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943A - 피뢰기용 접지단자 - Google Patents

피뢰기용 접지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943A
KR20220001943A KR1020200080476A KR20200080476A KR20220001943A KR 20220001943 A KR20220001943 A KR 20220001943A KR 1020200080476 A KR1020200080476 A KR 1020200080476A KR 20200080476 A KR20200080476 A KR 20200080476A KR 20220001943 A KR20220001943 A KR 20220001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terminal
ground terminal
wire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328B1 (ko
Inventor
권양혁
김명환
박웅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8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3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뢰기와 전선을 연결하는 접지작업 과정에서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피뢰기와 전선을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피뢰기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 전선이 인입되는 단자본체,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단자본체와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 단자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인입장치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인입장치를 가압해 전선을 고정할 수 있어 활선작업 중 사용자의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뢰기용 접지단자{GROUND TERMINAL FOR THE LIGHTNING ARRESTER}
본 발명은 피뢰기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피뢰기와 전선을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피뢰기용 접지단자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철탑 배전선로에서 낙뢰 등과 같은 이상전압을 접지하여 배전설비를 보호하는 피뢰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피뢰기는 몸체전방에 접속단자 또는 접지단자가 장착되며, 접속단자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전선을 고정하는 전선단자가 구비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8822호에는 특고압 배전선로용 피뢰기의 접속단자 구조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피뢰기용 접속단자는 볼트체결에 의하여 압축부재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하여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는 것이므로 피뢰기와 리드선을 접속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볼트 체결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활선 작업의 경우, 작업자들은 특고압 고무절연장갑을 착용하고 작업해야하는데, 장갑의 두께에 의해 볼트 체결과 같은 미세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접지단자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활선작업 중 작업자들에게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원터치식으로 피뢰기와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시공 편의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지단자는, 전선이 인입되는 단자본체;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및 상기 단자본체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인입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인입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의 고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둘러쌓아 고정할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2개의 반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압되어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둘러쌓아 고정할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의 평판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선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장치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입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 버튼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장치를 가압하기 위하여, 압축된 상태로 상기 단자본체와 상기 고정장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장치의 전선을 고정하는 힘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를 적어도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에 대응해 인입된 탄성체 홀;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전선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압되기 전, 전선의 직경보다 더 넒은 간격을 가지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는, 인입된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압된 후, 전선의 직경보다 더 짧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입장치는, 전선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다시 압력이 가해지면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뢰기용 접지단자는, 활선작업 중 작업자들에게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원터치식으로 피뢰기와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시공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에 케이블이 삽입되는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 접지단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정면방향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피뢰기 접지단자(1, 이하 ‘접지단자’로 칭함)는 단자본체(100), 인입장치(200) 및 고정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본체(100)는 전선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케이블의 형상과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 단자본체(100)를 전제하고 있으나,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장치(300)는 단자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상하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선을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바, 이하 도 2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연결부(200)는 단자본체(100)와 고정장치(3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단자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인입장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장치(210)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에 돌출 형성되고, 타측은 고정장치(300)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입장치(21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고정장치(300)에 압력을 전달해, 고정장치(300)가 단자본체(100)의 중심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고정장치(300)는 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단자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와 연결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고정장치(300)는 단자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의 평판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선을 가압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으로 배치된 평판이 인입장치(210)에 의해 가압되면, 평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서로를 향하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평판들의 사이에 배치된 전선이 양측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고정장치(300)는 4개의 평판이 사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된 평판들이 인입장치(210)에 의해 가압되면, 평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서로를 향하여 이격되며, 평판들의 사이에 배치된 전선이 사방에서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는 사방에서 인입장치(210)를 가압해야하는 바, 2개의 평판으로 구성된 인입장치(210)와 대비하여 고정을 위해 작업단계가 추가되는 반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단자본체(100)의 내주면과 고정장치(300)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탄성체(220)는 고정장치(300)를 가압하기 위하여, 압축된 상태로 단자본체(100)와 고정장치(3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탄성체(220)는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에 의해 척력을 가진다. 따라서 고정장치(300)를 단자본체(100)의 중심을 향하여 가압할 수 있다.
탄성체(220)는 2 이상 배치되어 고정장치(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체(220)에 의해 가해지는 합력의 방향을 단자본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설정하기 위해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장치(300)는 탄성체(220)의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에 대응해 인입된 탄성체 홀(h,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체(220)는 고정장치(300)의 탄성체 홀(h)에 인입된 후 다시 단자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220)의 길이는 고정장치(300)와 단자본체(100)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어, 압축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인입장치(210)는 고정장치(300)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 버튼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1회 가압하면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고 케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인입장치(210)는 가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1회 가압하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버튼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접지단자(1)가 재활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장치(300)는 단자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장치(300)는 연결부(200)에 의해 가압되어 단자본체(100)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둘러쌓아 고정할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반주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장치(300)는, 전선이 인입될 수 있도록 연결부(200)에 의해 가압되기 전, 전선의 직경보다 더 넒은 간격을 가지고 이격 배치 될 수 있다. 전선의 직경보다 더 좁은 간격을 갖는 경우 전선 인입 작업의 편의성이 감소할 수 있다. 고정장치(300)는 인입된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부(200)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는 전선의 직경보다 더 짧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된 상태에서 전선의 직경보다 더 긴 직경을 갖는 경우에는 전선의 고정이 불가하므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전선의 직경보다 더 짧은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내지 도 10은 접지단자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케이블(C)의 피복이 벗겨져 외부에 노출된 전선(W)이 접지단자로 인입된다. 전선(W)이 인입된 후, 인입장치(210)가 작업자에 의해 인입된다. 인입장치(210)에 의해 가압된 고정장치(300)는 단자본체(100)의 중심축을 향해 이동하며, 전선(W)에 압력을 가해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접지단자
100: 단자본체
200: 연결부
210: 인입장치
220: 탄성체
300: 고정장치
C: 케이블
W: 전선

Claims (12)

  1. 전선이 인입되는 단자본체;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 및
    상기 단자본체와 상기 고정장치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본체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는 인입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인입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의 고정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둘러쌓아 고정할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형성되는 접지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2개의 반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압되어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둘러쌓아 고정할 수 있도록 원주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단자본체의 내부로 인입된 전선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적어도 2 이상의 평판이 서로 다른 방향에서 전선을 가압하는 접지단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자본체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장치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체;
    를 더 포함하는 접지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가압된 상태로 고정되는 버튼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고정장치를 가압하기 위하여, 압축된 상태로 상기 단자본체와 상기 고정장치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고정장치의 전선을 고정하는 힘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를 적어도 2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탄성체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체의 일측 단부에 대응해 인입된 탄성체 홀;
    을 포함하는 접지단자.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전선이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압되기 전, 전선의 직경보다 더 넒은 간격을 가지고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인입된 전선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압된 후, 전선의 직경보다 더 짧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장치는,
    전선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다시 압력이 가해지면 원상태로 복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단자.
KR1020200080476A 2020-06-30 2020-06-30 피뢰기용 접지단자 KR102390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76A KR102390328B1 (ko) 2020-06-30 2020-06-30 피뢰기용 접지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476A KR102390328B1 (ko) 2020-06-30 2020-06-30 피뢰기용 접지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943A true KR20220001943A (ko) 2022-01-06
KR102390328B1 KR102390328B1 (ko) 2022-04-26

Family

ID=7934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476A KR102390328B1 (ko) 2020-06-30 2020-06-30 피뢰기용 접지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71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용 단자
KR20160127589A (ko) * 2015-04-27 2016-11-04 전영환 회동커버를 갖는 푸시-록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5559A (ko) * 2017-12-21 2019-07-01 한국전력공사 접지선 연결기구
KR20200039179A (ko) * 2018-10-05 2020-04-1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혼촉 방지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471A (ko) * 2014-06-10 2015-12-1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접지용 단자
KR20160127589A (ko) * 2015-04-27 2016-11-04 전영환 회동커버를 갖는 푸시-록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5559A (ko) * 2017-12-21 2019-07-01 한국전력공사 접지선 연결기구
KR20200039179A (ko) * 2018-10-05 2020-04-16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혼촉 방지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328B1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702751A (ko) 동축 케이블 접속 보호장치(coaxial cable connection protection system)
TWI455430B (zh) Connection of power cables
CN102473495A (zh) 电气组件的端部配件以及端部配件的压紧方法
KR102390328B1 (ko) 피뢰기용 접지단자
TWI491130B (zh) Stress cone and a compression device using this compression stress cone cable connection portion of the apparatus
JP2000312429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CA2475871C (en) Cable sealing for a plug connector
CN209981564U (zh) 环保气体开关柜母线连接器
EP3570308A1 (en) Pole component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US6863567B2 (en) Electrical wiring with strain relief
WO2018002966A1 (ja) ポリマー避雷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346018A1 (en) Plug for a connector and the connector
KR20210117814A (ko) 전력케이블과 도체터미널의 접속구조
JPWO2017022618A1 (ja) 脱気工具およびその脱気工具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用電気機器の製造方法
JP3369472B2 (ja) Cvケーブル接続方法及びプレハブ式接続部の構造
CN219959490U (zh) 一种信号处理转换器
JP3131366B2 (ja) プレモールド絶縁形ケーブル接続部
CN111786328B (zh) 一种用于固定空间行波管高压电缆的法兰盘
KR20220135809A (ko) Rf 케이블용 터미널조립체
CN209526304U (zh) 一种射频绝缘子接线端子
JP2535301Y2 (ja) ストレスコーン圧縮装置
KR20080058601A (ko) 접지 연결부가 부가된 동축케이블 컨넥터
KR20220006375A (ko) 압축형 슬리브 및 압축형 슬리브의 결합방법.
JPH0515628U (ja) ストレスコーン圧縮装置
JP3090358B2 (ja) ケーブル接続用ブッシング盲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