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559A - 접지선 연결기구 - Google Patents

접지선 연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559A
KR20190075559A KR1020170177239A KR20170177239A KR20190075559A KR 20190075559 A KR20190075559 A KR 20190075559A KR 1020170177239 A KR1020170177239 A KR 1020170177239A KR 20170177239 A KR20170177239 A KR 20170177239A KR 20190075559 A KR20190075559 A KR 2019007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onnection
ground
grounding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522B1 (ko
Inventor
이영민
조성홍
강호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7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3/00Installations of lightning conductors; Fastening thereof to supporting structure
    • H02G13/40Connection to ear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동대에 접속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시공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일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접지선을 둘러싸며 체결되는 클램프;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지부 연결부; 및 상기 클램프와 상기 접지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진 유연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지선 연결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접지선 연결 구조{Connecting Apparatus for earth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중성선의 접지를 잡기 위하여 접지동대에 체결하는 접지선 연결 구조에 대한 것이다.
지상 개폐기에 접속되는 케이블의 중성선은 접지를 잡기 위해 클램프형 접지 단자를 활용하여 접지용 부스바, 즉 접지동대에 설치한다.
도 1 에는 접지동대에 접지된 모습의 사진이 나와 있으며, 도 2 에는 관련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2 에서 보이듯이, 종래의 접지체결 방식은 케이블의 중성선의 길이와 클램프의 구조상 중성선을 클램프의 삽입구에 삽입을 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도 2 에서 보이듯이, 케이블의 중성선(10)은 접지동대(1)에 접속하기 위하여 클램프(20)에 연결된다. 클램프(20)는 복수의 케이블의 중성선(10)이 모여져 통과되는 링부재(21)와 상기 링부재(21)에 중성선을 접속 고정시키는 커버부재(22)를 포함하며, 고정된 접지동대(1)에 링부재(21)의 제1 나사(22)가 너트(23)로 체결되고, 링부재(21)의 제2 나사(24)가 상기 커버부재(22)와 너트(25)로 체결되어, 클램프(20)는 중성선(10)을 모은 상태에서 상기 접지동대(1)에 접속된다. 즉, 케이블의 중성선(10)이 접지동대(1)까지 와서, 접지동대(1)에 클램프(20)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개폐기를 교체하는 경우에 기존의 접지를 풀고 다시 체결해야 하지만, 접지동대(1)는 외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이 협소하여 접지선 연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여건이 불리하여 한상만 접지동대(1)에 연결하는 등 시공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20-0185779 Y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접지동대에 접속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시공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접지선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실시예로 하나 이상의 접지선을 둘러싸며 체결되는 클램프;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지부 연결부; 및 상기 클램프와 상기 접지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진 유연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지선 연결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는 내부에 환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전성의 제 1 접속부와 환형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도전성의 제 2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둘러싸며,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부재와, 상기 힌지 반대 측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보다 강성은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연 연결부는 편조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1 부재를 관통하는 제 1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2 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2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연 연결부와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유연 연결부는 편조선이며, 상기 제 1, 제 2 접속부 및 상기 중간 연결부는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편조선도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 연결부는 상기 유연 연결부의 일측에서 슬리브를 통하여 결합하며 접지부와 나사 연결되도록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접지선을 접지동대에 접지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자에 관계 없이 균일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에 케이블의 접지선이 연결된 모습의 사진이다.
도 2 는 종래의 케이블의 접지선이 연결된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접지선 연결구조로 접지선이 연결된 개략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접지선 연결구조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 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구조의 설치 모습 및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지선 연결구조(100)은 일측은 접지동대(1)에 연결되며, 타측은 케이블의 중성선(10; 접지선)을 감싸며 체결되되, 중간에 유연 연결부를 포함하여 케이블의 중성선(10)과 접지동대(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도 접지동대(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케이블의 중성선(10)을 한꺼번에 접지시킬 수 있다.
즉, 고정된 접지동대(1)에 케이블의 중성선(10)을 끌어와서 복잡한 클램핑 없이, 접지동대(1)에는 간단한 체결인 너트(161), 볼트(160)로 접지선 연결구조(100)의 접지부 연결부(160)에 결합시키고, 중성선(10)은 접지동대(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클램프(130)로 한번에 연결시키는 구조로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면서도 간단하게 접지를 달성할 수 있다.
도 4 에서 보이듯이, 이 실시예에서 접지선 연결구조(100)은 하나 이상의 접지선을 둘러싸며 체결되는 클램프(130); 접지부인 접지동대(1)와 연결되는 접지부 연결부(110); 및 상기 클램프(130)와 상기 접지부 연결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진 유연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접지부 연결부(110)는 접지동대(1)와 같이 고정물에 연결되며, 간단히 나사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111)을 포함한다.
상기 유연 연결부(120)는 상기 클램프(130)와 상기 접지부 연결부(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편조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편조선에서 적어도 일부는 구리로 형성되어 전기 전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조선은 상기 클램프(130)와 상기 접지부 연결부(110)와 연결되도록 양 단부에 슬리브(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연 연결부(120)는 클램프(130) 내부에 배치되며 도전성 재료의 접속부(140)의 중간 연결부(147)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클램프(130)는 하나 이상의 중성선(10)을 감싸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접속부(140)와 상기 접속부(140)의 외측에 배치되서 접속부(140)의 강성을 보강하는 제 1 및 제 2 부재(131, 133)를 포함한다.
접속부(140)는 클램프(130)의 내면을 형성하며, 두 부재로 나누어진다. 즉, 접속부(140)는 상부 반고리를 형성하는 제 1 접속부(141)와 하부 반고리를 형성하는 제 2 접속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141, 142)는 제 1 및 제 2 부재(131, 133)에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141, 142)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각각 제 1 및 제 2 위치 결정부(145, 146)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결정부(145, 156)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141, 14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31, 13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133, 134)에 들어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접속부(141, 142)는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131, 132)에 대한 위치가 고정되어 제 1 및 제 2 부재(131, 132)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부재(131, 132)는 일측은 힌지(135)를 통하여 연결되며, 타측은 체결부재(137)를 통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체결부재(137)와 연결된 날개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클램프(130)는 체결될 수 있으며, 클램프(130) 내부의 공간이 변동될 수 있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 제 2 부재(132)는 상기 제 2 접속부(142) 및 유연 연결부(120)와 연결하는 중간 연결부(145)과 관통하도록 형성되나, 중간 연결부(145)가 제 2 부재(1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중성선(10)과 직접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속부(141, 142)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141, 142)와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145) 및 유연 연결부(120)는 전기 전도성이 좋은 구리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강성의 확보가 필요한 클램프(130)의 제 1 및 제 2 부재(131, 132)의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구리보다 강성이 높으며 전기 전도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 3 에서 보이듯이, 중성선(10)은 접지동대(1)까지 내려오지 않아도 상기 접지동대(1)에 접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중성선(10)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불필요한 케이블 도체 절단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접지동대(1)의 연결구조가 간단하며, 중성선(10) 접속 구조 역시 종래보다 간단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접지동대 100: 접지선 연결구조
110: 접지부 연결부 120: 유연 연결부
130: 클램프 131, 132: 제 1 및 제 2 부재
133, 134: 관통공 135: 힌지
140: 접속부 141, 142: 제 1 및 제 2 접속부
145: 중간 연결부 150: 날개부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접지선을 둘러싸며 체결되는 클램프;
    접지부와 연결되는 접지부 연결부; 및
    상기 클램프와 상기 접지부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유연한 구조로 이루어진 유연 연결부;를 포함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내부에 환형의 일부를 형성하는 도전성의 제 1 접속부와 환형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도전성의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둘러싸며, 일측에 힌지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부재와, 상기 힌지 반대 측 위치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를 연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는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보다 강성은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연결부는 편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제 1 부재를 관통하는 제 1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2 부재를 관통하는 제 2 위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2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유연 연결부와 연결되는 중간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 연결부는 편조선이며,
    상기 제 1, 제 2 접속부 및 상기 중간 연결부는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편조선도 구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 연결부는 상기 유연 연결부의 일측에서 슬리브를 통하여 결합하며 접지부와 나사 연결되도록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기구.
KR1020170177239A 2017-12-21 2017-12-21 접지선 연결기구 KR102051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39A KR102051522B1 (ko) 2017-12-21 2017-12-21 접지선 연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39A KR102051522B1 (ko) 2017-12-21 2017-12-21 접지선 연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59A true KR20190075559A (ko) 2019-07-01
KR102051522B1 KR102051522B1 (ko) 2019-12-05

Family

ID=6725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39A KR102051522B1 (ko) 2017-12-21 2017-12-21 접지선 연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5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26B1 (ko) * 2020-03-24 2021-07-28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가공 배전선로용 표시찰
KR20220001943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용 접지단자
KR20220162518A (ko) * 2021-06-01 2022-12-08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KR102551476B1 (ko) * 2022-12-16 2023-07-05 신두선 접지용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997A (ja) * 1998-09-14 2000-03-31 Kopeck Japan:Kk アース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997A (ja) * 1998-09-14 2000-03-31 Kopeck Japan:Kk アースクランプ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226B1 (ko) * 2020-03-24 2021-07-28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가공 배전선로용 표시찰
KR102282227B1 (ko) * 2020-03-24 2021-07-28 한국에너지산업기술 주식회사 가공 배전선로용 표시찰
KR20220001943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용 접지단자
KR20220162518A (ko) * 2021-06-01 2022-12-08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KR102551476B1 (ko) * 2022-12-16 2023-07-05 신두선 접지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522B1 (ko)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5559A (ko) 접지선 연결기구
KR102355339B1 (ko) 차폐 케이블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장치
CN102870299B (zh) 电缆接头
RU2442251C1 (ru)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оединения
CN103477499A (zh) 用于同轴电缆的屏蔽端子
CN107004996A (zh) 电线端子组件和适配器套件
US6087584A (en) Tubular cable grounding mechanism
CZ320896A3 (cs) Připojovací zásuvka pro datovou síť
KR101538641B1 (ko)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KR102365277B1 (ko) 전주용 완금구조물
KR102024669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JP5955810B2 (ja) 配電盤設備
US9647440B2 (en) Composite direct connector for high voltage line
KR102296390B1 (ko) 직렬 결선형 led파워 분배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200485894Y1 (ko) 다접점 커넥터의 결합구조
KR200273405Y1 (ko) 접속슬리브를 내입할 수 있는 전선 고정용 클램프의 절연보호커버
SU17130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экранировани , заземлени и креплени кабел приборного разъема
JP6617866B2 (ja) 分電盤
JP3809032B2 (ja) アース送り端子具
KR20220152743A (ko) 분기슬리브 커버장치
JP6576233B2 (ja) 導電部の保護構造
JPH0337275Y2 (ko)
CN106329424A (zh) 一种接线盒
CN117728203A (zh) 电缆接地箱
KR20230013963A (ko) 케이블 꼬임 방지용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