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078B1 -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078B1
KR101574078B1 KR1020140190669A KR20140190669A KR101574078B1 KR 101574078 B1 KR101574078 B1 KR 101574078B1 KR 1020140190669 A KR1020140190669 A KR 1020140190669A KR 20140190669 A KR20140190669 A KR 20140190669A KR 101574078 B1 KR101574078 B1 KR 10157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ning arrester
lightning
fixing
variabl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송전선로에서 철탑측과 전선측 사이의 애자련(10)에 한 쌍의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갭형 피뢰기(20, 21)의 일측 피뢰기(20)는 애자련(10) 일측에서 철탑 측에 설치되는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상에 볼트(33)로 결합되는 결합되는 가변형 고정금구(30, 40)를 통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20, 21)의 타측 피뢰기(21)는 애자련(10)의 타측에서 사방요크(14)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인류클램프(13)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2)상에 볼트(51) 결합되는 고정형 고정금구(50)를 통해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30)는 애자련(10)의 애자수량에 따라 피뢰기(20)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32b와32c, 42b와42c)을 갖춤으로써,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거리인 혼갭(L)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Fixing tool of lightning arrester for a power-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애자련의 애자수량이 가변되더라도 혼갭이 기 규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2가지 타입의 애자련에 대해 하나의 가변형 고정금구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철탑측 피뢰기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송전선로에서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설치구조를 갖는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기를 수요자에게까지 송전하는 단계 중 발전소와 변전소 구간 내의 송전은 지상에 철탑을 세워 철탑 간에 고정 지지 되어 있는 가공 송전선로를 통해 이루어지며, 경과지 별로 철탑에 미치는 자연적인 영향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송전시에 야기되는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지지물의 설계와 송전선로의 구성 등을 설정하게 되지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으로부터 고장 없이 송전선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근래에 들어 순간정전 사고로 인한 피해액이 급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규모도 막대하므로 보상 문제로 인한 책임공방이 가중되면서 보호대책을 마련하려고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여 채택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처럼, 송전선로는 전압 계급에 따른 애자수량을 달리하는 다양한 길이의 애자련(碍子連)에 의해 철탑 아암에 절연 지지되어 있지만, 송전선에 낙뢰하였을 때에 애자련이 파괴되면 대규모의 정전 사고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애자련의 과전(課電)측과 접지측에 각각 아킹 혼(arcing horn)을 부착하고, 낙뢰 서지(lightning surge)에 의해 발생하는 아크를 애자련의 외부로 유도하여 애자련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예전부터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최근에서는 전압-저항 비직선 특성을 갖는 산화아연소자를 내장(內藏)하는 피뢰기를 애자련에 부착하고, 낙뢰 시에는 피뢰기를 통하여 낙뢰 서지 전류를 조속히 접지측으로 흘리며 후속 전류를 차단하고, 애자련과 송전선을 보호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히, 상기 송전선로의 애자련에는 여러가지 종류가 있지만, 크게, 애자련은 절연체인 애자를 기준으로 현수형과 내장형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는 애자가 철탑과 전선 사이에 어떤 방향으로 배치되어 전선을 지지하고 있는 지 그 형태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써, 현수형은 철탑과 전선 사이에서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고, 내장형은 철탑과 전선 사이에서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철탑에서 애자를 지지 고정하는 쪽이 접지측이 되게 되며, 이와 대항하여 전선을 지지하고 있는 쪽은 충전부로서 초고압의 전기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초고압의 전기로부터 절연을 유지하기 위해 절연체로 사용하는 애자는 사용지역의 오손구분에 따라 오손이 심한 지역에는 많은 수효의 애자를 사용하고 청정지역인 경우는 적은 수효의 애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154㎸의 송전선로에서는 통상적으로 9개~14개의 애자를 연결금구와 조합하여 한 줄(즉, 1련 현수애자)이나 두 줄(즉, 2련 내장 혹은 현수애자)로 전선을 지지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이중에서 내장 애자련의 대부분은 2련 내장 애자련이다. 이는 병렬 2련의 애자련의 양단을 요크라고 불리는 연결 금구에 각각 접속하고, 접지측 요크의 중앙을 별도의 연결 금구에 의해 철탑 아암에 접속하며, 과전측 요크의 중앙을 송전선 지지 금구에 접속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한 2련 내장 애자련에 피뢰기를 부착하는 경우, 선행문헌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90호(2003.7.31. 공개)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2련 애자의 중앙 위치에 피뢰기를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피뢰기는, 애자련으로부터 약간 떨어뜨려 상방 위치에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상기 선행문헌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90호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지측의 요크의 중앙 부분에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볼트로 고정하고, 이 고정금구의 상부에 피뢰기의 기초부를 고정한 피뢰기 설치 구조가 종래부터 채용되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요크에 형성된 볼트 삽입 구멍을 이용한 볼트에 의한 고정이 보통이다.
그런데 전압 계급이 높아지면, 그에 따라 피뢰기도 대형화되고 또한 길어진다.
이 때문에, 선행문헌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90호의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볼트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요크에 고정한 것만으로는 고정력이 부족하고, 피뢰기의 선단에 가로 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볼트 삽입 구멍과 볼트 직경의 차이만큼 어긋남이 발생하여 피뢰기의 중심축이 2련의 애자련의 중심으로부터 휘고, 피뢰기의 선단의 전극이 바른 위치에 유지될 수 없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피뢰기 설치 후에 연수(年數)가 경과하면 볼트의 체결력이 저하하고, 애자련에 대한 피뢰기의 설치 방향이 변화하며 직렬 갭 길이가 변화하고, 소정의 피뢰 기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요크에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고정력을 높이는 것도 고려되지만, 요크의 사이즈나 형상에 따라서는 강도 상의 문제로 다수의 볼트 삽입 구멍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피뢰기 설치와 관련하여 고정금구의 형상 및 강도를 고려하여 안정적인 고정금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선행문헌인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58225호(2004.6.3.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2555호(2008.11.19.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1818호(2011.1.13. 공고),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1822호(2010.2.19. 공개) 등에는 철탑측과 전선 측에 서로 쌍을 이루는 피뢰기가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와 관련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최근 급격한 기후의 이상 변화로 인한 낙뢰의 발생이 빈번하게 되면서 선로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써, 가공 송전선로에는 산화아연소자를 사용한 갭형(gap type) 피뢰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갭형(gap type) 피뢰기는 만일의 고장에도 재송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송전선로의 낙뢰대책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피뢰기 본체를 경량화를 위하여 콤팩트(compact)하게 제작하고 절연체를 도기형(porcelain type)에서 장점이 많은 폴리머형(polymer type)을 적용함으로써 전력품질의 향상 차원에서 널리 사용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애자련에 설치하는 갭형 피뢰기는 철탑측과 전선측 간에 일정한 간격(일명, "혼갭"이라 한다.)을 유지할 수 있게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기술은 송전선로의 전압이 154kV일 때 주로 적용되고 있는 기술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154㎸의 송전선로에서는 통상적으로 9개~14개의 애자를 연결금구와 조합하여 한 줄이나 두 줄로 전선을 지지하도록 사용되고 있고, 이때, 우리나라의 경우 한전 규격으로 제시되어 있는 철탑측 피뢰기와 전선측 피뢰기 간 설치간격(즉, 혼갭)은, 154kV의 송전선로에서는 630㎜ 간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갭형 피뢰기는 송전선로 상에서 애자련의 전단이나 후단에 해당하는 철탑측과 전선 측에 서로 쌍을 이루는 피뢰기가 서로 마주보고 설치되는바, 상기 갭형 피뢰기는 구형의 볼아이, 볼크레비스, 소켓아이, 소켓크레비스, 삼각요크, 사각링크 등의 접속 관련 자재들과 함께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통해 철탑측과 전선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갭형 피뢰기를 철탑측과 전선측에 각각 고정 설치하기 위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가 애자수량별 애자련의 길이에 따라 각각 별도로 마련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즉, 154kV의 송전선로에 적용되는 애자련의 사용애자가 철탑의 설치지역에 따라 애자수량이 9개로부터 14개까지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가지 형태의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현장의 제품을 확인한 후 피뢰기 설치 철탑별로 각각 설계하여 제작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자연히 제품단가가 상승하고 자재관리나 유지보수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종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의 일환으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6132호(2013.2.21. 공고)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의 아암(200)에 고정되면서 피뢰기(120)를 지지하는 암연결부(110)를 구비함에 있어서, 철탑측의 아암(200)에 직접 고정되는 암고정부(210)와, 상기 암고정부(210)에서 연장되어 피뢰기(120)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연장부(220)와, 상기 연장부(220)와 체결 고정되되 소정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동부(230)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갖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가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암고정부(210), 연장부(220), 회동부(230) 상에는 각각 긴 장공(212, 222, 232)을 구비함으로써, 철탑측 아암(200)으로 사용되는 철재지지재의 규격에 따라 암고정부(210)를 다수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연장부(220)에 복수개의 긴 장공(222)를 구비됨에 따라 회동부(2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부(230)에도 긴 장공(232)를 구비하여 송전선로가 설치된 방향에 대하여 피뢰기(120)의 수평배치 폭 조절 및 소정 각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236132호에 개시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는긴 장공(212, 222, 232)을 따라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부재들이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결합 부위의 고정력이 부족하고, 특히, 피뢰기(120) 설치 후에 연수(年數)가 경과하면 볼트의 체결력이 저하되면서 피뢰기(120)의 설치 방향이 변화할 우려가 높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혼갭 길이가 변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소정의 피뢰 기능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즉, 상기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는 피뢰기(120)의 수평 배치 폭 조절 및 소정 각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가변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장기간 피뢰기를 지지 고정하는 데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주로 154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가 연구 개발되어 있지만, 전압 계급이 더 높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규격 규정 및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개발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어서 이에 대한 연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즉, 현재까지 345kV의 송전선로에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한전 규격 및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피뢰기 설치형 고정금구에 대한 한전 규격이 규정되어 확정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17790(2003.7.31. 공개, 명칭: 피뢰장치) 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58225(2004.6.3. 공개, 명칭: 피뢰 애자장치)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2555호(2008.11.19. 공고, 명칭: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고정금구)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1818호(2011.1.13. 공고, 명칭: 송전선로용 갭형 피뢰기의 간격 조정장치) 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0-1822호(2010.2.19. 공개, 명칭: 송전선로용 피뢰기의 설치대) 6.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36132호(2013.2.21. 공고, 명칭: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이에 본 발명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제공하여 한전 규격으로 규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구 개발된 것으로써,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애자련의 애자수량이 가변되더라도 혼갭이 기 규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2가지 타입의 애자련에 대해 하나의 가변형 고정금구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철탑측 피뢰기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고, 송전선로에서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설치구조를 갖는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전선로에서 철탑측과 전선측 사이의 애자련에 한 쌍의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갭형 피뢰기의 일측 피뢰기는 애자련 일측에서 철탑 측에 설치되는 철탑금구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상에 볼트로 결합되는 결합되는 가변형 고정금구를 통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는 애자련의 애자수량이 하나의 범위 내에서 가변됨에 따라 피뢰기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을 갖춤으로써, 갭형 피뢰기의 선단거리인 혼갭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는 철탑측 철탑금구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경사고정대와, 이 경사고정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고정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와, 이 경사지지부에서 수직 절곡된 구조로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와, 이 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과, 이 피뢰기결합공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고정대의 볼트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 제1,2가변설치공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는 철탑측 철탑금구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수직고정대와, 이 수직고정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반듯하게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와, 이 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과, 이 피뢰기결합공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의 볼트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 제1,2가변설치공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는 철탑측 철탑금구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경사수직고정대와, 이 경사수직고정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수직고정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와, 이 경사지지부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면서 경사지지부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지지부와, 이 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과, 이 피뢰기결합공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의 볼트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 제1,2가변설치공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는 철탑측 철탑금구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경사수직고정대와, 이 경사수직고정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수직고정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와, 이 경사지지부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경사지지부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수직지지부와, 이 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과, 이 피뢰기결합공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의 볼트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 제1,2가변설치공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의 타측 피뢰기는 애자련의 타측에서 사방요크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인류클램프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상에 볼트로 결합되는 고정형 고정금구를 통해서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형 고정금구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피뢰기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중간 부위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경사수직지지부와, 이 경사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뢰기결합공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의 타측 피뢰기는 애자련의 타측에서 사방요크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인류클램프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상에 볼트로 결합되는 가변형 고정금구를 통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는 애자련의 애자수량이 하나의 범위 내에서 가변됨에 따라 피뢰기 설치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가변형 고정금구는 요크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수직고정대와, 이 수직고정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수직지지부와, 이 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뢰기설치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과, 이 피뢰기결합공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의 볼트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 제1,2가변설치공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가변형 고정금구는 요크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격자고정대와, 이 격자고정대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고정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다수의 볼트결합공이 형성된 상단결합부와, 이 상단결합부에서 수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수평경사지지부와, 이 수평경사지지부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경사지지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수직지지부와, 이 수직지지부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뢰기설치대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과, 이 피뢰기결합공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고정대의 볼트결합공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 제1,2가변설치공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갭형 피뢰기는 애자련의 중심선에 대해서 10°~ 20°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됨과 동시에, 갭형 피뢰기의 선단이 서로 동일 높이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가변설치공과 제2가변설치공 사이의 간격은 애자 하나의 크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함에 있어서, 애자련의 애자수량이 가변되더라도 혼갭이 기 규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2가지 타입의 애자련에 대해 애자련의 애자수량에 따라 피뢰기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을 갖춘 하나의 가변형 고정금구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를 통해 철탑측 피뢰기의 설치 위치를 적절하게 가변할 수 있고, 송전선로에서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설치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가변형 고정금구를 구성하는 경사고정대(혹은 수직고정대)와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의 설치 위치를 애자련의 애자 수량에 따라 제1가변설치공과 제2가변설치공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 갭형 피뢰기의 혼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갭형 피뢰기 설치하는 동안 혼갭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혹은 세밀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되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345kV의 송전선로에서 16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분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17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18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써,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써, 도 8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분해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써, 도 8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써, 도 8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11의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써, 도 8에 도시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19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갭형 피뢰기의 전선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0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 15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도 15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분해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도 15의 전선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분해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1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2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5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 21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도 21의 철탑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분해상태도.
도 24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도 21의 전선 측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요부 분해상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3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4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경 기술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주로 154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대한 제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을 뿐, 현재까지 345kV의 송전선로에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한전 규격 및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피뢰기 설치형 고정금구에 대한 한전 규격이 규정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기 위한 한전 규격을 제시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제시된 한전 규격에 적합하게 설계된 피뢰기 설치형 가변형 고정금구를 제공하기 위해 연구 개발되어 설계된 것이다.
즉, 다양한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 345㎸의 송전선로에서는 전압 계급에 따라 통상적으로 16개~25개의 애자를 연결금구와 조합하여 한 줄(즉, 1련 현수애자)이나 두 줄(즉, 2련 내장 혹은 현수애자)로 전선을 지지하도록 애자련이 사용되고 있는 바,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고자 할 때, 철탑측 피뢰기와 전선측 피뢰기 간 설치간격(즉, 혼갭)은, 종래 154kV의 송전선로에서는 630㎜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45kV의 송전선로에서는 1400㎜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 기술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를 345kV 송전선로의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고정금구로 혼갭의 간격을 1400㎜ 간격으로 유지하는 데 한계가 있는 관계로, 혼갭의 간격을 1400㎜으로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를 설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애자련의 애자수량이 가변되더라도 혼갭이 기 규정된 간격(예를 들어, 1400㎜)을 유지할 수 있도록 2가지 타입의 애자련에 대해 하나의 가변형 고정금구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철탑측 피뢰기의 설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 16개 및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지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고정금구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도 2 및 도 3은 16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 갭형 피뢰기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탑 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의 일측 피뢰기(20)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 일측에서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상에 결합되는 가변형 고정금구(30)를 통해서 고정 설치되고, 전선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의 타측 피뢰기(21)는 애자련의 타측에서 사방요크(14)의 일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압축인류클램프(13)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2)상에 고정형 고정금구(50)를 통해서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45kV의 송전선로에서는 갭형 피뢰기(20,21) 사이의 혼갭(L)은 일정한 간격, 예를 들어 1400㎜를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 또한 일정한 간격, 예를 들어 590㎜이상을 유지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연구 결과 확인되었다.
이는 갭형 피뢰기(20,21)의 크기 즉, 규격이 일정하고, 애자련(10)의 구성하는 애자 하나의 크기(예를 들어, 195㎜) 또한 일정하여 각각 하나의 상수(예를 들어, 16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의 길이는 16개 ×195㎜ = 3,120㎜이고,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의 길이는 17개 ×195㎜ = 3,315㎜이다.)로 작용하고, 이와 같은 상수들을 기반으로 345kV의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20,21)의 피뢰 성능을 실험했을 때, 갭형 피뢰기(20,21)의 혼갭(L)과,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가 상기와 같은 일정한 값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형 피뢰기(20, 21)가 철탑측과 전선측 사이에 설치되는 과정에서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와 고정형 고정금구(50)를 통해서 서로 일정 각도(α1,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α1 = 20°이다)로 경사진 체 마주보는 구조를 통해서 설치되어 있음을 볼 수 있는바, 피뢰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갭형 피뢰기(20, 21)가 서로 경사지지 않고 수평하게 마주보고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와 같은 경우에는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를 590㎜ 이상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금구의 높이를 590㎜ 이상으로 높여야 하기 때문에 고정금구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너무 높아 구조적으로 안정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송전선로에서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야하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갭형 피뢰기(20, 21) 사이의 혼갭(L)과,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가 일정한 값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송전선로에서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설치구조를 가지면서 상기와 같이 규정된 값에 알맞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를 제공하고자 설계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갭형 피뢰기(20, 21)는 애자련(10)의 중심선에 대해 일정각도(α1, α2 ; 도 2 및 도 8 참조)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구조에서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 및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계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는, 16개 및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이 사용되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의 갭형 피뢰기(20, 21) 중 철탑측 피뢰기(20)를 설치할 수 있는 고정금구이다.
즉,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는,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결합 고정되는 경사고정대(31)와, 이 경사고정대(3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갭형 피뢰기의 일측 피뢰기(20)가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경사고정대(31)는, 금속재질의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바, 피뢰기설치대(3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3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31a)와, 이 상단결합부(3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31b)와, 이 경사지지부(31b)에서 수직 절곡된 구조로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31c)와, 이 수직지지부(3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33)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31d)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고정대(31)의 상단결합부(31a)에서 플랜지부(31d)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 H1)는 560㎜이고, 경사고정대의 수직지지부(31c)에서 후방으로 경사진 경사지지부(31b) 사이의 직선길이(L1)는 313㎜이며, 가변형 고정금구(30)를 통해 설치된 피뢰기(20)는 애자련(10)의 중심선에 대해 일정각도(α1), 예를 들어 α2= 20°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상기 볼트결합공(31e)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31a)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설치대(32)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설치대(32)를 통해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설치대(32)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 구조를 가지고 있는바, 피뢰기설치대(32)의 판상면에는 피뢰기(20)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32a)과, 이 피뢰기결합공(32a)에 인접하여 경사고정대(31)의 볼트결합공(31e)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32b, 32c)들이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뢰기결합공(32a), 제1,2가변설치공(32b, 3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가변설치공(32b)은 16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 가변형 고정금구(30)를 사용할 때, 피뢰기설치대(32)와 결합되는 설치공이고, 상기 제2가변설치공(32c)는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 가변형 고정금구(30)를 사용할 때, 피뢰기설치대(32)와 결합되는 설치공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가변설치공(32b)과 제2가변설치공(32c)의 중심간 경사진 직선 간격(L2)은 애자 하나의 크기(예를 들어, 195㎜)에 대응되는 수준이다.
이처럼, 상기 제1가변설치공(32b)과 제2가변설치공(32c)의 중심간 경사진 직선 간격(L2)을 애자 하나의 크기에 대응되는 수준으로 고정 설계함으로써, 갭형 피뢰기 설치과정에서 애자련(10)의 애자 수량별 즉, 16개 혹은 17개에 따라 가변형 고정금구(30)에서 피뢰기설치대(3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하더라도 갭형 피뢰기(20,21)의 선단사이의 거리인 혼갭(L)이 항상 일정(예를 들어, 1400㎜)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자는 경사고정대(31)에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32)의 설치 위치를 애자련(10)의 애자 수량에 따라 제1가변설치공(32b)과 제2가변설치공(32c)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여 결합하는 것만으로 갭형 피뢰기(20, 21)의 혼갭(L)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할 때 혼갭(L)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혹은, 세밀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되어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7에는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에 갭형 피뢰기를 설치할 때, 제1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고정금구(30)를 사용하여 피뢰기(20)를 설치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345kV 송전선로에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고자 함에 있어서,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 가변형 고정금구(30)을 사용할 경우에는, 경사고정대(31)의 상단결합부(31a)에 형성된 볼트결합공(31e)에 피뢰기설치대(32)의 제2가변설치공(32c)을 서로 대응되게 맞물려 볼트 결합하고, 피뢰기설치대(32)의 피뢰기설치공(32a)에 피뢰기(20)를 볼트 결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30)는 철탑측의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된 요크(11)상에 볼트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16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 비해서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은 애자 하나의 크기가 더 추가되어 길이가 길어짐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가변형 고정금구(30)에서 제1가변설치공(32b)으로부터 애자의 하나 크기의 간격을 갖고 있는 제2가변설치공(32c)쪽으로 피뢰기설치대(32)의 설치 위치를 가변하여 경사고정대(31)와 결합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피뢰기설치대(32)의 피뢰기설치공(32a)에 피뢰기(20)를 볼트 결합함으로써, 철탑측 반대편에 위치한 전선측에 별도로 구비된 고정형 고정금구(50)를 통해 갭형 피뢰기의 타측 피뢰기(21)를 설치하게 되면, 가변형 고정금구(30)와 고정형 고정금구(50)에 의해 각각 설치된 갭형 피뢰기(20,21)의 선단 혼갭(L)이 일정한 간격, 예를 들어, 1400㎜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도 일정한 높이, 예를 들어 590㎜이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부언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피뢰기설치대(32)에 제1,2가변설치공(32b, 32c)외에 다른 가변설치공을 추가적으로 더 구비하여 16개 및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 외의 18개 이상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피뢰기설치대(32)에 제1,2가변설치공(32b, 32c)외에 다른 가변설치공을 추가하여 18개 이상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도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경사고정대(31)와 피뢰기설치대(32)가 결합된 피뢰기설치대(32)의 후단 쪽이 제1실시예에 나타난 피뢰기설치대(3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피뢰기설치대(32)의 후단 부위와 철탑 측간에 간섭이 일어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구조적으로 2가지 타입의 애자련(10)인 16개 및 17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서만 하나의 가변형 고정금구(30)를 이용하여 가변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실시예에 도시된 가변형 고정금구(30)가 16개 및 17개로 이루어진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만 적용 가능하고, 18개 및 19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18개 및 19개로 이루어진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제1실시예에 도시된 가변형 고정금구(30)와 그 형상을 달리하는 변형된 형태의 고정금구를 제시하고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40)는, 18개 및 19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애자련(10)이 사용되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의 갭형 피뢰기(20, 21) 중 철탑측 피뢰기(20)를 설치할 수 있는 고정금구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40)를 사용하여 18개 및 19개로 이루어진 애자련(10)에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과,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은, 예를 들어 1400㎜을 유지하고, 애자련(10)의 중심선과 갭형 피뢰기(20, 21)의 최선단 사이의 높이(H)는, 예를 들어 590㎜ 이상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40)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와 마찬가지로,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결합 고정되는 수직고정대(41)와, 이 수직고정대(4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갭형 피뢰기의 일측 피뢰기(20)가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42)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40)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와 비교할 때, 경사고정대(31)의 형상과 수직고정대(41)의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이때,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대(41)는, 금속재질의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바, 피뢰기설치대(4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41d)이 형성된 상단결합부(41a)와, 이 상단결합부(41a)에서 반듯하게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41b)와, 이 수직지지부(41b)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 상에 면 접촉으로 통해 볼트(33)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41c)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고정대(41)의 상단결합부(41a)에서 플랜지부(41c)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 H1)는 560㎜이고, 가변형 고정금구(40)를 통해 설치된 피뢰기(20)는 애자련(10)의 중심선에 대해 일정각도(α2), 예를 들어 α2= 15°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상기 볼트결합공(41d)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41a)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설치대(42)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설치대(42)를 통해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설치대(42)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 도시된 피뢰기설치대(32)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고 있는바, 제1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설치대(32)의 설명을 참조하면 그 결합관계 및 작동 관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관계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따르면, 345kV 송전선로에서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기 위해 철탑 측에는 가변형 고정금구(30, 40)를 각각 사용하고 있지만, 전선측에는 고정형 고정금구(50)만을 사용하여 피뢰기(21)를 설치하고 있다.
이처럼, 전선측에 설치되는 피뢰기(21)를 가변형 고정금구(30, 40)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형 고정금구(50)만을 사용하는 이유는, 고전압의 전기가 흐르는 전선측에서는 부품간 간섭 상황(혹은 조건)이 훨씬 까다롭기 펼쳐져 있기 때문에 최대한 고정금구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단순한 구조로 설계하기 위함이다.
즉, 전선측에는 갭형 피뢰기의 타측 피뢰기(21)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방요크(14), 압축인류클램프(13)와 같은 다양한 접속자재들이 네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고정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부품간 간섭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 여지가 훨씬 까다롭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형상은 최대한 단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관계로,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형 고정금구(50)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형 고정금구(50)는, 제1,2실시예의 가변형 고정금구(30,40)와 비교할 때, 피뢰기(20)와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32, 4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피뢰기(21)가 고정형 고정금구(50)에 직접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형 고정금구(50)는, 금속재질의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바, 피뢰기(21)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피뢰기결합공(50d)이 형성된 상단결합부(50b)와, 이 상단결합부(50b)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중간 부위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경사수직지지부(50a)와, 이 경사수직지지부(50a)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2)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51)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50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피뢰기결합공(50d)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50b)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21)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21)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형 고정금구(50)의 상단결합부(50b)에서 플랜지부(50c)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 H2)는 400㎜이다.
이는 전선측의 경우, 사방요크(14)에 연결된 요크(12) 상에 고정형 고정금구(50)가 볼트(51)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철탑측의 가변형 고정금구(30, 40)가 설치되는 높이에 비해서 고정형 고정금구(50)가 설치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갖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형 고정금구(50)의 상단결합부(50b)에서 애자련(10) 중심선 사이의 높이(H1)는 560㎜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형 고정금구(50)의 상단결합부(50b)에서 플랜지부(50c) 사이는 높이(H2)는 400㎜ 수준을 갖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송전선로용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애자수가 20개 내지 22개 일 때, 갭형 피뢰기(20,21)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관한 것으로써, 도 15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60,80)는, 20개 내지 22개의 애자로 이루어진 2련 내장형 애자련(10)이 사용되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 철탑측 피뢰기(20)와 전선측 피뢰기(21)를 각각 설치할 수 있는 고정금구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60, 80)를 사용하여 20개 내지 22개로 이루어진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은 제1,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은, 예를 들어 1400㎜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60,80)는, 제1,2실시예에서 철탑측에는 가변형 고정금구(30,40)를 사용하고, 전선측에는 고정형 고정금구(50)를 사용하던 것과는 달리, 철탑측 및 전선측에 각각 형태가 서로 다른 가변형 고정금구(60,80)를 사용하고 있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는 송전선로의 애자련(10)에 사용되는 애자수가 제1,2실시예에서의 16개 내지 19개 보다 상대적으로 20개 내지 22개로 증가함에 따라 제1,2실시예에 나타난 가변형 고정금구(30,40)와 고정형 고정금구(50)만으로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을 1400㎜을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제3실시예에 따른 철탑측 피뢰기(20)를 설치하는 가변형 고정금구(60)는, 제1,2실시에 나타난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40)와 마찬가지로,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결합 고정되는 경사수직고정대(61)와, 이 경사수직고정대(6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갭형 피뢰기의 일측 피뢰기(20)가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62)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60)는, 제1,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30,40)와 비교할 때, 경사수직고정대(61)의 형상과 경사고정대(31) 및 수직고정대(41)의 형상에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수직고정대(61)는, 금속재질의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바, 피뢰기설치대(6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6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61a)와, 이 상단결합부(6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61b)와, 이 경사지지부(61b)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면서 경사지지부(61b)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지지부(61c)와, 이 수직지지부(6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61d)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수직고정대(61)의 상단결합부(61a)에서 플랜지부(61d)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는 500㎜이고, 가변형 고정금구(60)를 통해 설치된 피뢰기(20)는 애자련(10)의 중심선에 대해 일정각도(α3), 예를 들어 α3= 15°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상기 볼트결합공(61e)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61a)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설치대(62)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설치대(62)를 통해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설치대(62)의 구성은 제1,2실시예에 도시된 피뢰기설치대(32,42)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고 있는바, 제1,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설치대(32,42)의 설명을 참조하면 그 결합관계 및 작동 관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관계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345kV 송전선로에서 전선측에도 가변형 고정금구(80)를 사용하여 피뢰기(21)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전선측에 설치되는 피뢰기(21)를 제1,2실시예에서처럼 고정형 고정금구(50)를 사용하지 않고, 가변형 고정금구(80)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애자련의 애자수가 증가하게 되면서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을 1400㎜을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다만, 전선측에는 갭형 피뢰기의 타측 피뢰기(21)가 설치되는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방요크(14), 압축인류클램프(13)와 같은 다양한 접속자재들이 네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고정됨에 따라 구조적으로 부품간 간섭 상황이 일어날 수 있는 여지가 훨씬 까다롭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선측의 가변형 고정금구(80)의 형상에서 철탑측의 가변형 고정금구(30,40,60)와는 다소 차별화된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측 가변형 고정금구(80)는, 금속재질의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요크(12)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수직고정대(81)와, 이 수직고정대(8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1)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8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직고정대(8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82)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81d)이 형성된 상단결합부(81a)와, 이 상단결합부(81a)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수직지지부(81b)와, 이 수직지지부(81b)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2)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81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설치대(82)는, 제1,2실시예의 가변형 고정금구(30,40)에 이용되는 피뢰기설치대((32,42) 및 제3실시예의 가변형 고정금구(60)에 이용되는 피뢰기설치대(6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피뢰기설치대(8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1)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82a)과, 이 피뢰기결합공(82a)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81)의 볼트결합공(81d)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82b,82c)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가변설치공(82b,82c)들은 네 개의 구멍이 피뢰기설치대(82)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21)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21)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80)의 상단결합부(80a)에서 플랜지부(80c)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는 300㎜이고, 여기에 피뢰기설치대(82)가 약간 경사지게 조립 설치되어 전체적인 피뢰기(2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제1,2실시예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전선측의 경우, 사방요크(14)에 연결된 요크(12) 상에 가변형 고정금구(80)가 볼트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철탑측의 가변형 고정금구(60)가 설치되는 높이에 비해서 전선측 가변형 고정금구(80)가 설치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갖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가변형 고정금구(80)의 상단결합부(80a)에서 애자련(10) 중심선 사이의 높이 560㎜를 유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가변형 고정금구(80)의 상단결합부(80a)에서 플랜지부(80c) 사이는 높이를 400㎜ 수준으로 유지하고, 여기에 피뢰기설치대(82)가 약간 경사지게 조립 설치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제3실시예에 따른 철탑측의 가변형 고정금구(60)와 전선측의 가변형 고정금구(80)를 이용하여 애자련(10)의 애자수가 21개 및 22개로 각각 가변됨에 따라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을 1400㎜을 유지할 수 있게 조립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도 19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1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20)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0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2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10)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20,21)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21 내지 도 26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3개 내지 25개의 애자로 구성된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20,21)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 중에서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써,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5개의 애자로 구성된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를 설치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20개 내지 22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10)에 적용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60,80)를 제시하고 있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애자련(10)의 애자수가 더 증가하여 23개 내지 25개로 구성될 경우에 대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345kV의 송전선로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20,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예를 들어, 1400㎜ 유지)하도록 규정화되어 있는 관계로, 애자련(10)의 애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피뢰기 설치형 고정금구의 실시양태도 변형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여기서, 제4실시예에 따른 철탑측 피뢰기(20)를 설치하는 가변형 고정금구(70)는, 제3실시예에 나타난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6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결합 고정되는 경사수직고정대(71)와, 이 경사수직고정대(7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갭형 피뢰기의 일측 피뢰기(20)가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72)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철탑측에 설치되는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70)는, 제3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설치용 가변형 고정금구(60)와 비교할 때, 형상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즉,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수직고정대(71)는, 피뢰기설치대(7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7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71a)와, 이 상단결합부(7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71b)와, 이 경사지지부(71b)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면서 경사지지부(71b) 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수직지지부(71c)와, 이 수직지지부(7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71d)로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사수직고정대(61)와, 제4실시예에 따른 경사수직고정대(71)는 상단결합부(61a,7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61b,71b)와, 이 경사지지부(61b,71b)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61c,71c)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어느 쪽이 더 짧거나 길게 형성되어 있다는 차이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수직고정대(71)의 상단결합부(71a)에서 플랜지부(71d)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는 500㎜이고, 가변형 고정금구(70)를 통해 설치된 피뢰기(20)는 애자련(10)의 중심선에 대해 일정각도(α4), 예를 들어 α4= 10°로 경사지게 배치되게 된다.
상기 볼트결합공(71e)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71a)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설치대(72)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설치대(72)를 통해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설치대(72)의 구성은 제1,2실시예에 도시된 피뢰기설치대(32,42)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고 있는바, 제1,2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설치대(32,42)의 설명을 참조하면 그 결합관계 및 작동 관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관계로,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3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345kV 송전선로에서 전선측에도 가변형 고정금구(90)를 사용하여 피뢰기(21)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전선측에 설치되는 피뢰기(21)를 가변형 고정금구(90)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술한 제3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애자련(10)의 애자수가 증가하는 것에 맞춰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을 1400㎜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측 가변형 고정금구(90)는, 금속재질의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요크(12)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격자고정대(91)와, 이 격자고정대(9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1)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92)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격자고정대(9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92)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9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91a)와, 이 상단결합부(91a)에서 거의 수평에 가깝게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수평경사지지부(91b)와, 이 수평경사지지부(91b)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경사지지부(91b)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수직지지부(91c)와, 이 수직지지부(9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2)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91d)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피뢰기설치대(92)는, 제1,2실시예의 가변형 고정금구(30,40)에 이용되는 피뢰기설치대(32,42) 및 제3실시예의 가변형 고정금구(60)에 이용되는 피뢰기설치대(6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즉, 상기 피뢰기설치대(9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1)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92a)과, 이 피뢰기결합공(92a)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고정대(91)의 볼트결합공(91e)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92b,92c)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가변설치공(92b,92c)들은 네 개의 구멍이 피뢰기설치대(92)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피뢰기(21)와 볼트 결합시 피뢰기(21)로 인해 작용하는 하중에 대해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고정력 및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90)의 상단결합부(90a)에서 플랜지부(90d) 사이는 높이(혹은 길이)는 300㎜이고, 여기에 피뢰기설치대(92)가 거의 겹쳐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조립 설치되어 전체적인 피뢰기(21)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6에는 제4실시예에 따른 철탑측의 가변형 고정금구(70)와 전선측의 가변형 고정금구(90)를 이용하여 애자련(10)의 애자수가 23개 및 24개로 각각 가변됨에 따라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 거리인 혼갭(L)을 1400㎜을 유지할 수 있게 조립 위치를 가변시킨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즉, 도 25는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3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20)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고, 도 26은 345kV의 송전선로에서 24개의 애자로 구성된 애자련(10)에 사용되는 갭형 피뢰기(20,21)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 애자련 11, 12 : 요크
13 : 압축인류클램프 14 : 사방요크
15 : 철탑금구 20, 21 : 갭형 피뢰기
30,40,60,70,80,90 : 가변형 고정금구 31 : 경사고정대
31a,41a,50b,61a,71a,81a,91a : 상단결합부
31b,61b,71b : 경사지지부
31c,41b,61c,71c,81b,91c : 수직지지부
31d,41c,50c,61d,71d,81c,91d : 플랜지부
31e,41d,61e,71e,81d,91e : 볼트결합공
32,42,62,72,82,92 : 피뢰기설치대
32a,42a,50d,62a,72a,82a,92a : 피뢰기결합공
32b,42b,62b,72b,82b,92b : 제1가변설치공
32c,42c,62c,72c,82c,92c : 제2가변설치공
33, 51 : 볼트 41,81 : 수직고정대
50 : 고정형 고정금구 50a : 경사수직지지부
61, 71 : 경사수직고정대 91 : 격자고정대
91b : 수평경사지지부

Claims (13)

  1. 송전선로에서 철탑측과 전선측 사이의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한 쌍의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갭형 피뢰기(20, 21)의 일측 피뢰기(20)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애자 수량이 하나의 범위 내에서 가변됨에 따라 피뢰기(20) 설치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애자 하나의 크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떨어져 있는 제1가변설치공(32b,42b)과 제2가변설치공(32c,42c)을 갖추고 있는 가변형 고정금구(30,40)를 통해서 2련 내장형 애자련(10) 각각의 일측 끝단과 철탑 측에 설치되는 철탑금구(15) 사이에 연결 고정된 요크(11) 상에 볼트(33)로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20,21)의 타측 피뢰기(21)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타측에서 고정형 고정금구(50)를 통해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타측 끝단에 각각 연결된 사방요크(14)의 일측과 압축인류클램프(13) 사이에 연결 고정된 요크(12) 상에 볼트(51)로 결합되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갭형 피뢰기(20, 21)가 2련 내장형 애자련(10) 사이 임의의 중심선 상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갭형 피뢰기(20,21)의 선단거리인 혼갭(L)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30)는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볼트(33)로 결합 고정되는 경사고정대(31)와, 이 경사고정대(3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0)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32)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고정대(3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3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3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31a)와, 이 상단결합부(3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31b)와, 이 경사지지부(31b)에서 수직 절곡된 구조로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31c)와, 이 수직지지부(3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 상에 면 접촉 상태로 볼트(33)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31d)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3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0)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32a)과, 이 피뢰기결합공(32a)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경사고정대(31)의 볼트결합공(31e)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32b, 3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32a), 제1,2가변설치공(32b, 3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40)는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볼트(33)로 결합 고정되는 수직고정대(41)와, 이 수직고정대(4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0)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42)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대(4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4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41d)이 형성된 상단결합부(41a)와, 이 상단결합부(41a)에서 반듯하게 연장 형성된 수직지지부(41b)와, 이 수직지지부(41b)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 상에 면 접촉으로 통해 볼트(33)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41c)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4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0)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42a)과, 이 피뢰기결합공(42a)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41)의 볼트결합공(41d)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42b,4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42a), 제1,2가변설치공(42b,4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고정금구(5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21)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피뢰기결합공(50d)이 형성된 상단결합부(50b)와, 이 상단결합부(50b)에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중간 부위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경사수직지지부(50a)와, 이 경사수직지지부(50a)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2)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51)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50c)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뢰기결합공(50d)은 네 개의 구멍이 상단결합부(50b)상에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갭형 피뢰기(20, 21)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중심선에 대해서 10°~ 20°범위 내에서 경사지게 배치됨과 동시에, 갭형 피뢰기(20, 21)의 선단이 서로 동일 높이로 마주보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6. 송전선로에서 철탑측과 전선측 사이의 2련 내장형 애자련(10)에 한 쌍의 갭형 피뢰기(20, 21)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에 있어서,
    상기 갭형 피뢰기(20, 21)의 일측 피뢰기(20)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애자 수량이 하나의 범위 내에서 가변됨에 따라 피뢰기(20) 설치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애자 하나의 크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떨어져 있는 제1가변설치공(60b,70b)과 제2가변설치공(60c,70c)을 갖추고 있는 가변형 고정금구(60,70)를 통해서 2련 내장형 애자련(10) 각각의 일측 끝단과 철탑 측에 설치되는 철탑금구(15) 사이에 연결 고정된 요크(11) 상에 볼트(33)로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전선측에 설치되는 갭형 피뢰기(20, 21)의 타측 피뢰기(21)는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애자 수량이 하나의 범위 내에서 가변됨에 따라 피뢰기(20) 설치위치를 가변할 수 있도록 애자 하나의 크기와 동일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되게 떨어져 있는 제1가변설치공(82b,92b)과 제2가변설치공(82c,92c)을 갖추고 있는 가변형 고정금구(80,90)를 통해 2련 내장형 애자련(10)의 타측 끝단에 각각 연결된 사방요크(14)의 일측과 압축인류클램프(13) 사이에 연결 고정된 요크(12) 상에 볼트로 결합되어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갭형 피뢰기(20, 21)가 2련 내장형 애자련(10) 사이 임의의 중심선 상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갭형 피뢰기(20,21)의 선단거리인 혼갭(L)이 기 설정된 간격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60)는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경사수직고정대(61)와, 이 경사수직고정대(6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0)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62)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수직고정대(6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6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6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61a)와, 이 상단결합부(6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61b)와, 이 경사지지부(61b)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면서 경사지지부(61b)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수직지지부(61c)와, 이 수직지지부(6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61d)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6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0)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62a)과, 이 피뢰기결합공(62a)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61)의 볼트결합공(61e)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62b,6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62a), 제1,2가변설치공(62b,6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70)는 철탑측 철탑금구(15)에 연결 고정되는 요크(11)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경사수직고정대(71)와, 이 경사수직고정대(7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0)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72)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수직고정대(7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72)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볼트결합공(7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71a)와, 이 상단결합부(71a)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경사지지부(71b)와, 이 경사지지부(71b)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면서 경사지지부(71b)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수직지지부(71c)와, 이 수직지지부(7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1)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71d)로 이루어지며, 상기 피뢰기설치대(7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0)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72a)과, 이 피뢰기결합공(72a)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71)의 볼트결합공(71e)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72b, 7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72a), 제1,2가변설치공(72b,7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80)는 요크(12)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수직고정대(81)와, 이 수직고정대(8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1)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82)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대(8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82)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다수의 볼트결합공(81d)이 형성된 상단결합부(81a)와, 이 상단결합부(81a)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어 수직지지부(81b)와, 이 수직지지부(81b)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2)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81c)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뢰기설치대(8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1)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82a)과, 이 피뢰기결합공(82a)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고정대(81)의 볼트결합공(81d)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82b,8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82a), 제1,2가변설치공(82b, 8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고정금구(90)는 요크(12) 상에 볼트로 결합 고정되는 격자고정대(91)와, 이 격자고정대(91)에 결합 고정된 상태로 피뢰기(21)의 일단이 결합되는 피뢰기설치대(92)로 구성되고, 상기 격자고정대(91)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피뢰기설치대(92) 일단에 대향되게 맞물리는 다수의 다수의 볼트결합공(91e)이 형성된 상단결합부(91a)와, 이 상단결합부(91a)에서 수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수평경사지지부(91b)와, 이 수평경사지지부(91b)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수평경사지지부(91b)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수직지지부(91c)와, 이 수직지지부(91c)의 선단에 T자형 단면구조로 결합되어 요크(12)상에 면접촉 상태로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플랜지부(91d)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뢰기설치대(92)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판상면에는 피뢰기(21)의 일단에 볼트 결합될 수 있는 피뢰기결합공(92a)과, 이 피뢰기결합공(92a)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격자고정대(91)의 볼트결합공(91e)과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제1,2가변설치공(92b,92c)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피뢰기결합공(92a), 제1,2가변설치공(92b, 92c)들은 각각 네 개의 구멍으로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190669A 2014-12-26 2014-12-26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KR10157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669A KR101574078B1 (ko) 2014-12-26 2014-12-26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669A KR101574078B1 (ko) 2014-12-26 2014-12-26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078B1 true KR101574078B1 (ko) 2015-12-04

Family

ID=5486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669A KR101574078B1 (ko) 2014-12-26 2014-12-26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0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97B1 (ko) * 2018-08-29 2019-03-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1955304B1 (ko) * 2018-09-10 2019-05-30 (주)월명기술단 철탑의 배전선로 장치
CN112769088A (zh) * 2021-01-26 2021-05-07 芜湖市凯鑫避雷器有限责任公司 一种安装便捷的避雷器安装结构
KR20210150096A (ko) *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및 아킹혼 가변형 설치금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7995B2 (ja) * 1994-03-14 2001-12-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導体用相間スペーサ
JP2003217790A (ja) 2002-01-17 2003-07-31 Asahi Tec Corp 避雷装置
CN102751056A (zh) 2012-07-24 2012-10-24 固力发集团有限公司 一种放电间隙装置
KR101236132B1 (ko) * 2012-01-05 2013-02-21 대일전기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7995B2 (ja) * 1994-03-14 2001-12-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導体用相間スペーサ
JP2003217790A (ja) 2002-01-17 2003-07-31 Asahi Tec Corp 避雷装置
KR101236132B1 (ko) * 2012-01-05 2013-02-21 대일전기 주식회사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CN102751056A (zh) 2012-07-24 2012-10-24 固力发集团有限公司 一种放电间隙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97B1 (ko) * 2018-08-29 2019-03-05 (주)한송엔지니어링 송전선로 철탑용 피뢰기 고정장치
KR101955304B1 (ko) * 2018-09-10 2019-05-30 (주)월명기술단 철탑의 배전선로 장치
KR20210150096A (ko) * 2020-06-03 2021-12-10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및 아킹혼 가변형 설치금구
KR102382366B1 (ko) * 2020-06-03 2022-04-04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및 아킹혼 가변형 설치금구
CN112769088A (zh) * 2021-01-26 2021-05-07 芜湖市凯鑫避雷器有限责任公司 一种安装便捷的避雷器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085B1 (ko)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브라켓 연결금구
KR101574078B1 (ko) 송전선로 피뢰기 설치용 고정금구
KR101236132B1 (ko) 송전선로 피뢰기설치용 고정금구
KR200451818Y1 (ko) 송전선로용 갭형 피뢰기의 간격 조정장치
KR101779567B1 (ko) 가공배전선로 뇌해 보호용 광역피뢰침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200442555Y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고정금구
KR101619905B1 (ko) 애자 교체용 지그
US8618414B2 (en) Holding device for an overhead line and overhead line configuration
KR102393163B1 (ko) 송전탑 애자장치의 피뢰기 및 아킹혼 설치구조
KR100757515B1 (ko) 감전사고 방지형 배전철탑의 수배전반 지지완철
KR101028146B1 (ko) 송전변전 배전 피뢰기의 마운팅 브라켓 높이조절 장치
KR101994241B1 (ko) 배전선 접지 장치
KR101674206B1 (ko) 애자련에의 피뢰기 부착 구조
KR102382366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의 피뢰기 및 아킹혼 가변형 설치금구
KR101329343B1 (ko)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KR102257774B1 (ko) 송전선로 피뢰기의 설치구조
KR101782051B1 (ko) 154kV T/L 보호배전반용 고정형 폴리머 점퍼지지애자 장치 및 점퍼선 간격 조절장치의 설치방법
JP2013126304A (ja) 避雷防止装置、及び避雷防止送電線システム
KR20110006152A (ko) 일체형으로 형성된 전주용 라인 포스트 애자와 폴리머 피뢰기 설치구조
CN213878725U (zh) 一种可调式安装支架
KR100466338B1 (ko) 피뢰 설비 고정용 플레이트
KR20190049036A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CN211701480U (zh) 扩建夹具以及包含其的消弧线圈成套接地装置柜
CN216215804U (zh) 避雷器的可带电安装装置
CN210081605U (zh) 一种gis母线筒安装时使用的可伸缩就位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