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7737B1 -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7737B1
KR101877737B1 KR1020170178547A KR20170178547A KR101877737B1 KR 101877737 B1 KR101877737 B1 KR 101877737B1 KR 1020170178547 A KR1020170178547 A KR 1020170178547A KR 20170178547 A KR20170178547 A KR 20170178547A KR 101877737 B1 KR101877737 B1 KR 101877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istribution line
ring
ho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순자
Original Assignee
(주)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나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7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7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7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7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배전선로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전선로가 절연회전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steel tower coupling apparatus of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배전선로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전선로가 절연회전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배전선로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배전선로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배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배전선로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전선로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배전선로에 처짐 현상이 초래되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배전선로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것은 물론,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04199호에는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는 송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송전선의 장력 변화나 비틀림 등에 따른 가압 또는 가압해제시 원상태로의 복원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0904199호(2009.06.22.)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배전선로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전선로가 절연회전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는 배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되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배전선로(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고; 상기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되며,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된 절연커버(11);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와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 절연받침대(12);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되되,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체결구(251)에 볼트(a)로 체결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으로 구성된 신장부재(20)를 포함하는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회전체(13)로부터 상기 배전선로(100)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배전선로(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회전축(131)의 외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320);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연결링(32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30); 상기 클램프(310)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340); 상기 연결링(320)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350); 및 상기 제1,2고정수단(340,35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36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310)는,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면을 관통하는 제1고정공(311a)이 형성되는 지지판(311)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수단(340)은,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공(311a)으로 인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341); 및 상기 지지판(311)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고정구(34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고정구(341)를 상기 지지판(311)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34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320)은, 외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제2고정공(321a)이 형성되는 연결판(3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수단(350)은, 타단부가 상기 제2고정공(321a)으로 인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351); 및 상기 연결판(321)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고정구(35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2고정구(351)를 상기 연결판(321)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고정부재(35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360)은, 상기 제1,2고정구(341,351)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며, 배전선로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가 절연회전체에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배전선로의 장력 변화나 비틀림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원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작동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서 회전부재의 작동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서 연결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측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8에서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904199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904199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90419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는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로 대체하고, 절연회전체로부터 배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90419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는 상부에는 배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배전선로(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는 송전탑에 설치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절연커버(11)와 절연받침대(12)와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및 신장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부재들은 절연을 위하여 모두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 된다.
상기 절연커버(11)는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되며 반원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1)의 홀(111a)과 소켓크레비스(4)에 형성된 홀에 볼트(a)를 관통하여 너트(b)로 고정한다.
상기 절연받침대(12)는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에 형성된 홀(112a)에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홀(124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회전체(13)는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133)의 단부 일측에는 전면에 체결고리(133a)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고, 회전바(133)의 단부의 타측에는 후면에 체결고리(133a)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진다.
이로 인해, 배전선로가 바람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비틀어질 경우 배전선로(100)과 체결되는 절연배전선로 클램프(25)와 절연박스(21)에 흔들림이 전달되어 절연회전체(13)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 절연회전체(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즉, 도 7과 같이 실선의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탄성스프링(122)의 복원력으로 점선방향으로 생기는 복원력으로 인해 더 이상의 배전선로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절연회전체(1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절연회전체(13)의 단부가 가이드(121a)에 걸려 회전을 방지함으로 배전선로(100)의 비틀림이나 회전에 따른 단선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부재(20)는 상기 절연회전체(13)에 형성된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홀(242a)이 구비된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홀(251a)이 구비된 체결구(251)에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게 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며, 배전선로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확보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회전체(13)로부터 상기 배전선로(100)를 지지하기 위한 연결부(3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절연회전체(13)로부터 상기 배전선로(10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배전선로(100)의 장력 변화나 비틀림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원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배전선로(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회전축(131)의 외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320),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연결링(32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30), 상기 클램프(310)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340), 상기 연결링(320)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350) 및 상기 제1,2고정수단(340,35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36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310)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압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램프(310)는 상기 배전선로(1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100)를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클램프(310)는 상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면을 관통하는 제1고정공(311a)이 형성되는 지지판(311)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320)은 상,하부가 개방되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회전축(131)의 외측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링(320)은 외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제2고정공(321a)이 형성되는 연결판(321)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320)은 상기 절연캡(24)의 이동시, 상기 연결수단(360)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따라 상기 회전축(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하강된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31)의 외측으로 결합되어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연결링(320)을 지지한다.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절연캡(24)의 이동시, 상기 연결링(32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배전선로(100)의 늘어짐 현상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배전선로(100)가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한다.
상기 제1고정수단(340)은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공(311a)으로 인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341) 및 상기 지지판(311)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고정구(34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고정구(341)를 상기 지지판(311)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342)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수단(350)은 타단부가 상기 제2고정공(321a)으로 인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351) 및 상기 연결판(321)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고정구(35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2고정구(351)를 상기 연결판(321)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고정부재(35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수단(360)은 상기 제1,2고정수단(340,350)을 연결하면서 상기 배전선로(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360)은 상기 제1고정구(341)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361), 상기 제2고정구(351)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362) 및 상기 제1,2와이어(361,36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6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구(341)는 타단부에 상기 제1와이어(361)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고정링(341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고정구(351)는 일단부에 상기 제2와이어(362)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고정링(351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363)은 일단부에 상기 제1와이어(361)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바(364) 및 타단부가 상기 제2와이어(362)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일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364)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36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바(364)는 상기 제1와이어(3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절바(365)는 상기 제2와이어(3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바(364) 및 상기 조절바(365)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면서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와이어(361,36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절연회전체(13)로부터 상기 배전선로(10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배전선로(100)의 장력 변화나 비틀림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원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1 : 철탑 10 : 회전부재
20 : 신장부재 21 : 절연박스
300 : 연결부 310 : 클램프
311 : 지지판 311a : 제1고정공
320 : 연결링 321 : 연결판
321a : 제2고정공 330 : 탄성부재
340 : 제1고정수단 341 : 제1고정구
341a : 제1고정링 342 : 제1고정부재
350 : 제2고정수단 351 : 제2고정구
351a : 제2고정링 352 : 제2고정부재
360 : 연결수단 361 : 제1와이어
362 : 제2와이어 363 : 연결부재
364 : 연결바 365 : 조절바

Claims (1)

  1. 상부에는 배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되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배전선로(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고;
    상기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되며,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된 절연커버(11);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와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 절연받침대(12);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되되,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체결구(251)에 볼트(a)로 체결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으로 구성된 신장부재(20)를 포함하는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회전체(13)로부터 상기 배전선로(100)를 지지하는 한편, 상기 배전선로(100)의 장력 변화나 비틀림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원상태로의 복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연결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300)는,
    상기 배전선로(1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회전축(131)의 외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링(320);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연결링(32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30);
    상기 클램프(310)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340);
    상기 연결링(320)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350); 및
    상기 제1,2고정수단(340,350)을 연결하면서 상기 배전선로(1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수단(360)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310)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압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배전선로(10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면서 체결구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100)를 감싸며 상호 결합되며, 상부에 양면을 관통하는 제1고정공(311a)이 형성되는 지지판(311)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320)은,
    상기 절연캡(24)의 이동시, 상기 연결수단(360)의 당김 또는 당김 해제에 따라 승,하강되며,
    상기 탄성부재(330)는,
    상기 절연캡(24)의 이동시, 상기 연결링(320)의 승,하강에 따라 수축,이완되면서 상기 배전선로(100)의 늘어짐 현상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배전선로(100)가 원상태로 원활하게 복원되도록 하고,
    상기 제1고정수단(340)은,
    일단부가 상기 제1고정공(311a)으로 인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341); 및
    상기 지지판(311)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고정구(34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1고정구(341)를 상기 지지판(311)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342)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링(320)은,
    외측에 양면을 관통하는 제2고정공(321a)이 형성되는 연결판(321)이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수단(350)은,
    타단부가 상기 제2고정공(321a)으로 인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351); 및
    상기 연결판(321)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고정구(351)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제2고정구(351)를 상기 연결판(321)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고정부재(352)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수단(360)은,
    상기 제1고정구(341)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361);
    상기 제2고정구(351)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362); 및
    상기 제1,2와이어(361,36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63)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구(341)는,
    타단부에 상기 제1와이어(361)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고정링(341a)이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구(351)는,
    일단부에 상기 제2와이어(362)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고정링(351a)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363)은,
    일단부가 상기 제1와이어(3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바(364); 및
    타단부가 상기 제2와이어(36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364)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365)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바(364) 및 상기 조절바(365)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면서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와이어(361,362)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KR1020170178547A 2017-12-22 2017-12-22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KR101877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47A KR101877737B1 (ko) 2017-12-22 2017-12-22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547A KR101877737B1 (ko) 2017-12-22 2017-12-22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7737B1 true KR101877737B1 (ko) 2018-07-16

Family

ID=63048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547A KR101877737B1 (ko) 2017-12-22 2017-12-22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773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97B1 (ko) * 2018-08-29 2019-03-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1974917B1 (ko) * 2018-09-11 2019-05-03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KR101976592B1 (ko) * 2018-12-24 2019-05-09 박순섭 배전선로의 철탑 안전장치
KR101955304B1 (ko) * 2018-09-10 2019-05-30 (주)월명기술단 철탑의 배전선로 장치
KR20200083005A (ko) * 2018-12-31 2020-07-08 진정식 착유기용 착유통 회동제한장치
KR102171539B1 (ko) 2020-04-24 2020-10-29 한일전기감리 주식회사 특고압 배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KR102281619B1 (ko) * 2021-01-29 2021-07-29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99B1 (ko) 2009-03-10 2009-06-22 남도종합기술(주)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1757914B1 (ko) * 2017-01-20 2017-07-14 야베스텍 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99B1 (ko) 2009-03-10 2009-06-22 남도종합기술(주)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1757914B1 (ko) * 2017-01-20 2017-07-14 야베스텍 주식회사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97B1 (ko) * 2018-08-29 2019-03-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1955304B1 (ko) * 2018-09-10 2019-05-30 (주)월명기술단 철탑의 배전선로 장치
KR101974917B1 (ko) * 2018-09-11 2019-05-03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KR101976592B1 (ko) * 2018-12-24 2019-05-09 박순섭 배전선로의 철탑 안전장치
KR20200083005A (ko) * 2018-12-31 2020-07-08 진정식 착유기용 착유통 회동제한장치
KR102189246B1 (ko) * 2018-12-31 2020-12-09 진정식 착유기용 착유통 회동제한장치
KR102171539B1 (ko) 2020-04-24 2020-10-29 한일전기감리 주식회사 특고압 배전선로의 케이블 지지 시스템
KR102281619B1 (ko) * 2021-01-29 2021-07-29 주식회사 한일엔지니어링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7737B1 (ko)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KR100904199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KR102270559B1 (ko) 가공송전선로의 철탑 고정장치
US8500073B2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KR101916333B1 (ko) 변전설비의 낙뢰 방지시스템
KR100794148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0901721B1 (ko) 배전 전선 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101976592B1 (ko) 배전선로의 철탑 안전장치
KR101955308B1 (ko)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KR101885223B1 (ko) 가공송전 철탑의 스페이서장치
KR100322053B1 (ko) 전선 케이블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2345877B1 (ko)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다기능 연결장치
KR100749386B1 (ko) 전선케이블형 경완금 연결장치
KR200442307Y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KR100960153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선 고정애자
KR10066762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KR101401582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0907433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KR200446267Y1 (ko) 전선케이블 연결을 위한 경완금 연결장치
US3383459A (en) Anticorona suspension clamp
KR100950096B1 (ko)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RU24174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мены изоляторов на воздушных линиях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20230017563A (ko) 저압선 멀티앵글 바인드레스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