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08B1 -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5308B1 KR101955308B1 KR1020180088540A KR20180088540A KR101955308B1 KR 101955308 B1 KR101955308 B1 KR 101955308B1 KR 1020180088540 A KR1020180088540 A KR 1020180088540A KR 20180088540 A KR20180088540 A KR 20180088540A KR 101955308 B1 KR101955308 B1 KR 1019553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transmission line
- clamp
- jumper wir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08—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cap-and-bol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박스로부터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전기술 분야 중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박스로부터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선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철탑의 형태는 선로(線路)의 송전전력 ·전압 ·지형 등에 따라 다르며, 높이는 60m나 되는 것도 있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송전선에 처짐 현상이 초래되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것은 물론,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04199호에는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는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송전선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안정된 지지상태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송전선의 철탑은 보통 3상 2회선, 즉 6개의 전선을 애자로 지지하고 있다.
철탑 사이의 거리는 20~30 m이고, 철탑에 가설한 전선의 지표로부터의 최저 높이는 전기 설비 기술에 의해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면 15만 V의 선로일 경우는 6m이다.
보통 선로가 넓은 강이나 깊은 계곡을 건널 경우에는 경간이 길고, 따라서 전선의 장력이 커지므로 특히 강한 구조가 필요하다.
송전선일지라도 규모가 작은 것, 또는 배전선이나 전화선의 지지물로서 단일기초 위에 세우는 철주가 있다.
이러한 송전선로용 철탑은 상호간에 다수의 송전선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러한 송전선들은 고공에 설치되는 특성상 바람이나 눈 비등의 기후적인 영향을 많이 받게 됨에 따라 진동 혹은 진폭이 발생하기 쉬운 조건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송전선에 처짐 현상이 초래되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상기 송전선들이 상,하로 심하게 흔들려서 상호간에 마찰을 빚게 되는 것은 물론, 합선이나 단전 유발 등 대형 안전사고 발생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04199호에는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는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송전선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안정된 지지상태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절연박스로부터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에는 송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되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송전선(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고; 상기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되며,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된 절연커버(11);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와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 절연받침대(12);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되되,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체결구(251)에 볼트(a)로 체결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으로 구성된 신장부재(20)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점퍼선(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20); 상기 롤러(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재(330);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3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320)에 지지되는 지지줄(340); 및 상기 지지줄(340)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수단(35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310)는, 상기 점퍼선(5)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며,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13)가 형성되면서 체결구(314)에 의해 상기 점퍼선(5)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312); 및 상기 각 클램프유닛(31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315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줄(340)이 통과하는 지지판(315)을 포함하며,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에 따른 승강시, 상기 점퍼선(5)을 하방향으로 당겨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유동방지수단(350)은, 상기 지지줄(3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중공(315a)을 통과하는 보호관(351); 상기 보호관(351)을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352); 및 상기 보호관(351)과 상기 고정바(35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 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연박스로부터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절연박스로부터 점퍼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서 회전부재의 작동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서 회전부재의 작동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서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서 회전부재의 작동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서 회전부재의 작동후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서 지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서 지지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는 상부에는 송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송전선(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는 송전탑에 설치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절연커버(11)와 절연받침대(12)와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및 신장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부재들은 절연을 위하여 모두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 된다.
상기 절연커버(11)는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되며 반원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1)의 홀(111a)과 소켓크레비스(4)에 형성된 홀에 볼트(a)를 관통하여 너트(b)로 고정한다.
상기 절연받침대(12)는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에 형성된 홀(112a)에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홀(124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회전체(13)는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133)의 단부 일측에는 전면에 체결고리(133a)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고, 회전바(133)의 단부의 타측에는 후면에 체결고리(133a)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진다.
이로 인해, 송전선이 바람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비틀어질 경우 송전선(100)과 체결되는 절연송전선 클램프(25)와 절연박스(21)에 흔들림이 전달되어 절연회전체(13)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 절연회전체(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즉, 도 7과 같이 실선의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탄성스프링(122)의 복원력으로 점선방향으로 생기는 복원력으로 인해 더 이상의 송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절연회전체(1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절연회전체(13)의 단부가 가이드(121a)에 걸려 회전을 방지함으로 송전선(100)의 비틀림이나 회전에 따른 단선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부재(20)는 상기 절연회전체(13)에 형성된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홀(242a)이 구비된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홀(251a)이 구비된 체결구(251)에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게 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확보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평상시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상기 점퍼선(5)의 펴짐이나 원상태로의 복귀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점퍼선(5)은 양단부가 이격된 송전선(100)에 연결되면서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처진 곡선 형태를 이루다 상기 송전선(100)의 당김에 의해 수평에 가까워지도록 펼쳐지며, 당김 해제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점퍼선(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20), 상기 롤러(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재(330) 및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3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320)에 지지되는 지지줄(34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310)는 상기 점퍼선(5)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며,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13)가 형성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314)에 의해 상기 점퍼선(5)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312) 및 상기 각 클램프유닛(31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315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줄(340)이 통과하는 지지판(315)을 포함한다.
이는, 점퍼선(5)으로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클램프(310)는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압착부재(3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31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평상시 상기 점퍼선(5)의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처진 곡선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승강시, 상기 점퍼선(5)을 하방향으로 당겨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310)의 무게는 상기 점퍼선(5)으로 작용하는 하중 등으로 고려하여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5)에는 상기 지지줄(34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고리(3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311)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유닛(312)이 상기 점퍼선(5)에 결합됨에 따라 압착되면서 상기 클램프(310)가 상기 점퍼선(5)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줄(340)은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롤러(320)에 지지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31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고정부재(330)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지지줄(340)의 타단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클램프(3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줄(340)의 타단부가 함께 하강 및 승강되며 상기 점퍼선(5)의 승,하강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점퍼선(5)은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당김시, 양단부가 배항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며 펼쳐지는 한편, 상기 클램프(310)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펼쳐짐이 최소가 되는 동시에 상기 송전선(100)의 늘어짐 현상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램프(310)의 하중에 의해 이격된 상기 송전선(100)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인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점퍼선(5)은 상기 송전선(100)의 당김 해제시, 상기 탄성스프링(23)에 의해 양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한편, 상기 클램프(310)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점퍼선(5)의 펼침이나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 인해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송전선(100)의 늘어짐 현상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지지줄(3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수단(350)은 외력 등에 의한 상기 지지줄(34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클램프(310)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350)은 상기 지지줄(3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3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가 상기 중공(315a)을 통과하는 보호관(351), 상기 보호관(351)을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352) 및 상기 보호관(351)과 상기 고정바(35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352)는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보호관(35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연결부재(353)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관(35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352)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53)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관(351)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352)를 통과하는 한편, 너트(미도시)가 상기 고정바(35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바(35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351)은 상기 지지줄(340)을 보호하면서 상기 지지줄(340)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지지줄(340)이 상기 클램프(3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관(351)은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상기 클램프(310)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고정부재(330)와 상기 지지판(315)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관(35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30)와 상기 지지판(315)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스프링(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상기 점퍼선(5)의 펴짐이나 원상태로의 복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는 상부에는 송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을 이룰 수 있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송전선(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는 송전탑에 설치되는 철탑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절연커버(11)와 절연받침대(12)와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및 신장부재(20)로 구성되며, 상기 부재들은 절연을 위하여 모두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 된다.
상기 절연커버(11)는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며,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되며 반원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111)의 홀(111a)과 소켓크레비스(4)에 형성된 홀에 볼트(a)를 관통하여 너트(b)로 고정한다.
상기 절연받침대(12)는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에 형성된 홀(112a)에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홀(124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다.
상기 절연회전체(13)는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133)의 단부 일측에는 전면에 체결고리(133a)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고, 회전바(133)의 단부의 타측에는 후면에 체결고리(133a)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진다.
이로 인해, 송전선이 바람에 의하여 흔들리거나 비틀어질 경우 송전선(100)과 체결되는 절연송전선 클램프(25)와 절연박스(21)에 흔들림이 전달되어 절연회전체(13)가 회전하게 되는 경우에 절연회전체(1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즉, 도 7과 같이 실선의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면, 탄성스프링(122)의 복원력으로 점선방향으로 생기는 복원력으로 인해 더 이상의 송전선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절연회전체(13)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절연회전체(13)의 단부가 가이드(121a)에 걸려 회전을 방지함으로 송전선(100)의 비틀림이나 회전에 따른 단선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장부재(20)는 상기 절연회전체(13)에 형성된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홀(242a)이 구비된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홀(251a)이 구비된 체결구(251)에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게 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양호한 전선 지지와 절연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장력 변화에 따른 송전선의 늘어짐 현상을 최소화하며, 송전선에 비틀림이 작용할 경우에도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킴으로써 유지관리상의 편리성과 안전성이 확보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평상시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상기 점퍼선(5)의 펴짐이나 원상태로의 복귀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점퍼선(5)은 양단부가 이격된 송전선(100)에 연결되면서 중앙부가 하방향으로 처진 곡선 형태를 이루다 상기 송전선(100)의 당김에 의해 수평에 가까워지도록 펼쳐지며, 당김 해제에 따라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점퍼선(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20), 상기 롤러(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재(330) 및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3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320)에 지지되는 지지줄(34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310)는 상기 점퍼선(5)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며,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13)가 형성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314)에 의해 상기 점퍼선(5)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312) 및 상기 각 클램프유닛(31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315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줄(340)이 통과하는 지지판(315)을 포함한다.
이는, 점퍼선(5)으로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클램프(310)는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압착부재(3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프(310)는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평상시 상기 점퍼선(5)의 양단부 사이가 하방향으로 처진 곡선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승강시, 상기 점퍼선(5)을 하방향으로 당겨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클램프(310)의 무게는 상기 점퍼선(5)으로 작용하는 하중 등으로 고려하여 적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5)에는 상기 지지줄(34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고리(31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부재(311)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클램프유닛(312)이 상기 점퍼선(5)에 결합됨에 따라 압착되면서 상기 클램프(310)가 상기 점퍼선(5)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롤러(320)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줄(340)은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단부 사이 중앙부가 상기 롤러(320)에 지지되면서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31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상기 고정부재(330)에 연결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고정부재(330)는 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지지줄(340)의 타단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클램프(3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줄(340)의 타단부가 함께 하강 및 승강되며 상기 점퍼선(5)의 승,하강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점퍼선(5)은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당김시, 양단부가 배항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며 펼쳐지는 한편, 상기 클램프(310)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펼쳐짐이 최소가 되는 동시에 상기 송전선(100)의 늘어짐 현상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클램프(310)의 하중에 의해 이격된 상기 송전선(100)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므로 인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점퍼선(5)은 상기 송전선(100)의 당김 해제시, 상기 탄성스프링(23)에 의해 양단부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한편, 상기 클램프(310)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점퍼선(5)의 펼침이나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 인해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송전선(100)의 늘어짐 현상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지지줄(34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수단(350)은 외력 등에 의한 상기 지지줄(34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클램프(310)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상기 유동방지수단(350)은 상기 지지줄(3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30)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가 상기 중공(315a)을 통과하는 보호관(351), 상기 보호관(351)을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352) 및 상기 보호관(351)과 상기 고정바(35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바(352)는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보호관(351)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연결부재(353)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관(351)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352)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353)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관(351)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352)를 통과하는 한편, 너트(미도시)가 상기 고정바(35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바(35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호관(351)은 상기 지지줄(340)을 보호하면서 상기 지지줄(340)의 흔들림에 따라 상기 지지줄(340)이 상기 클램프(3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보호관(351)은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상기 클램프(310)의 승,하강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고정부재(330)와 상기 지지판(315)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관(35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30)와 상기 지지판(315)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스프링(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 등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상기 점퍼선(5)의 펴짐이나 원상태로의 복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철탑 5 : 점퍼선
10 : 회전부재 20 : 신장부재
300 : 지지부 310 : 클램프
311 : 압착부재 312 : 클램프유닛
313 : 플랜지 314 : 체결구
315 : 지지판 315a : 중공
316 : 고정고리 353 : 연결부재
320 : 롤러 330 : 고정부재
340 : 지지줄 350 : 유동방지수단
351 : 보호관 352 : 고정바
353 : 중공 354 : 고리
10 : 회전부재 20 : 신장부재
300 : 지지부 310 : 클램프
311 : 압착부재 312 : 클램프유닛
313 : 플랜지 314 : 체결구
315 : 지지판 315a : 중공
316 : 고정고리 353 : 연결부재
320 : 롤러 330 : 고정부재
340 : 지지줄 350 : 유동방지수단
351 : 보호관 352 : 고정바
353 : 중공 354 : 고리
Claims (1)
- 상부에는 송전선로 철탑(1)에 체결 고정되는 철탑금구(2)가 구비되고, 상기 철탑금구(2)의 하부에는 현수애자(3)가 연결되며, 이격된 송전선(100)을 점퍼선(5)이 연결하고;
상기 현수애자(3)의 소켓크레비스(4)에 고정되도록 상부에 홀(111a)이 구비된 고정돌기(111)가 형성되고, 테두리에는 홀(112a)이 구비된 다수의 고리(112)가 형성되며, 고분자 합성고무로 마감처리된 절연커버(11);
내부가 빈 원통형이며 바닥(121)에 한 쌍의 가이드(121a)가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21a)의 일측 바닥에는 고정고리(121b)가 형성되어 탄성스프링(122)의 걸림고리(122a) 일단이 고정되며, 바닥의 중심에는 관통홀(123a)이 부설된 단턱부(123)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절연커버(11)의 고리(112)와 볼트(a) 및 너트(b)로 체결되도록 다수의 고리(124)가 형성된 절연받침대(12);
상기 절연받침대(12)의 관통홀(123a)에 삽입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회전축(131)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오링(14)이 끼워진 상태에서 단턱부(123)에 회동가능하게 얹혀지는 받침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부(132)의 상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122)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고리(122a)가 끼워지는 체결고리(133a)가 단부에 부설된 회전바(133)가 일체로 형성된 헤드(134)로 구성된 절연회전체(13)를 포함하는 회전부재(10);
상기 회전축(131)의 하단에 형성된 내부홈(131a)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상부에 고정볼트(211)가 형성되며 전방과 후방이 개방구(212)를 구성하고, 내부가 빈 사각박스형의 절연박스(21)의 내부에 탄성고무대(22)의 삽입홀(221)에 탄성스프링(23)이 삽입되되, 상기 탄성스프링(23)의 걸림고리(231)가 탄성고무대(22)의 양단에 돌출되는 한편, 돌출된 걸림고리(231)가 걸림 체결되는 한 쌍의 고정고리(241)가 내측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상부 및 하부에 체결구(242)가 형성되어 절연송전 클램프(25)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쌍씩 형성된 체결구(251)에 볼트(a)로 체결되는 2개가 1조인 절연캡(24)으로 구성된 신장부재(20)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연박스(21)로부터 상기 점퍼선(5)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에 따른 당김 또는 당김 해제시, 상기 점퍼선(5)의 펴짐이나 원상태로의 복귀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지지부(3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점퍼선(5)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310);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롤러(320);
상기 롤러(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부재(330);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3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부재(330)에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가 상기 롤러(320)에 지지되는 지지줄(340); 및
외력에 의한 상기 지지줄(340)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상기 클램프(310)의 원활한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유동방지수단(350)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310)는,
상기 점퍼선(5)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분기되며, 양단부에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플랜지(313)가 형성되면서 체결구(314)에 의해 상기 점퍼선(5)을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유닛(312); 및
상기 각 클램프유닛(312)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315a)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줄(340)이 통과하는 지지판(315)을 포함하며, 일정 하중을 가지면서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에 따른 승강시, 상기 점퍼선(5)을 하방향으로 당겨 원상태로의 복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330)는,
판 형태를 이루며, 상기 지지줄(340)의 타단부가 고정되면서 상기 클램프(310)의 승,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줄(340)의 타단부가 함께 하강 및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유동방지수단(350)은,
상기 지지줄(34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부재(330)의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중공(315a)을 통과하면서 상기 송전선(100)의 장력 변화에 따른 상기 클램프(310)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한편, 상기 지지줄(340)이 상기 클램프(3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관(351);
상기 보호관(351)을 상기 절연박스(21)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바(352); 및
상기 보호관(351)과 상기 고정바(35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53)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353)는,
일단부가 상기 보호관(351)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타단부가 상기 고정바(352)를 통과하는 한편, 너트가 상기 고정바(352)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바(352)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고정부재(330)와 상기 지지판(315) 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호관(351)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고정부재(330)와 상기 지지판(315) 간의 충돌을 방지하는 충돌방지스프링(3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8540A KR101955308B1 (ko) | 2018-07-30 | 2018-07-30 |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8540A KR101955308B1 (ko) | 2018-07-30 | 2018-07-30 |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5308B1 true KR101955308B1 (ko) | 2019-03-08 |
Family
ID=6580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8540A KR101955308B1 (ko) | 2018-07-30 | 2018-07-30 |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530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3878B1 (ko) | 2019-07-26 | 2020-03-26 | 대화전설(주) | 가공 송전선로와 철탑의 연결장치 |
CN112509760A (zh) * | 2020-11-20 | 2021-03-16 | 江西利华电瓷制造有限公司 | 一种自带安装结构的电瓷绝缘子 |
CN112542281A (zh) * | 2020-12-03 | 2021-03-23 | 江西利峰电瓷制造有限公司 | 一种绝缘子固定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4199B1 (ko) | 2009-03-10 | 2009-06-22 | 남도종합기술(주)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
KR100911237B1 (ko) * | 2008-12-23 | 2009-08-19 | 주식회사 이린 |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
-
2018
- 2018-07-30 KR KR1020180088540A patent/KR1019553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1237B1 (ko) * | 2008-12-23 | 2009-08-19 | 주식회사 이린 | 특고압 가공전선 고정식 완금설치대 |
KR100904199B1 (ko) | 2009-03-10 | 2009-06-22 | 남도종합기술(주)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3878B1 (ko) | 2019-07-26 | 2020-03-26 | 대화전설(주) | 가공 송전선로와 철탑의 연결장치 |
CN112509760A (zh) * | 2020-11-20 | 2021-03-16 | 江西利华电瓷制造有限公司 | 一种自带安装结构的电瓷绝缘子 |
CN112542281A (zh) * | 2020-12-03 | 2021-03-23 | 江西利峰电瓷制造有限公司 | 一种绝缘子固定装置 |
CN112542281B (zh) * | 2020-12-03 | 2022-02-15 | 江西利峰电瓷制造有限公司 | 一种绝缘子固定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04199B1 (ko)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고정구조 | |
KR101955308B1 (ko) | 가공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 |
KR101877737B1 (ko) |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 |
KR100927116B1 (ko) |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 | |
US3316342A (en) | Power transmission line including flexible and rigid insulator elements | |
KR100783808B1 (ko) |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 |
KR101746372B1 (ko) | 가공송전선로 간의 연결을 위한 송전탑 설치용 고정장치 | |
US3002043A (en) |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 | |
KR101801158B1 (ko) |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 |
KR100519935B1 (ko) |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 |
KR102270559B1 (ko) | 가공송전선로의 철탑 고정장치 | |
KR102345877B1 (ko) | 변압기에 접속되는 가공배전선로의 다기능 연결장치 | |
KR101976592B1 (ko) | 배전선로의 철탑 안전장치 | |
US2374823A (en) | Vibration damper for suspended wires and cables | |
KR100879126B1 (ko) |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 |
KR101903601B1 (ko) | 철탑의 배전식 가공배전선 이음구조 | |
US3159709A (en) | Cross catenary guy strain insulator construction | |
KR100865074B1 (ko) | 송전 가공 선로용 상간 스페이스 | |
KR100907433B1 (ko) |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
CN111276924A (zh) | 一种能够自适应的杆塔导地线张力释放装置 | |
CN111469716A (zh) | 电气化铁路接触网附加导线防舞装置 | |
CN219794860U (zh) | 一种横担组件及输电塔 | |
KR200442305Y1 (ko) | 배전 전선케이블용 경완금 연결장치 | |
KR102172202B1 (ko) | 지선이 설치된 전주 | |
KR102422477B1 (ko) | 가공 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철탑 장치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