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863B1 - 송전선용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송전선용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863B1
KR102182863B1 KR1020180078702A KR20180078702A KR102182863B1 KR 102182863 B1 KR102182863 B1 KR 102182863B1 KR 1020180078702 A KR1020180078702 A KR 1020180078702A KR 20180078702 A KR20180078702 A KR 20180078702A KR 102182863 B1 KR102182863 B1 KR 10218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clamping
housing
clamp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5231A (ko
Inventor
윤기선
노경호
박성모
정성우
정헌웅
황이삭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7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86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5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5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용 접지장치는 제1 클램핑부, 제2 클램핑부, 접지 와이어, 절연 와이어 및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용수철을 포함하여 상기 용수철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송전선을 클램핑한다.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 나사를 이용한 조임방식으로 송전탑을 클램핑한다. 상기 접지 와이어는 상기 제1 클램핑부를 상기 제2 클램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절연 와이어는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연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연결된다.

Description

송전선용 접지장치{GROUNDING APPARATUS FOR POWRE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선용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에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접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송전선용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전된 송전선이나 그 선로에 접근하여 작업할 경우 유도전압 등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휴전구간 양측에 접지장치가 설치된다. 접지장치는 안전 확보 및 설비 보호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접지장치는 송전 선로 측과 접지 측의 전선을 연결하여 접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접지장치를 클램프 방식으로 송전 선로에 설치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작업 능력에 따라 접지장치의 클램프가 송전 선로에 조여지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접지장치의 클램프가 송전 선로에 느슨하게 조여지는 경우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접지장치의 클램프가 송전 선로로부터 탈락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지장치의 본연의 접지 기능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송전 선로로부터 접지장치의 탈락에 의해 작업자의 감전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선에 안정적으로 접지될 수 있는 송전선용 접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송전탑에 설치된 송전선용 접지장치는 제1 클램핑부, 제2 클램핑부, 접지 와이어, 절연 와이어 및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용수철을 포함하여 상기 용수철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송전선을 클램핑한다.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 나사를 이용한 조임방식으로 송전탑을 클램핑한다. 상기 접지 와이어는 상기 제1 클램핑부를 상기 제2 클램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절연 와이어는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연결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연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지지축, 안착부, 지지부, 제1 클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축은 상기 용수철에 의해 둘러싸이고,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절연 와이어가 고정되는 체결홀이 정의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용수철과 접촉되며, 상기 안착부에는 상기 송전선을 수용하는 라운드 형상의 안착홈이 정의된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관통하는 홀이 정의된다.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송전선을 상기 안착부와 함께 클램핑한다. 또한, 상기 용수철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안착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축을 둘러싼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 와이어는 상기 제1 클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손잡이부, 조임부, 및 제2 클램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임나사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조임부는 상기 조임나사의 타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조임부와 함께 송전탑의 일 부분을 클램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와이어는 상기 제2 클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전선용 접지장치는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 와이어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하우징들을 포함한다. 상기 서브 하우징들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서브 하우징들 중 크기가 작은 하나가 크기가 큰 서브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되는 접이식 방식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전선용 접지장치는 와이어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 결합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와이어 결합부는 상기 접지 와이어와 결합되어 상기 접지 와이어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전선용 접지장치는 가이드롤러, 록킹롤러, 잠금걸쇠 및 잠금조작부를 더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절연와이어를 감는다. 상기 록킹 롤러는 상기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연와이어를 감고, 상기 록킹 롤러는 걸림쇠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걸쇠는 상기 걸림쇠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 롤러의 회전을 잠금한다. 상기 잠금 조작부는 상기 잠금걸쇠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잠금 조작부는 상기 잠금걸쇠의 이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용 접지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송전선으로부터 절연 하우징의 길이만큼 이격되어 접지장치의 클램핑부에 송전선을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송전선을 접지장치에 클램핑하는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감전되는 사고가 현격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접지장치의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작업만으로 송전선이 클램핑되는 부위를 벌려 송전선을 클램핑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상관 없이 접지장치의 클램핑부에 송전선을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어, 송전선로부터 접지장치가 탈락하여 안전사고가 방지되고, 접지장치의 본연의 효과가 상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접지장치의 측면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클램핑부가 송전탑 철재구조에 클랭핑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접지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접지장치(100)의 측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송전선용 접지장치(100)는 송전선을 송전탑의 철재 구조에 접지하는 장치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지장치(100)는 제1 클램핑부(20), 제2 클램핑부(50), 접지와이어(W1), 절연 와이어(45), 손잡이(65), 하우징(10), 와이어 결합부들(13, 15)을 포함한다.
접지장치(100)에서 제1 클램핑부(20)는 송전선(L1)을 클램핑하는 부분으로, 제1 클램핑부(20)는 용수철(40)이 수축된 후에 복원되는 복원력을 이용하여 송전선(L1)을 클램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핑부(20)는 용수철(40), 지지축(24), 안착부(22), 지지부(23) 및 제1 클램프(21)를 포함한다.
지지축(24)의 일 단부는 절연 와이어(45)를 통해 손잡이(65)와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축(24)의 일 단부에는 제1 체결홀(25)이 정의될 수 있고, 절연 와이어(45)는 제1 체결홀(25)에 고정되어 지지축(24)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23)는 지지축(24)과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부(23)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지지축(24)은 관통홀을 통해 지지부(23)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축(24)은 지지부(23)에 고정되는 형식으로 지지부(23)에 결합되지 않고, 지지축(24)은 지지부(23)에 간섭 없이 지지부(23)에 정의된 관통홀을 통해 제1 방향(DR1) 및 제1 방향(DR1)의 역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안착부(22)는 지지축(24)의 타단부에 결합되되, 안착부(22)는 지지축(24)에 고정된다. 제1 클램핑부(20)에서 안착부(22)는 송전선(L1)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안착부(22)의 표면에는 송전선(L1)의 라운드 형상의 겉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 형상의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L1)이 안착부(22)에 접촉되는 경우에, 송전선(L1)은 안착부(22)의 라운드 형상의 안착홈에 수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송전선(L1)이 안착부(22)에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제1 클램프(21)는 안착부(22)와 함께 송전선(L1)을 클램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프(21)는 지지부(23)와 결합되어 안착부(22)를 커버하도록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프(21)가 안착부(22)와 함께 송전선(L1)을 클램핑하는 경우에, 송전선(L1)의 일 측부는 안착부(22)에 접촉되고, 송전선(L1)의 일 측부에 대향하는 다른 측부는 제1 클램프(21)에 접촉된다.
용수철(40)은 지지부(23) 및 안착부(22)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용수철(40)은 지지축(24)을 둘러싸는 형태로 지지축(24)에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65)를 제1 방향(DR1)으로 잡아당겨 지지축(24)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되면, 안착부(22) 및 지지부(23) 간에 간격이 작아져 용수철(40)이 수축된다. 또한, 손잡이(65)를 제1 방향(DR1)으로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수축된 용수철(40)이 복원될 수 있다.
접지장치(100)에서 제2 클램핑부(50)는 송전탑의 철재구조를 클램핑하는 부분으로 제2 클램핑부(50)는 조임나사(53)를 이용한 조임 방식으로 송전탑의 철재구조를 클램핑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 클램핑부(50)는 조임나사(53), 손잡이부(54), 조임부(52) 및 제2 클램프(51)를 포함한다.
조임나사(5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조임나사(53)의 겉면에는 나사산 및 나사홈이 형성된다. 조임나사(53)는 제2 클램프(51)를 관통하는 형태로 제2 클램프(51)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클램프(51)에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내측 둘레에는 조임나사(53)와 체결되기 위한 나사산 및 나사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임나사(53)가 제2 클램프(51)의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여 제2 클램프(51)에 결합되되, 조임나사(53)의 외측둘레의 나사산 및 나사홈과 제2 클램프(51)의 관통홀의 내측 둘레의 나사산 및 나사홈이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조임나사(53)가 제2 클램프(51)에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54)는 조임나사(53)의 일 단부에 결합되고, 조임부(52)는 조임나사(53)의 타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손잡이부(54)를 이용하여 조임나사(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임나사(53)가 회전하는 경우에, 조임나사(53) 및 이와 결합된 조임부(5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되어, 조임부(52) 및 제2 클램프(51)의 상단부 사이에 위치한 송전탑의 철재 구조가 클램핑될 수 있다.
접지와이어(W1)는 제1 클램핑부(20)를 제2 클램핑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지와이어(W1)는 피복된 전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지와이어(W1)의 양 단부들에 피복이 제거되어 접지와이어(W1)에 제1 결속부(W2) 및 제2 결속부(W3)가 정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결속부(W2)는 제1 클램프(21)의 외측에 용접될 수 있고, 제2 결속부(W3)는 제2 클램프(51)의 외측에 용접될 수 있다.
절연 와이어(45)는 제1 클램핑부(20)를 손잡이(65)에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 와이어(45)의 일 단은 지지축(24)에 정의된 제1 체결홀(25)에 고정되며, 절연 와이어(45)의 타 단은 손잡이(65)에 고정되어 제2 체결홀(62)이 형성된 연결부(61)에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65)를 파지하여 손잡이(65)를 제1 방향(DR1)으로 당기는 경우에, 손잡이(65)를 당기는 힘이 절연 와이어(45)를 통해 지지축(24)에 전달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 클램핑부(20) 및 손잡이(65) 사이에 배치되어 절연 와이어(45)를 수납하고, 하우징(10)의 구성물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0)은 다수의 서브 하우징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서브 하우징들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서브 하우징들 중 크기가 작은 하나가 크기가 큰 서브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되는 접이식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은 제1 서브 하우징(H1), 제2 서브 하우징(H2) 및 제3 서브 하우징(H3)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서브 하우징들(H1, H2, H3)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3 서브 하우징들(H1, H2, H3)은 제1 방향(DR1)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하우징(H1), 제2 서브 하우징(H2) 및 제3 서브 하우징(H3)의 제1 방향(DR1)에 대한 길이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제1 서브 하우징(H1)의 폭은 제2 서브 하우징(H2)의 폭보다 작고, 제2 서브 하우징(H2)의 폭은 제3 서브 하우징(H3)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하우징(H1)이 제2 서브 하우징(H2)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식으로 제1 및 제2 서브 하우징들(H1, H2)은 접이식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하우징(H1) 및 제2 서브 하우징(H2)이 제3 서브 하우징(H3)의 내부로 수납되는 방식으로 제1 내지 제3 서브 하우징들(H1, H2, H3)이 접이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와이어 결합부들(13, 15)은 하우징(10)의 외측에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결합부들(13, 15)은 제1 서브 하우징(H1) 및 제2 서브 하우징(H2)에 일대일 대응하여 고정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와이어 결합부들(13, 15)의 각각은 일 측이 개구된 고리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측 방향에서 접지 와이어(W1)를 와이어 결합부들(13, 15)의 각각의 개구된 부분에 인입시켜 접지 와이어(W1)를 와이어 결합부들(13, 15)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접지장치(100)의 제1 클램핑부(20)에 송전선(L1)을 클램핑하는 방법을 다음과 같다.
작업자는 손잡이(65)를 파지하고, 손잡이(65)를 제1 방향(DR1)으로 잡아당긴다. 손잡이(65)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손잡이(65)에 고정된 연결부(61)도 제1 방향(DR1)으로 잡아당겨진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5)가 제1 방향(DR1)으로 잡아 당겨지기 이전에는 연결부(61)가 하우징(10)의 내부에 수용되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5)를 제1 방향(DR1)으로 잡아당긴 이후에는 연결부(61)가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손잡이(65)는 절연 와이어(45)를 통해 지지축(24)과 연결되므로, 손잡이(65)를 제1 방향(DR1)으로 잡아 당겨지는 힘에 의해 지지축(24)은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축(24)은 지지부(23)와 관통된 형상으로 지지부(23)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축(24)의 제1 방향(DR1)의 이동에 의해 지지부(23) 및 안착부(22) 간의 간격이 감소되어 용수철(40)이 제1 방향(DR1)으로 수축되고, 그 대신에 제1 클램프(21) 및 안착부(22) 간의 간격이 벌어진다.
제1 클램프(21) 및 안착부(22) 간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 작업자는 손잡이(65)를 잡아당기는 힘을 유지하고, 제1 클램프(21) 및 안착부(22)의 사이에 송전선(L1)을 삽입한다. 그 이후에, 작업자는 손잡이(65)를 잡아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용수철(40)이 본연의 형상으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해 제1 클램프(21) 및 안착부(22)의 사이에 송전선(L1)이 클램핑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과 같이 송전선(L1)을 제1 클램핑부(20)에 클램핑하면, 작업자는 절연 특성을 갖는 하우징(10)의 길이만큼 송전선(L1)과 이격되어 클램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작업자는 손잡이(65)를 조작하여 제1 클램핑부(20)에 송전선(L1)을 용이하게 클램핑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상관 없이 제1 클램핑부(20)에 송전선(L1)이 클램핑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선(L1)으로부터 작업자가 감전되는 사고가 현격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송전선(L1)에 클램핑 작업이 단순화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 없이 송전선에 접지장치가 견고하게 클램핑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2 클램핑부가 송전탑 철재구조에 클랭핑되는 것을 나타낸 측면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전탑의 철재 구조(5)의 수평부(8)를 제2 클램프(51) 및 조임부(52)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 이후에, 작업자는 손잡이부(54)를 파지한 후에 손잡이부(54)를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54)를 일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4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조임나사(53) 및 이에 고정된 조임부(52)가 승강한다. 그 결과, 제2 클램프(51)의 상단부와 조임부(52) 간의 간격이 점차 감소하게 되어 제2 클램프(51)의 상단부와 함께 조임부(52)가 수평부(8)를 클램핑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핑부(도 2의 20)를 이용하여 송전선(도 2의 L1)을 클램핑하기 이전에 제2 클랭핑부(50)를 이용하여 송전탑의 수평부(8)를 클램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접지장치(101)의 측면도이다. 한편, 도 5에서는 제3 서브 하우징(H3)의 내부에 배치된 구성 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제3 서브 하우징(H3)의 일부가 절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용 접지장치(101)는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들(R1, R2, R3, R4, R5), 록킹(locking) 롤러(R6), 잠금걸쇠(75) 및 잠금 조작부(80)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들(R1, R2, R3, R4, R5)은 하우징의 제3 서브 하우징(H3)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가이드 롤러들의 개수 및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이드 롤러(R1)는 손잡이(65)를 기준으로 가장 선단에 위치하고, 제2 내지 제5 가이드 롤러들(R2, R3, R4, R5)은 제3 서브 하우징(H3)의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지그재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핑부(도 1의 20)의 지지축(도 1의 24)에 연결된 절연 와이어(45)는 제1 내지 제5 가이드 롤러들(R1, R2, R3, R4, R5)에 순차적으로 감겨 록킹 롤러(R6) 측으로 가이드된다.
록킹 롤러(R6)는 제1 가이드 롤러(R1)의 상측에 배치되어 절연와이어(45)를 감는다. 또한, 록킹 롤러(R6)는 걸림쇠(70)를 구비하며, 이 실시예에서는 걸림쇠(70)는 록킹 롤러(R6)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후크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잠금걸쇠(75)는 걸림쇠(70)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잠금걸쇠(75)는 후크의 구조를 가져 걸림쇠(70)에 걸리는 방식으로 걸림쇠(70)에 체결될 수 있다. 잠금걸쇠(75) 및 걸림쇠(70)가 상호 간에 후크의 구조로 결합되는 경우에, 잠금걸쇠(75)에 의해 걸림쇠(70)가 록킹 롤러(R6)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것을 멈추게 할 수 있다.
잠금 조작부(80)는 잠금걸쇠(75)에 결합되어 제3 서브 하우징(H3)의 외부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잠금 조작부(80)는 레버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잠금 조작부(80)를 조작하여 잠금걸쇠(75)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잠금 조작부(80)를 제2 방향(DR2)으로 젖히는 경우에, 잠금 조작부(80)에 결합된 잠금걸쇠(75)의 후크부가 아래로 젖혀지게 되어, 잠금걸쇠(75) 및 걸림쇠(70) 상호 간의 후크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그 결과, 록킹 롤러(R6)는 회전이 가능하여 잠금 조작부(80)의 조작에 의한 잠금 해제의 모드가 구현된다.
이와 반면에, 잠금 조작부(80)를 제2 방향(DR2)과 반대 방향으로 젖히는 경우에, 잠금 조작부(80)에 결합된 잠금걸쇠(75)의 후크부가 위로 젖혀지게 되어, 잠금걸쇠(75) 및 걸림쇠(70) 상호 간의 후크 결합이 구현될 수 있다. 그 결과, 록킹 롤러(R6)의 회전이 불가능하여 잠금 조작부(80)의 조작에 의한 잠금 상태의 모드가 구현된다.
한편, 작업자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핑부(도 1의 20)에 송전선을 클램핑하기 위하여 손잡이(65)를 잡아당겨 제1 클램프(도 1의 21) 및 안착부(도 1의 22) 간의 사이를 벌린 이후에, 제1 클램프 및 안착부 간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우선 작업자는 손잡이(65)가 손잡이 지지대(68)의 끝 부분까지 도달되도록 손잡이(65)를 제2 방향(DR2)으로 잡아당긴다. 그 결과, 제3 및 제4 가이드롤러들(R3, R4) 사이를 지나는 절연와이어(45)와 결합된 와이어 뭉치(48)가 제2 방향(DR2)으로 이동된다.
그 이후에, 전술한 잠금 조작부(80)를 조작하여 상기 잠금 상태의 모드를 구현시킨다. 그 결과, 록킹 롤러(R6)의 회전이 멈추게 되어 손잡이(65)가 제2 방향(DR2)으로 잡아당긴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손잡이(65)가 제2 방향(DR2)으로 잡아당기는 경우에, 제1 클램프(도 1의 21) 및 안착부(도 1의 22) 간의 사이가 벌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잠금 조작부(80)를 조작하여 손잡이(65)가 제2 방향(DR2)으로 잡아당긴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는, 제1 클램프(도 1의 21) 및 안착부(도 1의 22) 간의 사이가 벌어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클램프 및 안착부 간에 송전선을 삽입하는 과정이 보다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65)의 외측에 후크부를 설치하고, 손잡이 지지대(68)의 내측에 다른 후크부를 설치하고, 손잡이(65)가 손잡이 지지대(68)에 도달되도록 손잡이(65)를 잡아당긴 후에, 손잡이(65) 및 손잡이 지지대(68)의 후크부들을 서로 결합시켜, 손잡이(65)가 잡아당겨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20: 제1 클램핑부 50: 제2 클램핑부
21: 제1 클램프 22: 안착부
23: 지지부 24: 지지축
W1: 접지 와이어 10: 하우징
51: 제2 클램프 52: 조임부
53: 조임나사 65: 손잡이

Claims (9)

  1. 용수철을 포함하여 상기 용수철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송전선을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부;
    조임 나사를 포함하여 상기 조임 나사를 이용한 조임방식으로 송전탑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부;
    상기 제1 클램핑부를 상기 제2 클램핑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와이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연결된 절연 와이어; 및
    상기 절연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1 클램핑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핑부는,
    상기 절연 와이어가 고정되는 체결홀이 정의된 지지축;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어 상기 용수철과 접촉되며, 상기 송전선을 수용하는 라운드 형상의 안착홈이 정의된 안착부;
    상기 지지축이 관통되는 형상으로 상기 지지축과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결합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송전선을 상기 안착부와 함께 클램핑하는 제1 클램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수철은 상기 지지부와 안착부 사이에서 지지축을 둘러싸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를 제1 클램프쪽으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와이어는 상기 제1 클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핑부는,
    상기 조임나사의 일 단부에 결합된 손잡이부;
    상기 조임나사의 타 단부에 결합된 조임부; 및
    상기 조임부와 함께 송전탑의 일 부분을 클램핑하는 제2 클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와이어는 상기 제2 클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핑부 및 상기 손잡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절연 와이어를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 하우징들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하우징들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서브 하우징들 중 크기가 작은 하나가 크기가 큰 서브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되는 접이식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접지 와이어와 결합되어 상기 접지 와이어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와이어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절연와이어를 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롤러;
    상기 가이드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연와이어를 감고, 걸림쇠를 구비하는 록킹(locking) 롤러;
    상기 걸림쇠에 체결되어 상기 록킹 롤러의 회전을 잠금하는 잠금걸쇠; 및
    상기 잠금걸쇠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잠금걸쇠의 이동을 제어하는 잠금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20180078702A 2018-07-06 2018-07-06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218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02A KR102182863B1 (ko) 2018-07-06 2018-07-06 송전선용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02A KR102182863B1 (ko) 2018-07-06 2018-07-06 송전선용 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31A KR20200005231A (ko) 2020-01-15
KR102182863B1 true KR102182863B1 (ko) 2020-11-25

Family

ID=69156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02A KR102182863B1 (ko) 2018-07-06 2018-07-06 송전선용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8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0386B (zh) * 2020-11-20 2022-09-30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接地线装置
CN114156783A (zh) * 2021-11-04 2022-03-0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淳安县供电公司 一种绝缘杆间接带电旁路电缆与带电导线连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2007U (ko) * 2012-09-27 2014-04-04 한국전력공사 고압케이블용 클램프장치
KR20150005205A (ko) * 2013-07-05 2015-01-14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20160029407A (ko) * 2014-09-05 2016-03-15 한국전력공사 송전선로용 접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5231A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07291B2 (en) Cable retaining apparatus
KR101145029B1 (ko) 송전선로용 접속애자 교체장비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JP2021121175A (ja) 架空地線張替方法
KR100934083B1 (ko) 점퍼선 고정기구
KR102228755B1 (ko) 자동 착탈식 고정 후크를 구비한 임시걸이와 케이블 헤드 회전형 접속 클램프를 갖는 간접 활선용 바이패스케이블 인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간접 활선 설치 공법
KR101850531B1 (ko) 간접 활선 작업용 바이패스 케이블 단말장치
JP6671656B2 (ja) 電線仮支持工具
US8963011B2 (en) Insulating cover and retaining pin for high voltage electrical transmission structures
US11726289B1 (en) Components for fiber optic cable installation on a powerline conductor
US20240162695A1 (en) Trap-type live wire terminal insulation cap and indirect live wire insulation method for jumper wire using same
WO2019208650A1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柱上吊上げ装置、碍子支持具、対電柱固定具及び掛吊具
JP4979541B2 (ja) ケーブル固定具の固定方法
JP2018109578A (ja) 絶縁抵抗測定装置
KR20150005205A (ko)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102281030B1 (ko) 트랩형 활선 단말 절연캡 및 이를 이용한 점퍼선의 간접활선 절연공법
JP6598068B2 (ja) テープ巻付装置
JP2015186430A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EP1497898B1 (en) Cable installation
KR102551476B1 (ko) 접지용구
KR20220091745A (ko) 호스 핸들러
KR100812398B1 (ko) 애자와 송배전케이블의 결속장치
JP6819191B2 (ja) 短絡接地器具
KR102641123B1 (ko) 전력설비 이격장치
JP7494514B2 (ja) 引込線撤去工事方法、支持点フックおよび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