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297B1 -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297B1
KR101954297B1 KR1020180102063A KR20180102063A KR101954297B1 KR 101954297 B1 KR101954297 B1 KR 101954297B1 KR 1020180102063 A KR1020180102063 A KR 1020180102063A KR 20180102063 A KR20180102063 A KR 20180102063A KR 101954297 B1 KR101954297 B1 KR 101954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ousing
fixing
fixture
lightning arrester
transmiss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기
Original Assignee
(주)한송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송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송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02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2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80Discharge by conduction or dissipation, e.g. rods, arresters, spark g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42Means for obtaining improved distribution of voltage; Protection against arc discharges
    • H01B17/46Means for providing an external arc-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철탑의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피뢰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작업의 편리성과 수월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Lightning arrestor fixing device for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 기술 분야 중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철탑의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피뢰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작업의 편리성과 수월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생성된 전력을 변전소 등으로 송전하기 위해 설치되는 고압 송전선로의 건설에 있어 철탑의 기초시설인 고정베이스 장치는 철탑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토대가 되기 때문에 전체 철탑공사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철탑의 고정베이스 장치는 일반 토목분야의 기초시설과는 달리 인발력(Uplift)에 의해 기초의 형태와 규모가 좌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 압축력을 기준으로 하는 일반 구조물의 고정베이스 장치와는 다소 그 설계방식이 상이하다.
이러한 철탑은 지형 등을 고려하여 4각 철탑, 방형 철탑, 문형 철탑, 우두형 철탑, 회전형 철탑, MC 철탑 등 다양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낙뢰로부터 송전선를 보호하기 위해 피뢰기가 구비된다.
피뢰기는 절연 가스 생성 재료로 된 관 형태를 가지며, 관의 일단은 내측 막대 전극이 고정된 금속 리드로 플러깅된다. 그리고, 링 형성 전극은 관의 개방단에 위치한다. 또한, 막대 전극과 링 형성 전극 간의 갭을 내측 또는 아크 소거 갭이라 칭한다. 그리하여, 전극들 중 하나는 접지되는 한편, 다른 전극은 외부 방전개시 갭(sparkover gap)을 통해 송전선로의 도전체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낙뢰 과전압(lightning overvoltage)으로 인해 양측 갭들이 항복하게 되면 임펄스 전류가 그라운드로 분로되며, 피뢰기를 통한 과전압 펄스가 종단된 후 속류 전류(follow current)가 계속 흘러 스파크 채널이 아크 채널로 변환된다.
그리고, 관 내의 교류 아크의 채널에서는 고온으로 인해 강력한 압력 상승을 야기하는 강렬한 가스 방출이 발생하며, 이 가스는 관의 개방단으로 흐름으로써 길이 방향 흐름을 생성하여 제로값을 처음으로 통과할 때 아크가 소거된다.
이러한 피뢰기의 복수의 기동 후에는 관의 방전 챔버가 마모되므로 피뢰기는 적절히 기능을 중단하고 교체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예컨대, 낙뢰는 뇌운에 충분한 전하가 축적되어 공기의 절연을 파괴할 정도로 전계 강도가 높아지면 뇌운과 대지간 또는 뇌운간이나 뇌운 내에서 방전이 발생하게 되며, 이중에서 뇌운과 대지, 대지 위에 돌출되어 있는 나무나 구조물, 송전선로 및 송전탑체 사이에 발생하는 방전이 낙뢰이다.
특히, 송전선로는 가공선로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옥외에 노출되어 있어 낙뢰와 같은 기상 현상하에서 낙뢰에 의한 피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대용량의 전력을 수송하는 송전선로의 특성상 낙뢰로 인한 섬락 고장은 일시적 혹은 영구적인 정전을 초래하고 있으며, 전력전송의 장애 발생은 전력사용의 손실을 넘어서는 막대한 경제적 피해와 사회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에, 도 1의 예시와 같이 송전철탑(10,11,12)은 다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송전철탑(10,11,12)의 하부에는 대지와 연결된 접지부(20)가 설치되며, 다수의 송전선로(30)가 현수애자(40)를 통해 설치되고, 현수애자(40) 주변에는 도 2의 예시와 같이 피뢰기(60)가 설치되어 송전선로(30)를 보호하고 있다.
이때, 현수애자(40)는 애자들이 최소한 9개 이상이 직렬로 연결된 구조이나, 도 1에서는 개념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2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그리고, 송전선로(30)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공지선(50)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피뢰기(6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고소지역인 송전철탑(10,11,12)의 거의 꼭대기까지 작업자가 올라가서 다수의 볼트와 너트를 조이고 푸는 방식으로 고정하거나 혹은 해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소지역에서의 작업상 복잡한 고정구조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높이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160970호(1998.08.21.), '송전선용 피뢰장치'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제20-0442555호(2008.11.12.),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고정금구'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236132호(2013.02.17.),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송전철탑의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피뢰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작업의 편리성과 수월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일측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철탑아암(R)에 고정하는 애자클램프(200)와; 타측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송전선(L)을 고정하는 인류클램프(300)와;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사이에 설치되는 현수애자(400);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서, 제1변(102)의 양단에는 수직하게 각각 제2변(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변(104)의 단부에서 예각으로 경사연장된 제3변(106)이 형성되며, 제3변(106)의 각 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변(102) 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이와 평행한 제4변(108)이 형성된 5각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변(102) 쪽으로 치우친 지점에는 사각홀(1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각홀(120)에는 피뢰기(130)를 고정하는 피뢰기고정구(140)가 끼워지며; 상기 피뢰기고정구(140)는 상기 사각홀(120)에 대응삽입되는 사각단부(142)를 갖고, 상기 사각단부(14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연장부(146)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장부(146)의 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148)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연장부(148)의 단부에는 피뢰기(130)가 고정되며, 상기 사각단부(142)의 제1변(102)을 바라보는 면에는 호형상으로 완만하게 요입된 호형홈(144)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고정구(140)는 고정유닛(15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고정유닛(1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유닛하우징(152)을 포함하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단의 둘레에는 상기 체결구(151)가 체결될 수 있는 플랜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타단은 밀폐되어 있고,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내부에는 원기둥 형태를 갖고 선단면은 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닛하우징(152)이 내경에 나사결합되는 유동고정구(154)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고정구(154)의 호형 단면 반대단 중심에는 일정깊이 스플라인홈(155)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밀폐단에는 이를 관통하여 작동로드(156)가 끼워지고, 작동로드(156)의 선단 일부에는 스플라인(157)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스플라인홈(155)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며, 후단부는 베어링(BA)에 의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에는 원형링 형태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파지링(158)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유동고정구(154)와 유닛하우징(152)의 내부 밀폐단 사이에는 코일스프링(SP)이 설치되어 유동고정구(154)를 탄성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철탑의 송전선로에 설치되는 피뢰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장착하고,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작업의 안전성을 강화시키고, 작업의 편리성과 수월성을 향상시켜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송전철탑의 송전선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송전철탑에 설치되는 피뢰기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의 설치상태를 요부 발췌하여 보인 예시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피뢰기를 고정하는 고정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유격조절구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서, 한변의 길이가 더 긴 평행한 양변을 각각 수직연장된 후 경사 연결하는 2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5각형 형태를 갖는다.
즉, 제1변(102)의 양단에는 수직하게 각각 제2변(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변(104)의 단부에서 예각으로 경사연장된 제3변(106)이 형성되며, 제3변(106)의 각 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변(102) 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이와 평행한 제4변(108)이 형성된 5각형 형태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이렇게 형성하는 이유는 제4변(108) 측에 연결되는 애자클램프(200)와 인류클램프(300)의 고정성을 양호하게 하고, 이들의 유동이 제한(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가장 긴 변을 갖는 제1변(102)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제1변(102)들 사이에 현수애자(400)가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4변(108) 쪽으로 치우친 지점에는 체결공(110)이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0)은 애자클램프(200) 혹은 인류클램프(300)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이때, 상기 애자클램프(200)와 인류클램프(300)는 당해 분야에서 송전선을 비롯한 피클램핑체를 클램핑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지된 클램프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들 클램프는 볼크레비스, 소켓아이, 샤클 등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인류클램프(300)는 송전선(L)을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애자클램프(200)는 현수애자(400)가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철탑아암(R)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체결공(110)과 대향되는 쪽인 제1변(102) 쪽으로 치우친 지점에는 사각홀(12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사각홀(120)은 피뢰기(130)를 고정하는 피뢰기고정구(140)의 빠른 조립 설치를 위해 구비된다.
즉, 사각홀(120)로 형성하는 이유는 피뢰기고정구(140)를 끼우기만 하면 위치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 설치가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 피뢰기고정구(140)는 도 5의 (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홀(120)에 대응삽입되는 사각단부(142)를 갖고, 상기 사각단부(14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연장부(146)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장부(146)의 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14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연장부(148)의 단부에는 피뢰기(130)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사각단부(142)의 일측면, 더 정확하게는 제1변(102)을 바라보는 면에는 호형상으로 완만하게 요입된 호형홈(144)이 더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사각단부(142)는 일정길이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직연장부(146)와의 경계는 단차를 형성하므로 사각단부(142)가 사각홀(120)에 끼워지게 되면 사각단부(142)의 길이만큼만 끼워지고 더 이상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위치 고정하기가 쉽고, 특히 호형홈(144)도 사각단부(142)가 끼워졌을 때 어디에 위치하는지 정확하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후술되는 고정유닛(150)에 의한 고정성을 높일 수 있고 고정하기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고정유닛(150)은 도 5의 (b)에 예시한 바와 같이, 사각홀(120)이 관통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변(102) 상에 체결구(151)를 통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유닛(1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유닛하우징(152)을 포함하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단의 둘레에는 상기 체결구(151)가 체결되어 상기 유닛하우징(152)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시킬 수 있는 플랜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타단은 밀폐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체결은 나사결합되는 것을 표현한다.
또한,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내부에는 원기둥 형태를 갖고 선단면은 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닛하우징(152)이 내경에 나사결합되는 유동고정구(154)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유동고정구(154)의 호형 단면 반대단 중심에는 일정깊이 스플라인홈(155)이 요입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밀폐단에는 이를 관통하여 작동로드(156)가 끼워지고, 작동로드(156)의 선단 일부에는 스플라인(157)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스플라인홈(155)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며, 후단부는 베어링(BA)에 의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에는 원형링 형태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파지링(158)이 일체로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동고정구(154)와 유닛하우징(152)의 내부 밀폐단 사이에는 코일스프링(SP)이 설치되어 유동고정구(154)가 헐겁지 않게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체결볼트나 너트, 복잡한 공구를 갖지 않고도 고조지역에서 쉽게 조립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피뢰기고정구(140)를 들고 끼운 후 고정유닛(150)만 돌려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고정유닛(150)은 이미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사실상 피뢰기고정구(140)만 끼우는 작업만 필요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아울러, 유동고정구(154)의 유동거리는 짧기 때문에 스플라인홈(155)과 작동로드(156) 사이의 유격은 그 유동거리보다 길면 된다.
그리하여, 피뢰기고정구(140)가 끼워진 상태에서 파지링(158)을 돌려 작동로드(156)를 조임방향으로 제자리 회전시키면 유닛하우징(152)은 고정되어 있고, 유동고정구(154)는 작동로드(156)와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으므로 유동고정구(154)가 작동로드(156)와 함께 회전하면서 유닛하우징(152)의 내경에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전진하게 된다.
그러면, 호형상으로 만곡된 선단이 사각홀(120) 내부로 진입하고, 어느 정도 진입 후에는 만곡된 선단이 사각홀(120)에 끼워져 있는 피뢰기고정구(140)의 사각단부(142)에 형성된 호형홈(144)에 맞물려 피뢰기고정구(140)를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반면에, 해체할 때는 작동로드(156)를 상술한 반대로 회전시키면 반대 동작이 일어나 유동고정구(154)가 사각홀(120)로부터 빠져나와 유닛하우징(152)으로 인입되므로 피뢰기고정구(140)를 뽑아내기만 하면 된다.
덧붙여, 현수애자(400)는 애자로드(410)를 통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속된다.
이때, 장력조절 및 유동성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은 유격조절구(500)와, 힌지로드(51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유격조절구(500)는 내부가 빈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고, 일단을 관통하여 애자로드(410)가 끼워지며, 유격조절구(500) 내부에서 애자로드스프링(420)의 개재하에 애자로드고정너트(430)에 의해 고정된다.
때문에, 상기 애자로드(410)는 상기 유격조절구(500) 내부로 자유롭게 탄성유동가능한 상태가 되며, 애자로드스프링(420)는 유격조절구(500)와 애자로드(410) 단부에 체결된 애자로드고정너트(430) 사이에서 탄성완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로드(16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회전유동가능하게 힌지 고정되고, 상기 힌지로드(160)의 타단은 상기 유격조절구(500)의 애자로드(410) 반대단에서 나사체결식으로 체결되면서 관통하여 그 단부가 유격조절구(500)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아울러, 노출된 힌지로드(160)의 단부에는 힌지로드스프링(162)이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로드고정너트(164)가 체결되어 힌지로드스프링(162)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탄성고정되도록 하되, 유격조절구(500)를 회전시키면 유격조절구(5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 쪽으로 당겨지면서 장력을 팽팽하게 하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장력이 느슨해지게 한다.
때문에, 이러한 조절을 통해 애자로드(410)의 설치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애자로드(410)와 현수애자(400)는 내구성과 강도 및 절연성을 갖는 폴리머로 성형되는데, 이에 더하여 방수성, 발수성, 내화학성을 갖추도록 다음과 같은 조성물로 성형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애자로드(410) 및 현수애자(400) 성형용 폴리머 조성물은 질화붕소(BN) 분말 5중량%와, 그라파이트 2.5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5중량%와, 메타크릴산 2.5중량%와, 팔미트산 3.5중량%와, 카본블랙 5중량%와, 포타슘실리케이트 5중량%와, 올레아미드 3.5중량%와,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 10중량%와, 1-2cm 길이의 유리섬유 10중량% 및 나머지 CNT(Carbon Nano Tube)가 분산된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질화붕소는 육방정 결정구조를 갖는 물질로서, 열전도율이 높아 방열특성이 좋고,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상기 그라파이트는 경량화와 높은 방사율 특성을 얻으면서 분산효과를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특히 입자모양이 플레이크 타입을 갖도록 함으로써 고분자수지 사이에 긴밀히 혼입되게 하여 열전도 특성과 원만한 분산효과를 얻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것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 사용되는 부분이 열팽창에 의해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수명화를 달성하기 위함이다.
뿐만 아니라,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은 수지조성물의 분산 안정성과 방수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특히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이 방수성 유기물이기 때문에 발수성도 강화시키고 오염물질의 부착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메타크릴산은 산에 강하기 때문에 내부식성을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팔미트산 화학식은 CH3(CH2)14COOH의 화학식을 갖는 밀랍 모양의 고체 지방산으로서 슬립성을 증대시켜 외부파이프(120) 속에서 스티키성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때, 상기 카본블랙은 내마멸성과 내연마성을 확보하고 경량화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그리고, 상기 포타슘실리케이트는 내구성을 강화시키고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올레아미드(Oleamide)는 원활한 흐름성을 유지하여 성형자유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제1인산 마그네슘(Mg(H2PO4)2)과 제1인산 알루미늄(Al(H2PO4)3)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액은 전기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1-2cm 길이의 유리섬유는 인장강도를 증대시켜 피로강도를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CNT(Carbon Nano Tube)가 분산된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CNT의 균일분산을 유도하여 방열특성을 강화하고, 부착안정성,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베이스수지이다.
특히, CNT는 육각형의 벌집모양으로 이루어진 그라펜시트가 직경이 수 나노미터 크기로 둥글게 말려 튜브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초음파분산법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수지에 이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5-10중량부의 범위로 균일하게 분산된 것을 사용한다. 이것은 CNT의 방열향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100: 베이스플레이트 200: 애자클램프
300: 인류클램프 400: 현수애자
500: 유격조절구

Claims (1)

  1.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00)와; 일측 베이스플레이트(100)를 철탑아암(R)에 고정하는 애자클램프(200)와; 타측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송전선(L)을 고정하는 인류클램프(300)와; 한 쌍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사이에 설치되는 현수애자(400);를 포함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두께를 갖는 금속판으로서, 제1변(102)의 양단에는 수직하게 각각 제2변(10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변(104)의 단부에서 예각으로 경사연장된 제3변(106)이 형성되며, 제3변(106)의 각 단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제1변(102) 보다 짧은 길이를 갖고 이와 평행한 제4변(108)이 형성된 5각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제1변(102) 쪽으로 치우친 지점에는 사각홀(12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각홀(120)에는 피뢰기(130)를 고정하는 피뢰기고정구(140)가 끼워지며;
    상기 피뢰기고정구(140)는 상기 사각홀(120)에 대응삽입되는 사각단부(142)를 갖고, 상기 사각단부(142)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의 수직연장부(146)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장부(146)의 단부에서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연장된 절곡연장부(148)가 구비되고, 상기 절곡연장부(148)의 단부에는 피뢰기(130)가 고정되며, 상기 사각단부(142)의 제1변(102)을 바라보는 면에는 호형상으로 완만하게 요입된 호형홈(144)이 더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고정구(140)는 고정유닛(150)에 의해 고정되되, 상기 고정유닛(15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상의 유닛하우징(152)을 포함하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일단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단의 둘레에는 체결구(151)가 체결될 수 있는 플랜지(15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타단은 밀폐되어 있고,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내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내부에는 원기둥 형태를 갖고 선단면은 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닛하우징(152)이 내경에 나사결합되는 유동고정구(154)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고정구(154)의 호형 단면 반대단 중심에는 일정깊이 스플라인홈(155)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유닛하우징(152)의 밀폐단에는 이를 관통하여 작동로드(156)가 끼워지고, 작동로드(156)의 선단 일부에는 스플라인(157)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스플라인홈(155)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며, 후단부는 베어링(BA)에 의해 제자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후단에는 원형링 형태로 잡고 돌릴 수 있는 파지링(158)이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유동고정구(154)와 유닛하우징(152)의 내부 밀폐단 사이에는 코일스프링(SP)이 설치되어 유동고정구(154)를 탄성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20180102063A 2018-08-29 2018-08-29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1954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63A KR101954297B1 (ko) 2018-08-29 2018-08-29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063A KR101954297B1 (ko) 2018-08-29 2018-08-29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297B1 true KR101954297B1 (ko) 2019-03-05

Family

ID=6576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063A KR101954297B1 (ko) 2018-08-29 2018-08-29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93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단선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용 지지기구
KR102619192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이탈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970B1 (ko) 1989-12-07 1999-01-15 미다 가쓰시게 송전선용 피뢰장치
KR200442555Y1 (ko) 2007-06-28 2008-11-19 주식회사 평일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고정금구
KR101236132B1 (ko) 2012-01-05 2013-02-21 대일전기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KR101466138B1 (ko) * 2014-05-09 2014-11-27 (주)한국나이스이앤씨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537085B1 (ko) * 2015-02-27 2015-07-17 제룡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KR101553323B1 (ko) * 2015-03-23 2015-09-15 (주)준영이엔씨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장치
KR101574078B1 (ko) * 2014-12-26 2015-12-04 제룡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KR101799446B1 (ko) * 2017-05-08 2017-11-20 우성기업(주) 가공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구조
KR101877737B1 (ko) * 2017-12-22 2018-07-16 (주)나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0970B1 (ko) 1989-12-07 1999-01-15 미다 가쓰시게 송전선용 피뢰장치
KR200442555Y1 (ko) 2007-06-28 2008-11-19 주식회사 평일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고정금구
KR101236132B1 (ko) 2012-01-05 2013-02-21 대일전기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KR101466138B1 (ko) * 2014-05-09 2014-11-27 (주)한국나이스이앤씨 송전용 가공전선의 송전철탑용 장력완화장치
KR101574078B1 (ko) * 2014-12-26 2015-12-04 제룡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KR101537085B1 (ko) * 2015-02-27 2015-07-17 제룡산업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KR101553323B1 (ko) * 2015-03-23 2015-09-15 (주)준영이엔씨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장치
KR101799446B1 (ko) * 2017-05-08 2017-11-20 우성기업(주) 가공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철탑 구조
KR101877737B1 (ko) * 2017-12-22 2018-07-16 (주)나우엔지니어링 특고압 가공배전선로의 철탑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93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단선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용 지지기구
KR102619192B1 (ko) * 2023-06-22 2023-12-29 (주)정인엔지니어링 가공송전선의 이탈방지가 가능한 가공송전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220B1 (ko) 배전선로가 연결된 전신주 낙뢰 방지장치
CN201829871U (zh) 一种高压电缆头的固定装置
KR101954297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1910436B1 (ko) 특고압 송전선로의 철탑 안정장치
KR101955304B1 (ko) 철탑의 배전선로 장치
KR101959342B1 (ko) 특고압 가공 송전 선로의 안정장치
CN210053127U (zh) 一种新型电缆固定夹具
CN208112103U (zh) 一种引流线接地横担
CN106423564B (zh) 一种用于湿式除尘器免拉紧装置的阴极吊挂系统
KR101964303B1 (ko) 특고압 송전선로의 접속 안정장치
CN205282192U (zh) 直联型悬式复合绝缘子组件
RU2375800C1 (ru) Распорка-демпфер для проводов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101964308B1 (ko) 배전선로의 고정장치
KR101955312B1 (ko) 초고압 송전선로의 스페이서 댐퍼장치
CN211940664U (zh) 一种快速棘轮套筒扳手操作杆
CN206472081U (zh) 一种固定于地面且防雷击的光伏支架系统
CN207926143U (zh) 一种防滑移的防振锤
CN114724784B (zh) 一种抗老化的针式支柱绝缘子
CN218525361U (zh) 一种架空线路用绝缘子安装结构
KR102503446B1 (ko) 안전 기능을 갖춘 전신주 변압기와 배전선로 연결 시스템 구축방법
CN210724141U (zh) 一种新型的架空线路绝缘横担用上抗式线夹
CN105443867A (zh) 一种具有导向避让的竖井牵引电缆夹具
CN220526676U (zh) 一种支柱绝缘子用保护板
KR20100001822U (ko) 송전선로용 폴리머 피뢰기의 설치대
CN218549321U (zh) 一种紧线丝杆法中带电更换直线杆塔绝缘子串的通用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