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476B1 - 접지용구 - Google Patents

접지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476B1
KR102551476B1 KR1020220177187A KR20220177187A KR102551476B1 KR 102551476 B1 KR102551476 B1 KR 102551476B1 KR 1020220177187 A KR1020220177187 A KR 1020220177187A KR 20220177187 A KR20220177187 A KR 20220177187A KR 102551476 B1 KR102551476 B1 KR 102551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rame
clamp
ground
g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선
Original Assignee
신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선 filed Critical 신두선
Priority to KR1020220177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476B1/ko
Priority to PCT/KR2023/003428 priority patent/WO202412841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내부에 형성된 취부 공간부로 고압선을 안내하는 회전부가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취부 공간부로 안내된 고압선의 외면을 감싸며, 고압선과 대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 모듈부; 전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파지봉; 및 상기 파지봉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 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접지용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지용구{GROUND CONNECTION TOOL}
본 발명은 접지용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접지 효율이 우수한 접지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용구는 발전소 구내, 송전선로, 변전소 구내에서 변전기기나 송전선로 등의 점검 및 고장 수리의 과정에서 안전한 휴전 작업을 위한 접지에 필요한 장치이다.
예로, 변전소, 전선로 및 전선줄에서 애자나 변압기 교체 등의 전기공사를 할 때, 전기를 차단하더라도 전선로(전선)에는 잔류전하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접지용구를 통해 전선로의 잔류전하를 대지로 방전할 목적으로 접지용구를 이용한다.
종래에는 3상단락 접지용구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전선로를 직접 손으로 만지면 안되기에, 절연봉 끝에 달린 금구류를 전선로에 밀착시키고, 금구류에 접지선을 대지로 연결하여 전선로에 존재하는 잔류전하를 대지로 방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접지용구는 전선로의 굵기에 따라 그에 맞는 금구류를 사용해야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접지용구는 전선로의 장력, 바람 및 접지용구의 무게 등으로 인해 전선로에는 진동 및 떨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전선로의 진동 및 떨림으로 인해 접지용구가 전선로부터 이탈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접지용구는 설치 작업도 어렵고, 작업 시간도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접지 효율이 우수한 접지용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86543호(2012.08.0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접지 효율이 우수한 접지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내부에 형성된 취부 공간부로 고압선을 안내하는 회전부가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취부 공간부로 안내된 고압선의 외면을 감싸며, 고압선과 대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 모듈부; 전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파지봉; 및 상기 파지봉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 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접지용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모듈부는,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단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결속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된 클램프 지지부에 구비된 접지 클램프; 일단은 상기 접지 클램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는 연결 와이어; 전진 이동하는 상기 결속부와 체결되는 결속 체결부; 일단은 상기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와이어 홀더를 관통하는 당김 와이어; 및 상기 당김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며 대지에 삽입되는 접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와 결속 체결부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 와이어를 당길시, 상기 접지 클램프는 고압선의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클램프의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접지 클램프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 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는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접지 클램프의 일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클램프 해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지 클램프는 편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 지지부의 상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삽입 고정홈을 기준으로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 결합된 접지선 인출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고압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클램프 지지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지선 인출부를 관통하는 접지도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고정된 고압선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내부에 상기 취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함께 내부에 상기 취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 타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제2 프레임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취부 공간부를 개방시키는 회전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된 클램프 지지부; 및 상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접지선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가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집지용구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선을 감싼 상태로 접지하는 접지 클램프는 편조선으로 이루어져, 고압선과의 접지효율이 우수하다. 이와 같은 접지 클램프는 고압선의 굵기에 따라 그에 맞는 접지 클램프로 따로 교체할 필요가 없기에, 설치 작업이 간편하다.
이와 같은 접지용구는 종래의 접지용구에 비해 고압선에 접지시키는 구조가 간편하도록 이루어져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접지용구의 설치 작업이 간편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용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용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고압선이 취부 공간부로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가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김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결속 체결부가 회전부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 클램프가 고압선을 감싸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해제부로부터 접지 클램프의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용구의 다양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와 하부는 대상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반드시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용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용구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고압선이 취부 공간부로 안내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속부가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김 와이어의 당김에 의해 결속 체결부가 회전부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 클램프가 고압선을 감싸는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해제부로부터 접지 클램프의 결합이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지용구(1000)는 프레임부(100), 접지 모듈부(200), 파지봉(300) 및 작동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100)는 접지용구(1000)의 전부에 구비되며, 고압선(10)을 취부 공간부(101) 내부로 안내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부(100)는 제1 프레임(110), 회전부(120), 제2 프레임(130), 클램프 지지부(140) 및 접지선 인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에 취부 공간부(101)가 형성된 프레임부(100)는 반원, 타원형 등 특정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100)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회전부(120)가 구비되어, 프레임부(100)는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20)의 일단부에는 개방 조절 와이어(121)가 결합되고, 회전부(120)의 타단부는 제2 프레임(13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개방 조절 와이어(121)를 당길시, 회전부(120)는 제2 프레임(130)에 힌지 결합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프레임부(100)는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방 조절 와이어(121)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져 접지 모듈부(200)와의 접촉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회전부(12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부(100)가 개방된 상태에서 프레임부(100)의 외측에 구비된 고압선(10)은 회전부(120)에 의해 형성된 개방 공간(122)을 통해 취부 공간부(101)로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20)는 작업자가 개방 조절 와이어(121)를 당기는 힘이 해제될 시, 회전부(120)는 회전부(120) 내에 구비된 스프링과 같은 복원부재(미도시)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20)가 원위치로 복원된 상태에서는 회전부(120)의 일단부는 제1 프레임(1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30)은 고정된 구성이고, 회전부(120)는 제2 프레임(130)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프레임부(10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카라비너의 작동 방식과 동일한 형태로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20)의 회전은 개방 조절 와이어(121)가 아닌 작동 제어부(400)에 구비된 회전 스위치 버튼(미도시)을 통해 회전부(12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클램프 지지부(140)의 일측에는 제1 프레임(110)이 결합되고, 클램프 지지부(140)의 타측에는 접지선 인출부(150)가 결합된다.
이러한 클램프 지지부(140)에는 고압선(10)과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접지 클램프(230)가 결합된다. 즉, 접지 클램프(230)의 일단부는 클램프 지지부(140)에 형성된 삽입 고정홈(141)에 삽입된 상태에서 클램프 지지부(14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 클램프(230)의 일단부에는 구비된 고정부재(231)는 클램프 지지부(140) 내에 구비된 클램프 해제부(143)에 의해 결합 또는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 해제부(143)에 의해 고정부재(231)가 잠겨진 상태에서는 접지 클램프(230)의 일단부는 클램프 지지부(14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달리, 클램프 해제부(143)에 의해 고정부재(231)가 풀린 상태에서는 접지 클램프(230)의 일단부는 클램프 지지부(140)에 고정되지 않고, 클램프 지지부(140)로부터 이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클램프 해제부(143)는 예를 들어, 피스톤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가 풀림 조절 와이어(144)를 일정 이상의 힘으로 당길 경우, 고정부재(23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홀(232)을 관통 삽입하고 있던 피스톤(145)의 로드(146)는 뒤로 이동되며 고정부재(231)의 잠김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풀림 조절 와이어(144)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져 접지 모듈부(200)와의 접촉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지 클램프(230)의 결합 해제는 풀림 조절 와이어(144)가 아닌 작동 제어부(400)에 구비된 접지 클램프(230)의 결합 및 해제를 제어하는 스위치 버튼(미도시)을 통해 자동으로 결합 및 풀림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클램프 해제부(143)는 반드시 1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접지 클램프(230)의 크기 및 길이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로, 클램프 해제부(143)는 접지 클램프(230)의 길이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며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클램프 해제부(143)가 1개인 형태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클램프 해제부(143)는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알려진 돈사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풀림 조절 와이어(144)를 당길시, 풀림 조절 와이어(144)와 연결된 회동부(147)는 회동되며 고정부재(231)의 잠김 상태가 해제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램프 해제부(143)를 당기도록 이루어진 풀림 조절 와이어(144)를 대신하여, 예를 들어 윈치 방식을 통해 회동부(147)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솔레노이드 방식을 통해 회동부(147)를 회전시키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회동부(147)의 회전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지 클램프(230)의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클램프 해제부(143)의 구성은 상기에서 언급한 구성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의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접지 모듈부(200)는 취부 공간부(101)로 안내된 고압선(10)의 외면을 감싸며, 고압선(10)과 대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접지 모듈부(200)는 고압선(10)에 남아있는 잔류전하를 대지로 방전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접지 모듈부(200)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다. 즉, 접지 모듈부(200)가 접지도선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접지 모듈부(200)는 작동부(210), 결속부(220), 접지 클램프(230), 연결 와이어(240), 결속 체결부(250), 당김 와이어(260) 및 접지봉(2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부(210)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며, 결속부(220)를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작동 제어부(400)와 작동부(210)는 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속부(220)와 일정 거리 이격된 작동부(210)는 예를 들어, 푸쉬 타입의 솔레이드 가압부일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작동 제어부(400)에 구비된 작동부(210)의 작동 버튼(미도시)을 누를 시, 작동부(210)에 구비된 플런저(211)가 튀어나오며 결속부(220)를 전진 이동시켜, 해당 결속부(220)가 결속 체결부(25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결속부(220)를 결속 체결부(250)에 체결시키는 작동부(210)의 구성은 상기에서 언급된 방식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결속부(220)는 결속 체결부(250)에 삽입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결속부(220)는 중공이 형성된 결속 지지부재(22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지지부재(221)는 결속부(22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결속 지지부재(221) 내에 구비된 결속부(220)는 작동 제어부(400)의 작동시, 작동부(210)에 의해 전진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결속부(220)는 회전부(120)에 결합된 결속 체결부(25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즉, 결속부(220)가 전진 이동하는 과정에서 결속부(220)에 구비된 탄성 고정체(222)는 압축된 상태로 결속 체결부(250)에 형성된 결합홀(251)까지 이동된 후, 결합홀(251)에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결합홀(251)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50)의 결합 구조는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카라비너를 이용한 후크 결합 방식으로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 등 해당 구성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연결 와이어(240)의 일단은 접지 클램프(230)에 결합되고, 연결 와이어(240)의 타단은 결속부(220)에 결합된다. 그리고 결속부(220)가 결속 체결부(250)에 삽입 결합될 시, 결속부(220)와 결속 체결부(250)는 일체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결속 체결부(250)에는 당김 와이어(260)가 결합된다.
이러한 당김 와이어(260)는 접지선 인출부(150)에 형성된 관통홀(151)을 관통한 상태에서 파지봉(300)의 후부에 구비된 와이어 홀더(29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파지봉(300) 및 와이어 홀더(290)는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작업자는 파지봉(300)의 후부에 위치된 당김 와이어(260)를 선택적으로 잡아 당기며, 접지 클램프(230)를 고압선(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 클램프(230)는 예를 들어 편조선(Braided Wire)일 수 있다. 여기서 편조선은 구리 소선을 여러 가닥으로 꼬아 평형으로 짜내는 선으로, 유연성이 있으며 기계적인 움직임에도 손상되지 않고 대용량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당김 와이어(260)의 당김 과정에서 접지 클램프(230)는 접지 클램프(230)의 일단부가 삽입 고정홈(141)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접지 클램프(230)의 타단부가 고압선(10)이 위치된 반대편쪽으로 이동되며, 고압선(10)의 상면을 감싸게 된다.
여기서 클램프 지지부(140)의 상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복수개의 미끄럼 방지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142)는 클램프 지지부(140)에 형성된 삽입 고정홈(141)을 기준으로 접지선 인출부(150) 측에 마련된다.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142)는 상부에 고압선(10)이 안착됨에 있어, 고압선(10)의 이동 및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압선(10)을 접지 클램프(230)로 감싸는 과정에서 고압선(10)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142)는 예로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고무, 화이버글래스 등의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있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부(142)의 단면은 예로 삼각, 사각, 반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미끄럼 방지부(142)의 단면이 삼각형인 것을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미끄럼 방지부(142)의 각 개별 구성은 클램프 지지부(140)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접지용구(1000)의 사용 과정에서 미끄럼 방지부(142)의 마모 및 파손이 발생될 경우, 작업자는 마모 및 파손이 발생된 해당 미끄럼 방지부(142)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당김 와이어(260)를 작업자가 일정 이상의 힘으로 당기는 과정에서 결속 체결부(250)는 회전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20)에는 체결홈(123)이 형성되고, 결속 체결부(250)에는 체결홈(123)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52)가 형성되어, 일정 이상의 힘으로 당김 와이어(260)를 당기는 과정에서 결속 체결부(250)는 회전부(1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파지봉(300)은 일정의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파지봉(300)의 후부측을 잡은 상태에서 파지봉(300)의 전부에 배치된 프레임부(100)를 통해 고압선(10)을 취부 공간부(101) 내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봉(300)은 복수개의 봉을 서로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파지봉(300)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도 있는 등 파지봉(300)의 구조 및 형태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와이어 홀더(290)는 파지봉(300)의 후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와이어 홀더(290)는 당김 와이어(26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와이어 홀더(290)는 당김 와이어(260)를 당기는 과정에서 당김 와이어(260)의 당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풀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와이어 홀더(290)는 예를 들어 코드락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 작업자는 와이어 홀더(290)에 구비된 누름부(291)를 누른 상태에서 당김 와이어(260)를 당길 수 있다. 그리고 당김 와이어(260)를 당긴 후, 누름부(291)를 놓으면 와이어 홀더(290) 내에 구비된 스프링은 복원되어 당김 와이어(260)를 가압하며 당김 와이어(26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즉, 당김 와이어(260)가 당겨진 상태에서 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접지 클램프(230)가 고압선(10)으로부터 풀려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당김 와이어(260)의 단부에는 대지에 삽입되는 접지봉(27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접지봉(270)은 고압선(10)의 잔류전하를 대지로 흘려보내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와이어 홀더(290)와 접지봉(270) 사이에 배치되는 접지도선의 길이가 긴 경우, 작업자는 도 9에서와 같이 해당 구간의 접지도선을 돌돌 말아서 전기 테이프 등으로 묶어서 접지도선을 팽팽하게 유지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1차적으로 와이어 홀더(290)가 접지도선을 팽팽하게 유지시키고, 2차적으로 전기 테이프를 통해 와이어 홀더(290)와 접지봉(270) 사이에 위치되는 접지도선을 팽팽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접지도선 및 고압선(10)은 외부 환경(바람, 진동, 장력 등)에 의한 흔들림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접지용구(1000)는 가이드 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롤러(500)는 파지봉(3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 롤러(500)는 접지선 인출부(150)를 관통하는 접지도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500)는 미끄럼 방지부(142)에 고정된 고압선(10)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접지용구(1000)의 무게 중심과 고압선(10)의 무게 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접지도선을 와이어 홀더(290)측으로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경우, 당김 와이어(260)는 파지봉(300)에 밀착되어 고압선(10), 가이드 롤러(500), 접지용구(1000)와 같은 무게 중심을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용구의 다양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접지용구(1000)는 접지봉(270)이 구비되지 않은 형태의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형 접지용구(2000)는 접지용구(1000)와 함께 예를 들어 3상 단락 접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9의 (a)와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지봉(270)이 구비된 A의 접지용구(1000)는 1상의 고압선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B의 연결형 접지용구(2000)는 A의 접지용구(1000)와 같이 1상의 고압선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C의 연결형 접지용구(2000)는 2상의 고압선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D의 연결형 접지용구(2000)는 2상의 고압선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고, E의 연결형 접지용구(2000)는 3상의 고압선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3상 단락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연결형 접지용구(2000)은 당김 와이어(260)의 길이가 접지용구(1000)에 비해 짧으며, 당김 와이어(260)의 단부에는 연장 와이어(261)가 연결된다. 이러한 연장 와이어(261)는 와이어 홀더(290)를 관통하도록 이루어지며, 작업자는 연장 와이어(261)를 통해 당김 와이어(260)를 당길 수 있다. 여기서 연장 와이어(261)는 당김 와이어(260)와 달리 절연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연결형 접지용구(2000)의 연결 및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접지용구(1000)의 연결은 접지 구리선인 단락도선(2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단락도선(20)의 양단부는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접지용구(1000)에 구비된 당김 와이어(260)에 각각 결합되며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락도선(20)은 예를 들어 더블 와이어 클립, 와이어 페럴, C형 슬리브, 볼트형 슬리부, 나비나서(볼트, 너트 및 터미널) 등을 통해 현장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연결형 접지용구(2000)의 연결 및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접지용구(1000)를 연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연결형 접지용구(2000)의 연결 및 연결형 접지용구(2000)와 접지용구(1000)의 연결은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 범위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고압선
20: 단락도선
100: 프레임부
101: 취부 공간부
110: 제1 프레임
120: 회전부
121: 개방 조절 와이어
122: 개방 공간
123: 체결홈
130: 제2 프레임
140: 클램프 지지부
141: 삽입 고정홈
142: 미끄럼 방지부
143: 클램프 해제부
144: 풀림 조절 와이어
145: 피스톤
146: 로드
147: 회동부
150: 접지선 인출부
151: 관통홀
200: 접지 모듈부
210: 작동부
211: 플런저
220: 결속부
221: 결속 지지부재
222: 탄성 고정체
230: 접지 클램프
231: 고정부재
232: 고정홀
240: 연결 와이어
250: 결속 체결부
251: 결합홀
252: 체결돌기
260: 당김 와이어
261: 연장 와이어
270: 접지봉
290: 와이어 홀더
291: 누름부
300: 파지봉
400: 작동 제어부
500: 가이드 롤러
1000: 접지용구
2000: 연결형 접지용구

Claims (7)

  1. 회전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내부에 형성된 취부 공간부로 고압선을 안내하는 회전부가 구비된 프레임부;
    상기 취부 공간부로 안내된 고압선의 외면을 감싸며, 고압선과 대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지 모듈부;
    전부가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파지봉; 및
    상기 파지봉의 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접지 모듈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지 모듈부는, 상기 작동 제어부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단부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의 이동에 의해 전진 이동하는 결속부;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된 제1 프레임에 결합된 클램프 지지부에 구비된 접지 클램프; 일단은 상기 접지 클램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결속부에 결합되는 연결 와이어; 전진 이동하는 상기 결속부와 체결되는 결속 체결부; 일단은 상기 결속 체결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와이어 홀더를 관통하는 당김 와이어; 및 상기 당김 와이어의 단부에 구비되며 대지에 삽입되는 접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와 결속 체결부가 결속된 상태에서 상기 당김 와이어를 당길시, 상기 접지 클램프는 고압선의 외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접지용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클램프의 일단부는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 형성된 삽입 고정홈에 삽입되고, 상기 접지 클램프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 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는 상기 삽입 고정홈에 삽입된 상기 접지 클램프의 일단부에 구비된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클램프 해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클램프는 편조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램프 지지부의 상면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이루는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되되,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삽입 고정홈을 기준으로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 결합된 접지선 인출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고압선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는 상기 클램프 지지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봉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접지선 인출부를 관통하는 접지도선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에 고정된 고압선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내부에 상기 취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함께 내부에 상기 취부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2 프레임;
    타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되, 상기 제2 프레임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취부 공간부를 개방시키는 회전부;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된 클램프 지지부; 및
    상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결합되고, 하부는 상기 클램프 지지부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접지선 인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회전부가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용구.
KR1020220177187A 2022-12-16 2022-12-16 접지용구 KR102551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187A KR102551476B1 (ko) 2022-12-16 2022-12-16 접지용구
PCT/KR2023/003428 WO2024128416A1 (ko) 2022-12-16 2023-03-14 접지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187A KR102551476B1 (ko) 2022-12-16 2022-12-16 접지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476B1 true KR102551476B1 (ko) 2023-07-05

Family

ID=8715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187A KR102551476B1 (ko) 2022-12-16 2022-12-16 접지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1476B1 (ko)
WO (1) WO202412841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543A (ko) 2011-01-26 2012-08-03 한국전력공사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20130002631U (ko) * 2011-10-21 2013-05-02 한국전력공사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KR20150005205A (ko) * 2013-07-05 2015-01-14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CN205992601U (zh) * 2016-08-30 2017-03-01 许国凯 一种应用于绝缘导线的接地线
KR20170002073U (ko) * 2015-12-03 2017-06-13 김기숙 래치방식 접지용구
KR20190075559A (ko) * 2017-12-21 2019-07-01 한국전력공사 접지선 연결기구
KR20200086540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6543A (ko) 2011-01-26 2012-08-03 한국전력공사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KR20130002631U (ko) * 2011-10-21 2013-05-02 한국전력공사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KR20150005205A (ko) * 2013-07-05 2015-01-14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선로의 접지용구
KR20170002073U (ko) * 2015-12-03 2017-06-13 김기숙 래치방식 접지용구
CN205992601U (zh) * 2016-08-30 2017-03-01 许国凯 一种应用于绝缘导线的接地线
KR20190075559A (ko) * 2017-12-21 2019-07-01 한국전력공사 접지선 연결기구
KR20200086540A (ko) * 2019-01-09 2020-07-17 (주) 진흥이엔지 고압전선 연결용 케이블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8416A1 (ko) 202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1220B1 (en) Live conductor stringing and splicing method
CN100367589C (zh) 电力线绞线辊子及其操作方法
US8963011B2 (en) Insulating cover and retaining pin for high voltage electrical transmission structures
KR101963733B1 (ko) 힌지 덮개형 인장클램프
KR102551476B1 (ko) 접지용구
AU593868B2 (en) Power line working apparatus
US8692417B2 (en) Support system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of electrical power conductors
KR102182863B1 (ko) 송전선용 접지장치
KR100809146B1 (ko) 통전 도체들 및 장비에 섬락 방지 커버를 장착하기 위한 핸드-헬드 장치
CN110190560B (zh) 一种防雷验电环绝缘护罩安装工具
US1832138A (en) Drop suspension
CN214100547U (zh) 更换带电设备时引流线未绑扎端固定结构
CN220358688U (zh) 带电导线分配工具
EP1727251A2 (en) Live conductor stringing and splicing method and appartus
EP0277401B1 (en) Power line working apparatus
CN117458378A (zh) 一种防止线路相间短路装置及控制方法
CN117134246A (zh) 一种便于线路夹持固定的配网线路带电断、接互感器引流线工具
JPH08163733A (ja) 架設電線を活線のまま移動する装置
CA1291521C (en) Power line working apparatus
CN108461939A (zh) 带电状态下可分离主干线t接点的t接器
PL180216B1 (pl) Zespół do uziemiania linii napowietrznych wysokiego napięc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