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205A -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205A
KR20150005205A KR20130078738A KR20130078738A KR20150005205A KR 20150005205 A KR20150005205 A KR 20150005205A KR 20130078738 A KR20130078738 A KR 20130078738A KR 20130078738 A KR20130078738 A KR 20130078738A KR 20150005205 A KR20150005205 A KR 20150005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locking
fastening
lock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천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13007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205A/ko
Publication of KR20150005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몸체부와 함께 전선을 감싸는 파지부와, 몸체부에 결합되어 파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전선에 탈부착하기 위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GROUND CONNECTION TOOL OF POWER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쳇 방식을 사용하여 작업성을 개선하고 전선과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키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전된 송전선로나 그 선로에 접근하여 작업할 경우 착오 송전이나 유도전압 등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휴전구간 양측에 접지용구를 설치한다.
접지용구는 안전 확보 및 설비 보호의 목적으로 설치되고, 선로측과 접지측의 전선을 연결하여 접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접지용구 중에서 전선에 결합되는 단자는 가공송전선로를 잡아주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조임부재는 단자에 나사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403호(2006.12.04 등록, 발명의 명칭 :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 접지용구는 조임부재가 단자에 나사 결합되므로, 조임부재를 조여주거나 풀어주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과도한 힘을 소모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라쳇(ratchet) 방식에 의해 반자동으로 전선에 장착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되고 접지 상태를 유지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와 함께 전선을 감싸는 파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케이블부가 접속되고, 상기 잠금부가 장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을 일부 감싸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하여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반원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반원몸체에 결합되고, 접지봉에 걸리는 작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되고, 상기 잠금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외측면에 체결라쳇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잠금대; 상기 잠금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라쳇과 일방향으로 맞물리는 잠금라쳇;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잠금라쳇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라쳇을 탄성 지지하는 잠금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관통되는 축홀부가 형성되는 커버대; 상기 커버대에서 연장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 형성되고, 접지봉에 걸리는 가압대; 상기 커버대에 형성되는 설치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는 회전라쳇과 접촉되어 상기 회전라쳇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조작라쳇;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라쳇을 탄성 지지하는 조작탄성체; 및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감겨 상기 연장대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는 몸체부에 작업링이 형성되므로, 접지봉을 이용하여 몸체부를 전선에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는 체결부와 잠금부가 라쳇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체결부의 일방 회전이 허용되지만 타방 회전이 제한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는 잠금부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체결부가 이격되므로, 체결부와의 잠금을 해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는 조작부가 회전되면서 체결부를 강제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체결부를 전선에 밀착시켜 유동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파지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잠금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파지부와 잠금부의 결합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파지부와 잠금부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1)는 몸체부(10)와, 파지부(20)와, 잠금부(30)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전선(100)과 접촉되어 전선(100)을 접지시킨다. 이를 위해, 몸체부(10)에는 케이블부(40)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케이블부(40)의 타단부는 철탑(미도시)에 장착되는 철탑단자부(50)에 결합된다.
파지부(20)는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파지부(20)는 몸체부(10)와 함께 전선(100)을 감싼다.
잠금부(30)는 몸체부(10)에 결합되어 파지부(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잠금부(30)는 파지부(20)와 걸림 고정되어, 전선(100)을 감싼 파지부(20)와 전선(100)간의 접촉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몸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하부몸체(11)와 반원몸체(12)를 포함한다.
하부몸체(11)의 외측에는 케이블부(40)가 접속되고, 반원몸체(12)는 하부몸체(11)에 결합된다. 반원몸체(12)는 하단부가 하부몸체(11)에 결합되고, 전선(100)을 감싸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반원몸체(12)는 서로 이격되며, 반원 형상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10)는 작업링(13)을 더 포함한다. 작업링(13)은 반원몸체(12)에 결합되고, 접지봉(90)에 걸리도록 단부가 링 형상을 한다.
예를 들어, 접지봉(90)은 작업자가 파지하는 막대이며, 단부에는 작업고리(91)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접지봉(90)의 작업고리(91)를 작업링(13)에 걸어서 전선(100)으로 이동시킨다.
도 3은 도 2에서 파지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20)는 회전축부(21)와, 체결부(22)를 포함한다.
회전축부(21)는 몸체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회전축부(21)는 반원몸체(12)의 각 상단부에 핀결합된다.
체결부(22)는 회전축부(21)에 결합되어 회전축부(21)와 연동된다. 체결부(22)는 잠금부(30)에 걸림 고정되도록 외측면에 체결라쳇(221)이 형성된다(도 5와 도 6 참조).
예를 들어, 체결부(22)는 반원몸체(12)와 대칭되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하며, 체결부(22)의 단부가 하부몸체(11)에 도달되면, 체결부(22)와 반원몸체(12)가 원을 형성하여 전선(100)을 감싼다.
체결부(22)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축부(21)에 결합되는 체결몸체(225)와, 체결몸체(225)에 장착되고 체결라쳇(221)이 형성되는 체결돌출체(226)를 포함한다.
체결돌출체(226)는 체결몸체(225)보다 더 두껍고, 한 쌍의 체결돌출체(226)가 서로 결합되면, 두께차로 인해 체결몸체(225)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도 3에서 잠금부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파지부와 잠금부의 결합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파지부와 잠금부의 결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30)는 잠금대(31)와, 잠금라쳇(32)과, 잠금탄성체(33)를 포함한다.
잠금대(31)는 몸체부(10)를 관통한다. 예를 들어, 잠금대(31)는 하부몸체(11)를 관통하여 상단부가 하부몸체(11)의 상방에 배치된다. 잠금대(31)의 하단부에는 잠금링(311)이 형성된다.
잠금라쳇(32)은 잠금대(31)에 결합되고, 체결라쳇(221)과 일방향으로 맞물린다. 예를 들어, 잠금라쳇(32)은 잠금대(3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체결부(22)의 회전을 허용하고, 체결라쳇(221)과 맞물려 체결부(22)의 시계방향 회전을 제한한다.
잠금탄성체(33)는 몸체부(10)와 잠금라쳇(32) 사이에 배치되고, 잠금라쳇(32)을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잠금탄성체(33)는 잠금대(31)를 감싸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하며, 하단부가 하부몸체(11)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단부가 잠금라쳇(32)에 지지된다.
이때, 하부몸체(11)에는 잠금라쳇(32)의 과도한 상승을 제한하도록 걸림턱(111)이 형성된다. 걸림턱(111)은 잠금라쳇(32)의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배치된다.
걸림턱(111)에 의해 잠금라쳇(32)의 상승이 제한되면, 체결라쳇(221)의 진입시 잠금라쳇(32)과 충돌되어 체결라쳇(221)의 진입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서 조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20)는 조작부(23)를 더 포함한다. 조작부(23)는 회전축부(21)에 장착되어 회전축부(21)를 강제로 회전시킨다.
조작부(23)는 커버대(24)와, 연장대(25)와, 가압대(26)와, 조작라쳇(27)과, 조작탄성체(28)와, 복원탄성체(29)를 포함한다.
커버대(24)는 회전축부(21)가 관통되도록 축홀부(2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대(24)의 일측면에는 설치홈부(7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대(24)는 한 쌍의 체결돌출체(226) 사이에 배치된다.
연장대(25)는 커버대(24)에서 연장되고, 가압대(26)는 연장대(25)의 단부에 형성되되, 링 형상을 한다. 연장대(25)에는 접지봉(90)이 걸린다.
조작라쳇(27)은 커버대(24)에 형성되는 설치홈부(70)에 삽입되고, 회전축부(21)에 형성되는 회전라쳇(211)과 접촉된다.
커버대(24)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조작라쳇(27)은 회전라쳇(211)과 맞물려 회전라쳇(21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커버대(24)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조작라쳇(27)은 회전라쳇(211)과 맞물림이 해제된다.
조작탄성체(28)는 설치홈부(70)에 장착되어 조작라쳇(27)을 탄성 지지한다. 이로 인해 조작라쳇(27)에 외력이 가해지면 조작탄성체(27)가 수축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조작탄성체(27)의 수축이 해제되어 조작라쳇(27)이 회전라쳇(211)에 걸린다.
예를 들어, 조작라쳇(27)은 회전라쳇(211)과 대응되는 곡선을 형성하여 회전라쳇(211)과 맞물리는 결합체(271)와, 결합체(271)에서 연장되는 연결체(272)와, 연결체(272)에서 연장되고 연결체(272)보다 두께가 얇은 삽입체(273)를 포함한다.
그리고, 설치홈부(70)는 회전라쳇(211)이 삽입되는 회전홈부(71)와, 회전홈부(71)에서 연장되고 결합체(271)가 삽입되는 확장홈부(72)와, 확장홈부(72)에서 연장되어 결합체(271)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는 수렴홈부(73)와, 연결체(272)와 삽입체(273)를 안내하는 가이드홈부(74)를 포함한다.
이때, 조작탄성체(28)는 가이드홈부(74)에 삽입되고, 연결체(272)를 지지한다.
복원탄성체(29)는 몸체부(10)에 고정되고, 회전축부(21)에 감겨 연장대(25)를 탄성 지지한다. 복원탄성체(29)는 외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커버대(24)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예를 들어, 복원탄성체(29)는 단부가 반원몸체(12)에 고정되고, 중앙부가 연장대(25)를 감싸면서 회전축부(21)에 감긴다.
복원탄성체(29)는 회전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는 반원몸체(12)에 일단부가 고정되므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 커버대(24)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반원몸체(12)에 체결부(22)가 장착되되 반원몸체(12)의 일측이 개구된 상태에서(도 5 참조), 작업자는 접지봉(90)을 작업링(13)에 걸고 반원몸체(12)가 전선(100)을 감싸도록 반원몸체(12)를 이동시킨다.
반원몸체(12)의 내측에 전선(100)이 접촉되면, 충격에 의해 체결부(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라쳇(221)과 잠금라쳇(312)이 접촉된다(도 6 참조).
체결라쳇(221)과 잠금라쳇(312)이 서로 접촉되면, 이들의 형상에 의해 체결부(2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되지만, 체결부(2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제한되어, 전선(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체결라쳇(221)과 잠금라쳇(312)이 맞물린 상태에서, 작업자는 접지봉(90)을 가압대(26)에 걸어 커버대(2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커버대(2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커버대(24) 내측에 형성되는 조작라쳇(27)이 회전라쳇(211)에 맞물려 회전축부(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회전축부(2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축부(21)와 결합된 체결부(2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선(100)을 조여준다.
접지봉(90)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커버대(24)는 복원탄성체(29)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고, 접지봉(90)에 의해 재차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체결부(22)가 전선(100)에 밀착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커버대(24)를 회전시킨다.
한편, 전선(100)과의 분리를 위해 작업자는 어느 하나의 접지봉(90)을 잠금링(311)에 걸어 잠금대(31)를 하방 이동시킨다. 또한, 작업자는 다른 하나의 접지봉(90)을 작업링(13)에 걸어 작업링(13)을 잡아당긴다.
즉, 잠금대(31)가 하방 이동되어 잠금라쳇(312)과 체결라쳇(221)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작업링(13)을 잡아당기면, 전선(100)에 밀려 체결부(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체결부(22)의 일측이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으로 전선(100)을 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1)는 몸체부(10)에 작업링(13)이 형성되므로, 접지봉(90)을 이용하여 몸체부(10)를 전선(100)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1)는 체결부(22)와 잠금부(30)가 라쳇 방식으로 결합되므로, 체결부(22)의 일방 회전이 허용되지만 타방 회전이 제한되어, 전선(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1)는 잠금부(30)가 외력에 의해 이동되면서 체결부(22)가 이격되므로, 체결부(22)와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1)는 조작부(23)가 회전되면서 체결부(22)를 강제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체결부(22)를 전선(100)에 밀착시켜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부 11 : 하부몸체
12 : 반원몸체 13 : 작업링
20 : 파지부 21 : 회전축부
22 : 체결부 23 : 조작부
24 : 커버대 25 : 연장대
26 : 가압대 27 : 조작라쳇
28 : 조작탄성체 29 : 복원탄성체
30 : 잠금부 31 : 잠금대
32 : 잠금라쳇 33 : 잠금탄성체
40 : 케이블부 50 : 철탑단자부
70 : 설치홈부 90 : 접지봉
100 : 전선 111 : 걸림턱
211 : 회전라쳇 221 : 체결라쳇
241 : 축홀부

Claims (7)

  1.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몸체부와 함께 전선을 감싸는 파지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파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케이블부가 접속되고, 상기 잠금부가 장착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전선을 일부 감싸도록 구부러진 형상을 하여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반원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반원몸체에 결합되고, 접지봉에 걸리는 작업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축부; 및
    상기 회전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부와 연동되고, 상기 잠금부에 걸림 고정되도록 외측면에 체결라쳇이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잠금대;
    상기 잠금대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라쳇과 일방향으로 맞물리는 잠금라쳇;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잠금라쳇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잠금라쳇을 탄성 지지하는 잠금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부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부가 관통되는 축홀부가 형성되는 커버대;
    상기 커버대에서 연장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 형성되고, 접지봉에 걸리는 가압대;
    상기 커버대에 형성되는 설치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형성되어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는 회전라쳇과 접촉되어 상기 회전라쳇의 일방향 회전을 허용하는 조작라쳇;
    상기 설치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작라쳇을 탄성 지지하는 조작탄성체; 및
    상기 몸체부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부에 감겨 상기 연장대를 탄성 지지하는 복원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20130078738A 2013-07-05 2013-07-05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20150005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738A KR20150005205A (ko) 2013-07-05 2013-07-05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8738A KR20150005205A (ko) 2013-07-05 2013-07-05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205A true KR20150005205A (ko) 2015-01-14

Family

ID=5247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8738A KR20150005205A (ko) 2013-07-05 2013-07-05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2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45A (ko) * 2018-05-25 2019-12-04 한국전력공사 접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볼트 어셈블리
KR20200005231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2551476B1 (ko) * 2022-12-16 2023-07-05 신두선 접지용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45A (ko) * 2018-05-25 2019-12-04 한국전력공사 접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유볼트 어셈블리
KR20200005231A (ko) * 2018-07-06 2020-01-15 한국전력공사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2551476B1 (ko) * 2022-12-16 2023-07-05 신두선 접지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307291B2 (en) Cable retaining apparatus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0934083B1 (ko) 점퍼선 고정기구
KR101974862B1 (ko) 전선 가이드 롤러
KR20150005205A (ko)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20190043082A (ko) 가공 배전선로의 활선 작업용 임시걸이 장치
WO2019208650A1 (ja) 碍子分離工法並びにこの工法で用いられる柱上吊上げ装置、碍子支持具、対電柱固定具及び掛吊具
KR101463167B1 (ko) 와이어링 밴드케이블
KR101087740B1 (ko) 원터치형 접지금구용 클램프
KR102029911B1 (ko) 지상개폐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JP2008178280A (ja) ケーブル留め具
KR200479671Y1 (ko)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CN207504475U (zh) 一种可转向线缆夹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JP5797592B2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JP6660011B2 (ja) 接地短絡器具
JP6325301B2 (ja) 間接活線工事用クリップ及び当該クリップを用いた作業方法
JP5329278B2 (ja) 絶縁カバ−用取付け工具
JP5694419B2 (ja) 固定器具
KR20220091745A (ko) 호스 핸들러
JPS5829554Y2 (ja) プラグ形漏電しや断器の固定装置
KR101169933B1 (ko) 케이블 안내유닛
US20180342837A1 (en) Plug Holder to Safeguard Applicances
JP2011125196A (ja) 操作棒におけるロックナットの係止構造
CN106041837B (zh) 一种电动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