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917B1 -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917B1
KR101974917B1 KR1020180108320A KR20180108320A KR101974917B1 KR 101974917 B1 KR101974917 B1 KR 101974917B1 KR 1020180108320 A KR1020180108320 A KR 1020180108320A KR 20180108320 A KR20180108320 A KR 20180108320A KR 101974917 B1 KR101974917 B1 KR 10197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binding
fixing
plat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북아기술
Priority to KR1020180108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가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전선로를 몸체에 결속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connection apparatus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가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전선로를 몸체에 결속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접속장치는 외주면에 너트홀이 다수 형성된 슬리브내로 연결하고자 하는 배전선로의 심선을 삽입한 후 각각의 너트홀을 통해 심선이 슬리부 내에 압착 지지될 수 있게 고정볼트로 고정한다.
이러한, 접속장치는 배전선로 연결 작업시 각각의 너트홀을 통해 고정볼트로 볼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95447호(2017.01.13.)에는 '송배전용 전선로연결 접속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배전용 전선연결 접속장치는 바람 등의 외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전선의 수축,팽창에 따라 전선이 몸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95447호(2017.01.13.) '송배전용 전선연결 접속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가 안정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배전선로를 몸체에 결속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면이 반원형상인 반원통 형태의 몸체(1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0) 외측 상하부 각각에 다수 구비되어 결합부재를 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결합플랜지(100); 결합플랜지(100)에서 90°회전된 만큼 이격되며, 몸체(10) 외측에 다수 구비되어 고정대상체(2)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연결플랜지(200); 몸체(10)의 내부에 도체로 이루어져 배전선로의 도체부와 접속하여 전기를 전달하며, 연결할 배전선로가 상기 몸체(10) 내부에 좌우 동일한 길이로 삽입되도록 한 격판(300); 몸체(1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중심 위치에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된 배전선로의 도체부 외측을 가압하여 배전선로가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돌부(400); 및 몸체(10)의 외측 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200)를 통하여 체결되어 빗물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피복제(500)로 구성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배전선로를 몸체(10)에 결속하는 결속부(600); 및 외부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는 보호부(700)를 더 포함하며, 결속부(600)는, 배전선로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610); 클램프(6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620); 하단부는 몸체(1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피복제(500)를 관통하는 결속판(630); 지지판(620)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640); 결속판(630)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650); 및 제1,2고정수단(640,65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660)을 포함하며, 연결수단(660)은, 일단부가 제1고정수단(64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661); 타단부가 제2고정수단(65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662); 및 제1와이어(661)의 타단부와 제2와이어(66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63)을 포함하고, 연결부재(633)는, 일단부가 상기 제1와이어(6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바(664); 및 타단부가 상기 제2와이어(66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664)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665)를 포함하고,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제1,2와이어(661,662)의 장력을 조절하며, 보호부(7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연결수단(66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커버(710); 보호커버(7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어 지지판(620)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1안착부재(720); 보호커버(71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어 결속판(630)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안착부재(730); 제1안착부재(720)를 지지판(620)에 결속하는 제1결속수단(740); 및 제2안착부재(730)를 결속판(630)에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750)을 포함하고, 보호커버(71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커버유닛(711)으로 분기되고 한 쌍의 커버유닛이 플랙시블부재(712)로 연결되면서 길이가 수축,팽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를 연결할 때 배전선로를 가압하여 연결함으로써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전선로를 몸체에 결속함으로써 바람 등의 외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서 결속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결속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보호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에서 보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1)는 단면이 반원형상인 반원통 형태의 몸체(10)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외측 상하부 각각에 결합플랜지(100)가 다수 구비되어 결합부재를 통하여 체결된다.
몸체(10)는 외형적으로 길이가 있는 원통형상을 하며 배전선로의 피복부를 가압하여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피복가압부와 배전선로의 심선을 형성하고 전기를 전송하는 도체부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가압하면서 부도체로 이루어지는 가압돌부(400)와 몸체(10)의 중앙 위치에 형성되고 도체로 이루어지며 배전선로의 도체부와 접속하여 전기를 전달하는 격판(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플랜지(100)에서 90°회전된 만큼 이격되어 몸체 외측에 다수의 연결플랜지(200)가 구비되어 전주에 연결된 고정대상체(2)에 고정된다.
몸체(10)는 내부 중앙에 격판(300)이 구비되면서 배전선로가 몸체(10)로 연결시, 격판(300)을 기점으로 좌우에서 동일하게 삽입된다.
몸체(10)는 내부에 다수의 가압돌부(400)를 구비하여 배전선로를 연결할 때 배전선로를 가압하여 배전선로가 몸체(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돌부(400)는 다수의 원뿔 형상, 나사산 형상, 가압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1)는 몸체(10)의 외측에 구비되는 피복제(500)를 더 포함한다.
피복제(500)는 몸체(10)의 상하부에서 체결되어 빗물 등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피복제(500)는 견고한 플라스틱류 또는 고무류 또는 외측부가 플라스틱류 내측부가 고무류의 합성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으로 이루어진 몸체(10)는 결합플랜지(100)를 이용하여 체결하되 배전선로가 삽입될 수 있도록 여유를 두고 체결한다.
이후 연결하고자 하는 배전선로는 끝단의 피복을 제거하여 도체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몸체(10)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삽입된다.
이때 양측에서 삽입되는 각각의 배전선로의 일단은 몸체(10)의 내부 중앙에 구비된 격판(300)에 의해 좌우에서 동일한 길이로 삽입된다. 또한, 도체로 이루어진 격판(300)은 배전선로의 도체부와 접속하여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후 한 쌍으로 이루어진 몸체(10)를 좀 더 강하게 체결하면 다수의 가압돌부(400)가 배전선로를 가압하여 배전선로가 몸체(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몸체(10)의 외측에 피복제(500)를 상하부에서 체결한다.
이후 결합플랜지(100)와 90°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다수 구비된 연결플랜지(200)를 이용하여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1)를 전주에 연결된 고정대상체(2)에 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전선로를 연결할 때 배전선로를 가압하여 연결함으로써 연결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고 배전선로의 연결 작업시 작업능률을 크게 향상시키며 작업시간을 크게 줄이면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를 몸체(1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600)를 더 포함한다.
결속부(600)는 배전선로를 몸체(10)에 결속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나, 계절변화 등의 온도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속부(600)는 배전선로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610), 클램프(6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620), 하단부는 몸체(1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피복제(500)를 관통하는 결속판(630), 지지판(620)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640), 결속판(630)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650) 및 제1,2고정수단(640,65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660)을 포함한다.
클램프(610)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원형링 형태를 이루며 내주면에 절연재질의 압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클램프(610)는 배전선로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분기되면서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체결구에 의해 배전선로를 감싸며 상호 결합되는 형태를 이룬다.
지지판(620)은 하부가 클램프(6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면을 관통하는 제1고정공(621)이 형성된다.
결속판(630)은 지지판(630)과 대향되도록 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양면을 관통하는 제2고정공(631)이 형성된다.
피복제(500)에는 상기 결속판(630)이 통과하는 통공(510)이 형성된다.
제1고정수단(640)은 일단부가 제1고정공(621)으로 인입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641) 및 지지판(620)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구(641)에 나사결합되면서 제1고정구(641)를 상기 지지판(620)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642)를 포함한다.
제2고정수단(650)은 타단부가 제2고정공(631)으로 인입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651) 및 연결판(630)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구(651)에 나사결합되면서 제2고정구(651)를 연결판(630)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고정부재(652)를 포함한다.
연결수단(660)은 제1,2고정수단(640,650)을 연결하면서 배전선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연결수단(660)은 일단부가 제1고정구(641)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661), 타단부가 제2고정구(651)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662) 및 제1와이어(661)의 타단부와 제2와이어(66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63)를 포함한다.
제1고정구(641)는 타단부에 제1와이어(661)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고정링(641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구(651)는 일단부에 제2와이어(662)의 타단부가 연결되는 제2고정링(351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363)은 일단부에 제1와이어(661)의 타단부가 연결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바(664) 및 타단부가 제2와이어(662)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일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664)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665)를 포함한다.
연결바(664)는 제1와이어(6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조절바(665)는 제2와이어(66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되면서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제1,2와이어(661,66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속부(600)는 배전선로를 몸체(10)에 결속하여 바람 등의 외력이나, 온도변화 등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는 보호부(700)를 더 포함한다.
보호부(700)는 우수 등으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여 제1,2와이어(661,662)의 부식을 방지함과 함께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보호부(7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연결수단(66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보호커버(710), 보호커버(7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어 지지판(620)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1안착부재(720), 보호커버(71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어 결속판(630)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2안착부재(730), 제1안착부재(720)를 지지판(620)에 결속하는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제1결속수단(740) 및 제2안착부재(730)를 결속판(630)에 결속하는 볼트,너트를 포함하는 제2결속수단(750)을 포함한다.
보호커버(710)는 양측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710a)가 형성되면서 제1,2고정구(641,651)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보호커버(710)는 일측이 지지판(620)과 제1고정부재(642) 간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구(641)의 외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결속판(630)과 제2고정부재(652) 간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구(651)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710)는 제1,2고정부재(642,652)의 조임에 의해 지지판(620) 및 결속판(630)에 고정되면서 우수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여 제1,2와이어(661,662)의 부식을 방지함과 함께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보호커버(710)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커버유닛(711)으로 분기된다.
그리고, 한 쌍의 커버유닛(711)은 플랙시블부재(712)에 의해 연결된다.
플랙시블부재(712)는 자바라 형태를 이루면서 수축,팽창될 수 있다.
보호커버(710)는 플랙시블부재(712)의 수축,팽창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710)는 제1,2와이어(661,662)의 장력을 조절시,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의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수축,팽창되면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1안착부재(720)는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지지판(620)의 상부로 결합된다.
제2안착부재(730)는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결속판(630)의 상부로 결합된다.
제1,2안착부재(720,730)는 내측면에 미끄럼방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결속판(620,630)과의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1,2안착부재(720,730)가 지지,결속판(620,6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결속수단(740)은 양단부가 제1안착부재(720) 및 지지판(620)을 통과하는 볼트 및 볼트로 나사결합되면서 제1안착부재(720)를 지지판(620)에 결속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제2결속수단(750)은 양단부가 제2안착부재(730) 및 지지판(620)을 통과하는 볼트 및 볼트로 나사결합되면서 제2안착부재(730)를 결속판(630)에 결속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보호부(700)는 클램프(610)와 몸체(10) 간에 위치되도록 배전선로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완충링(7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링(760)은 우레탄폼이나,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클램프(610)의 불완전한 결합이나 외력 등으로 인해 클램프(610)가 몸체(1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보호부(700)는 보호부(700)는 우수 등으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여 제1,2와이어(661,662)의 부식을 방지함과 함께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결합플랜지 200 : 연결플랜지
300 : 격판 400 : 가압돌부
500 : 피복제 600 : 결속부
610 : 클램프 620 : 지지판
621 :제1고정공 630 : 결속판
631 : 제2고정공 640 : 제1고정수단
650 : 제2고정수단 651 : 제2고정구
652 : 제2고정부재 660 : 연결수단
661 : 제1와이어 662 : 제2와이어
663 : 연결부재 664 : 연결바
665 : 조절바 700 : 보호부
710 : 보호커버 720 : 제1안착부재
730 : 제2안착부재 740 : 제1결속수단
750 : 제2결속수단 760 : 완충링

Claims (1)

  1. 단면이 반원형상이며,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반원통 형태의 몸체(10);
    몸체(10) 외측 상하부 각각에 다수 구비되어 결합부재를 통하여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결합플랜지(100);
    결합플랜지(100)에서 90°회전된 만큼 이격되며, 몸체(10) 외측에 다수 구비되어 고정대상체(2)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연결플랜지(200);
    몸체(10)의 내부에 도체로 이루어져 배전선로의 도체부와 접속하여 전기를 전달하며, 연결할 배전선로가 상기 몸체(10) 내부에 좌우 동일한 길이로 삽입되도록 한 격판(300);
    몸체(10)의 내부에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고 중심 위치에 반원형의 홈을 형성하여 내부에 삽입된 배전선로의 도체부 외측을 가압하여 배전선로가 내부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돌부(400); 및
    몸체(10)의 외측 상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플랜지(200)를 통하여 체결되어 빗물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 피복제(500)로 구성되는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배전선로를 몸체(10)에 결속하여 외력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배전선로의 수축,팽창에 따라 배전선로가 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속부(600); 및
    외부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는 보호부(700)를 더 포함하며,
    결속부(600)는,
    배전선로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클램프(610);
    클램프(610)의 상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판(620);
    하단부는 몸체(10)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피복제(500)를 관통하는 결속판(630);
    지지판(620)에 구비되는 제1고정수단(640);
    결속판(630)에 구비되는 제2고정수단(650); 및
    제1,2고정수단(640,65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660)을 포함하며,
    연결수단(660)은,
    일단부가 제1고정수단(64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661);
    타단부가 제2고정수단(650)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662); 및
    제1와이어(661)의 타단부와 제2와이어(66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663)을 포함하고,
    연결부재(633)는,
    일단부가 상기 제1와이어(66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바(664); 및
    타단부가 상기 제2와이어(662)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단부가 개방되면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바(664)의 타단부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조절바(665)를 포함하고,
    제1고정수단(640)은,
    일단부가 지지판(620)을 통과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구(641); 및
    지지판(620)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구(641)에 나사결합되면서 제1고정구(641)를 지지판(620)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1고정부재(642)를 포함하고,
    제2고정수단(650)은,
    타단부가 결속판(630)을 통과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고정구(651); 및
    연결판(630)의 양면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구(651)에 나사결합되면서 제2고정구(651)를 연결판(630)에 결속하는 한 쌍의 제2고정부재(652)를 포함하고,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는,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제1,2와이어(661,662)의 장력을 조절하며,
    보호부(700)는,
    하부가 개방되어 연결수단(660)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우수로부터 연결수단(660)을 보호하여 제1,2와이어(661,662)의 부식을 방지함과 함께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호커버(710);
    보호커버(71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지지판(620)의 상부로 결합되고, 내측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제1안착부재(720);
    보호커버(710)의 타측 상부에 구비되고, 하부 및 전후가 개방되는 'ㄷ'자 형태를 이루면서 결속판(630)의 상부로 결합되며, 내측면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제2안착부재(730);
    제1안착부재(720) 를 지지판(620)에 결속하는 제1결속수단(740);
    제2안착부재(730) 를 결속판(630)에 결속하는 제2결속수단(750); 및
    클램프(610)와 몸체(10) 간에 위치되도록 배전선로의 외측으로 결합되면서 클램프(610)가 몸체(1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링(760)을 포함하고,
    보호커버(710)는,
    양측에 하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홈부(710a)가 형성되면서 일측이 지지판(620)과 제1고정부재(642) 간에 위치되도록 제1고정구(641)의 외측으로 결합되고, 타측이 결속판(630)과 제2고정부재(652) 간에 위치되도록 제2고정구(651)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쌍의 커버유닛(711)으로 분기되고 한 쌍의 커버유닛이 플랙시블부재(712)로 연결되면서 제1,2와이어(661,662)의 장력 조절시, 연결바(664) 및 조절바(665)의 조임 또는 풀림 회전에 따라 수축,팽창되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KR1020180108320A 2018-09-11 2018-09-11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KR101974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320A KR101974917B1 (ko) 2018-09-11 2018-09-11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320A KR101974917B1 (ko) 2018-09-11 2018-09-11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17B1 true KR101974917B1 (ko) 2019-05-03

Family

ID=6658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320A KR101974917B1 (ko) 2018-09-11 2018-09-11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9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805B1 (ko) * 2019-05-17 2019-08-06 이상규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149986B1 (ko) * 2020-02-25 2020-08-31 김점주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처짐 방지장치
CN113097782A (zh) * 2021-03-30 2021-07-09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一种计算机网络安全服务器用接线固定装置
KR102359418B1 (ko) * 2021-06-02 2022-02-09 (주)윤앤영이앤씨 공동주택 단지의 지중배전선로 위치 감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68A (ko) * 2013-12-30 2015-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KR101695447B1 (ko) 2016-05-16 2017-01-13 (합)동양엔지니어링 송배전용 전선연결 접속장치
KR101877737B1 (ko) * 2017-12-22 2018-07-16 (주)나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968A (ko) * 2013-12-30 2015-07-0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KR101695447B1 (ko) 2016-05-16 2017-01-13 (합)동양엔지니어링 송배전용 전선연결 접속장치
KR101877737B1 (ko) * 2017-12-22 2018-07-16 (주)나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805B1 (ko) * 2019-05-17 2019-08-06 이상규 활선작업이 용이한 가공 배전선의 애자장치
KR102149986B1 (ko) * 2020-02-25 2020-08-31 김점주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처짐 방지장치
CN113097782A (zh) * 2021-03-30 2021-07-09 江苏电子信息职业学院 一种计算机网络安全服务器用接线固定装置
KR102359418B1 (ko) * 2021-06-02 2022-02-09 (주)윤앤영이앤씨 공동주택 단지의 지중배전선로 위치 감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917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접속장치
US4659046A (en) Traffic control device mast arm bracket
US20090014208A1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US3999340A (en) Insulating cover and clamp for guy wires or covers
US6563475B2 (en) Antenna mount
KR10214998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케이블 처짐 방지장치
US5687938A (en) Adjustable pipe brace
KR101985475B1 (ko)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관 고정장치
KR101695447B1 (ko) 송배전용 전선연결 접속장치
KR100636824B1 (ko) 전신주의 특고압 전류 처리를 위한 접지형 완금
KR100749386B1 (ko) 전선케이블형 경완금 연결장치
KR100664876B1 (ko) 상수도 소형관 이음새 연결장치구조
KR100704366B1 (ko)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KR101798467B1 (ko) 동관단자 비 결합식 접지동대
KR101781118B1 (ko) 배전선로용 풀림방지형 활선클램프
CN213602296U (zh) 一种配电网抢修用定位装置
US1966132A (en) Grounding device
KR20090121861A (ko)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0797765B1 (ko) 매립형 전기 배선구조
KR20160044375A (ko) 각도 조절이 간편한 새들 분수전
US3589657A (en) Suspended conduit support bracket
KR101970480B1 (ko) 지하수 양수배관 결합장치
KR20170006025A (ko) 통신케이블 가설장치
CN112564029A (zh) 一种双向同步对接线夹
KR102393106B1 (ko) 접지용구 거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