합하고 있고, 타단부(1252)는 일단부(125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제2 벨트(126) 또한, 일단부(1261)와 타단부(1262)를 힌지(128) 결합하고 있고, 타단부(1262)는 일단부(1261)로부터 개폐될 수 있다. 제1 벨트(125)의 일단부(1251)의 말단과 타단부(1252)의 말단에는 홀들(1321,132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는 제1벨트(125)를 전신주(110)에 채운 후 이 홀들(1321,1322)을 나사(132) 결합함으로써 제1 벨트(125)를 전신주(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벨트(126)의 일단부(1261)의 말단과 타단부(1262)의 말단에는 홀들(1331,133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는 제2 벨트(126)를 전신주(110)에 채운 후 이 홀들(1331,1332)을 나사(133) 결합함으로써 제2 벨트(125)를 전신주(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상, 전신주(110)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더 큰 직경을 가지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을 가지는데 반해, 제1 벨트(125)와 제2 벨트(126)는 테이퍼되지 않은 원통형 몸체에 밀착 고정되도록 최적화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벨트들(125,126)이 전신주(110)에 고정되면, 벨트들(125,126)과 전신주(110) 사이에는 서로 간에 밀착되지 않은 틈(C)이 생기게 마련이고, 이러한 틈(C)은 전신주(110)와 지지대(120) 간의 고정을 약하게 한다. 또한, 종래의 경완금(120)을 이용하여 배전선로(130)를 전신주(110)에 고정하는 방식은 배전선로(130)의 고정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을 번거롭게 한다. 예컨대, 작업자는 제1 벨트(125)와 제2 벨트(126)를 전신주(110)로부터 해제한 후 전신주(110)의 원하는 위치에 제1 벨트(125)와 제2 벨트(126)를 다시 고정시켜야 하고, 제1 벨트(125)와 제2 벨트(126)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수평 지지대(121)의 기울기를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을 경험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특허 제10-1175315호의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이하, '선행기술' 이라 약칭함)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에 의하면, 전신주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탄성 압착되고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애자를 구비한 경완금과, 양단에 형성된 홀들이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경완금을 조여 상기 전신주에 경완금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경완금에 제공하는 벨트를 구비하여, 배전선로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고, 배전선로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경완금의 자체 구조만으로 전신주에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배전선로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경완금을 고정하고 있는 벨트의 나사를 풀게 되면, 경완금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므로 작업자는 반드시 한 손으로 경완금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벨트의 나사를 풀어야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벨트의 나사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한 손으로 해야 하므로, 경완금의 위치 조절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도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경완금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도 작업자가 경완금을 직접 들어올리거나 내려 이동시켜야 하는 것이므로, 전신주의 높은 위치이고 자세도 불안정한 상태에서 힘을 쓰며 작업하는 것이 여간 힘들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경완금의 위치 조절시, 경완금을 견인기구로 견인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경완금을 고정하고 있는 벨트의 나사를 풀어도 경완금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경완금의 위치 조절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위치 조절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경완금의 위치를 변경할 때에도 작업자가 경완금을 직접 들어올리지 않고 견인기구를 이용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위치 조절작업 후에는 경완금을 상방으로 당겨 지지함으로써 자중에 의한 처짐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있어서, 아래쪽(중력방향)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원기둥 형상의 전신주; 상기 전신주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탄성 압착되고,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애자를 구비한 경완금; 양단에 형성된 홀들이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경완금을 조여 상기 전신주에 상기 경완금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상기 경완금에 제공하는 벨트; 및 상기 전신주에 고정 설치되어 경완금을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완금은, 상기 전신주의 외주면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금속성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며 상기 전신주의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금속성 제2 바디; 상기 제2 바디의 상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애자가 고정되는 금속성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제2 바디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평 지지대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의 처짐을 막는 금속성 받침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와 제2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어지고 전신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신주에 설치시, 상기 전신주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 상기 상하 양단을 잇고 상기 전신주 설치시 접촉되지 않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체결되는 상기 벨트가 안착되기 위한 벨트 결합홈을 포함하여, 상기 벨트의 조임으로 인하여 상기 중앙부가 안쪽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중앙부와 상기 상하 양단은 탄성 휨 변형되고 상기 상하 양단은 상기 전신주를 가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견인장치는, 상기 경완금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신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 설치되고 도어를 구비한 보호박스; 상기 보호박스 내벽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제1 수평축에 고정되어 제1 수평축과 함께 회전하는 종동기어 및 견인롤러; 상기 견인롤러에 감겨 설치되고 끝단에 후크가 구비된 와이어; 상기 경완금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의 후크를 걸기 위한 견인고리; 상기 보호박스 내벽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제2 수평축에 고정되어 제2 수평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에 이맞물림된 원동기어; 상기 제2 수평축에 고정되어 원동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원형핸들; 및 상기 보호박스 내벽과 제2 수평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평축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제2 수평축에 고정되어 원동기어와 함께 회전하고 바깥 원주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이 형성된 회전판; 상기 보호박스 내벽에 중심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홈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핀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이 걸림홈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림핀이 걸림홈으로부터 이격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잠금레버; 상기 잠금레버에 일단을 각각 고정하여 잠금레버의 양쪽으로 배치한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 상기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의 각 타단에 고정한 제1 및 제2 탄성조절핀; 상기 보호박스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조절핀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잠금구멍; 및 상기 보호박스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탄성조절핀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잠금해제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잠금구멍 및 제2 잠금해제구멍의 위치보다 상기 제1 잠금구멍 및 제1 잠금해제구멍의 위치를 잠금레버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이루어진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신주에 고정된 경완금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견인기구로 경완금을 견인한 상태에서 경완금을 고정하고 있는 벨트의 나사를 풀면, 경완금이 자중에 의해 낙하하지 않고 제자리에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경완금을 잡을 필요없이 양손을 사용하여 경완금의 위치 조절 및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견인기구를 조작하여 경완금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작업자는 힘들이지 않고도 경완금의 위치 조절작업을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완금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도, 견인기구를 이용하여 경완금을 상방으로 당겨 지지할 수 있어 경완금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한 처짐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전신주의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신주용 경완금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S-S선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경완금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S-S선 종단면도.
도 7은 도 4에서 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한 견인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서 견인장치의 잠금기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8에서 견인장치의 잠금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0-1175315호를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의 기본 구성은 모두 등록특허 제10-1175315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등록특허 제10-117531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에서 전신주(210)에 설치된 경완금(220)을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장치(300)의 구성을 더욱 구비한 것으로,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0-1175315호의 내용 중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을 대부분 인용하기로 하며,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210)는, 상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진 원기둥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신주(210)의 테이퍼진 외주면(211)에는 탄성 압착되어 고정되는 경완금(220)이 설치된다.
이러한 경완금(220)은 배전선로(250)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애자(225)가 부착된다. 애자(225)는 전신주(210)와 배전선로(250)가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연결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애자(225)로는 자기, 폴리머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완금(220)은 전신주(210)를 감싸도록 설치된 후 이를 가압하기 위하여 벨트(230)를 가지는데, 이 벨트(230)는 경완금(220)을 조여서 전신주(210)에 대한 경완금(220)의 탄성 반발력을 일으킨다. 벨트(230)는 양단에 나사 결합 홀(231,232)을 형성하고 있고, 당업자는 이 나사 결합 홀들(231,232)을 나사(240) 결합하는 경우, 벨트(230)의 양단이 가까워지고 경완금(220)은 조여지게 되며 전신주(210)에 대한 경완금(220)의 탄성 반발이 발생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경완금(220)은 탄성 지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벨트(230)에 의해 이러한 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벨트의 조임 정도에 따라 탄성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경완금(220)은 제1 바디(221)와, 제1 바디(221)와 힌지(226) 결합되어 제1 바디(221)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가능한 제2 바디(222)를 가진다. 또한, 경완금(220)은 제2 바디(222)의 상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배전선로(250)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애자(225)가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223)를 구비한다. 더욱이, 경완금(220)은 제2 바디(222)의 하부로부터 수평 지지대(223) 하부까지 연장되어 수평 지지대(223)의 처짐을 막는 받침 지지대(224)를 포함한다.
경완금(220)의 제1 바디(221)와 제2 바디(222)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어지고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상하 양단(227)과, 상기 상하 양단(227)을 잇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중앙부(228)을 형성하는 일체형의 만곡된 브릿지 형상이다.
또한, 경완금(220)의 제1 바디(221)와 제2 바디(222)의 중앙부(228)에 벨트(230)가 놓여지는 벨트 결합 홈(229)을 형성하고 있어, 벨트(230)의 결합 위치가 지정된다.
경완금(220)의 제1 바디(221)와 제2 바디(222)는 탄성 휨 변형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지의 다양한 금속체를 이러한 탄성 휨 구조를 갖도록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체로는 스틸,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벨트(230)의 조임으로 인하여 중앙부(228)가 안쪽으로 가압되는 경우, 중앙부(228)와 상하 양단(227)은 탄성 휨 변형이 발생되고, 제1 바디(221)와 제2 바디(222)의 상하 양단(227)은 전신주(210)를 일정 탄성을 보유하면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경완금(220)의 탄성 반발 구조는 경완금(220)이 전신주(210)에서 상하 이동하는 것과 회전하는 것을 막으며, 벨트(230)가 더 조여질수록 더욱 커진다.
또한, 미도시 되었지만, 경완금(220)의 상하 양단(227)의 내면에는 전신주(210)의 외주면(211)과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마찰 소재를 더 갖출 수 있다.
경완금(220)의 상하 양단(227)이 전신주(210)의 외주면(211)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배전선로(250)의 견고한 고정을 이끌 수 있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경완금(220)이 일체형이므로 작업에서 다루기 쉽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배전선로(250)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데, 예컨대, 작업자는 벨트(230)의 조임을 풀어 경완금(220)을 전신주(210)의 외주면(211)을 따라 회전시키거나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전신주(210)의 원하는 위치에서 다시 벨트(230)를 조여 경완금(22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완금(220)의 위치 조절시 경완금(220)을 견인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견인장치(3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견인장치(300)는, 경완금(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신주(2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0)와, 상기 고정부재(310)에 고정 설치되고 도어(321)를 구비한 보호박스(320)를 구비한다.
고정부재(31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힌지(311)로 연결되고 타측은 개방된 구성으로, 개방된 양끝단을 벌려 전신주(210)에 끼운 후,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보호박스(320) 내의 내벽에는 제1 수평축(331) 및 제2 수평축(351)이 상,하에 배치되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수평축(331)에는 종동기어(332)와 견인롤러(333)가 차례로 고정되어 제1 수평축(331)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고, 견인롤러(333)에는 와이어(340)가 감겨 있고 와이어(340)의 끝단에는 후크(3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경완금(220)에는 와이어(340)의 후크(341)를 걸기 위한 견인고리(34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수평축(351)에는 종동기어(332)에 이맞물림된 원동기어(352)와, 원동기어(352)를 회전시키기 위한 원형핸들(353)이 고정되어 제2 수평축(351)과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원형핸들(353)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동력이 원동기어(352), 종동기어(332), 견인롤러(333)로 전달되어 와이어(340)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원형핸들(353)은 종동기어(332) 및 원동기어(35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원형핸들(353)을 회전시키는데 소요되는 힘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견인장치(300)는, 보호박스(320)의 내벽과 제2 수평축(351)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수평축(351)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기구(4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잠금기구(400)는, 도 9a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축(351)에 고정되어 원동기어(352) 및 원형핸들(353)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410)과, 보호박스(320)의 내벽에 중심핀(4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레버(430)를 구비한다.
회전판(410)에는 바깥 원주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411)이 형성되고, 잠금레버(430)는 일단에 상기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핀(431)이 구비되며, 잠금레버(430)의 타단에는 손잡이(432)가 구비되어 걸림핀(431)이 걸림홈(411)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림핀(431)이 걸림홈(411)으로부터 빠져 이격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잠금레버(430)에는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441,442)이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441,442)의 일단을 잠금레버(430)에 각각 고정하여 잠금레버(430)의 양쪽으로 배치한다.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441,442)의 타단에는 제1 및 제2 탄성조절핀(443,444)이 각각 고정된 것으로, 이 제1 탄성조절핀(443)은 보호박스(320)의 내벽에 형성한 제1 또는 제2 잠금구멍(451,452)에 삽입되고, 제2 탄성조절핀(444)은 보호박스(320)의 내벽에 형성한 제1 또는 제2 잠금해제구멍(453,45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잠금구멍(452) 및 제2 잠금해제구멍(454)의 위치보다 상기 제1 잠금구멍(451) 및 제1 잠금해제구멍(453)의 위치를 잠금레버(430)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441,442)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잠금기구(400)의 걸림핀(431)을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에 삽입 또는 이격시키는 것에 의해 회전판(410)이 고정된 제2 수평축(351), 원형핸들(353) 및 견인롤러(333)의 회전을 인위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견인장치(300)에 의하면, 배전선로(250)의 위치 변경을 변경하고자 할 때,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40)의 후크(341)를 경완금(220)의 견인고리(342)에 걸어 둔 상태에서, 벨트(230)의 조임을 풀면, 경완금(22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지 않고 견인장치(300)의 와이어(340)에 매달려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경완금(220)을 잡지 않아도 되므로 양손을 사용하여 경완금(220)의 벨트(230)를 풀거나 다시 조여 고정하는 작업과, 경완금(220)을 전신주(210)의 외주면(211)을 따라 회전시켜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완금(220)을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호박스(320)의 도어(321)를 열고, 원형핸들(353)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수평축(351)에 함께 고정된 원동기어(352)가 회전하고, 이로써 원동기어(352)에 이맞물림된 종동기어(332)가 회전하여 제1 수평축(331)에 함께 고정된 견인롤러(333)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견인롤러(3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340)를 풀거나 감을 수 있어, 경완금(220)을 견인한 상태에서 힘들이지 않고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경완금(220)의 위치를 변경한 후에도, 견인장치(300)를 이용하여 경완금(220)을 상방으로 당겨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경완금(2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견인장치(300)에 구비된 잠금기구(400)에 의해서는, 제2 수평축(351)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시켜, 경완금(220)을 견인하여 상,하로 위치 이동시키거나, 정지 위치에서 견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핀(420)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레버(430)를 잠금해제위치로 회전시켜 걸림핀(431)을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으로부터 빼내어 이격시키게 되면, 회전판(410)이 보호박스(320)의 내벽으로부터 고정 해제되어 제2 수평축(351) 및 원형핸들(353)을 작업자가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원동기어(352) 및 종동기어(332)를 통해 견인롤러(333)를 회전시켜 와이어(340)를 감거나 풀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힘들이지 않고 경완금(220)을 상,하로 이동시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1 탄성조절핀(443)은 제1 잠금구멍(451)에서 제2 잠금구멍(452)으로 옮겨 삽입하고, 제2 탄성조절핀(444)은 제2 잠금해제구멍(454)에서 제1 잠금해제구멍(453)으로 옮겨 삽입하게 되면, 제1 잠금해제구멍(453)이 제2 잠금구멍(452)보다 잠금레버(43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므로, 제2 인장코일스프링(442)의 탄성복원력이 제1 인장코일스프링(441)의 탄성복원력보다 크게 되고, 이로써 잠금레버(430)의 잠금해제위치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켜 걸림핀(431)이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레버(430)의 유동이나 진동에 의해 걸림핀(431)이 걸림홈(411)에 삽입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핀(420)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레버(430)를 잠금위치로 회전시켜 걸림핀(431)을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에 삽입하여 걸림유지시키게 되면, 회전판(410)이 보호박스(320)의 내벽에 고정되고, 이로써 제2 수평축(351)에 고정된 원형핸들(353) 및 원동기어(352)와, 이와 연동하는 제1 수평축(331)의 종동기어(332) 및 견인롤러(333)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인위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경완금(220)을 와이어(340)로 견인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는 양손을 사용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경완금(220)을 상방으로 당겨 견인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경완금(22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잠금레버(430)에 제1 인장코일스프링(441)으로 탄력설치된 제1 탄성조절핀(443)을 제1 잠금구멍(451)에 삽입하고, 제2 인장코일스프링(442)으로 탄력설치된 제2 탄성조절핀(444)을 제2 잠금해제구멍(454)에 삽입하게 되면, 제1 잠금구멍(451)이 제2 잠금해제구멍(454)보다 잠금레버(430)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위치된 것이므로, 제1 인장코일스프링(441)의 탄성복원력이 제2 인장코일스프링(442)의 탄성복원력보다 크게 되고, 이로써 잠금레버(430)의 잠금위치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시켜 걸림핀(431)이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에 걸림유지된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어, 회전판(410) 및 잠금레버(430)의 유동이나 진동에 의해 걸림핀(431)이 걸림홈(411)으로부터 빠지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210 : 전신주 220 : 경완금
221 : 제1 바디 222 : 제2 바디
223 : 수평 지지대 224 : 받침 지지대
225 : 애자 230 : 벨트
240 : 나사 250 : 배전선로
300 : 견인장치 310 : 고정부재
320 : 보호박스 331 : 제1 수평축
332 : 종동기어 333 : 견인롤러
340 : 와이어 341 : 후크
342 : 견인고리 351 : 제2 수평축
352 : 원동기어 353 : 원형핸들
400 : 잠금기구 410 : 회전판
420 : 중심핀 430 : 잠금레버
441,442 :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 443,444 : 제1 및 제2 탄성조절핀
451,452 : 제1 및 제2 잠금구멍 453,454 : 제1 및 제2 잠금해제구멍

Claims (1)

  1.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에 있어서,
    아래쪽(중력방향)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진 원기둥 형상의 전신주(210); 상기 전신주(210)의 테이퍼진 외주면(211)에 탄성 압착되고, 배전선로(250)를 지지하는 애자를 구비한 경완금(220); 양단에 형성된 홀들(231,232)이 나사(240) 결합되면서, 상기 경완금(220)을 조여 상기 전신주(210)에 상기 경완금(220)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 반발력을 상기 경완금(220)에 제공하는 벨트(230); 및 상기 전신주(210)에 고정 설치되어 경완금(220)을 들어올리기 위한 견인장치(300)를 포함하며,
    상기 경완금(220)은,
    상기 전신주(210)의 외주면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금속성 제1 바디(221); 상기 제1 바디(221)와 힌지(226) 결합되어 상기 제1 바디(22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며 상기 전신주(210)의 외주면의 나머지 절반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금속성 제2 바디(222); 상기 제2 바디(222)의 상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배전선로(250)를 지지하는 애자(225)가 고정되는 금속성 수평 지지대(223); 및 상기 제2 바디(222)의 하부로부터 상기 수평 지지대(223)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223)의 처짐을 막는 금속성 받침 지지대(224)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221)와 제2 바디(222)는,
    상하 방향으로 가늘어지고 전신주(210)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신주(210)에 설치시, 상기 전신주(2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하 양단(227); 상기 상하 양단(227)을 잇고 상기 전신주(210)설치시 접촉되지 않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중앙부(228); 및 상기 중앙부(228)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체결되는 상기 벨트(230)가 안착되기 위한 벨트 결합홈(229)을 포함하여,
    상기 벨트(230)의 조임으로 인하여 상기 중앙부(228)가 안쪽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중앙부(228)와 상기 상하 양단(227)은 탄성 휨 변형되고 상기 상하 양단(227)은 상기 전신주(210)를 가입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견인장치(300)는,
    상기 경완금(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신주(2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310); 상기 고정부재(310)에 고정 설치되고 도어를 구비한 보호박스(320); 상기 보호박스(320) 내벽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제1 수평축(331)에 고정되어 제1 수평축(331)과 함께 회전하는 종동기어(332) 및 견인롤러(333); 상기 견인롤러(333)에 감겨 설치되고 끝단에 후크(341)가 구비된 와이어(340); 상기 경완금(220)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340)의 후크(341)를 걸기 위한 견인고리(342); 상기 보호박스(320) 내벽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제2 수평축(351)에 고정되어 제2 수평축(351)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종동기어(332)에 이맞물림된 원동기어(352); 상기 제2 수평축(351)에 고정되어 원동기어(352)를 회전시키기 위한 원형핸들(353); 및 상기 보호박스(320) 내벽과 제2 수평축(35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형핸들(353) 및 견인롤러(333)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잠금기구(400)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기구(400)는,
    상기 제2 수평축(351)에 고정되어 원동기어(352)와 함께 회전하고 바깥 원주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걸림홈(411)이 형성된 회전판(410); 상기 보호박스(320) 내벽에 중심핀(42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는 상기 회전판(410)의 걸림홈(411)에 걸림유지되는 걸림핀(431)이 구비되고 타단에는 손잡이(432)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핀(431)이 걸림홈(411)에 걸림유지되는 잠금위치와 걸림핀(431)이 걸림홈(411)으로부터 이격되는 잠금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잠금레버(430); 상기 잠금레버(430)에 일단을 각각 고정하여 잠금레버(430)의 양쪽으로 배치한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441,442); 상기 제1 및 제2 인장코일스프링(441,442)의 각 타단에 고정한 제1 및 제2 탄성조절핀(443,444); 상기 보호박스(320)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조절핀(443)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잠금구멍(451,452); 및 상기 보호박스(320)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탄성조절핀(444)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잠금해제구멍(453,45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잠금구멍(452) 및 제2 잠금해제구멍(454)의 위치보다 상기 제1 잠금구멍(451) 및 제1 잠금해제구멍(453)의 위치를 잠금레버(430)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20140025135A 2014-03-03 2014-03-03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40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135A KR101401582B1 (ko) 2014-03-03 2014-03-03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135A KR101401582B1 (ko) 2014-03-03 2014-03-03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582B1 true KR101401582B1 (ko) 2014-06-02

Family

ID=51131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135A KR101401582B1 (ko) 2014-03-03 2014-03-03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5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01B1 (ko) 2014-05-23 2014-10-15 (주)한국나이스이엔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558253B1 (ko) 2015-05-12 2015-10-13 (주) 미래이앤지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859692B1 (ko) * 2017-04-03 2018-05-18 김영춘 루프 구조물 안전 지지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15B1 (ko) 2012-06-20 2012-08-20 성다교 배전 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5315B1 (ko) 2012-06-20 2012-08-20 성다교 배전 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701B1 (ko) 2014-05-23 2014-10-15 (주)한국나이스이엔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558253B1 (ko) 2015-05-12 2015-10-13 (주) 미래이앤지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1859692B1 (ko) * 2017-04-03 2018-05-18 김영춘 루프 구조물 안전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9472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1401582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422739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848936B1 (ko) 크레인을 이용한 배전설비 교체 기구
KR10187773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KR100905247B1 (ko) 거리조정이 용이한 송전선로 스페이서 댐퍼의 클램핑구조
KR101974862B1 (ko) 전선 가이드 롤러
WO2019124299A1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方向変換具、柱上吊上装置、碍子支持具及び対電柱固定具
US9533862B2 (en) Cable guide assembly
CN112020805B (zh) 绝缘子分离施工方法、用于该施工方法的杆上起重装置、绝缘子支承件、相对电杆固定件以及吊挂件
CN213636887U (zh) 一种用于配电网带电作业的引流线临时固定装置
KR101450701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2358796B1 (ko) 활선 작업용 보조완철의 어댑터
CN216086095U (zh) 一种电缆支架
KR200445813Y1 (ko) 전선케이블 릴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0655134B1 (ko) 겹장주용 전력선 이선기구
CN205377194U (zh) 自锁电缆固定装置
JP6408458B2 (ja) ケーブル架設作業用金車
KR102653670B1 (ko) 덕빌클램프에 체결이 용이한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CN219874815U (zh) 一种用于电缆穿管的夹具
CN214227627U (zh) 一种滑轮防脱落装置
CN111509425B (zh) 一种十千伏配电线路的接地线夹
CN212849776U (zh) 一种适应线缆缆径变化夹持的防火卡具
KR102250758B1 (ko) 전신주 필름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